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327A -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 Google Patents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327A
KR20170067327A KR1020150173864A KR20150173864A KR20170067327A KR 20170067327 A KR20170067327 A KR 20170067327A KR 1020150173864 A KR1020150173864 A KR 1020150173864A KR 20150173864 A KR20150173864 A KR 20150173864A KR 20170067327 A KR20170067327 A KR 20170067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blower
pipe
inner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생
Original Assignee
임주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주생 filed Critical 임주생
Priority to KR102015017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7327A/ko
Priority to PCT/KR2015/013389 priority patent/WO2017099266A1/ko
Publication of KR2017006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3Small self-contained devices, e.g. 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다수의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역원추형의 내관(10)과; 상기 내관(10)과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관(10)의 외측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내관(10)과 연결되어 있는 외관(20)과; 송풍을 발생하는 블로워(30)와; 상기 블로워(30)를 통하여 발생된 송풍을 상기 외관(20)과 내관(10)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블로워(30)와 상기 외관(20)을 연결하는 배기관(32)과; 상기 내관(10)의 개방되어진 하단부와 기밀하게 연결되며 물통(42)이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빗물저장부(40)와; 상기 빗물저장부(40)와 상기 블로워(30)를 연결하는 흡기관(34)과; 상기 내관(1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우산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우산 투입 시 상기 블로워(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52)가 구비되어 있는 우산투입구(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의 빗물을 블로워의 송풍을 이용하여 건조하되, 배출된 송풍을 장치 내에서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나 눈이 올 경우에 외출을 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도 비나 눈에 의하여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하는 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우천 시 우산을 사용하고 실내로 들어가는 경우에 우산에 묻은 빗물이 실내에 떨어져 바닥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실내로 들어오기 전에 우산을 흔들어 우산에 묻어있는 물기를 털어 내거나 별도로 배치된 우산꽂이에 우산을 꽂아 보관한다. 특히 대부분 건물에서는 우천 시 출입문에 우산 보관비닐을 배치해둔다. 우산 보관비닐은 빗물에 젖은 우산을 비닐에 담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가 빗물에 의해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우산 보관비닐은 사용자가 다시 실외로 나가게 될 시 모두 쓰레기통에 버려지게 되고 이는 자원낭비 및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된다. 더욱이 우산의 원단에 빗물이 흡수 또는 묻은 채로 비닐을 씌워 보관하게 되면 우산의 원단이나 살대가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빗물에 의해 부식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급의 입장에서는 보관비닐을 지속적으로 구입 및 공급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목적은 우산에 묻은 빗물을 블로워를 통하여 방출된 송풍을 이용하여 빠르게 건조하되, 한번 방출된 송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블로워를 통하여 다시 회수하여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짧은 시간 안에 우산을 건조시킬 수 있는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 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다수의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역 원추형의 내관(10)과; 상기 내관(10)과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관(10)의 외측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내관(10)과 연결되어 있는 외관(20)과; 송풍을 발생하는 블로워(30)와; 상기 블로워(30)를 통하여 발생된 송풍을 상기 외관(20)과 내관(10)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블로워(30)와 상기 외관(20)을 연결하는 배기관(32)과; 상기 내관(10)의 개방되어진 하단부와 기밀하게 연결되며 물통(42)이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빗물저장부(40)와; 상기 빗물저장부(40)와 상기 블로워(30)를 연결하는 흡기관(34)과; 상기 내관(1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우산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우산 투입 시 상기 블로워(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52)가 구비되어 있는 우산투입구(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로워(30)는 상기 흡기관(34)을 통하여 송풍을 빨아드리고, 상기 배기관(32)을 통하여 송풍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관(10)의 둘레를 따라 피라미드 모양의 다수의 돌기(12)가 상기 내관(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돌기(12)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면에 상기 토출구(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산투입구(50)의 내측에는 방사형으로 절단되어진 탄성재질의 빗물털이막(5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산 투입구(50)는 상기 블로워(30)의 작동여부를 빛의 발광을 통하여 나타내는 표시램프(5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는, 우산이 삽입되는 내관이 역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며 내관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블로워를 통하여 생성된 송풍이 내관의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시 빠르게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빠른 시간 안에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로워를 통하여 배출된 송풍이 우산의 빗물을 제거한 후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블로워를 통하여 자체 순환되어 재사용되므로 저전력으로도 효율적인 송풍의 양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의 내부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관과 외관을 보여주는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를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의 절단 사시도와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10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다수의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역 원추형의 내관(10)과, 내관(10)과 간극이 형성되도록 내관(10)의 외측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내관(10)과 연결되어 막혀 있는 외관(20)과, 송풍을 발생하는 블로워(30)와, 블로워(30)를 통하여 발생된 송풍을 외관(20)과 내관(10)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블로워(30)와 외관(20)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관(32)과, 내관(10)의 개방되어진 하단부와 기밀하게 연결되며 물통(42)이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빗물저장부(40)와, 빗물저장부(40)와 상기 블로워(30)를 연결하는 흡기관(34)과, 내관(1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우산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우산투입구(50)와, 하우징(60)을 구비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내관(10)은 빗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입된 우산이 위치하는 공간이다. 내관(10)은 전체적으로 역 원추형으로 이루어진다. 내관(10)은 상단부와 하단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내관(10)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기(12)가 마련된다. 돌기(12)는 피라미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간격과 패턴으로 내관(10)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피라미드 형태의 돌기(12)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면에는 송풍이 배출될 수 있는 토출구(14)가 형성된다.
