KR20180130808A - 에어샤워 게이트 - Google Patents

에어샤워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808A
KR20180130808A KR1020170066863A KR20170066863A KR20180130808A KR 20180130808 A KR20180130808 A KR 20180130808A KR 1020170066863 A KR1020170066863 A KR 1020170066863A KR 20170066863 A KR20170066863 A KR 20170066863A KR 20180130808 A KR20180130808 A KR 20180130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nsor
shower
unit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황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황정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Priority to KR102017006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808A/ko
Publication of KR2018013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3/1682
    • F24F2003/169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하는 사람에게 묻은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및 냄새의 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실내 공기질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쾌적하고 청정한 실내 환경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샤워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며,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이 상부에서 수직 수평 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출입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통로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센싱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제1센서의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출입통로를 향해 분사하는 에어샤워부; 상기 수직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며, 주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집진부; 및 상기 제2센서의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샤워부 및 상기 집진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샤워 게이트{AIR SHOWER GATE}
본 발명은 에어샤워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하는 사람에게 묻은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및 냄새의 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실내 공기질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쾌적하고 청정한 실내 환경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샤워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샤워 장치는 청정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클린룸(clean room)의 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과 물건에 묻은 먼지 등의 파티클을 제거함으로써 클린룸의 오염을 막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등록특허 제10-1549243호에서는 에어샤워 부스에 집진기를 연결하여 에어샤워 시 탈락되는 분진을 집진기에서 집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샤워 부스 내를 항상 높은 청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탈락분진을 집진하는 에어샤워 부스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16-0133897호에서는 샤워실과 송풍통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입구 도어, 출구 도어와, 상기 송풍통로에 설치되는 팬, 필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샤워실과 송풍통로를 구분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체결 또는 분리되며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와, 상기 노즐공에 분리 또는 결합되는 에어 노즐을 포함하는 에어 샤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 내로 출입하는 사람에게 묻은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및 냄새의 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실내 공기질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쾌적하고 청정한 실내 환경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샤워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며,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이 상부에서 수직 수평 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출입통로를 형성하는 에어샤워 게이트로써, 상기 출입통로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센싱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제1센서의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출입통로를 향해 분사하는 에어샤워부; 상기 수직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며, 주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집진부; 및 상기 제2센서의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샤워부 및 상기 집진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샤워부는,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와 함께 피톤치드 및 음이온을 분사하는 제1샤워부와 상기 정화된 공기에서 산소를 분리하여 고농도 산소를 분사하는 제2샤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샤워부는,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필터; 상기 에어필터를 통과한 상기 정화된 공기를 상기 수평 프레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노즐을 통해 분사시키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에어튜브; 및 상기 정화된 공기에 상기 피톤치드 및 상기 음이온을 혼합시키는 청정물질 혼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샤워부는,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필터; 상기 에어필터를 통과한 상기 정화된 공기에 압축을 가하여 공기를 압축시키고,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제2에어펌프; 및 상기 배출된 압축공기 중에서 산소를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고농도 산소를 상기 수평 프레임에 마련된 제2분사노즐로 배출하는 맴브레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샤워를 