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518B1 - 우산 물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물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518B1
KR101378518B1 KR1020120076703A KR20120076703A KR101378518B1 KR 101378518 B1 KR101378518 B1 KR 101378518B1 KR 1020120076703 A KR1020120076703 A KR 1020120076703A KR 20120076703 A KR20120076703 A KR 20120076703A KR 101378518 B1 KR101378518 B1 KR 10137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water
rotating frame
fram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560A (ko
Inventor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이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우 filed Critical 이병우
Priority to KR102012007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5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8Liquid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0/00Dry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F53/00 - D06F5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한 우산의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젖은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로 인한 안전사고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산비닐 사용으로 인한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이 수직 설치된 본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산의 펼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시 회전프레임의 내측으로 투입된 우산의 물기를 흡수하는 물기흡수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회전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시 물기흡수체를 압착시켜 우산에서 흡수한 물기를 탈수하는 탈수수단; 상기 탈수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수단에서 탈수한 물기를 받치는 물받이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우산 물기 제거장치{Apparatus for drying an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한 우산의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젖은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로 인한 안전사고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산비닐 사용으로 인한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국내 특허공개 제10-2000-0038276호, 2000.07.05.자 공개.
[문헌 2]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13984호, 2003.05.09.자 등록.
일반적으로 우산(雨傘)은 비가 오는 날 외출시 사용하는 우비(雨備) 중의 하나로서, 비를 머리 위에서 가로막아 신체를 비롯하여 옷, 신발, 가방 등이 비에 젖지 않게 생활 필수품이다.
이러한 우산은, 꼭지와 손잡이가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중봉, 중봉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방사상 형태로 설치되어 중봉 상에서 상하로 절첩되는 복수 개의 윗살, 꼭지와 윗살의 사이에 윗살의 설치 형태와 대응되게 설치된 가림막, 중봉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러너, 윗살과 러너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러너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윗살을 절첩시켜 가림막을 펴고 접는 받침살로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우산을 사용할 때는 한 손으로는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러너를 중봉의 상측으로 밀어올려 가림막이 넓게 펼쳐진 상태로 만들어서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우산을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와 반대로 한 손으로는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러너를 중봉의 하측으로 잡아당겨 가림막이 접혀진 상태로 만들어서 운반하거나 보관하면 된다.
이때 우산에 물기가 묻어 있는 상태에서 백화점, 마트, 지하철 등을 이용하기 위해 건물 내부로 진입할 때 물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바닥이 미끄러워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고 물기가 다른 사람에 튀거나 묻으면서 불쾌감을 주는 등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우산 사용자는 출입구 주변에서 우산을 접고 펴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 행하여 우산의 물기를 털어낸 후 건물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우산을 접고 펴는 동작을 반복 행하더라도 우산의 물기는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으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일 뿐만 아니라 출입구 주변이 우산에서 떨어진 물기로 가득하게 되므로 또 다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한 장소에는 출입구에 우산을 접힌 상태로 담을 수 있는 우산비닐을 비치하고 있다. 즉, 손잡이를 제외한 우산 전체를 그 하부에서 상부로 우산비닐로 덧씌움으로써 우산의 물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우산비닐은 1회용으로 한 번 사용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한 우산비닐의 회수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쓰레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문헌 1의 우산 물기 제거장치가 안출되었는데, 이는 본체의 상부 일측에 펼쳐진 우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강한 흡수력을 가지는 흡수부가 설치되고 본체의 상부 타측에 우산과 흡수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흡수보호부가 설치되어, 젖은 우산을 흡수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동시켜 물기를 흡수 제거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체의 일측에 흡수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롤러가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수부가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압축되면서 흡수한 물기를 탈수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의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때 우산을 흡수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동으로 회전시켜야 하고, 흡수부의 물기를 탈수할 때도 흡수부를 흡수보호부에서 분리한 후 롤러 사이로 삽입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헌 2의 우산 물기 제거장치도 안출되었는데, 이는 꼭지점에 구멍이 형성되고 펼쳐진 우산과 대응되는 형상을 설치된 복수 개의 금속뼈대와, 금속뼈대의 내측에 금속뼈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판과, 고정판의 내면에 복수 조각으로 분리 설치된 고흡수성 소재와, 고정판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와, 커버의 하측에 설치된 물받이통으로 구성된 구조이다.
