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287B1 -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287B1
KR101141287B1 KR1020110083472A KR20110083472A KR101141287B1 KR 101141287 B1 KR101141287 B1 KR 101141287B1 KR 1020110083472 A KR1020110083472 A KR 1020110083472A KR 20110083472 A KR20110083472 A KR 20110083472A KR 101141287 B1 KR101141287 B1 KR 10114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mbrella
rainwater removal
cent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치삼
Original Assignee
에치케이에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치케이에코(주) filed Critical 에치케이에코(주)
Priority to KR102011008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단 내주면에 배치되어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3)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20)와, 상기 제1빗물제거부(2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며 빗물낙수공(31)이 마련된 바닥판(30)과, 상기 바닥판(30)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5)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상기 우산포상단부(5)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7)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41)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가 외측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우산포상단부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우산포의 상중하 부분이 모두 접촉되어 빗물 제거가 완벽하게 됨은 물론 단순히 제2빗물제거부의 삽입부에 우산을 삽입 및 이탈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정도만으로 빗물 제거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water for folding type umbrella}
본 발명은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가 외측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우산포상단부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가 마련되는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시 빗물로부터 인체나 의상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그리고, 우산 중에는 크게 장우산과 접이식우산으로 분류되며, 이 중 장우산은 우산살이 서로 접혀 겹쳐지지 않고 곧곧히 뻗어 있는 상태로 우산포를 펼치고 접도록 하는 방식이고, 접이식우산은 우산살이 서로 접혀 겹쳐진 상태로 우산포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이러한 우산들은 사용 후 건물 등으로 진입시 우산포에 묻어 있는 빗물이 바닥면으로 떨어져 바닥면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빗물 낙하 방지용 비닐을 씌워서 건물 내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닐을 사용할 경우 비닐 소비에 따른 비용 부담은 물론 비닐이 일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 처분되기 때문에 환경 오염에도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비닐을 사용하지 않고 빗물에 젖어 있는 우산포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제거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원판 형상의 테두리를 케이싱에 고정시키고 그 원판 중앙부는 상하로 관통되도록 하며 그 관통공 테두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주름지도록 접혀진 상태의 주름부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원판은 빗물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극세사, 부직포 등의 수분흡수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빗물제거장치는 원판의 중앙 관통공으로 접이식 우산을 삽입시키면 관통공 테두리의 주름부가 펼쳐지면서 우산포와 접촉되는 과정 중 빗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는 단순히 접은 우산을 중앙 관통공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그 관통공의 테두리에 마련된 주름부가 우산포하단부와 접촉되면서 빗물 제거가 일부 가능하기는 하나 나머지 접혀서 서로 겹쳐있는 우산포상단부 및 중앙부의 빗물 제거는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가 외측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우산포상단부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우산포의 상중하 부분이 모두 접촉되어 빗물 제거가 완벽하게 됨은 물론 단순히 제2빗물제거부의 삽입부에 우산을 삽입 및 이탈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정도만으로 빗물 제거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는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단 내주면에 배치되어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 상기 제1빗물제거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며 빗물낙수공이 마련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중앙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상기 우산포상단부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제거부는 빗물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매트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빗물제거부는 빗물 흡수가 용이하고 내마모성이 강한 부직포, 극세사, 유리섬유 등으로 제작된 매트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제거부는 일체형 원관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제거부는 복수의 곡면판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분할되어 원관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빗물제거부의 삽입부 바닥이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제거부의 두께는 1 ~ 2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는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가 외측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우산포상단부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우산포의 상중하 부분이 모두 접촉되어 빗물 제거가 완벽하게 됨은 물론 단순히 제2빗물제거부의 삽입부에 우산을 삽입 및 이탈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정도만으로 빗물 제거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는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단 내주면에 배치되어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3)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20)와, 상기 제1빗물제거부(2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며 빗물낙수공(31)이 마련된 바닥판(30)과, 상기 바닥판(30)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5)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상기 우산포상단부(5)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7)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41)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11은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배수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빗물제거부(20)는 상기 우산포하단부(30)의 외형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원관 구조로서, 상기 제1빗물제거부(20)는 빗물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매트 재질로 될 수 있고, 그 두께는 1 ~ 2c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빗물제거부(미도시)는 복수의 곡면판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분할되어 원관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30)은 상기 원관 구조인 제1빗물제거부(20)의 하단부 저면을 떠받치도록 원판 형상의 테두리에 상향 연장된 링형벽체(32)가 마련된 구조로서, 이 링형벽체(32)가 다시 케이싱(10)의 내주면에 다양한 체결수단이나 본딩수단 등을 통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빗물제거부(40)는 빗물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매트 재질로 되고, 상기 제2빗물제거부(40)의 삽입부(41) 바닥이 상하로 관통되어 빗물이 하방으로 낙수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빗물제거부(40)의 매트 두께는 우산포상단부(5)와 우산포중앙부(7)에 의해 밀착되면서 덮여지는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빗물제거부(40)가 상기 바닥판(30)과 별도로 구성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구로 조립되는 구조로서, 상기 바닥판(30)의 중앙부에 상기 제2빗물제거부(40)가 밀접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밀접관통공(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빗물제거부(4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밀접관통공(33)의 테두리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구로 상기 바닥판(30) 저면에 체결 고정되는 플랜지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미 설명부호 50은 양측 벽면에 흡수부가 마련된 장우산용 빗물제거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빗물제거부(20)의 하단부 저면을 떠받친 상태에서 바닥판(30)의 링형벽체(32)를 케이싱(10)의 내주면에 별도의 체결수단이나 용접 또는 본딩수단을 통해 결합시키고, 이 바닥판(30) 중앙의 밀접관통공(33) 하방에서 상방으로 제2빗물제거부(40)를 관통시켜 그 플랜지부(43)가 바닥판(30) 저면에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제1빗물제거부(20)를 케이싱(10)의 내주면에 리벳 등의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시켜 조립을 완성한다.
이런 상태에서 빗물에 젖은 상태로 접혀진 접이식우산의 우산꼭지(9)를 제2빗물제거부(40)의 삽입부(41)로 삽입시키면 우산포상단부(5)는 제2빗물제거부(40)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우산포중앙부(7)는 상기 제2빗물제거부(40)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마지막으로 우산포하단부(3)는 제1빗물제거부(20)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우산포의 빗물이 흡수되거나 떨어져 나가면서 빗물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렇게 우산꼭지(9)를 제2빗물제거부(40)의 삽입부(41)로 삽입 및 인출시키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는 동안 빗물은 이들 매트에 흡수되거나 떨어져 나가면서 바닥판(30)의 빗물낙수공(31)과 제2빗물제거부(40)의 관통공(42)을 통해 하방으로 낙수된 후 케이싱(10)의 배수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는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가 외측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우산포상단부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우산포의 상중하 부분이 모두 접촉되어 빗물 제거가 완벽하게 됨은 물론 단순히 제2빗물제거부의 삽입부에 우산을 삽입 및 이탈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정도만으로 빗물 제거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우산포하단부 5 : 우산포상단부
7 : 우산포중앙부 9 : 우산꼭지
10 : 케이싱 11 : 배수구
20 : 제1빗물제거부 30 : 바닥판
31 : 빗물낙수공 32 : 링형벽체
33 : 밀접관통공 40 : 제2빗물제거부
41 : 삽입부 42 : 관통공
43 : 플랜지부 50 : 장우산용 빗물제거기

