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747A -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747A
KR20210128747A KR1020200046793A KR20200046793A KR20210128747A KR 20210128747 A KR20210128747 A KR 20210128747A KR 1020200046793 A KR1020200046793 A KR 1020200046793A KR 20200046793 A KR20200046793 A KR 20200046793A KR 20210128747 A KR20210128747 A KR 20210128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control
smart
curtai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성범
Original Assignee
공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성범 filed Critical 공성범
Priority to KR102020004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747A/ko
Publication of KR2021012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의 적어도 한 면을 통해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부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몸체부의 하부로 분사하여 몸체부 하부의 소정 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 토출부와, 공기 토출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화학 물질을 제거하고 몸체부 하부의 공기막을 통과하는 대상을 살균하는 공기 정화부와, 공기 유입부, 공기 토출부 및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출입문에 공기막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공기에 포함된 먼지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유해한 화학 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Air curtai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커튼 장치는 상시 출입이 잦은 상가, 병원, 극장 및 지하 주차장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출입문의 외측과 내측 간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 커튼 장치는 출입문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토출하여 공기막을 형성함으로써, 출입문 외부의 찬 공기 또는 뜨거운 공기가 출입문을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냉난방기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외부 매연과 먼지가 출입문을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에어 커튼 장치는 장치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어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필터링할 수 있으나,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이나 냄새 분자, 유해한 화학 물질까지 완벽하게 필터링할 수는 없기 때문에, 출입문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부유 세균이나 냄새 분자, 유해한 화학 물질이 그대로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에어 커튼이 설치된 출입문을 지나는 사람들의 건강에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고, 불쾌한 냄새로 인해 쾌적한 실내 환경의 조성이 곤란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에어 커튼 장치는 주로 적외선 리모컨을 이용하여 켜거나 끄는 등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적외선 리모컨의 통신 거리가 짧아 에어 커튼 장치에 인접한 상태가 아니면 제어 명령이 송신되지 않으며, 적외선 리모컨과 에어 커튼 장치가 서로 마주보고 있어야 제어 명령이 송신되며, 중간에 장애물 등이 있으면 제어 명령이 송신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에어 커튼 장치는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데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에 포함된 먼지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유해한 화학 물질까지 필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의 적어도 한 면을 통해,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몸체부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분사하여, 상기 몸체부 하부의 소정 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 토출부; 상기 공기 토출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화학 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몸체부 하부의 공기막을 통과하는 대상을 살균하는 공기 정화부; 및 상기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토출부 및 상기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 및 자외선 램프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 토출부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구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토출부의 동작 여부, 동작 강도 및 동작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공기 정화부의 동작 여부 및 동작 강도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선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1)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부가,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 (2) 상기 제어부가, 공기 유입부를 통해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부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유입시키는 단계; (3) 상기 제어부가, 공기 토출부를 통해 먼지나 유해 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분사하여, 상기 몸체부 하부의 소정 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제어부가, 공기 정화부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화학 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몸체부 하부의 공기막을 통과하는 대상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 및 자외선 램프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 토출부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구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토출부의 동작 여부, 동작 강도 및 동작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의 동작 여부 및 동작 강도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선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의 적어도 한 면을 통해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부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몸체부의 하부로 분사하여 몸체부 하부의 소정 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 토출부와, 공기 토출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화학 물질을 제거하고 몸체부 하부의 공기막을 통과하는 대상을 살균하는 공기 정화부와, 공기 유입부, 공기 토출부 및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출입문에 공기막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공기에 포함된 먼지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유해한 화학 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를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100)는 공기 유입부(110), 필터부(120), 공기 토출부(130), 공기 정화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100)는 상시 출입이 잦은 상가, 병원, 극장 및 지하 주차장의 출입문(10)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고, 별도 구비된 적외선 리모컨을 이용하여 켜거나 끄는 등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에 형성되며,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부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유입시킨다.
이러한, 공기 유입부(110)는 주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11)와 송풍용 팬(112), 송풍용 팬(112)의 구동을 위한 송풍용 모터(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흡입구(111)는 몸체부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송풍용 팬(112)과 송풍용 모터(113)는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20)는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 유입부(1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 물질을 필터링한다.
이러한, 필터부(120)는 공기 유입부(110)의 형태에 따라 판 형태나 원통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적용된다. 아울러, 필터부(120)는 프리 필터, 헤파 필터, 탈취 필터 등의 다양한 필터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부(130)는 몸체부에 형성되며, 필터부(12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몸체부의 하부로 분사하여 몸체부 하부의 소정 영역, 즉, 출입문(10)에 공기막을 형성한다.
또한, 공기 토출부(130)는 전술한 송풍용 팬(112)에 의해 형성된 압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공기의 분사를 위한 분사용 팬(131)과 분사용 모터(132)를 별도로 형성하고 분사용 팬(131)을 이용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공기 토출부(130)에는 공기의 분사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공기막이 형성되는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는 가이드 부재(133)와 이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부(140)는 공기 토출부(13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화학 물질을 제거하고, 몸체부 하부의 공기막을 통과하는 대상을 살균한다.
이러한, 공기 정화부(140)는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141) 및 자외선 램프(142)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 토출부(130)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아울러, 통신부(150)는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선으로 제어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스마트 단말을 등록하거나 페어링한 이후에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공기 유입부(110), 공기 토출부(130) 및 공기 정화부(140)를 포함하여 장치 전반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공기 유입부(11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고, 또한, 공기 토출부(130)의 동작 여부, 동작 강도 및 동작 방향을 제어하며, 아울러, 공기 정화부(140)의 동작 여부 및 동작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공기 유입부(110)의 송풍용 모터(113)를 동작시켜서 송풍용 팬(112)을 구동시키거나 송풍용 모터(113)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송풍용 팬(112)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고, 공기 토출부(130)의 분사용 모터(132)를 동작시켜서 분사용 팬(131)을 구동시키거나 분사용 모터(132)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분사용 팬(13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동 모터(134)를 동작시켜서 가이드 부재(133)를 제어하며, 공기 정화부(140)의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141) 및 자외선 램프(142)를 켜거나 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100)는 먼지,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유해한 화학 물질까지 제거된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는 상시 출입이 잦은 상가, 병원, 극장 및 지하 주차장의 출입문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고, 별도 구비된 적외선 리모컨을 이용하여 켜거나 끄는 등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가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제어부에 출력한다(S110).
이때, 전술한 통신부는 사전에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거나 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선으로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신부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일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공기 유입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S120).
이때, 공기 유입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부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유입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제어부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공기 토출부의 동작 여부, 동작 강도 및 동작 방향을 제어한다(S130).
이때, 공기 토출부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먼지나 유해 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를 몸체부의 하부로 분사하여 몸체부 하부의 소정 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제어부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공기 정화부의 동작 여부 및 동작 강도를 제어한다(S140).
이때, 공기 정화부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공기 토출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화학 물질을 제거하고, 몸체부 하부의 공기막을 통과하는 대상을 살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공기 정화부는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 및 자외선 램프로 구비되며, 공기 토출부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 공기 유입부
120 : 필터부
130 : 공기 토출부
140 : 공기 정화부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Claims (9)