즉, 젖은 우산을 펼쳐 고흡수성 소재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물기를 제거하고, 별도의 압축판으로 고흡수성 소재를 가압하여 고흡수성 소재가 흡수하고 있는 물기를 탈수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2의 우산 물기 제거장치 역시 문헌 1의 우산 물기 제거장치와 같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때 우산을 수동으로 직접 회전시켜야 하고 우산에서 흡수한 물기를 탈수할 때도 압축판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고흡수성 소재를 압착해야 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우산을 사용자가 회전시키지 않고도 자동으로 회전하는 물기흡수체를 통해 우산의 물기를 간편하게 자동으로 제거하고 이와 동시에 물기흡수체가 흡수한 물기도 자동으로 탈수하는 구조를 가진 우산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이 수직 설치된 본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산의 펼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시 회전프레임의 내측으로 투입된 우산의 물기를 흡수하는 물기흡수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회전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시 물기흡수체를 압착시켜 우산에서 흡수한 물기를 탈수하는 탈수수단; 상기 탈수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수단에서 탈수한 물기를 받치는 물받이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선단이 개구된 상자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수평으로 관통 설치된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일측에 고정되되 우산의 펼친 형태를 갖도록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상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기흡수체는, 흡수력을 가진 스펀지 또는 천이 브러쉬 형태로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평으로 관통 고정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일단이 수평으로 관통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시 물기흡수체를 압착하는 물기제거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받이함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수단과 물받이함의 사이에는, 상기 탈수수단에서 탈수되어 낙하하는 물기를 물받이함으로 유도하는 낙하유도관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받이함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시 우산에서 사방으로 튀어 낙하하는 물기를 물받이함으로 유도하는 경사물받이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우산의 물기를 흡수 제거하고 이와 동시에 우산에서 흡수 제거한 물기를 자동으로 압착시켜 탈수함에 따라,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에 따른 종래의 불편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비가 내리는 날에 백화점, 마트, 지하철 등을 이용하기 위해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고자 할 때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도 우산의 물기가 자동으로 제거되고 우산에서 제거된 물기도 자동으로 탈수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크게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본체의 내측에서 우산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회전프레임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내측면에 설치된 물기흡수체가 우산의 물기를 흡수 제거하는 구조와, 상기 회전프레임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회전프레임의 내측 하부에서 위치가 고정된 탈수수단이 물기흡수체를 압착하여 물기를 탈수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우산 물기 제거장치와 달리, 사용자는 우산을 본체의 선단을 통해 회전프레임의 내측으로 투입시켜 들고 있기만 하면 별다른 조작 없이 우산의 물기가 자동으로 흡수됨과 동시에 우산에서 흡수한 물기가 자동으로 탈수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우산 물기 제거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동작과 우산에서 제거된 물기를 탈수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우산의 물기 제거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크게 본체(10), 회전프레임(20), 구동모터(30), 물기흡수체(40), 탈수수단(50), 및 물받이함(6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바닥에 안착 가능한 형태를 가지면서 회전프레임(20), 구동모터(30), 물기흡수체(40), 탈수수단(50) 및 물받이함(60)을 하부에서 받치고 외부에서 감싸 보호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자체 형태로 구성되되 그 선단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우산(U)을 본체(10)의 개구된 선단을 통해 그 내부로 투입하여 물기를 제거할 때 우산(U)의 물기가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본체(10)의 내측 후단 상부에는 도 2와 같이 지지프레임(11)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이는 회전프레임(20), 구동모터(30), 물기흡수체(40), 및 탈수수단(50)을 회전 가능하게 또는 견고하게 고정하는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10)의 하부에는 도 2와 같이 복수 개의 이동바퀴(1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본체(1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여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의 위치 이동이나 운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프레임(20)은 도 2와 같이 본체(10)의 지지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우산(U)의 펼친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프레임(20)의 회전 운동시 본체(10)의 선단을 통해 그 내측으로 투입된 우산(U)과 충돌하지 않고 그 외면과 일정거리를 두고 원활하게 회전 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회전프레임(20)은 회전링(21), 지지암(22) 및 지지링(23)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링(21)은 회전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지암(22)과 지지링(23)은 우산(U)의 펼친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회전링(21)은 지지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관통 설치되고, 상기 지지암(22)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회전링(21)에 고정 설치되는데 우산(U)의 펼친 형태와 대응되도록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링(23)은 지지암(22)의 단부를 원형으로 연결하는 형태를 각각 가진다.
