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10Y1 - 우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10Y1
KR200469310Y1 KR2020130003636U KR20130003636U KR200469310Y1 KR 200469310 Y1 KR200469310 Y1 KR 200469310Y1 KR 2020130003636 U KR2020130003636 U KR 2020130003636U KR 20130003636 U KR20130003636 U KR 20130003636U KR 200469310 Y1 KR200469310 Y1 KR 200469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inlet
air
nozzl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두환
Original Assignee
나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두환 filed Critical 나두환
Priority to KR2020130003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한쌍의 레일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우산이 삽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로 삽입되는 우산을 센싱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센싱 값에 근거하여 작동되는 블로어;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승강체; 상기 승강체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어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노즐; 상기 승강체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및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통수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투입구에 우산이 투입되면, 상기 승강체는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노즐에서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산 건조장치{UNBRELLA DR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우산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승강되는 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우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 사용되는 필수품으로써,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로 출입하는 경우, 입구측에 마련된 우산꽂이에 꽂아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산을 꽂아둔 상태에서 출입하는 경우, 우산의 분실에 따른 위험이 있어 우산을 소유한 채로 건물을 출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실내에 떨어져 건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바닥을 미끄럽게 하여 보행자가 넘어질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우산을 비닐로 포장하는 수동식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우산을 비닐로 포장하는 장치는 젖은 우산을 일정시간동안 방치하게 되는 것으로, 녹이 발생되어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우산을 건조시키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우산을 건조시키는 장치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042호에 우산용 빗물제거장치가 기재되었다.
도 1은 기재된 우산용 빗물제거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베이스플레이트(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며, 그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는 우산삽입케이스(2); 상기 우산삽입케이스(2) 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우산삽입케이스(2) 내에 삽입된 우산의 물기를 마찰에 의해 제거하는 다수의 플랩이 구비되는 신축성 빗물제거링(3); 및 패들(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우산용 빗물제거장치는, 사용자가 패들(4)을 가압함에 따라 신축성 빗물제거링(3)을 하방으로 강제이동시켜, 상기 신축성 빗물제거링(3)이 우산의 외주면을 쓸어내리면서 우산의 물기를 제거한다.
위에 기재된 종래기술은, 빗물제거링(3)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우산을 쓸어내리면서 짜주는 방식으로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지만, 우산을 구성하는 살대를 압박하여 파손 발생의 위험이 있다.
또한 우산을 구성하는 천 사이의 접힌 부분의 빗물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우산을 건조시키는 다른 장치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344호에 우산 건조장치가 기재되었다.
도 2는 기재된 우산 건조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중앙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11)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송풍기(12)와, 송풍기(12)를 통하여 주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분산 공급하도록 히팅부재(13)가 구비되는 풍향날개(14)와, 공기 흡입구(11)를 중심으로 다수의 우산삽입홀(15)이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상부동체(10); 상기 상부동체(10)의 저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빈 중공의 건조실(21)을 형성하고, 우산삽입홀(15)과 대향하는 바닥판(22)에 다수의 배수구(23)가 형성되는 하부동체(20); 및 상기 하부동체(20) 저면에 일체 혹은 분할형성되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배수구(23)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우산 건조장치는,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실(21) 내부로 열풍을 공급시키되, 열풍의 와류를 발생시키고, 우산이 건조실(21) 내부에 원형배열로 위치되어 와류 및 상하강제순환되는 열풍에 의해 우산이 건조되도록 한다.
위에 기재된 종래기술은, 열풍의 와류에 의해 건조실(21) 내부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우산이 건조되는 이점이 있으나, 와류 발생시 한쪽 방향으로 열풍이 와류됨에 따라 우산 전체에 열풍을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실(21) 내부로 위치되는 우산의 투입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건조실(21) 내부에 우산이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산삽입홀(15)에 우산을 투입시 상부동체(10)의 높이보다 높게 우산을 들어서 투입시켜야 하므로 어린아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람에게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우산을 건조하되, 노즐을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우산의 삽입 여부에 따라 작동되고, 우산이 삽입되는 투입구를 위에서 또는 측면에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우산 건조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조장치 내부에 레일을 구비하고,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승강체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체에 노즐을 설치하여 블로어에서 발생되는 에어를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되, 상하 이동됨에 따라 우산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센서를 구비하여 투입되는 우산을 센싱하며, 센싱 값에 근거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우산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위에서 또는 측면에서 투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어린아이와 같은 키가 작은 사람도 이용함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는, 내부에 한쌍의 레일이 구비된 몸체; 몸체에 형성되어 우산이 삽입되는 투입구; 투입구로 삽입되는 우산을 센싱하는 센서; 센서의 센싱 값에 근거하여 작동되는 블로어; 레일에 설치되는 승강체; 승강체에 설치되며, 블로어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노즐; 승강체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및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통수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투입구에 우산이 투입되면, 승강체는 상하로 이동되며 노즐에서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우산을 건조하되, 노즐을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우산의 전체를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고안은, 센서를 이용하여 우산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고, 센서의 센싱 값에 근거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용 빗물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우산 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서 레일과 승강체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은, 우산을 효과적으로 건조하기 위한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승강되는 노즐(160)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우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는, 내부에 한쌍의 레일(110)이 구비된 몸체(100); 몸체(100)에 형성되어 우산이 삽입되는 투입구(120); 투입구(120)로 삽입되는 우산을 센싱하는 센서(130); 센서(130)의 센싱 값에 근거하여 작동되는 블로어(140); 레일(110)에 설치되는 승강체(150); 승강체(150)에 설치되며, 블로어(140)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노즐(160); 승강체(150)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170); 및 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통수구(18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우산이 삽입되면, 에어를 분사하여 우산을 건조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충분하다.
