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965B1 -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965B1
KR101752965B1 KR1020150109274A KR20150109274A KR101752965B1 KR 101752965 B1 KR101752965 B1 KR 101752965B1 KR 1020150109274 A KR1020150109274 A KR 1020150109274A KR 20150109274 A KR20150109274 A KR 20150109274A KR 101752965 B1 KR101752965 B1 KR 10175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plate
filtering
foreign matter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873A (ko
Inventor
조도진
Original Assignee
조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도진 filed Critical 조도진
Priority to KR102015010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9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specially adapted to be released by contact with a liquid, e.g. for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01D46/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이나 공장 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흡연 부스의 실내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에 있는 악취와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이물질 여과부와 워터스크린 및 미세먼지 여과부를 거쳐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과 미세먼지를 여과한 다음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공기가 다단식으로 설치된 여과판을 거쳐 이물질이 여과될 때 공기가 중앙부로 집중되었다가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이물질이 서스 울 여과판의 넓은 면적에 고르게 접촉되면서 걸러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The filtration method of bad smell and fine dust and thereof device}
본 발명은 병원이나 공장 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흡연 부스의 실내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에 있는 악취와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병원 및 사람이 많은 실내에서는 사람들의 몸에서 발생하는 육체의 향이나 화장품 또는 실내의 환경에 의한 각종 냄새와 먼지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흡연은 흡연을 하는 사람은 물론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됨으로써 현재 대다수의 공공장소와 빌딩 및 학교와 병원에서는 흡연을 금 건강과 쾌적한 공기의 유지를 위하여 실내 및 실외에서는 금연하도록 규제함으로써 흡연자에게는 흡연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는 흡연자의 흡연욕구를 해소하고 주변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기 정화기가 설치된 흡연 부스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어오는 공기 정화기는 단순하게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용 팬과, 상기 흡입용 팬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통과시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한 다음 실내나 실외로 배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기 여과기는 단순하게 부직포나 활성탄 등의 필터를 이용한 여과방식 이므로 각종 미세먼지와 냄새를 완벽하게 여과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519376호(공고일자 2015년 6월 16일)기포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방법 및 그 장치와,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86921호(공개일자 2015년 7월 29일)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들은 미세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는 좋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힘들고, 제작 단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특허들은 각종 이물질과 악취를 제거하는 필터나 여과장치들을 세척하기가 힘들고 어려워 공기 정화기 제조회사나, 공기정화기의 내부를 전문적으로 청소하는 전문업체에 의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519376호(공고일자 2015년 6월 16일)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86921호(공개일자 2015년 7월 2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먼지나 미세먼지 또는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정화기에 설치된 각종 필터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용 팬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단계;
상기 외부 공기 흡입단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모집 가이드 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한곳으로 모여 하강하도록 하는 공기 모집단계;
상기 외부 공기 모집단계에 의하여 중앙부 한곳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서스울 필터를 통하여 여과하는 1차 이물질 여과단계;
상기 1차 이물질 여과단계에 의하여 서스 울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서스 울 필터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분산 가이드 판에 의하여 분산 가이드 판의 사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을 통하여 사방으로 분산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이동 되도록 하는 공기 분산단계;
상기 공기 분산단계에 의하여 사방으로 퍼진 공기가 모집 가이드 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한곳으로 모여 하강하도록 하는 공기 모집단계;
상기 모집단계에 의하여 중앙부로 한곳으로 모여 유입되는 공기를 서스울 필터를 통하여 여과하는 2차 이물질 여과단계;
상기 2차 이물질 여과단계에 의하여 서스 울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기 모집단계와 이물질 여과단계 및 공기 분산 단계를 다단식으로 3차, 4차, 5차, 6차 이물질 여과단계를 걸쳐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물질 여과단계;
상기 6차 이물질 여과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힘에 의하여 1차 화산석 층을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악취를 제거하는 1차 악취제거단계;
상기 1차 악취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워터스크린에 의하여 각종 이물질과 악취가 물과 혼합되어 수조로 흘러내려 제거되는 워터스크린을 이용한 이물질과 2차 악취 제거단계;
상기 워터 스크린을 이용한 2차 악취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2차 화산석 층을 통과하면서 3차로 악취를 제거하는 3차 악취제거단계;
상기 3차 악취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격벽을 넘어 옆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면서 3차 화산석 층을 통과하여 미세 이물질과 4차로 악취를 제거하는 4차 악취제거단계;
상기 4차 악취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4차 악취제거 단계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힘에 의하여 상승하여 건조용 히터를 통과하면서 워터스크린에 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높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제오라이트 층을 통과하면서 상승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잔류 수분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잔류 수분제거단계;