여기서 회전링(21)과 지지프레임(11)의 사이에는 회전링(21)의 회전시 지지프레임(11)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베어링(2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30)는 회전 동력을 통해 회전프레임(2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지지프레임(1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풀리(31), 동력전달수단(32), 종동풀리(33)를 통해 그 회전 동력이 회전링(21)으로 전달되어 회전프레임(20)을 회전시킨다.
즉, 구동모터(30)의 회전 동력은, 그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풀리(31)와, 회전링(21)의 일측에 설치된 종동풀리(33)와, 상기 구동풀리(31)와 종동풀리(33)를 연결하는 벨트 또는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32)을 통해 회전프레임(2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0)의 구동에 따라 회전프레임(20)은 지지프레임(11) 상에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모터(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일측에는 그 구동 전원, 구동 속도 및 구동 시간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패널 외에도 구동모터(30)의 작동을 무선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무선컨트롤러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물기흡수체(40)는, 회전프레임(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프레임(20)의 회전시 우산(U)과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우산(U)의 물기를 흡수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물기흡수체(40)는 도 2와 같이 회전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 지지암(22)의 내측면에 설치되는데, 이는 스펀지 또는 천 등과 같이 흡수력이 좋은 재질을 소정 높이로 기립시킨 브러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기흡수체(40)는 회전프레임(30)과 일체로 회전 운동하면서 회전프레임(30)의 내측에 위치한 우산(U)과 밀착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조금씩 쓰러지면서 우산(U)의 물기를 흡수 제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우산(U)을 본체(10)의 선단을 통해 회전프레임(20)의 내측으로 투입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들고 있기만 하면, 회전 운동하는 물기흡수체(40)의 작용에 의해 우산(U)의 물기가 자동으로 제거된다.
여기서 물기흡수체(4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우산(U)으로부터 물기를 흡수하는 과정에서 우산(U)의 물기와 함께 우산(U)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그 표면에 달라붙으면서 쉽게 오염되므로 교체나 세척할 수 있도록 지지암(2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탈수수단(5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20)의 내측 하부에 회전프레임(20)과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회전프레임(20)의 회전시 물기흡수체(40)를 자연스럽게 압착시켜 우산(U)에서 흡수한 물기를 탈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탈수수단(50)은 고정축(51), 고정브래킷(52), 및 물기제거롤러(5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51)은 지지프레임(11)에 수평으로 관통한 회전프레임(20)의 회전링(21) 내측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래킷(52)은 일단이 고정축(51)에 수평으로 관통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물기제거롤러(53)는 고정브래킷(52)의 일단에 고정되되, 회전프레임(20)의 지지암(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회전프레임(2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한다.
즉, 탈수수단(50)은, 고정축(51)과 고정브래킷(52)에 의해 위치 고정된 물기제거롤러(53)에 의해 회전프레임(20)과 일체로 회전 운동하는 물기흡수체(40)를 회전프레임(20)과 이루는 간격 사이로 자연스럽게 유입시켜 압착함으로써 우산(U)에서 흡수 제거한 물기를 탈수하고, 탈수한 물기는 물기제거롤러(53)의 외면을 타고 내려간다.
따라서 물기흡수체(40)를 통해 우산(U)의 물기가 자동으로 흡수 제거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도 탈수수단(50)을 통해 물기흡수체(40)가 자동으로 탈수된다.
다음으로, 상기 물받이함(60)은 탈수수단(5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탈수수단(50)에서 탈수한 물기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물받이함(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쳐 모은 물기를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10)에서 인출 가능한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탈수수단(50)과 물받이함(60)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함(60)과 연통하는 낙하유도관(70)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낙하유도관(70)은 탈수수단(50)의 단부와 물받이함(60)을 연통시켜 탈수수단(50)에서 탈수한 물기가 물받이함(60)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낙하유도관(70)에 의해 탈수수단(50)에서 낙하하는 물기가 물받이함(60) 내부로 유도됨으로써, 탈수수단(50)에서 탈수한 물기가 물받이함(60)의 주위로 낙하하여 본체(10)의 내부에 고이는 폐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함(60)의 양측에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함(60)을 향해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물받이판(80)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사물받이판(80)은 우산(U)의 물기가 제거되는 과정에서 우산(U)과 물기흡수체(40) 간의 마찰로 인해 사방으로 튀면서 낙하하거나 본체(10)의 내면을 따고 내려가는 우산(U)의 물기를 물받이함(60)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경사물받이판(80)에 의해 본체(10)의 내측에서 사방으로 튀어 낙하하는 우산(U)의 물기를 물받이함(60)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물기가 고이면서 발생하는 부식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10)의 내측 선단에는 구동모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감지센서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감지센서는 사용자에 의한 우산(U)의 투입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구동모터(3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감지센서에 의해 컨트롤패널 또는 무선컨트롤러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도 우산(U)의 투입을 감지한 후 구동모터(30)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를 통해 우산(U)의 물기가 제거되는 전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젖은 우산(U)을 본체(10)의 선단을 통해 회전프레임(20)의 내측으로 투입한다. 이때 물기가 묻은 우산(U)이 물기흡수체(40)에 밀착되도록 투입한다.