  1.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의 적어도 한 면을 통해,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몸체부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분사하여, 상기 몸체부 하부의 소정 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 토출부;
    상기 공기 토출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화학 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몸체부 하부의 공기막을 통과하는 대상을 살균하는 공기 정화부; 및
    상기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토출부 및 상기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 및 자외선 램프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 토출부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토출부의 동작 여부, 동작 강도 및 동작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공기 정화부의 동작 여부 및 동작 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선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6.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1)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부가, 스마트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
    (2) 상기 제어부가, 공기 유입부를 통해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부 내부의 공기 유로에 유입시키는 단계;
    (3) 상기 제어부가, 공기 토출부를 통해 먼지나 유해 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몸체부의 하부로 분사하여, 상기 몸체부 하부의 소정 영역에 공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제어부가, 공기 정화부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 세균, 냄새 분자 및 화학 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몸체부 하부의 공기막을 통과하는 대상을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 및 자외선 램프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 토출부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토출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토출부의 동작 여부, 동작 강도 및 동작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의 동작 여부 및 동작 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선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46793A 2020-04-17 2020-04-17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128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93A KR20210128747A (ko) 2020-04-17 2020-04-17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93A KR20210128747A (ko) 2020-04-17 2020-04-17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747A true KR20210128747A (ko) 2021-10-27

Family

ID=7828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793A KR20210128747A (ko) 2020-04-17 2020-04-17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7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886A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에어월 에어커튼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886A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에어월 에어커튼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143B1 (ko) 에어샤워 게이트
KR20180130808A (ko) 에어샤워 게이트
US7338358B2 (en) Apparatus for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KR100836021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KR20120113324A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KR102324138B1 (ko) IoT 청정, 살균 에어클린 샤워 장치
KR20100058087A (ko) 스탠드형 실내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102243305B1 (ko) 가정용 에어 샤워기
KR102565654B1 (ko) 환기 공기 유입구를 위한 공기 처리 장치
KR20190055303A (ko)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
KR20210128747A (ko) 스마트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93869B1 (ko)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KR20180052821A (ko) 에어 워시 장치
KR102356153B1 (ko) 에어샤워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시스템
KR20220065323A (ko) 에어 샤워식 순환 소독 부스 조립체
KR102450800B1 (ko)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KR200495820Y1 (ko) 에어 커튼이 형성된 도어
KR101565951B1 (ko) 필터오염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에어샤워 장치
KR102337075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273313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JPH031029A (ja) 汚染物侵入防止装置
KR20190134151A (ko)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
CN116792842A (zh) 防治空污新风机
KR102286942B1 (ko) 에어샤워 게이트
KR200495029Y1 (ko) 인체 소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