통해 출입하는 사람에게 묻은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및 냄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샤워 시 분사되는 정화 공기에 음이온, 피톤치드 및 고농도 산소를 포함시킴으로써, 항균 및 소독 작용 외 다양한 헬스케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실내 공기의 질을 모니터링하고 공기질 지수에 따라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음이온, 피톤치드 및 산소를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의 에어샤워 및 집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및/또는"은 언급된 항목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샤워 게이트(100)는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110), 수직 프레임(1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20) 및 수직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하부 받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샤워 게이트(100)는 전후가 개방된 게이트 형상으로, 건물의 출입구 주변의 실내에 설치되어 출입하는 사람에게 정화된 공기와 함께 고농도 산소, 음이온 및 피톤치드를 분사하는 에어샤워 기능 및 주변 오염공기를 집진하는 집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에어샤워 게이트(100)는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센싱하고 외부 서버 및 장치와 통신하면서 실내의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양측의 수직 프레임(110)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출입통로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도 1에서는 "ㄷ"형의 에어샤워 게이트(1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되는 장소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110)의 내측 면에는 에어샤워 시 음이온 및/또는 피톤치드를 함유한 정화된 공기가 상기 출입통로를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제1분사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사구(111)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실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오염공기 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염공기 흡입구(112)는 수직 프레임(11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프레임(110)의 외측 면에는 손 소독기(113), 조작부(450) 및 측면 LED(442)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20)의 하부 면에는 에어샤워 시 고농도 산소가 상기 출입통로를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실내 공기질 정보 등을 나타내는 전면 LED(44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 프레임(110) 및/또는 수평 프레임(120)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외부공기 흡입구(미도시) 및 정화된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공기 배출구(미도시)와, 각종 센서들(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의 에어샤워 및 집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100)는 에어샤워부(200)와 집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샤워부(200)는 흡입된 외부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와 함께 피톤치드 및/또는 음이온을 분사하는 제1샤워부(201)와 흡입된 외부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에서 산소를 분리하여 고농도 산소를 분사하는 제2샤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샤워부(201)는 에어필터(210), 제1에어펌프(220), 에어튜브(230), 제1분사노즐(240) 및 청정물질 혼합기(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와 함께 음이온 및/또는 피톤치드를 수직 프레임(110)에 구비된 제1분사구(111)를 통해 분사할 수 있다.
에어필터(210)는 흡입된 외부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제1에어펌프(2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필터(210)는 공기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정격 풍량으로 입경 0.3um 의 입자에 대해 99.97% 이상의 입자 포집율을 가지며 초기 압력 손실이 245Pa 이하의 성능을 갖는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에어펌프(220)는 에어필터(21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에어튜브(230)를 따라 제1분사노즐(24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구동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한 개의 제1에어펌프(220)에서 배출된 정화 공기가 세 개의 제1분사노즐(240)과 연결되어 분사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에어펌프(220)와 제1분사노즐(24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에어펌프(220)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는 청정물질 혼합기(250)로 유입되고, 음이온과 피톤치드가 첨가된 채로 제1분사노즐(240)로 유출될 수 있다.
청정물질 혼합기(250)는 음이온 발생기(251)와 피톤치드 발생기(2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음이온 발생기(251)와 피톤치드 발생기(252)에서 생성된 음이온 및 피톤치드를 정화된 공기에 혼합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한 개의 청정물질 혼합기(250) 내에 음이온 발생기(251)와 피톤치드 발생기(252)를 모두 포함하고, 청정물질 혼합기(250)와 복수의 제1분사노즐(240)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두 개의 청정물질 혼합기(250)로 구성되고, 각각의 청정물질 혼합기(250)가 음이온 발생기(251)과 피톤치드 발생기(25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 발생기(251)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부, 상기 고전압 발생부에 연결된 입력선 및 고전압 출력선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전압 출력선의 끝단에는 음이온 브러시가 형성되어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피톤치드 발생기(252)는 겔 타입의 피톤치드가 수용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가 청정물질 발생기(250)로 유입 및 유출 될 때 정화된 공기에 자연스럽게 피톤치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제2샤워부(202)는 에어필터(210), 제2에어펌프(260), 멤브레인 필터(270), 제2분사노즐(280) 및 방출팬(29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에서 산소를 분리하여 고농도 산소를 수평 프레임(120)에 구비된 제2분사구(121)를 통해 분사할 수 있다.
