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775B1 - 주방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주방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775B1
KR101912775B1 KR1020170077261A KR20170077261A KR101912775B1 KR 101912775 B1 KR101912775 B1 KR 101912775B1 KR 1020170077261 A KR1020170077261 A KR 1020170077261A KR 20170077261 A KR20170077261 A KR 20170077261A KR 101912775 B1 KR101912775 B1 KR 101912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hood
kitchen
fan motor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모
Original Assignee
강영모
주식회사 위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모, 주식회사 위디코 filed Critical 강영모
Priority to KR102017007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주방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주방 공기정화장치는 주방에 설치된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소화상태를 감지하여 소화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점화상태를 감지하여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노브감지센서; 상기 가스렌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렌지에서 조리되는 냄비로부터의 냄새를 배기시키도록 후드용 팬모터를 구비한 렌지후드; 상기 노브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점화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소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방 공기정화장치{ AIR WASHING SYSTEM KITCHEN }
본 발명은 주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동작에 따라 가스렌지 후드가 자동으로 동작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함은 물론 주방의 공기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가스레인지의 상부에 음식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증기를 실외로 배기하여 주방공기를 환기함으로써 주방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레지후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레지후드는 사용자가 주방에 음식냄새, 연기등이 있다고 후각이나 시각 등으로 감지한 경우, 그때서야 직접 렌지후드 버튼을 눌러 렌지후드를 작동시켜 음색냄새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였다.
이처럼, 종래에는 음식냄새가 어느 정도 주방에 있다고 느낀 후에야 직접 사용자가 렌지후드를 동작시키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주방의 냄새를 정화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사용자가 착각하여 렌지후드를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냄새나 연기가 주방에 완전히 차버려 가족 구성원들이 주방에 있는 것이 불편하였다.
한편, 주방의 음식냄새나 먼지등을 정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기청정기를 두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공기청정기를 주방에 비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웠다. 즉,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상의 제약을 많이 받아 공기청정기를 결국 주방에 설치하는 것을 포기하는 경우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130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409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동작에 따라 가스렌지 후드가 자동으로 동작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함은 물론 주방의 공기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렌지의 사용 화구수에 따라 렌지후드의 구동강도를 자동으로 자동으로 조절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의 주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주방 내의 인체 수를 감지하여 공기청정기의 구동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주방 내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주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방 공기정화장치는 주방에 설치된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소화상태를 감지하여 소화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점화상태를 감지하여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노브감지센서; 상기 가스렌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렌지에서 조리되는 냄비로부터의 냄새를 배기시키도록 후드용 팬모터를 구비한 렌지후드; 상기 노브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점화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소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렌지에 화구수에 대응되게 복수의 조작노브가 구비된 경우, 상기 노브감지센서는 상기 복수의 조작노브 각각에 설치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노브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점화신호의 수에 따라 상기 후드 팬모터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렌지에 설치된 상기 조작노브의 수가 4개인 경우, 상기 노브감지센서가 상기 복수의 조작노브 각각에 설치되도록 제1노브감지센서, 제2노브감지센서, 제3노브감지센서 및 제4노브감지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노브감지센서, 제2노브감지센서, 제3노브감지센서 및 제4노브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점화신호의 수가 하나인 경우, 상기 후드 팬모터를 '약' 강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점화신호의 수가 둘인 경우, 상기 후드 팬모터를 '중' 강도로 동작시키며, 상기 점화신호의 수가 셋 또는 넷인 경우, 상기 후드 팬모터를 '강' 강도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각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지후드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상기 렌지후드의 테두리에 결합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배출하는 팬모터를 구비한 공기청정모듈;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노브감지센서, 제2노브감지센서, 제3노브감지센서 및 제4노브감지센서에서 모두 소화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팬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방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주방 내의 인체수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팬모터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동작에 따라 가스렌지 후드가 자동으로 동작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함은 물론 주방의 공기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주부들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며 주방공기의 개선을 통해 주부를 포함하는 가족구성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있도록 한 주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사용 화구수에 따라서 자동으로 렌지후드의 구동강도가 조절되어 더욱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면서도 가스렌지의 사용에 따른 냄새,연기 등을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환기하여 주방 내 공기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주방 내의 인체 수를 감지하여 공기청정모듈의 구동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주방 내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렌지후드의 정지시에도 적절하여 주방 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 공기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공기청정모듈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 공기정화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 공기정화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방 공기정화장치는 렌지후드(10), 가스렌지(20), 공기청정기(50), 제어부(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지후드(10)는 가스렌지(2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후드 팬모터(13)가 구비되어 있다. 후드 팬모터(13) 구동시 주방 내의 냄새,연기 등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어 배기되도록 구성된다.