외관(20)은 내관(10)과 간극을 이루도록 내관(10)의 외측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외관(2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내관(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간극은 밀폐된 공간이 되며, 이에 따라 간극으로 투입된 송풍은 내관(10)의 토출구(14)를 통해서만 배출된다.
외관(20)의 일측에는 후기하는 배기관(32)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관(32)이 외관(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관(20)의 어느 위치에나 결합될 수 있다.
덧붙여, 내관(10)과 외관(20)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면과 수직인 상태보다는 사용자가 우산을 건조기에 쉽게 투입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살짝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블로워(30)는 송풍을 발생하기도 하며 송풍을 회수하도록 빨아들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블로워(30)로부터 생성된 송풍은 배기관(32)을 통하여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내관(10)의 토출구(14)를 통하여 내관(10)으로 배출된다. 이때 송풍은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토출구(14)로 인하여 내관(10)의 아래 방향으로 빠르게 배출된다. 내관(10)으로 배출된 송풍은 우산의 빗물을 털어내며 내관(1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빗물저장부(40)로 이동되며 이와 같이 내관(10)을 거쳐 빗물저장부(40)로 배출된 송풍은 다시 흡기관(34)을 통하여 블로워(30)로 회수된다. 그리고 블로워(30)의 팬에 의하여 다시 배기관(32)을 통하여 배출됨에 따라 순환 송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배기관(32)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로워(30)을 통하여 생성된 송풍을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배기관(32)의 일단부는 블로워(3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외관(20)의 일측에 결합된다.
흡기관(34)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내관(10)을 거쳐 후기하는 빗물저장부(40)로 배출된 송풍을 다시 블로워(30)로 회수하기 위하여 블로워(30)와 빗물저장부(40)를 연결한다. 흡기관(34)의 일단부는 블로워(30)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빗물저장부(40)의 일측에 연결된다. 흡기관(34)이 연결되어 있는 빗물저장부(40)는 내관(10)을 거쳐 배출된 송풍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내부공간이 밀폐된다.
도 3과 도 4를 살펴보면, 빗물저장부(40)는 내관(10)과 외관(20)의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는 내관(1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빗물저장부(40)는 내관(10)을 통해서 흘러내려 오는 우산의 빗물을 담아낼 수 있는 물통(42)이 마련된다. 물통(42)은 빗물저장부(40)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며, 빗물저장부(40)에 물통(42)이 결합됨으로 인하여 빗물저장부(40)의 내부가 기밀하게 밀폐된다.
이처럼 빗물저장부(40)의 내부가 밀폐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관(10)을 거쳐 이동된 송풍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흡기관(34)을 통하여 블로워(30)로 회수된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산투입구(50)는 내관(10)과 외관(20)이 결합되어져 있는 상측에 구비된다. 우산투입구(50)는 내측이 비어 있으며, 우산투입구(50)의 비어 있는 내측은 내관(10)의 내부와 연결된다. 우산투입구(50)는 센서(52)와, 빗물털이막(54), 표시램프(56)를 구비한다.
센서(52)는 블로워(30)를 작동시켜 송풍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우산투입구(50)에 우산이 투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센서(52)는 우산투입구(50)의 내측 둘레에 구비되며, 센서(52)에 의하여 우산의 투입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블로워(30)를 작동시킨다.