그리고 컨트롤패널 또는 무선컨트롤러를 조작하여 구동모터(30)를 작동시킨다. 단, 감지센서가 장치된 경우 구동모터(30)는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면 구동모터(30)의 회전 동력은 구동풀리(31)와 동력전달수단(32) 및 종동풀리(33)를 차례대로 거쳐 회전링(21)으로 전달되어 회전프레임(20)이 회전 운동하게 한다.
따라서 회전프레임(20)과 함께 그 내측면에 설치된 물기흡수체(4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우산(U)의 물기를 흡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우산(U)의 물기를 흡수한 물기흡수체(40)가 탈수수단(50)의 물기제거롤러(53)에 의해 압착되면서 우산(U)에서 흡수한 물기를 탈수하게 된다.
또한, 탈수수단(50)에서 탈수한 물기는 물기제거롤러(53)의 외면을 타고 내려가면서 낙하유도관(70)을 거쳐 물받이함(60)으로 낙하하여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서 사방으로 튄 물기는 경사물받이판(80)을 통해 물받이함(60)으로 유도되어 모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작동을 일정시간 동안 행함으로써 우산(U)의 물기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는 사용자가 우산(U)을 본체(10)의 선단을 통해 회전프레임(20)의 내측에 투입한 상태에서 들고 있기만 하면 자동으로 회전되는 복수 개의 물기흡수체(40)에 의해 우산(U)의 물기를 자동으로 흡수 제거되고, 이와 동시에 물기를 흡수한 물기흡수체(40)는 고정 상태의 탈수수단(50)을 통해 자동으로 탈수 처리됨으로써, 종래의 우산 물기 제거장치와 달리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불편하고 번거로움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지지프레임
12: 이동바퀴
20: 회전프레임 21: 회전링
22: 지지암 23: 지지링
24: 베어링
30: 구동모터 31: 구동풀리
32: 동력전달수단 33: 종동풀리
40: 물기흡수체
50: 탈수수단 51: 고정축
52: 고정브래킷 53: 물기제거롤러
60: 물받이함
70: 낙하유도관
80: 경사물받이판
100: 우산 물기 제거장치
U: 우산

Claims (8)

  1. 우산(U)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1)이 수직 설치된 본체(10);
    상기 지지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산(U)의 펼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회전프레임(20);
    상기 회전프레임(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
    상기 회전프레임(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회전시 회전프레임(20)의 내측으로 투입된 우산(U)의 물기를 흡수하는 물기흡수체(40);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프레임(20)의 내측 하부에 회전프레임(20)과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회전시 물기흡수체(40)를 압착시켜 우산(U)에서 흡수한 물기를 탈수하는 탈수수단(50);
    상기 탈수수단(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수단(50)에서 탈수한 물기를 받치는 물받이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프레임(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수평으로 관통 설치된 회전링(21);
    상기 회전링(21)의 일측에 고정되되 우산(U)의 펼친 형태를 갖도록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상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암(22);
    상기 지지암(22)의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링(2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선단이 개구된 상자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1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흡수체(40)는,
    흡수력을 가진 스펀지 또는 천이 브러쉬 형태로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50)은,
    상기 지지프레임(11)에 수평으로 관통 고정된 고정축(51);
    상기 고정축(51)에 일단이 수평으로 관통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된 고정브래킷(52);
    상기 고정브래킷(52)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형상과 대응되고 상기 회전프레임(2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회전시 물기흡수체(40)를 압착하는 물기제거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함(6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50)과 물받이함(60)의 사이에는,