상기 잔류 수분 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다단식으로 설치된 모집 가이드 판과 서스 울 필터 및 분산 가이드 판에 의하여 미세 이물질이 여과되는 7차 8차 9차 10차 11차 미세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11차 미세 이물질 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실시 예
상기 1차에서 6차 이물질제거 단계를 이루는 모집 가이드 판과 서스 울 필터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히터를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연소시키는 연소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 예
상기 7차에서 11차 미세 이물질제거 단계를 이루는 모집 가이드 판과 서스 울 필터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처리하는 살균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 중앙부에 수직으로 격판(8)이 하단 중간부까지 설치하여 각각 양측으로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로 분리되게 구성하고, 전면에는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5)과 컨트롤 판이 설치된 도어(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며, 측면에는 각 여과장치를 넣고 꺼낼 수 있도록 측면도어(3)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부에는 공기 흡입용 팬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공(4)이 설치된 상판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내측 상부 양측에 형성된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를 이루고 있는 본체(1)의 양측과 격판(8)에는 다단식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여과장치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거나 체결되도록 하고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20~40㎜의 간격을 갖는 가이드레일(11);
상기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에 구성된 가이드 레일(11)에 각각 삽입하되 상부 가이드 판과 그 다음 가이드 판 사이에는 빈 가이드레일을 두고 삽입체결하여 공기 흡입용 팬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3)을 통과하여 이동되도록 하고, 저면에 반사판(14)이 부착된 가이드 판(12);
상기 가이드 판(12)과 가이드 판 사이의 빈 가이드레일(11)에 각각 삽입 체결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서스 울 여과판(20);
상기 서스 울 여과판(20)과 결합하여 같은 가이드레일에 삽입 체결되며, 사방으로 공기 유입공(31)이 형성되어 가이드 판(12)에 의하여 중앙부로 집중된 공기를 사방으로 분산되도록 하고 저면에 반사판(32)이 부착된 공기 분산 가이드 판(30);
상기 이물질 여과부와 미세 먼지 여과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조(50);
상기 이물질 여과부(6)의 하단부 위치의 수조(50) 상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화산석층(40)(42);
상기 화산석 층(40)(4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수조(50)에 있는 물을 펌프(51)와 노즐에 의하여 하부 화산석 층(42)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워터 스크린(52);
상기 미세 먼지여과부(7)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워터스크린(52)과 화산석 층(42)을 통과한 공기의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화산석층(41);
상기 미세먼지 여과부(7)의 화산석 층(41) 상부에 설치되며, 워터 스크린(52)에 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켜 제거하는 히터(60);
상기 히터에 의하여 건조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는 화산석 층(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실시 예;
상기 이물질 여과부(6)의 가이드레일(11)에 삽입 체결되는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30)의 중앙부에 체결공(21)(33)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21)(33)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연소시키는 히터(8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 예
상기 미세먼지 여과부(7)의 가이드레일(11)에 체결되는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30)의 중앙부에 체결공(21)(33)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이물질 여과부(6)와 워터 스크린(52)을 통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9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이물질 여과부와 워터스크린 및 미세먼지 여과부를 거쳐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과 미세먼지를 여과한 다음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공기가 다단식으로 설치된 여과판을 거쳐 이물질이 여과될 때 공기가 중앙부로 집중되었다가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이물질이 서스 울 여과판의 넓은 면적에 고르게 접촉되면서 걸러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이물질 여과부와 미세 먼지 여과부에 설치된 각각의 여과판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어 분리가 용이하여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가 쉽게 세척한 다음 다시 삽입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함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연소하여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워터 스크린에 의하여 발생하는 습기를 히터로 건조한 다음 자외선 램프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 세균을 살균처리하여 배출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여과장치로서 가이드 판과 서스 울 여과판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여과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가이드 판과 서스 울 여과판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보인 블록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를 보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여과장치로서 가이드 판과 서스 울 여과판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을 보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의 내부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격판(8)에 의하여 구성된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의 본체(1) 내부와 격판(8)에 수직으로 다단식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1)에 각각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이 결합한 분산 가이드 판(30)을 교대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삽입 체결하고 수조(50)의 내부에는 물을 투입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의 내부나 상부에 별도의 공기 흡입용 팬(미도시)을 설치하여 작동시키면 본체(1) 상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공(4)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외부의 공기는 공기가 계속 흡입되는 힘에 의하여 공기 흡입공(4)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판(12)에 의하여 차단되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 판(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3)을 통하여 배출된다.
