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869B1 -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869B1
KR102093869B1 KR1020180131992A KR20180131992A KR102093869B1 KR 102093869 B1 KR102093869 B1 KR 102093869B1 KR 1020180131992 A KR1020180131992 A KR 1020180131992A KR 20180131992 A KR20180131992 A KR 20180131992A KR 102093869 B1 KR102093869 B1 KR 10209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od
fan motor
purifier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김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용 filed Critical 김대용
Priority to KR102018013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24F3/1603
    • F24F2003/166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는 함체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주방내의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부에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된 후드본체; 상기 후드본체에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기구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켜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드팬모터; 상기 후드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다시 주방내로 배출시키는 공기정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Range hood with an integrated air purifier}
본 발명은 주방 내의 냄새 등을 포함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렌지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뿐 아니라, 공기정화기가 후드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공기정화기를 통해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주방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주방 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조리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열기와 냄새를 배출하기 위한 렌지 후드가 구비된다.
이러한 렌지 후드에 대해 등록특허 10-1852796호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환기효과를 향상시키고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가 개시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852796호의 렌지 후드는 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흡기구로부터 주방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구를 통해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과 더불어, 급기팬의 구동으로, 실외공기를 급기관을 통해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렌지 후드의 본연의 기능으로서, 주방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의 실외공기를 주방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 10-1852796호에 개시된 렌지 후드는 주방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 뿐 아니라,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급기관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후드 시공시, 기존 후드를 떼어내어 단순히 렌지후드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는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등록특허 10-1852796호의 렌지후드를 시공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급기관등의 덕트를 주택에 시공해야하는 대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나, 공동주택의 경우, 다 가정들에 설치되는 후드용 배기구가 모두 연결되어 있어, 별도의 급기관을 설치하는 시공이 매우 복잡하여 공사비나 시공비용이 매우 높게 상승하며, 이러한 시공비 상승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사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8527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뿐 아니라, 공기정화기가 후드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공기정화기를 통해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하여 다시 주방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주방 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는 함체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주방내의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부에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된 후드본체; 상기 후드본체에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기구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켜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드팬모터; 상기 후드본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다시 주방내로 배출시키는 공기정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후드본체에 각각 형성되는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유로; 상기 연결유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정화필터의 후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공기흐름을 형성하는 정화기팬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후드본체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후드본체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드팬모터과 상기 정화기팬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후드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의 공기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자동모드시, 상기 오염도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주방 내의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후드팬모터와 상기 정화기팬모터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상의 렌지후드의 기능인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 뿐 아니라, 공기정화기가 후드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공기정화기를 통해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하여 다시 주방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주방 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가 후드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서, 등록특허 10-1852796호에 개시된 렌지 후드에 비해, 후드 시공시 별도의 덕트공사를 하지 않고도서도 기존의 후드를 제거하여 손쉽게 후드의 교체설치가 가능할 수 있어 시공비를 현저히 절감하고 사업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의 일부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후드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커버 생략 상태),
도 4는 도 1의 후드본체에 대한 좌측면도이고(커버 생략 상태),
도 5는 도 1의 후드본체에 대한 우측면도이고(커버 생략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렌지후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렌지후드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렌지후드(10)는 후드본체(101), 후드팬모터(110), 공기정화기(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후드본체(101)는 사각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주방의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104)가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렌지후드의 설치시 배기구(104)는 배기덕트(d)와 연결되도록 시공되어,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배기구(104)를 통해 배출되고, 배기덕트(d)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아울러, 후드본체(101)의 전면에는 복수의 통기공(107a)이 형성된 커버(107)가 스냅결합과 같은 결합방식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107)에는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후드본체(101)에는 상기 스냅돌기에 스냅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커버(107)를 후드본체(101)의 전면에 가압하면 스냅돌기가 결합홈에 스냅결합되면서 커버(107)를 후드본체(101)의 전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커버(107)의 하측에는 버튼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후드팬모터(110)는 후드본체(101)의 내부에 내장되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흡입구(102)로부터 배기구(104)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후드팬모터(110)는 시로코 팬모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기구(104)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구동에 따라, 흡입구(102)를 통해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구(104)로 오염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흐름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은 버튼부(142)의 누름조작에 