제2에어펌프(260)는 에어필터(210)에서 정화된 공기에 압축을 가하여 공기를 압축시키고, 압축공기를 멤브레인 필터로 주입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270)는 주입된 압축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막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기가 흐르는 막의 압력과 반대 면과의 압력 차이로 산소가 용해되고 확산과정을 통해 산소를 흡착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270)에서 배출된 고농도 산소는 제2분사노즐(28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된 산소의 원할한 분사을 위해 제2분사노즐(280)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방출팬(2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샤워부(200)는 종래의 클린룸 에어샤워와는 달리,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여 사람의 옷이나 머리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에어 샤워시 고농도 산소와 음이온 및 피톤치드를 분사함으로써 항균, 소독 및 헬스케어 효과와 함께 산림욕을 즐기는 듯한 신선함과 쾌적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집진부(400)는 흡입팬(310), 집진필터(320) 및 이물질 제거통(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11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팬(310)은 에어샤워 게이트(100) 주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오염공기를 집진필터(320)로 제공한다. 집진필터(320)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유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역할을 하며, 집진필터(320)에 흡착되지 않은 비교적 큰 물질은 이물질 제거통(330)에서 수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진부(400)는 에어샤워부(200)와 함께 작동하면서 에어샤워에 따라 바닥에 떨어지는 먼지 등을 곧바로 회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실내 공기질이 나쁠 때 가동되어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100)는 제어부(400), 센서부(410), 구동부(420), 통신부(430), 표시부(440), 조작부(450) 및 전원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에어샤워 게이트(100)의 전기적 및 기계적 작동과 관련한 전반적이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센서부(410), 구동부(420), 통신부(430), 표시부(440), 조작부(450) 및 전원부(4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410)는 인체 감지를 위한 제1센서(411)와 실내의 공기질 감지를 위한 제2센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411)는 에어샤워 게이트(100)의 출입통로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서(411)는 출입통로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위치한 인체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해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2센서(412)는 에어샤워 게이트(100)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질 결정 요인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기질 결정 요인은 온도, 습도,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폼알데하이드(HCHO), 부유세균(microbic substance), 일산화탄소(CO), 라돈(Rn),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석면 및 오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동부(42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에어샤워부(200) 및 집진부(300)를 구동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42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에어펌프(220), 제2에어펌프(230), 음이온발생기(251), 방출팬(290) 및 흡입팬(31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LTE 모듈(431), WIFI 모듈(432) 및 BLE 모듈(433)을 포함하며, 외부 장치 및/또는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430)는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교통정보 및 주요 뉴스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30)는 에어샤워 게이트(100)로 접근하는 출입자가 소지한 단말기(미도시)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 공기질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44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센서부(410) 및 통신부(43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440)는 에어샤워 게이트(100)의 수평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전면 LED(441)와 수직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측면 LED(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LED(441)는 LTE 모듈(431) 또는 WIFI 모듈(432)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날씨, 교통정보 및 주요뉴스 정보와 제2센서(41)에서 측정한 실내 공기질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측면 LED(442)는 복수의 LED가 티 형태로 수직 프레임(110)의 외측면 설치되고, 실내 공기질의 상태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점등된 LED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실내 공기질이 좋지 않은 경우, LED의 색상을 빨간색으로 하거나 점등된 LED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출입자가 실내의 공기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조작부(450)는 수직 프레임(1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에어샤워 게이트(100)의 작동과 관련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원부(460)는 에어샤워 게이트(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샤워 게이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센서(411)가 작동됨에 따라, 제1센서(411)는 에어샤워 게이트(100)의 출입통로를 포함한 일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한다(S110, S120).
제1센서(411)가 영역 내에서 인체를 감지한 경우(S120의 Y), 제어부(400)는 에어샤워부(200)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420)로 전송한다. 구동부(420)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1샤워부(201)와 제2샤워부(202)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를 생성하여 각 장치로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420)는 제1샤워부(201) 가동을 위해 제1에어펌프(220)와 음이온 발생기(251)를 구동할 수 있고, 제2샤워부(202) 가동을 위해 제2에어펌프(260)와 방출팬(290)을 가동할 수 있다.
에어샤워부(200)는 영역 내 인체가 감지될 때 일정 시간 동안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에어샤워부(200)의 가동시간을 체크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경우(S140의 Y), 에어샤워부(200)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S150).