도 4에서와 같이 가이드 판(12)을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 판(12)의 하단부에 설치된 서스 울 여과판(20)의 중앙부로 유입되면서 서스 울 여과판(20)에 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로 여과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서스 울 여과판(20)을 통과한 공기는 서스 울 여과판(20)이 하단부에 결합 된 분산 가이드 판(30)에 의하여 공기가 분산 가이드 판(30)의 사방 가장자리에 절개되어 형성된 공기 유입공(31)을 통하여 하단으로 배출 된다.
상기와 같이 분산 가이드 판(30)의 사방 가장자리에 절개되어 형성된 공기 유입공(31)을 통하여 하단으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가이드레일(11)에 교대로 설치된 가이드 판(12)의 관통공(13)에 의하여 공기가 중앙으로 집중된 상태에서 가이드 판(12)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여과부(6)에 설치된 다단식의 가이드레일(11)에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을 결합한 분산 가이드 판(30)이 교대로 설치되어 있어 공기가 하강하면서 1차에서 6차까지 중앙부로 모였다가 외측으로 흩어지면서 계속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6차 분산 가이드 판(30)을 통과한 공기는 6차 분산 가이드 판(30)의 하단부에 상하로 설치된 화산석 층(40)(42)을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되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가 화산석 층(40)(42)을 통과할 때 하부 화산석 층(42)의 상부에 설치된 워터 스크린(52)이 작동하게 된다.
즉 수조(50)에 설치된 펌프(51)가 작동하여 물을 노즐을 통하여 하부 화산석(42)의 상부에서 분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공기 주에 포함된 악취와 이물질이 물에 혼합되면서 하부 화산석 층(42)을 지나 수조로 흘러내리면서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워터 스크린(52)과 하부 화산석 층(42)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가 계속 유입되는 힘에 의하여 격벽(8)을 넘어 미세 이물질 여과부(7)의 하단부에 설치된 화산석 층(41)을 통과하면서 수분에 젖은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 여과부(7)의 하단부에 설치된 화산석 층(41)을 통과한 젖은 공기는 화산석 층(41)의 상부에 설치된 히터(60)와 접하면서 수분과 미세먼지가 건조되고, 건조된 미세먼지는 히터(60)의 상부에 설치된 제오라이트 층(70)을 통과하면서 다시 걸러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오라이트 층(70)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가 계속 유입되는 힘에 의하여 이물질 여과부(6) 에서와 같이 서스 울 여과판(20)이 결합된 분산 가이드 판(30)과 중앙부에 관통공(13)이 형성된 가이드 판(12)을 통과하면서 7차에서부터 11차까지 미세 이물질을 여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세 이물질 여과부(7)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가 계속 유입되는 힘에 의하여 도어(2)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배출공(5)을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 이물질 여과부(7)에 다단식으로 여러 개가 설치된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이 결합된 분산 가이드 판(30)의 간격은 20~40㎜의 간격을 두어 공기가 서스 울 여과판(20)에 고르게 퍼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 여과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가이드 판과 서스 울 여과판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을 보인 개략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 구성된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에 설치된 다단식의 가이드레일(11)에 삽입 체결되는 서스 울 여과판(20) 및 분산 가이드 판(30)의 중앙부에 관통공(21)(33)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21)(33)에 각각 이물질 여과부(6)에는 히터(80)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미세 이물질 여과부(7)에는 자외선 램프(9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이물질 여과부(6)에 설치된 히터(80)는 공기흡입용 팬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이 결합된 분산 가이드 판(30)을 통과하면서 히터(80)에 의하여 건조됨과 동시에 각종 이물질을 연소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미세 이물질 여과부(7)에 설치된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이 결합된 분산 가이드 판(30)을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처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에 삽입체결되는 가이드 판과(12)과 분산 가이드 판(30)의 저면에는 각각 반사용 필름이나 반사판(14)(32)이 부착되어 있어 히터(80)의 열기와 자외선 램프(90)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반사시켜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세균을 살균하게 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을 결합한 분산 가이드 판(30)을 장기간 사용하여 이물질이 많을 경우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된 측면도어(3)를 열고 본체(1)의 내부와 격판(8)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1)에서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을 결합한 분산 가이드 판(30)을 전면으로 당기면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이 결합된 분산 가이드 판(30)이 가이드 레일(11)에 의하여 슬라이딩 되면서 전면으로 인출되므로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이 결합된 분산 가이드 판(30)을 본체(1)에서 분리한 다음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다시 결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체 2. 도어
3. 측면도어 4. 공기흡입공
5. 배출공 6. 이물질 여과부
7. 미세 먼지 여과부 8. 격벽
11. 가이드레일 12. 가이드 판
13. 관통공 14. 32. 반사판
20. 서스 울 여과판
30. 분산 가이드 판 31. 공기유입공
40. 41. 42. 화산석 층
50. 수조 51. 펌프
52. 워터 스크린
60. 80. 히터 70. 제오라이트 층
90. 자외선 램프

Claims (7)

  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용 팬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단계;
    상기 외부 공기 흡입단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모집 가이드 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한곳으로 모여 하강하도록 하는 공기 모집단계;
    상기 외부 공기 모집단계에 의하여 중앙부 한곳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서스울 필터를 통하여 여과하는 1차 이물질 여과단계;
    상기 1차 이물질 여과단계에 의하여 서스 울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서스 울 필터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분산 가이드 판에 의하여 분산 가이드 판의 사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을 통하여 사방으로 분산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이동 되도록 하는 공기 분산단계;