따른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후드팬모터(110)가 가동되어, 흡입구(102)를 통해 주방 내 오염공기가 흡입되어 배기구(104)로 배출되는 오염공기배출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후드본체(101)의 흡입구(102)에는 통상의 렌지후드와 같이 흡입되는 오염공기로부터 기름성분 등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후드필터(102a)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후드본체(101)의 내부 천장에는 UV램프와 같은 살균등(108)이 설치되어, 살균등(108)의 점등에 따라 후드필터(102a)를 살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후드본체(101)의 하면에는 조명등(105)이 설치되어, 가스렌지나 인덕션렌지등의 렌지장치 쪽으로 빛을 조사하여 렌지장치 부근의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130)는 후드본체(101)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정화기(130)는 후드본체(101) 내에 매립된 형태로 일체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정화기(130)는 공기유입구(131), 공기정화필터(132), 공기배출구(134), 연결유로(135), 정화기팬모터(137)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1)는 후드본체(101)의 전면 좌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공기정화필터(132)는 공기유입구(131)를 막는 형태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후드본체(101)의 전면에는 복수의 통기공(107a)이 형성된 커버가 설치되므로, 주방 내 오염공기는 통기공(107a)을 통과한 후, 공기유입구(131)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는 공기배출구(134)를 통해 배출되고, 커버(107)의 통기공(107a)을 통해 주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정화필터(132)는 중금속필터, 탈취필터, 미세먼지필터 등 다중의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공기배출구(134)는 후드본체(101)의 전면 우측부에 복수개가 관통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공기유입구(131)와 공기배출구(134)는 후드본체(101)의 전면의 좌측 및 우측에 나란히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공기유입구(131)가 우측에, 공기배출구(134)가 좌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유로(135)는 후드본체(101)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유입구(131)와 공기배출구(134)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연결유로(135)는 자바라식의 덕트나 관체덕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덕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유로(135)는 좌우에 배치된 공기유입구(131)와 공기배출구(134)를 서로 연결하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좌우로 수평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유로(135)의 절곡부(135a)는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도록 절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공기유입구(13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연결유로(135)를 거쳐 공기배출구(134)로 이동될 때 공기의 흐름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줄여 원활한 유동흐름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정화효율도 높아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공기유입구(131) 및 공기배출구(134)는 후드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유입구(131)는 후드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되되, 공기배출구(134)는 후드본체(101)의 전면 뿐 아니라,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공기유입구(131)가 후드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34)가 후드본체(101)의 전면이 아닌, 좌측면, 우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경우, 연결유로(135)는 공기배출구(134)의 형성위치에 따라 수평배치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유입구(131)와 공기배출구(134)를 연결하는 다양한 설치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정화기팬모터(137)는 시로코팬 등과 같이 팬과 모터가 결합되어, 공기의 유동흐름을 형성시키는 팬모터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화기팬모터(137)는 연결유로(135) 상에 설치되며, 공기정화필터(132)의 후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정화기팬모터(137)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며, 버튼부(142)에 의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어부(140)가 정화기팬모터(137)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정화기팬모터(137)가 가동되면, 주방 내의 오염공기가 커버(107)의 통기공(107a)를 통해 공기유입구(131)로 유입되면서, 공기정화필터(132)에 의해 필터링되고, 정화된 공기는 연결유로(135)를 거쳐 공기배출구(134)를 통과하고 다시 커버(107)의 통기공(107a)을 통해 다시 주방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130)가 후드본체(101)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형태로서, 후드팬모터(110)의 가동에 따라 렌지후드 본연의 기능인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공기정화기(130)의 정화기팬모터(137)의 구동에 따라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주방 내로 다시 배출하여 줄 수 있어, 주방 내의 공기질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7과 같이, 커버(107)에 설치된 조작부(142)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제어부(140)가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42)는 온/오프버튼, 자동모드설정버튼, 살균등버튼, 조명등버튼, 시간예약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온/오프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온버튼의 누름시, 제어부(140)는 후드팬모터(110) 및 정화기팬모터(137)를 동시에 가동시킴으로써, 후드팬모터(110)에 의한 주방내 오염공기의 외부배출과 정화기팬모터(137)에 의한 주방내 오염공기의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드팬모터(110) 및 정화기팬모터(137)의 동작 중 오프버튼을 누르면 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오프버튼의 조작에 따라, 곧바로 후드팬모터(110) 및 정화기팬모터(137)가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픈버튼의 조작에 따라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팬모터(137)를 저속으로 구동속도를 변경한 후,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저속모드상태에서 설정된 시간(대략 10-20초)동안 구동이 지속시킨 후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모드설정버튼시 제어부(140)는 자동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부(140)의 자동모드 수행을 위해 오염도센서(1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오염도센서(152)는 연기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후드본체(1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40)는 자동모드시, 오염도센서(152)에서 검출된 주방 내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정화기팬모터(137)를 가동시켜 주방내 오염공기의 정화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자동모드로서, 가열조리기구(r)의 동작여부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팬모터(137)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스렌지나 인덕션 등의 가열조리기구(r)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150)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센서로 구현되어, 가열조리기구(r)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신호를 제어부(140)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온도센서(150)는 후드본체(101)의 하면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온도센서(150)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신호에 따라 가열조리기구(r)의 가동여부를 판단하고, 가열조리기구(r)가 가동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후드팬모터(110)를 구동시키고, 온도센서(150)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신호에 따라 가열조리기구(r)가 가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변한 것으로 판단되면, 후드팬모터(110)는 곧바로 정지시키고, 정화기팬모터(137)를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가열조리기구(r)를 통한 조리시, 음식 냄새 등의 오염공기가 곧바로 외부로 배기되도록 공기배기동작이 이루어지게 하고, 가열조리기구(r)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후드팬모터(110)는 정지시키고, 정화기팬모터(137)를 구동시켜 공기배기동작은 멈추고 공기정화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방 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버튼부(142)의 살균등버튼, 조명등버튼은 살균등(108)과 조명등(105)을 각각 동작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이며, 시간예약버튼은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팬모터(137)의 동작시간을 설정하여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 팬모터(137)가 오프버튼의 수동조작없이 자동으로 소정시간 후에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버튼이다.