에어샤워부(200)의 가동이 중단된 후, 제어부(400)는 집진부(300)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구동부(420)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집진부(300)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여 각 장치로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420)는 집진을 위한 흡입팬(310)을 가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센서(412)가 작동됨에 따라, 제2센서(412)는 에어샤워 게이트(100) 주변의 실내 공기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센서(412)는 실내 공기질을 결정하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폼알데하이드(HCHO), 부유세균(microbic substance), 일산화탄소(CO), 라돈(Rn),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석면 및 오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2센서(412)로부터 수신된 공기질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질 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각각의 공기질 결정 요인의 측정 범위를 일정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마다 점수를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정된 값에 해당하는 구간의 점수를 합산 또는 평균하는 방식으로 공기질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공기질 지수는 지수 값에 따라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및 위험 등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미리 기준값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준값은 실내 공기질의 보통과 나쁨의 경계값일 수 있고, 제2기준값은 나쁨과 매우 나쁨의 경계값일 수 있다.
공기질 지수가 제1기준값보다 작은 경우(S220의 Y), 제어부(400)는 집진부(300)를 가동할 수 있다(S230). 이에 따라 집진부(300)는 주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공기질 지수가 제2기준값보다 작은 경우(S240의 Y), 제어부(400)는 집진부(300)와 함께 제2샤워부(202)를 가동할 수 있다. 즉, 실내 공기 증의 오염물질 제거와 함께 고농도의 산소를 배출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에어샤워 게이트 110 : 수직 프레임
111 : 제1분사구 112 : 오염공기 흡입구
113 : 손 소독기 120 : 수평 프레임
121 : 제2분사구 130 : 하부받침
200 : 에어샤워부 201 : 제1샤워부
202 : 제2샤워부 210 : 에어필터
220 : 제1에어펌프 230 : 에어튜브
240 : 제1분사노즐 250 : 청정물질 혼합기
251 : 음이온 발생기 252 : 피톤치드 발생기
260 : 제2에어펌프 270 : 멤브레인 필터
280 : 제2분사노즐 290 : 방출팬
300 : 집진부 310 : 흡입팬
320 : 집진필터 330 : 이물질 제거통
400 : 제어부 410 : 센서부
411 : 제1센서 412 : 제2센서
420 : 구동부 430 : 통신부
431 : LTE 모듈 432 : WIFI 모듈
433 : BLE 모듈 440 : 표시부
441 : 전면 LED 442 : 측면 LED
450 : 조작부 460 : 전원부

Claims (4)

  1.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며, 좌우 양측의 수직 프레임이 상부에서 수직 수평 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출입통로를 형성하는 에어샤워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출입통로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센싱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제1센서의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출입통로를 향해 분사하는 에어샤워부;
    상기 수직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며, 주변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집진부; 및
    상기 제2센서의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샤워부 및 상기 집진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샤워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샤워부는,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와 함께 피톤치드 및 음이온을 분사하는 제1샤워부와 상기 정화된 공기에서 산소를 분리하여 고농도 산소를 분사하는 제2샤워부를 포함하는 에어샤워 게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워부는,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필터;
    상기 에어필터를 통과한 상기 정화된 공기를 상기 수평 프레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노즐을 통해 분사시키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에어튜브; 및
    상기 정화된 공기에 상기 피톤치드 및 상기 음이온을 혼합시키는 청정물질 혼합기를 포함하는 에어샤워 게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워부는,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필터;
    상기 에어필터를 통과한 상기 정화된 공기에 압축을 가하여 공기를 압축시키고,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제2에어펌프; 및
    상기 배출된 압축공기 중에서 산소를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고농도 산소를 상기 수평 프레임에 마련된 제2분사노즐로 배출하는 맴브레인 필터를 포함하는 에어샤워 게이트.