Claims (4)

  1.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단 내주면에 배치되어 접힌 상태의 우산포하단부가 접촉되면서 그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1빗물제거부;
    상기 제1빗물제거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며 빗물낙수공이 마련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중앙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우산포상단부가 삽입되어서 그 내주면에는 상기 우산포상단부가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는 우산포중앙부가 접촉되면서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제2빗물제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제거부 및 제2빗물제거부는 빗물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매트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제거부는 일체형 원관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빗물제거부는 복수의 곡면판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분할되어 원관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KR1020110083472A 2011-08-22 2011-08-22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KR10114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72A KR101141287B1 (ko) 2011-08-22 2011-08-22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72A KR101141287B1 (ko) 2011-08-22 2011-08-22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287B1 true KR101141287B1 (ko) 2012-05-03

Family

ID=4627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72A KR101141287B1 (ko) 2011-08-22 2011-08-22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16B1 (ko) * 2019-09-17 2020-11-10 주식회사 서광시스템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1579U (ko) * 1990-11-27 1992-07-15
JP2004170029A (ja) 2002-11-21 2004-06-17 Nihon Kensui:Kk 雨傘除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1579U (ko) * 1990-11-27 1992-07-15
JP2004170029A (ja) 2002-11-21 2004-06-17 Nihon Kensui:Kk 雨傘除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16B1 (ko) * 2019-09-17 2020-11-10 주식회사 서광시스템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661B2 (en) Valve device
KR101378518B1 (ko) 우산 물기 제거장치
US10844588B1 (en) Stormwater drain inserts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101141287B1 (ko)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US20150074891A1 (en) Single-use sink strainer
EP2730706A1 (en) Water valve apparatus
KR20210089396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90191Y1 (ko)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101355955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101225447B1 (ko) 걸름망
CN105088708A (zh) 可收缩移动的多功能便捷晾衣架
US20040187245A1 (en) Floor cleaning device
CN210314948U (zh) 一种可沥水的便易晒被装置
CN212216424U (zh) 医药洁净室不锈钢分类清洗装置
KR102102747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105996862A (zh) 一种防滑肥皂盒
KR101211049B1 (ko) 장우산용 빗물제거장치
KR102252580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CN204626575U (zh) 一种水槽过滤器
KR102423090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00094923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203341689U (zh) 多功能拖把清洗机
CN109019916A (zh) 一种用于家庭污水的净化机构
CN217244133U (zh) 干湿分离盒及地面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