빗물털이막(54)은 우산투입구(50)의 개방되어 있는 내측에 마련된다. 빗물털이막(54)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된다. 빗물털이막(54)은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그 사이로 우산을 투입하게 되면 플렉서블한 재질의 빗물털이막(54)이 우산의 투입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휘어지며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을 1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표시램프(56)는 우산투입구(50)의 상단에 마련된다. 표시램프(56)는 빛을 발광하는 램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LED램프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램프(56)는 블로워(30)의 작동 시 빛의 발광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우산이 건조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블로워(30)의 작동이 멈추면 표시램프(56)의 발광도 멈추게 되어 사용자에게 우산의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60)의 저면에는 우산건조기(100)이 이동의 용이함을 위하여 바퀴(62)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우산건조기 10:내관
12:돌기 14:토출구
20:외관 30:블로워
32:배기관 34:흡기관
40:빗물저장부 42:물통
50:우산투입구 52:센서
54:빗물털이막 56:표시램프
60:하우징 62:바퀴

Claims (5)

  1.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다수의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역 원추형의 내관(10)과;
    상기 내관(10)과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관(10)의 외측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내관(10)과 연결되어 있는 외관(20)과;
    송풍을 발생하는 블로워(30)와;
    상기 블로워(30)를 통하여 발생된 송풍을 상기 외관(20)과 내관(10)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블로워(30)와 상기 외관(20)을 연결하는 배기관(32)과;
    상기 내관(10)의 개방되어진 하단부와 기밀하게 연결되며 물통(42)이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빗물저장부(40)와;
    상기 빗물저장부(40)와 상기 블로워(30)를 연결하는 흡기관(34)과;
    상기 내관(1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우산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우산 투입 시 상기 블로워(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52)가 구비되어 있는 우산투입구(50)를 포함하는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30)는 상기 흡기관(34)을 통하여 송풍을 빨아드리고, 상기 배기관(32)을 통하여 송풍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10)의 둘레를 따라 피라미드 모양의 다수의 돌기(12)가 상기 내관(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돌기(12)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면에 상기 토출구(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투입구(50)의 내측에는 방사형으로 절단되어진 탄성재질의 빗물털이막(5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투입구(50)는 상기 블로워(30)의 작동여부를 빛의 발광을 통하여 나타내는 표시램프(5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1020150173864A 2015-12-08 2015-12-08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20170067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64A KR20170067327A (ko) 2015-12-08 2015-12-08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PCT/KR2015/013389 WO2017099266A1 (ko) 2015-12-08 2015-12-08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64A KR20170067327A (ko) 2015-12-08 2015-12-08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27A true KR20170067327A (ko) 2017-06-16

Family

ID=5901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864A KR20170067327A (ko) 2015-12-08 2015-12-08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67327A (ko)
WO (1) WO201709926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524B1 (ko) * 2018-12-04 2019-07-26 황인호 우산 건조 장치
KR20200076859A (ko) 2018-12-20 2020-06-30 김희윤 우산 건조기
KR20200140526A (ko) 2019-06-07 2020-12-16 김학열 우산탈수장치
KR20210051565A (ko) 2019-10-30 2021-05-10 김윤수 우산 건조 수납함이 있는 가방
KR102366780B1 (ko) * 2020-11-05 2022-02-23 백지수 우산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607B1 (ko) * 2019-05-24 2022-01-21 이경원 우산물기제거기
CN112484418A (zh) * 2020-12-05 2021-03-12 福建集成伞业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雨伞挂架及其烘干方法
CN112856959B (zh) * 2021-01-19 2022-07-29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基于超声波技术的智能环保型雨伞除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382B1 (ko) * 2010-08-26 2012-06-19 조기한 우산 건조 살균 시스템
KR101307885B1 (ko) * 2012-01-06 2013-09-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KR20150071860A (ko) * 2013-12-19 2015-06-29 이승명 자체순환열풍을 이용하는 우산건조장치
KR101583906B1 (ko) * 2014-02-21 2016-01-1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건조장치
KR101676966B1 (ko) * 2015-09-03 2016-11-17 조빛나 우산 탈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524B1 (ko) * 2018-12-04 2019-07-26 황인호 우산 건조 장치
KR20200076859A (ko) 2018-12-20 2020-06-30 김희윤 우산 건조기
KR20200140526A (ko) 2019-06-07 2020-12-16 김학열 우산탈수장치
KR20210051565A (ko) 2019-10-30 2021-05-10 김윤수 우산 건조 수납함이 있는 가방
KR102366780B1 (ko) * 2020-11-05 2022-02-23 백지수 우산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9266A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7327A (ko)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20150145995A (ko) 에어 스피드 건조대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KR20170099170A (ko) 우산 건조기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1583906B1 (ko) 우산 건조장치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CN107830587A (zh) 多功能除湿机器人
KR101249900B1 (ko) 우산 건조기
CN102818435A (zh) 雨伞烘干机
KR102017609B1 (ko) 우산 건조 장치
KR20160127924A (ko) 우산 건조기
US11466397B2 (en) Clothes dryer and method of drying clothes
KR20200049061A (ko) 친환경 우산 빗물제거장치
KR20150078370A (ko) 우산건조장치
KR20090006344U (ko) 우산 건조장치
KR101092386B1 (ko) 우산
KR20160093852A (ko) 살균 기능이 있는 우산건조기
KR20200082195A (ko) 친환경 원심 우산 탈수기
KR20190015425A (ko) 우산 드라이어
KR20190002073U (ko) 우산 건조장치
CN109137380A (zh) 壁装式洗衣机
KR20060098752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우산 탈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