    상기 탈수수단(50)에서 탈수되어 낙하하는 물기를 물받이함(60)으로 유도하는 낙하유도관(7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함(60)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회전시 우산(U)에서 사방으로 튀어 낙하하는 물기를 물받이함(60)으로 유도하는 경사물받이판(8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1020120076703A 2012-07-13 2012-07-13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10137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703A KR101378518B1 (ko) 2012-07-13 2012-07-13 우산 물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703A KR101378518B1 (ko) 2012-07-13 2012-07-13 우산 물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60A KR20140010560A (ko) 2014-01-27
KR101378518B1 true KR101378518B1 (ko) 2014-03-28

Family

ID=5014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703A KR101378518B1 (ko) 2012-07-13 2012-07-13 우산 물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83B1 (ko) * 2019-04-23 2020-04-01 엔텍월드(주) 우산 건조기용 흡수체의 탈수장치
KR102551278B1 (ko) * 2022-12-05 2023-07-04 최서윤 페달형 우산 탈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8486A (zh) * 2014-07-01 2014-09-17 黄翊翔 干伞机
CN106839689B (zh) * 2017-02-20 2019-06-04 韩再满 一种干伞器
CN107101482B (zh) * 2017-05-03 2018-03-30 袁超 一种旋转式雨伞烘干设备
KR102111057B1 (ko) * 2018-09-04 2020-05-14 이상범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2265608B1 (ko) * 2018-10-16 2021-06-16 김병학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225887B1 (ko) * 2018-11-23 2021-03-12 정성욱 방사형 흡수체를 구비한 우산건조기
KR102088238B1 (ko) * 2019-02-26 2020-03-12 엔텍월드(주) 우산 건조기용 흡수체
CN110345721B (zh) * 2019-03-08 2020-12-04 杭州傲贯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雨伞风干的装置
KR102324423B1 (ko) 2019-07-29 2021-11-09 박지인 우산물기제거장치
KR20220057104A (ko) 2020-10-29 2022-05-09 박지인 우산 물기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944Y2 (ja) * 1990-02-15 1995-10-11 株式会社石井製作所 傘の水切り装置
JP2001108365A (ja) * 1999-10-08 2001-04-20 Sayama Precision Ind Co 傘脱水機
KR200311913Y1 (ko) * 2003-01-28 2003-05-01 설순임 우산 물기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944Y2 (ja) * 1990-02-15 1995-10-11 株式会社石井製作所 傘の水切り装置
JP2001108365A (ja) * 1999-10-08 2001-04-20 Sayama Precision Ind Co 傘脱水機
KR200311913Y1 (ko) * 2003-01-28 2003-05-01 설순임 우산 물기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83B1 (ko) * 2019-04-23 2020-04-01 엔텍월드(주) 우산 건조기용 흡수체의 탈수장치
KR102551278B1 (ko) * 2022-12-05 2023-07-04 최서윤 페달형 우산 탈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60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518B1 (ko) 우산 물기 제거장치
CN207760592U (zh) 一种智能晾衣架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CN203768684U (zh) 收晾衣被装置
KR101372918B1 (ko) 다용도 회전식 행거
KR101405814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106498676A (zh) 自动伸缩式晾衣架
CN110395610B (zh) 一种棉絮装套设备
TWM518236U (zh) 曬收衣系統
CN106930074A (zh) 一种可伸缩的晾衣架
CN206289898U (zh) 一种多功能阳台防护栏
KR102488577B1 (ko) 우산 빗물제거 장치
CN111750641B (zh) 基于离心力分离的旋转式折叠雨伞脱水装置及使用方法
CN107385818B (zh) 一种新型晾衣架
JPH08154719A (ja) 傘袋処理機
CN206395375U (zh) 一种槽型皮带机皮带回程落料的收集装置
KR20049092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CN203715958U (zh) 一种滑动导轨式晾衣架
CN108411587A (zh) 一种可快速晾干布料的机械晾晒架
CN211451579U (zh) 雨伞除水电器
CN105923801A (zh) 一种用于居民生活小区的太阳能污水再利用装置
KR102570249B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CN201879651U (zh) 一种电动除水除尘门垫
CN110897285A (zh) 一种雨伞除水器
CN108893945A (zh) 一种可折叠便于移动的晾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