가스렌지(20)는 렌지후드(10)의 하부에 배치된 싱크대 상에 놓여지도록 설치된다. 가스렌지(20)는 화구의 수에 대응되는 조작노브(23)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3개의 화구를 갖는 가스렌지(20)에는 3개의 조작노브(23)가 구비되며, 화구가 4개인 경우, 4개의 조작노브(23)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화구가 4개인 가스레지(20)가 적용된 것을 설명하므로, 조작노브(23)가 4개 구성된 가스렌지(2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스렌지(20)는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4개의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 각각은 4개의 조작노브(23) 각각에 하나씩 1:1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는 가스렌지(20)의 조작노브(23)의 점화상태와 소화상태를 검출하여 점화상태시 점화신호를 제어부(30)에 출력하고, 소화상태시 소화신호를 제어부(30)에 출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는 근접센서,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광학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며, 조작노브(23)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작노브(23)의 일단이 12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소화상태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가스렌지(20)의 점화(불꽃)가 되도록 조작노브(23)를 소화상태(초기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점화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는 조작노브(23)가 소화상태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30)에 소화신호를 출력시키고, 가스렌지(20)가 점화되어 사용되는 상태 즉 조작노브(23)가 점화상태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30)에 점화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제어부(30)는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에서 점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가스렌지(20)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후드 팬모터(13)를 가동시킨다. 반면,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에서 소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가스렌지(20)의 사용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후드 팬모터(13)를 정지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후드 팬모터(13)를 별도고 구동시킬 필요 없이 가스렌지(20)의 사용을 위해 조작노브(23)를 회전조작하기만 하더라도 후드 팬모터(13)가 자동적으로 가동되어, 주방 환기가 시작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가스렌지(20)의 사용과 함께 렌지후드(10)가 가동되어, 음식냄새, 연기 등이 주방에 채워지는 시간을 주지 않고 곧바로 외부로 배기시켜 주방의 공기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4개의 조작노브(23)에 제1노브감지센서(25a), 제2노브감지센서(25b), 제3노브감지센서(25c), 제4노브감지센서(25d)가 설치되어, 각각의 조작노브(23)의 동작상태를 제1노브감지센서(25a), 제2노브감지센서(25b), 제3노브감지센서(25c), 제4노브감지센서(25d)가 감지하여 제어부(30)에 각각 소화신호 또는 점화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30)는 4개의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로부터 1개의 점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후드 팬모터(13)를 최대출력강도의 30~40%(강도 '약' 모드)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2개의 점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후드 팬모터(13)를 최대출력강도의 50~60%(강도 '중' 모드)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3개 도는 4개의 점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후드 팬모터(13)를 최대출력강도의 70-80%(강도(강도 '강' 모드)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4개의 조작노브(23)에서 사용 중인 조작노브(23)의 수에 따라 제어부(30)가 후드 팬모터(13)의 동작강도를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구성이므로, 가스렌지(20)의 화구의 사용수에 따라 후드팬모터(13)가 자동으로 강도가 조절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편리성이 확보될 뿐 아니라, 화구를 많이 사용하여 많은 양의 냄새와 연기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후드팬모터(13)가 강하게 작동되어 환기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주방의 공기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어부(30)가 수신되는 점화신호의 수에 따라 후드팬모터(13)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렌지후드(10)는 복수의 후드 팬모터(1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화구수가 4개인 가스렌지(10)인 경우, 렌지후드(10)에 설치된 후드 팬모터(13)도 4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30)는 렌지후드(10)의 설치된 4개의 후드팬모터(13) 중 제1 내지 제4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로부터 수신되는 점화신호의 수에 대응되는 수만큼의 후드팬모커(13)를 가동시켜 렌지후드(10)의 동작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30)는 4개의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 모두에서 소화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후드팬모터(1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은 렌지후드(10)의 본체 테두리에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설치되는 공기청정모듈(5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모듈(50)은 공기청정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렌지후드(1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본체케이싱(51)이 사각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본체케이싱(51)이 렌지후드(10)와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케이싱(51)은 각 변부들의 내부들이 독립된 공간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4개의 외측면 각각에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공기유입구(53a)와 공기배출구(5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청정모듈(50)은 