레일(110)은,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우산의 길이방향에 따라 설치되고, 외주면에 랙(rack, 111)으로 구성된다.
랙(111)은, 레일(111)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피니언(151)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투입구(120)는, 몸체(100)에 형성되어 몸체(100)의 내부로 우산이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130)는, 몸체(100)에 설치되며, 투입구(120)로 삽입되는 우산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블로어(blower, 140)는, 몸체(100)에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에 의해 토출하는 것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승강체(150)는, 레일(110)에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랙(111)과 맞물리는 피니언(151) 및 피니언(151)을 구동시키는 모터(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니언(151)은, 승강체(150) 내부에 구비되어, 랙(111)과 맞물리는 구조로, 피니언(151)의 회전에 의해 승강체(150)를 레일(110)에서 이동되도록 한다.
모터(152)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피니언(15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6을 참조하여, 랙(111)과 피니언(151)의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0)의 내부로 우산이 삽입되면 센서(130)의 센싱 값에 근거하여 모터(152)가 작동되며, 모터(152)의 작동에 의해 랙(111)과 맞물리는 피니언(151)을 회전시켜 승강체(150)를 레일(110)에서 이동되도록 한다.
노즐(160)은, 승강체(150)에 설치되며, 블로어(14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으로, 승강체(150)의 이동에 따라 우산에 에어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노즐(160)의 분사 방향은 전방 하부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노즐(160)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우산의 천에 붙은 빗물을 하부측으로 쓸어내리도록 낙하시켜 빗물이 투입구(120) 쪽으로 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블로어(140)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를 공급받기 위해 블로어(140))와 노즐(160) 사이에 에어호스(14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호스(145)는 상하 이동되는 노즐(160)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신축되는 스프링 호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170)는, 승강체(150) 사이에 설치되며, 투입구(120)에 삽입되는 우산의 천 사이사이에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서, 분리편(17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리편(171)은, 가이드(170)의 내측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어 방사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투입구(120)로 삽입되는 우산의 천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공간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노즐(160)로부터 에어를 우산의 천 사이사이에 분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170)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이드(170)에 삽입되는 우산의 천 및 살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통수구(180)는, 몸체(100)의 저면에 설치되며, 몸체(100)의 바닥으로 떨어진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수구(180)는 원형관 또는 사각관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에 설치되며, 작동 상태 및 전원 ON/OFF 상태 등을 알리는 인디케이터(19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우산 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센서(130)에 의해 우산이 감지되면, 센서(1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블로어(14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승강체(150)를 상하 이동시킨다.
즉 투입구(120)에 우산이 삽입되면, 노즐(160)이 상하 이동되며, 우산에 에어를 분사시켜 우산을 건조 시킨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20)는, 몸체(100)의 측면 및 상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되, 우산은 수직상태에서 수평으로 이동하여 투입구(120)에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170)는 투입구(120)로 삽입되는 우산이 위치될 수 있도록 우산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부 절개되어 구성된다.