KR1020170066863A 2017-05-30 2017-05-30 에어샤워 게이트 KR20180130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63A KR20180130808A (ko) 2017-05-30 2017-05-30 에어샤워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63A KR20180130808A (ko) 2017-05-30 2017-05-30 에어샤워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08A true KR20180130808A (ko) 2018-12-10

Family

ID=6467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863A KR20180130808A (ko) 2017-05-30 2017-05-30 에어샤워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808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553A (zh) * 2019-04-26 2019-07-16 陈瑞德 低噪音室内新风系统
KR102004677B1 (ko) * 2019-04-23 2019-07-26 박준희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KR102040319B1 (ko) 2019-04-17 2019-11-04 김동영 주택 현관에 설치되는 에어샤워장치
CN110813913A (zh) * 2019-11-26 2020-02-21 广州多得医疗设备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设备维修工作间的风淋室
KR102243305B1 (ko) * 2020-03-20 2021-04-22 이규랑 가정용 에어 샤워기
KR20210052165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브이이에스 공동주택 에어샤워 시스템
KR102263910B1 (ko) * 2020-07-09 2021-06-16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KR102270838B1 (ko) 2020-05-13 2021-06-28 조성국 에어샤워 살균 게이트
KR20210105760A (ko) * 2020-02-19 2021-08-27 손승희 열차 승강장용 먼지 유입 방지장치
KR102324913B1 (ko) * 2021-03-04 2021-11-12 주식회사 원에이스 공기청정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에어샤워
KR20220022041A (ko) * 2020-08-16 2022-02-23 주식회사 제이영컴퍼니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KR20220112912A (ko) * 2021-02-04 2022-08-1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제거 장치
CN117289629A (zh) * 2023-11-22 2023-12-26 深圳市研成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风淋室的控制方法、系统、设备及介质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319B1 (ko) 2019-04-17 2019-11-04 김동영 주택 현관에 설치되는 에어샤워장치
KR102004677B1 (ko) * 2019-04-23 2019-07-26 박준희 능동적 세척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샤워 시스템
CN110017553A (zh) * 2019-04-26 2019-07-16 陈瑞德 低噪音室内新风系统
CN110017553B (zh) * 2019-04-26 2020-11-13 山东海筑暖通工程有限公司 低噪音室内新风系统
KR20210052165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브이이에스 공동주택 에어샤워 시스템
CN110813913A (zh) * 2019-11-26 2020-02-21 广州多得医疗设备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设备维修工作间的风淋室
KR20210105760A (ko) * 2020-02-19 2021-08-27 손승희 열차 승강장용 먼지 유입 방지장치
KR102243305B1 (ko) * 2020-03-20 2021-04-22 이규랑 가정용 에어 샤워기
KR102270838B1 (ko) 2020-05-13 2021-06-28 조성국 에어샤워 살균 게이트
KR102263910B1 (ko) * 2020-07-09 2021-06-16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KR20220022041A (ko) * 2020-08-16 2022-02-23 주식회사 제이영컴퍼니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KR20220112912A (ko) * 2021-02-04 2022-08-1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102324913B1 (ko) * 2021-03-04 2021-11-12 주식회사 원에이스 공기청정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에어샤워
CN117289629A (zh) * 2023-11-22 2023-12-26 深圳市研成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风淋室的控制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7289629B (zh) * 2023-11-22 2024-02-06 深圳市研成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风淋室的控制方法、系统、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0808A (ko) 에어샤워 게이트
CN103267322B (zh) 一种多功能室内空气质量改良装置
KR101752965B1 (ko)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102263908B1 (ko)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제어시스템
WO2017126146A1 (ja) 空気清浄機
KR102270838B1 (ko) 에어샤워 살균 게이트
CN106225119A (zh) 一种水洗式空气净化新风装置
CN205991575U (zh) 一种水洗式空气净化新风装置
KR20190055303A (ko)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
KR101820875B1 (ko) 공기 청정 장치
KR20160024507A (ko) 공기청정시스템
JP2002095924A (ja) 空気浄化装置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CN208901524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家用新风系统
CN208743330U (zh) 一种实验室用智能通风柜
KR20160071081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566187B1 (ko) 다중 이용시설용 공기청정기
KR102450800B1 (ko)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KR102286942B1 (ko) 에어샤워 게이트
CN214701073U (zh) 过滤层可拆卸式空气净化器
KR102575939B1 (ko)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JP2016169914A (ja) 除菌装置及び除菌方法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KR20210128747A (ko)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05730767U (zh) 水雾空气净化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