본체케이싱(51)의 각 변부의 내부에 각각 4개씩의 다단 필터부재(54)들이 설치되며, 필터부재(54)의 후류측에는 팬모터(56)가 내장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다단 필터부재(54)들은 극세사망 프리필터, 탈취필터, 항균필터, 항바이러스 필터, 초미세먼지필터, 헤파필터, 기능성필터 등의 필터 중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케이싱(51)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4개의 유입구(53a)를 통해 본체케이싱(51)의 각변부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재(54)를 거치면서 필터링 되고, 정화된 공기는 팬모터(56)를 지나 각각의 공기배출구(53b)를 통해 주방으로 다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필터부재(54)들이 본체케이싱(51)에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쉽게 새제품으로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부재(54)의 외측면에 구비된 손잡이(54a)를 이용해 본체케이싱(51)에서 필터부재(54)를 인출하거나, 필터부재(54)를 본체케이싱(51)에 인입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링형태로 이루어져, 렌지후드(1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렌지후드(10)에 결합설치되는 형태이므로, 주방의 별도의 공간을 차지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상의 제약을 덜 받아 설치가 용이하다.
아울러, 사각링형태로 이루어진 본체케이싱(51)의 각 외측면에 각각 공기유입구(53a)와 공기배출구(53b)가 형성되어 많은 양의 주방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정화효율이 높아져 주방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30)는 노브감지센서(25a,25b,25c,25d)에서 모두 소화신호가 수신되면, 후드 팬모터(13)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공기청정모듈(50)의 팬모터(56)들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주방의 일측에 인체감지센서(60)를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60)는 주방 영역에 위치하는 인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인체감지센서(6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카메라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0)는 인체감지센서(6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주방 영역 내의 위치하는 인체 수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인체의 수에 따라 공기청정모듈(50)의 구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인체감지센서(60)를 통해 주방 영역에 사람이 없거나 1명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4개의 팬모터(56) 중 1개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주방 영역에 사람이 2명~3명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4개의 팬모터(56) 중 2개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주방 영역에 사람이 4명~5명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4개의 팬모터(56) 중 3개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주방 영역에 사람이 6명 이상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4개의 팬모터(56)를 모두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주방에 존재하는 사람 수를 인체감지센서(60)가 감지하여 자동으로 공기청정모듈(50)의 정화성능이 조절됨으로써, 식사 후나 사람들로부터 배출되는 냄새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함으로써 주방의 공기질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렌지후드
13...후드팬모터
20...가스렌지
23...조작노브
25a,25b,25c,25d...노브감지센서
30...제어부
50...공기청정모듈
51...본체케이싱
53a...공기유입구
53b...공기배출구
54...필터부재
56...팬모터
60...인체감지센서

Claims (6)

  1. 주방에 설치된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소화상태를 감지하여 소화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가스렌지의 조작노브의 점화상태를 감지하여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노브감지센서;
    상기 가스렌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렌지에서 조리되는 냄비로부터의 냄새를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후드용 팬모터를 구비한 렌지후드;
    상기 노브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점화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소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렌지후드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상기 렌지후드의 테두리에 결합설치되며, 상기 주방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정화된 공기를 상기 주방 내로 배출하는 팬모터를 구비한 공기청정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사각링형태로 이루어진 본체케이싱이 상기 렌지후드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본체케이싱은 각 변부들의 내부들이 독립된 공간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4개의 외측면 각각에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싱의 각 변부의 내부에 각각 4개씩의 다단 필터부재들이 설치되며, 상기 다단 필터부재들의 후류측에는 팬모터가 내장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단 필터부재들은 극세사망 프리필터, 탈취필터, 항균필터, 항바이러스필터, 초미세먼지필터, 헤파필터 및, 기능성필터 중 4개로 구성되며,