예를 들어, 온버튼을 눌러,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팬모터(137)를 가동시킨 다음, 시간예약버튼을 1회 누르는 경우 30분, 2회 누르는 경우 1시간, 3회 누르는 경우 1시간 30분의 동작시간이 설정되어, 설정된 시간 후에 후드팬모터(110) 및 저오하기팬모터(137)가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제어부(140)는 버튼부(142)의 온버튼 조작시 후드팬모터(110) 및 정화기팬모터(137)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팬모터(137)를 각각 온오프시키는 별도의 제1스위치버튼과 제2스위치버튼을 구비하여,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팬모터(137)를 각각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팬모터(137)을 각각 별도로 온오프시키는 제1스위치버튼과 제2스위치버튼을 구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정화기팬모터(137)가 구동되는 경우, 후드팬모터(110)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버튼의 조작에 따라 후드팬모터(110)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스위치버튼을 조작하여 정화기팬모터(137)가 구동되면, 제1스위치버튼의 조작을 통해 후드팬모터(110)를 정지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140)가 자동으로 후드팬모터(110)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정화기팬모터(137)의 구동에 따라, 공기정화기(130)가 가동되어 주방 내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주방으로 배출시키는 주방공기정화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에서는 후드팬모터(110)가 강제로 정지되게 하여, 주방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기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주방공기정화동작 만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1...후드본체
102...흡입구
102a...후드필터
104...배기구
110...후드팬모터
130...공기정화기
131...공기유입구
132...공기정화필터
134...공기배출구
135...연결유로
137...정화기팬모터
140...제어부

Claims (4)

  1. 함체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주방 내의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2)와 상부에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104)가 형성된 후드본체(101);
    상기 후드본체(101)에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02)로부터 상기 배기구(104)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켜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드팬모터(110); 및
    상기 후드본체(101)에 일체로 구성되어, 주방 내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다시 주방 내로 배출시키는 공기정화기(130);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기(130)는,
    상기 후드본체(101)에 각각 형성되는 공기유입구(131)와 공기배출구(134);
    상기 공기유입구(131)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132);
    상기 공기유입구(131)와 상기 공기배출구(134)를 연결하는 연결유로(135); 및
    상기 연결유로(135) 상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정화필터(132)의 후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31)를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배출구(134)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공기흐름을 형성하는 정화기팬모터(137);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구(131)는 상기 후드본체(101)의 전면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34)는 전면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로(135)는, 좌우로 배치된 상기 공기유입구(131)와 상기 공기배출구(134)를 서로 연결하도록“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좌우로 수평배치되며,
    상기 연결유로(135)의 절곡부(135a)는, 상기 공기유입구(13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연결유로(135)를 거쳐 상기 공기배출구(134)로 이동될 때 공기의 흐름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줄이도록 소정곡률로 라운드지도록 절곡된 형태이며,
    상기 후드본체(101)의 전면에는 복수의 통기공(107a)이 형성된 커버(107)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버(107)의 하측에는 버튼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필터(132)는, 중금속필터, 탈취필터 및 미세먼지필터를 포함하는 다중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구(131)를 막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후드팬모터(110)와 상기 정화기팬모터(13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후드본체(1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 내의 공기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센서(152);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자동모드시, 상기 오염도센서(152)에서 검출된 주방 내의 공기오염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후드팬모터(110)와 상기 정화기팬모터(137)를 구동시키며,
    상기 후드본체(101)의 하면 일측에 구비되어, 가열조리기구(r)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가열조리기구(r)의 온도를 상기 제어부(140)에 출력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센서(15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자동모드시, 상기 온도센서(150)로부터 검출된 상기 가열조리기구(r)의 온도에 따라 가열조리기구(r)가 가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변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후드팬모터(110)를 정지시키고, 상기 정화기팬모터(137)는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142)는,