    상기 공기 분산단계에 의하여 사방으로 퍼진 공기가 모집 가이드 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한곳으로 모여 하강하도록 하는 공기 모집단계;
    상기 모집단계에 의하여 중앙부로 한곳으로 모여 유입되는 공기를 서스울 필터를 통하여 여과하는 2차 이물질 여과단계;
    상기 2차 이물질 여과단계에 의하여 서스 울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기 모집단계와 이물질 여과단계 및 공기 분산 단계를 다단식으로 3차, 4차, 5차, 6차 이물질 여과단계를 걸쳐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물질 여과단계;
    상기 6차 이물질 여과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힘에 의하여 1차 화산석 층을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악취를 제거하는 1차 악취제거단계;
    상기 1차 악취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워터스크린에 의하여 각종 이물질과 악취가 물과 혼합되어 수조로 흘러내려 제거되는 워터스크린을 이용한 이물질과 2차 악취 제거단계;
    상기 워터 스크린을 이용한 2차 악취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2차 화산석 층을 통과하면서 3차로 악취를 제거하는 3차 악취제거단계;
    상기 3차 악취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격벽을 넘어 옆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면서 3차 화산석 층을 통과하여 미세 이물질과 4차로 악취를 제거하는 4차 악취제거단계;
    상기 4차 악취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4차 악취제거 단계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힘에 의하여 상승하여 건조용 히터를 통과하면서 워터스크린에 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높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제오라이트 층을 통과하면서 상승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잔류 수분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잔류 수분제거단계;
    상기 잔류 수분 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다단식으로 설치된 모집 가이드 판과 서스 울 필터 및 분산 가이드 판에 의하여 미세 이물질이 여과되는 7차 8차 9차 10차 11차 미세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11차 미세 이물질 제거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에서 6차 이물질제거 단계를 이루는 모집 가이드 판과 서스 울 필터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히터를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연소시키는 연소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7차에서 11차 미세 이물질제거 단계를 이루는 모집 가이드 판과 서스 울 필터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처리하는 살균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4. 내부 중앙부에 수직으로 격판(8)이 하단 중간부까지 설치하여 각각 양측으로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로 분리되게 구성하고, 전면에는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5)과 컨트롤 판이 설치된 도어(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며, 측면에는 각 여과장치를 넣고 꺼낼 수 있도록 측면도어(3)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부에는 공기 흡입용 팬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공(4)이 설치된 상판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내측 상부 양측에 형성된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를 이루고 있는 본체(1)의 양측과 격판(8)에는 다단식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여과장치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거나 체결되도록 하고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20~40㎜의 간격을 갖는 가이드레일(11);
    상기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에 구성된 가이드 레일(11)에 각각 삽입하되 상부 가이드 판과 그 다음 가이드 판 사이에는 빈 가이드레일을 두고 삽입체결하여 공기 흡입용 팬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3)을 통과하여 이동되도록 하고, 저면에 반사판(14)이 부착된 가이드 판(12);
    상기 가이드 판(12)과 가이드 판 사이의 빈 가이드레일(11)에 각각 삽입 체결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서스 울 여과판(20);
    상기 서스 울 여과판(20)과 결합하여 같은 가이드레일에 삽입 체결되며, 사방으로 공기 유입공(31)이 형성되어 가이드 판(12)에 의하여 중앙부로 집중된 공기를 사방으로 분산되도록 하고 저면에 반사판(32)이 부착된 공기 분산 가이드 판(30);
    상기 이물질 여과부와 미세 먼지 여과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조(50);
    상기 이물질 여과부(6)의 하단부 위치의 수조(50) 상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화산석층(40)(42);
    상기 화산석 층(40)(4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수조(50)에 있는 물을 펌프(51)와 노즐에 의하여 하부 화산석 층(42)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워터 스크린(52);
    상기 미세 먼지여과부(7)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워터스크린(52)과 화산석 층(42)을 통과한 공기의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화산석층(41);
    상기 미세먼지 여과부(7)의 화산석 층(41) 상부에 설치되며, 워터 스크린(52)에 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켜 제거하는 히터(60);
    상기 히터에 의하여 건조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는 화산석 층(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여과부(6)의 가이드레일(11)에 삽입 체결되는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30)의 중앙부에 체결공(21)(33)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21)(33)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연소시키는 히터(8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여과부(7)의 가이드레일(11)에 체결되는 가이드 판(12)과 서스 울 여과판(20) 및 공기 분산 가이드 판(30)의 중앙부에 체결공(21)(33)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이물질 여과부(6)와 워터 스크린(52)을 통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9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여과부(6)와 미세먼지 여과부(7)에서 공기가 중앙부로 모여 하강하거나 상승한 다음 다시 사방으로 펴져 하강하거나 상승하면서 이물질이나 미세 먼지가 여과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장치.