    상기 다단 필터부재들은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에 입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방내의 공기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4개의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케이싱의 각 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다단 필터부재들을 거치면서 필터링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팬모터를 지나 상기 본체케이싱의 각 외면에 형성된 4개의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주방 내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스렌지에 화구수에 대응되게 복수의 조작노브가 구비된 경우, 상기 노브감지센서는 상기 복수의 조작노브 각각에 설치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노브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점화신호의 수에 따라 상기 후드용 팬모터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가스렌지에 설치된 상기 조작노브의 수가 4개인 경우, 상기 노브감지센서가 상기 복수의 조작노브 각각에 설치되도록 제1노브감지센서, 제2노브감지센서, 제3노브감지센서 및 제4노브감지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노브감지센서, 제2노브감지센서, 제3노브감지센서 및 제4노브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점화신호의 수가 하나인 경우,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약' 강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점화신호의 수가 둘인 경우,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중' 강도로 동작시키며, 상기 점화신호의 수가 셋 또는 넷인 경우, 상기 후드용 팬모터를 '강' 강도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노브감지센서, 제2노브감지센서, 제3노브감지센서 및 제4노브감지센서에서 모두 소화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팬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주방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주방 내의 인체수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팬모터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는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주방 내에 사람이 없거나 1명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청정모듈에 구비된 4개의 팬모터 중 1개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주방 내에 사람이 2명~3명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4개의 팬모터 중 2개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주방 내에 사람이 4명~5명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4개의 팬모터 중 3개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주방 내에 사람이 6명 이상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4개의 팬모터를 모두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공기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77261A 2017-06-19 2017-06-19 주방 공기정화장치 KR101912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261A KR101912775B1 (ko) 2017-06-19 2017-06-19 주방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261A KR101912775B1 (ko) 2017-06-19 2017-06-19 주방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775B1 true KR101912775B1 (ko) 2019-01-14

Family

ID=6502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261A KR101912775B1 (ko) 2017-06-19 2017-06-19 주방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7964A (zh) * 2020-12-16 2021-02-19 南京宏古松贸易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清理油污油烟机
KR102611747B1 (ko) 2023-06-29 2023-12-07 우영식 공기정화형 후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220B2 (ja) * 1990-03-31 1998-02-16 株式会社東芝 換気装置
JP2000018659A (ja) * 1998-07-01 2000-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調理器と換気扇の連動装置
JP2015183945A (ja) * 2014-03-25 2015-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2016090225A (ja) 2014-11-04 2016-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制御装置、換気システム、排気補助機構、換気制御方法、および、換気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220B2 (ja) * 1990-03-31 1998-02-16 株式会社東芝 換気装置
JP2000018659A (ja) * 1998-07-01 2000-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調理器と換気扇の連動装置
JP2015183945A (ja) * 2014-03-25 2015-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2016090225A (ja) 2014-11-04 2016-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制御装置、換気システム、排気補助機構、換気制御方法、および、換気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7964A (zh) * 2020-12-16 2021-02-19 南京宏古松贸易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清理油污油烟机
KR102611747B1 (ko) 2023-06-29 2023-12-07 우영식 공기정화형 후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869B1 (ko)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KR101700302B1 (ko) 필터가 장착된 창문형 환풍기
KR101912775B1 (ko) 주방 공기정화장치
CN104006459A (zh) 一种空气净化机
TWI617775B (zh) 空氣清淨機
CA2877857A1 (en) Filter system, extractor hood and kitchen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for extracting air
KR101539078B1 (ko) 스마트 렌지 후드
KR20200000306U (ko) 환기구와 유리창이 구비된 렌지후드
WO2012045076A2 (en)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EP1498664A1 (en) Microwave oven with apparatus and method for exhausting pollutant
JP2016095126A (ja) 室内空気質制御システム
CN204345863U (zh) 包括风扇调速控制器的空气净化器设备
JP6929035B2 (ja) レンジフード
JP2004184061A (ja) 空気浄化装置を備えた調理器
KR101970531B1 (ko)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CA2463347A1 (en) Microwave oven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20180127564A (ko)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WO2009092546A2 (en) Kitchen exhaust ultraviolet system
KR102381708B1 (ko) 주방 스마트 후드
KR20200018061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천장 설치 구조물
KR100564648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20060121028A (ko) 주방용 후드
JP5871391B2 (ja) レンジフード
JP7109109B2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