또한 투입구(120)에 설치되며, 노즐(160)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빗물이 투입구(120)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막(1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막(125)은 플렉시블한 투명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투입구(120)에 삽입되는 우산이 막(125)을 통과시, 막(125)이 우산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개폐되고, 우산이 막(125)을 통과하여 몸체(100) 내부에 위치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투입구(120)를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구(120)는 몸체(100) 내부에 우산이 위치되면, 막(125)에 의해 투입구(120)를 폐쇄함으로써, 투입구(120)의 외부로 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며, 우산을 건조시키는 경우, 몸체(100)의 측면으로 우산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에서 도 3 내지 도 7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고안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고안이 도 3 내지 도 7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몸체 110 : 레일
111 : 랙 120 : 투입구
125 : 막 130 : 센서
140 : 블로어 145 : 에어호스
150 : 승강체 151 : 피니언
152 : 모터 160 : 노즐
170 : 가이드 171 : 분리편
180 : 인디케이터

Claims (3)

  1. 우산 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우산의 길이방향에 따라 설치되고, 외주면에 랙(rack, 111)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레일(110);
    상기 몸체(100)의 측면 및 상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며, 우산이 수직상태에서 수평으로 이동하여 투입되는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에 설치되며, 플렉시블한 투명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우산이 상기 투입구(120)에 삽입되는 경우, 우산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개폐되며, 우산이 상기 투입구(12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상기 투입구(120)를 폐쇄되도록 하고, 우산 건조시 발생되는 빗물이 상기 투입구(120)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막(125);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120)로 삽입되는 우산을 센싱하는 센서(130);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130)의 센싱 값에 근거하여 작동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에 의해 에어를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로어(blower, 140);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110)에 설치되며, 상기 랙(111)과 맞물리는 피니언(151)과 상기 피니언(151)을 구동시키는 모터(1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1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일(110)에서 상하 이동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승강체(150);
    상기 승강체(150)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어(140)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전방 하부측을 향하도록 분사시키는 노즐(160);
    상기 블로어(140)와 상기 노즐(1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어(140)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를 상기 노즐(160)에 공급하며, 상하 이동되는 상기 노즐(160)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신축되는 스프링 호스로 구성된 에어호스(145);
    상기 승강체(150) 사이에 설치되며,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투입구(120)로 삽입되는 우산이 위치될 수 있도록 우산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부 절개되어 구성되며, 그 내측으로 다수개 돌출 형성된 방사형태의 분리편(171)이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120)로 삽입되는 우산의 천 사이사이에 상기 분리편(171)이 위치되어 공간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상기 노즐(160)로부터 에어를 우산의 천 사이사이에 분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170);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바닥으로 떨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수구(180); 및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며, 작동 상태 및 전원 ON/OFF 상태 등을 알리는 인디케이터(19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구(120)에 우산이 투입되어 상기 센서(130)에 의해 우산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1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블로어(140)를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노즐(160)에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랙(111)에 맞물리는 상기 피니언(151)을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체(150)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30003636U 2013-05-09 2013-05-09 우산 건조장치 KR200469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36U KR200469310Y1 (ko) 2013-05-09 2013-05-09 우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36U KR200469310Y1 (ko) 2013-05-09 2013-05-09 우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310Y1 true KR200469310Y1 (ko) 2013-10-10

Family

ID=5073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636U KR200469310Y1 (ko) 2013-05-09 2013-05-09 우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1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310B1 (ko) * 2017-03-10 2017-10-25 이철 에어분사기구를 이용한 우산 물기제거기
KR101838563B1 (ko) * 2016-06-13 2018-04-26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10033805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우산제수기
KR102469190B1 (ko) * 2022-08-19 2022-11-23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WO2024038973A1 (ko) * 2022-08-19 2024-02-22 세일정밀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85U (ja) * 1992-07-27 1994-02-25 株式会社カンセイ 傘の脱水装置
JP2004044991A (ja) * 2002-07-16 2004-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傘脱水機
KR20080002757U (ko) * 2007-01-17 2008-07-22 주식회사 하람기술 배출자동형 우산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85U (ja) * 1992-07-27 1994-02-25 株式会社カンセイ 傘の脱水装置
JP2004044991A (ja) * 2002-07-16 2004-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傘脱水機
KR20080002757U (ko) * 2007-01-17 2008-07-22 주식회사 하람기술 배출자동형 우산 탈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563B1 (ko) * 2016-06-13 2018-04-26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1790310B1 (ko) * 2017-03-10 2017-10-25 이철 에어분사기구를 이용한 우산 물기제거기
KR20210033805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우산제수기
KR102304875B1 (ko) * 2019-09-19 2021-09-24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우산제수기
KR102469190B1 (ko) * 2022-08-19 2022-11-23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WO2024038973A1 (ko) * 2022-08-19 2024-02-22 세일정밀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200462640Y1 (ko) 우산 건조 장치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CN203662699U (zh) 二合一水循环式拖把桶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KR20150071860A (ko) 자체순환열풍을 이용하는 우산건조장치
KR20150016837A (ko) 우산 건조장치
KR20170067327A (ko)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170099170A (ko) 우산 건조기
KR102469190B1 (ko)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KR101260242B1 (ko) 우산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249900B1 (ko) 우산 건조기
KR20090085170A (ko) 우산 건조장치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JP2003056982A (ja) 傘脱水装置
KR102176916B1 (ko)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092309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150043665A (ko) 우산건조장치
KR102304875B1 (ko) 우산제수기
KR102286251B1 (ko)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KR101574751B1 (ko)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
KR20080002757U (ko) 배출자동형 우산 탈수장치
KR20210025803A (ko) 우산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