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924A - 우산 건조기 - Google Patents

우산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924A
KR20160127924A KR1020150059413A KR20150059413A KR20160127924A KR 20160127924 A KR20160127924 A KR 20160127924A KR 1020150059413 A KR1020150059413 A KR 1020150059413A KR 20150059413 A KR20150059413 A KR 20150059413A KR 20160127924 A KR20160127924 A KR 2016012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ver
case
drying chamber
blow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식
Original Assignee
최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식 filed Critical 최동식
Priority to KR1020150059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7924A/ko
Publication of KR2016012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의 빗물의 제거와 건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발생하는 송풍모터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측에서 송풍모터와 연결되어 송풍모터로 부터 발생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커버와 이 커버와 간극을 갖도록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며, 역원추형 모양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건조실과 커버와 건조실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단면이 익형으로 커버의 공기가 건조실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노즐과 커버의 상단부에서 우산이 투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갖는 우산투입구와 케이스에서 건조실의 하단 개방구보다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물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산 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젖은 우산의 빗물의 제거와 건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나 눈이 올 경우에 외출을 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사용되어 왔고, 현재도 비나 눈에 의해서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하는 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우천 시 우산을 사용하고 실내로 들어가는 경우에 있어서 우산에 묻은 빗물이 실내에 떨어져 바닥을 더럽히게 되며, 사용자도 젖은 우산을 계속 휴대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실내로 들어오기 전에 우산을 흔들어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털어 내거나 별도로 배치된 우산꽂이에 꽂아 보관한다. 특히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출입문에 우산 보관비닐을 배치해둔다. 우산 보관비닐은 빗물에 젖은 우산을 비닐에 담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가 빗물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우산 보관비닐은 다시 실외로 나가게 될 시 우산에 씌워진 비닐을 벗겨 쓰레기통에 버리게 되며, 이는 자원낭비 및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된다. 더욱이, 우산의 원단에 빗물이 흡수 또는 묻은 채로 비닐을 씌워 보관하게 되므로 우산의 원단이나 살대가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빗물에 의해 부식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보관비닐을 지속적으로 구입 및 공급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감도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828410호에 '우산 탈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공기분사를 이용하여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우산 탈수장치는 우산에 공기의 분사가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 비용이 많이 들며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의 분사가 상부에서부터 하방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비에 젖은 우산의 빗물을 소정 시간내에 신속하고 완벽하게 제거하고 건조할 수 있는 우산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중 빗물제거 장치로 우산에 묻은 빗물을 이차에 걸쳐 확실하게 제거 할 수 있는 우산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는, 공기를 발생하는 송풍모터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측에서 송풍모터와 연결되어 송풍모터로 부터 발생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커버와 이 커버와 간극을 갖도록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며, 역원추형 모양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건조실과 커버와 건조실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단면이 익형으로 커버의 공기가 건조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노즐과 커버의 상단부에서 우산이 투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갖는 우산투입구와 케이스에서 건조실의 하단 개방구보다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물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우산투입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빗물털이막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커버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단면이 볼록한 곡면형상을 갖는 제 1노즐관과 건조실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 1노즐관의 상단 내측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 2노즐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우산투입구는 우산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우산투입구에는 송풍모터의 동작여부를 보여주는 표시램프를 구비하며, 케이스에는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송풍모터를 작동시키며, 정해진 타이머에 따라 송풍모터의 작동을 멈추고, 송풍모터의 동작여부에 따라 표시램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는, 건조실에서 공기가 사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유입되며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구조로 상부에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하방향으로 더욱 빠르게 이동하며 소정의 시간내에 우산에 묻은 빗물을 신속하고 말끔하게 제거하고 건조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에 설치된 빗물털이막으로 우산 표면의 빗물을 1차적으로 제거한 상태에서 공기분사를 통한 빗물의 2차 제거가 용이하며 이를 통하여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절단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우산 건조기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기를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기(1)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도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기(1)는 지면에 놓이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20)와 커버(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역원추형의 건조실(30)을 갖는다. 커버(20)와 건조실(30)의 상단에는 두 공간을 연결하는 노즐(40)과 우산이 투입되는 입구를 갖는 우산투입구(50)가 구비된다. 케이스(10)스 안에는 물통(60)과 공기를 발생시켜 커버(20)로 공급하는 송풍모터(7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지면에 놓이는 하단(10a)에 비하여 상단(10b)이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단(10b)의 경사가 하향진 부분을 전면, 상향 경사진 부분을 후면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는 특허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케이스(10)의 상판(10b)에는 공기배출홈(14)과 빗물배출홈(16)을 갖는다. 케이스(10)의 내측 상단에는 빗물이동통로(12)가 구비되며 빗물이동통로(12)의 일단은 빗물배출홈(16)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빗물이동통로(12)는 케이스(10)의 상판(10b)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단이 개방되어 빗물이 흘러 배출되도록 한다. 케이스의 전단은 개방되어 물통출입구(18)를 형성하며 케이스(10)의 후단에는 송풍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케이스(10)는 후술하는 물통(60)안의 수량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투명 케이스로 제작될 수도 있다.