KR1020150109274A 2015-08-02 2015-08-02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10175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74A KR101752965B1 (ko) 2015-08-02 2015-08-02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74A KR101752965B1 (ko) 2015-08-02 2015-08-02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873A KR20170015873A (ko) 2017-02-10
KR101752965B1 true KR101752965B1 (ko) 2017-07-11

Family

ID=5812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274A KR101752965B1 (ko) 2015-08-02 2015-08-02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9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356B1 (ko) * 2018-07-06 2019-03-26 조도진 살균, 탈취 및 유해물질 제거가 우수한 복합형 필터부를 갖는 공기정화기
KR102006605B1 (ko) * 2018-10-19 2019-08-02 주식회사 트윈 밀폐된 실내에 대한 효율적인 청소방법
KR20210028341A (ko) * 2019-09-04 2021-03-12 조이운 악취탈취 및 초미세 먼지제거용 공기 정화
KR102278703B1 (ko) * 2021-04-09 2021-07-16 엄홍준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434B1 (ko) * 2019-03-19 2020-02-11 조도진 건식 및 습식 방식에 의해 유해물질 제거가 용이한 다단식 순차형 필터부를 갖는 산업용 공기정화기
KR102386344B1 (ko) * 2019-10-22 2022-04-15 주식회사 코비스 미세먼지 포집장치
CN111068425A (zh) * 2019-12-25 2020-04-28 贵州圣济堂制药有限公司 制药行业生产车间无尘处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321B1 (ko) 2014-01-21 2016-02-23 조영서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519376B1 (ko) 2014-03-21 2015-06-16 조영서 기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356B1 (ko) * 2018-07-06 2019-03-26 조도진 살균, 탈취 및 유해물질 제거가 우수한 복합형 필터부를 갖는 공기정화기
KR102006605B1 (ko) * 2018-10-19 2019-08-02 주식회사 트윈 밀폐된 실내에 대한 효율적인 청소방법
KR20210028341A (ko) * 2019-09-04 2021-03-12 조이운 악취탈취 및 초미세 먼지제거용 공기 정화
KR102244493B1 (ko) 2019-09-04 2021-04-27 조이운 악취탈취 및 초미세 먼지제거용 공기 정화기
KR102278703B1 (ko) * 2021-04-09 2021-07-16 엄홍준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873A (ko)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965B1 (ko)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101611953B1 (ko) 흡연 부스용 악취 및 연기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204254768U (zh) 柜式纳米空气循环净化机
KR101938861B1 (ko) 악취 및 분진 저감장치
CN102481384B (zh) 消毒和除臭卫生间系统的方法和装置
KR20150015880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1605820B1 (ko)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152787B1 (ko) 공기정화기의 유해물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KR102040399B1 (ko) 물흡착식 공기필터
WO2005028965A1 (en) An air cleaner
CN106338107A (zh) 带有消毒功能的空气净化设备
KR20170003286A (ko) 공기정화기를 갖는 버스정류장
KR100583071B1 (ko) 스크린 공기세정시스템
CN109237652A (zh) 一种带有新风系统的空气净化装置
CN109331646A (zh) 一种高效环保的空气净化除尘设备
KR100972616B1 (ko) 항원 폭로실 및 그 세정·건조방법
KR101034868B1 (ko) 지능형 다단 수처리 방식의 공기정화 살균 가습장치
KR102207250B1 (ko) 바이러스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CN107754529B (zh) 一种基于水旋装置的循环式空气净化设备
CN104613551B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091526B1 (ko) 공기 집진기
KR101584056B1 (ko) 공기청정기
KR20150086921A (ko)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642369B1 (ko) 주방용 후드의 미세 기름 및 냄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