    상기 후드팬모터(110)와 상기 정화기팬모터(137)를 각각 온/오프시키는 제1스위치버튼과 제2스위치버튼을 구비하여, 후드팬모터(110)와 정화기팬모터(137)를 각각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스위치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후드팬모터(110)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버튼이 조작되어 상기 정화기팬모터(137)가 구동되는 경우, 제1스위치버튼의 조작을 통해 후드팬모터(110)를 정지시키지 않더라도 후드팬모터(110)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1992A 2018-10-31 2018-10-31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KR10209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992A KR102093869B1 (ko) 2018-10-31 2018-10-31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992A KR102093869B1 (ko) 2018-10-31 2018-10-31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869B1 true KR102093869B1 (ko) 2020-03-26

Family

ID=6995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992A KR102093869B1 (ko) 2018-10-31 2018-10-31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8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1546A (zh) * 2020-10-22 2021-0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厨房空气监测净化方法和系统
KR102220571B1 (ko) * 2020-07-30 2021-02-24 주계영 환기 성능 향상을 위한 주방용 후드 시공 방법
KR102395131B1 (ko) * 2020-12-01 2022-05-09 (주)쿠첸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주방용 후드
IT202100007526A1 (it) * 2021-03-26 2022-09-26 Elica Spa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dell’ari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268A (ja) * 2004-04-20 2005-11-04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用脱臭材及びその脱臭材を具備する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2012037210A (ja) * 2010-08-11 2012-02-23 Fuji Industrial Co Ltd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KR20150002366A (ko) * 2013-06-28 2015-01-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구비한 후드 시스템
JP2018048755A (ja) * 2016-09-20 2018-03-29 株式会社ノーリツ レンジフード
KR101852796B1 (ko) 2016-09-22 2018-04-27 (주)케이유에프씨티티 주방용 후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268A (ja) * 2004-04-20 2005-11-04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用脱臭材及びその脱臭材を具備する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2012037210A (ja) * 2010-08-11 2012-02-23 Fuji Industrial Co Ltd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KR20150002366A (ko) * 2013-06-28 2015-01-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구비한 후드 시스템
JP2018048755A (ja) * 2016-09-20 2018-03-29 株式会社ノーリツ レンジフード
KR101852796B1 (ko) 2016-09-22 2018-04-27 (주)케이유에프씨티티 주방용 후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71B1 (ko) * 2020-07-30 2021-02-24 주계영 환기 성능 향상을 위한 주방용 후드 시공 방법
CN112361546A (zh) * 2020-10-22 2021-0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厨房空气监测净化方法和系统
KR102395131B1 (ko) * 2020-12-01 2022-05-09 (주)쿠첸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주방용 후드
IT202100007526A1 (it) * 2021-03-26 2022-09-26 Elica Spa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dell’aria
EP4067754A1 (en) * 2021-03-26 2022-10-05 ELICA S.p.A. Air treat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869B1 (ko)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KR10224277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JP4985735B2 (ja) 空気清浄機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JP4734966B2 (ja) 空気清浄装置
WO2016027352A1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設備機器
WO2012045076A2 (en)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101852796B1 (ko) 주방용 후드
JP5053208B2 (ja) 空気清浄機
JP4457774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JP4599906B2 (ja) 空気清浄機システム
JPH0889566A (ja) 換気機能付空気清浄機
KR20060087209A (ko) 조리기구용 배기시스템
JP4883155B2 (ja) 空気清浄機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102159103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시스템
US7494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esired air pressure in a home
KR101912775B1 (ko) 주방 공기정화장치
JP4617739B2 (ja) 空気清浄機
KR100564648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20200126623A (ko) 공기청정기가 일체화된 인공지능형 렌지 후드
KR100595568B1 (ko) 레인지용 후드
JP5388982B2 (ja) 空気清浄装置及び建物
JP2007196183A (ja) 空気清浄機
JP3886490B2 (ja) 感染対策用空気清浄陰圧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