커버(20)는 원통형의 관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방향의 일단은 개방되어 있다. 커버(20)의 타단부에는 케이스(10)의 공기배출홈(14)과 빗물배출홈(16)에 대응하는 공기배출홈(24)과 빗물배출홈(26)을 갖는다. 케이스(10)와 커버(20)의 각각의 공기배출홈(14, 24)과 빗물배출홈(16, 26)은 같은 동일한 사이즈와 위치를 갖도록 구비된다. 커버(20)는 케이스(10)의 상면에서 케이스(10)와 커버(20)의 공기배출홈(14, 24)과 빗물배출홈(16, 26)이 각각 연통되도록 고정된다.
건조실(3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양단은 개방되어 내부와 이어져 있다. 건조실(30)은 커버(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커버(20)와 간극을 갖도록 구비된다. 건조실(30)의 상단부의 외경은 커버(20)의 내측 외경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둘레가 점차 작아지는 대략 역원추형의 모양을 갖는다. 건조실(30)의 하단부는 케이스(10)와 커버(20)의 빗물배출홈(16, 26)을 통과하여 끼워 맞춤될 수 있는 둘레의 빗물배수구(32)가 형성된다.
노즐(40)의 단면적은 대략 익형을 갖는다. 노즐(40)은 커버(20)의 공기를 건조실(30)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또한 노즐(40)은 커버(2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건조실(30)로 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구조를 갖는다.
노즐(40)은 제 1노즐관(42)와 제 2노즐관(44)를 구비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 1노즐관(42)은 고정부(42a)와 만곡부(42b)로 구성되며 고정부(42a)는 커버(20)의 내측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만곡부(42b)는 고정부(42a)로 부터 연장되며 단면이 볼록한 곡면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 2노즐관(44)은 고정부(44a)와 굴곡부(44b)를 갖는다. 고정부(44a)는 건조실(30)의 외측 상단과 결합되어 있다. 굴곡부(44b)는 고정부(44a)에서 연장되어 지며 단면이 건조실(30)의 내측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굴곡부(44b)의 상단은 제 1노즐관(42)의 만곡부(42b)의 내측 상단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2와 도3, 도 5를 참조하면, 우산투입구(50)는 상부캡(52)과 빗물털이막(54), 감지센서(56), 표시램프(58)를 구비한다. 상부캡(52)은 단면이 계단모양으로 커버(20)의 내측에 끼워 맞춤된다. 상부캡(52)의 상단에는 표시램프(58)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램프(58)를 통하여 우산의 건조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부캡(58)의 내측에는 빗물털이막(54)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빗물털이막(54)의 내측 둘레에는 우산의 투입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56)가 구비된다.
빗물털이막(54)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털이막(54)은 중앙으로 부터 방사형으로 절단이 되어 있다. 절단되어져 있는 구멍으로 우산을 투입하게 되면 탄성재질의 빗물털이막(54)은 우산을 따라 하향으로 휘어지면서 우산의 빗물을 1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살펴보면, 물통(60)은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물통출입구(18)을 통하여 케이스(10)에 출입하게 된다. 물통(60)은 대략 직방형이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물통(60)의 전면에는 물통(60)을 넣고 빼기 쉽도록 손잡이(62)가 구비된다. 물통(60)이 케이스(10)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스(10)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빗물이동통로(12)의 타단부는 물통(60)의 내에 위치하여 건조실(30)로 부터 배출된 빗물이 빗물이동통로(12)를 따라 물통(60)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를 위하여 물통(60)은 건조실(30)의 빗물배수구(32)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송풍모터(70)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이다. 송풍모터(7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커버(20)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송풍모터(70)와 케이스(10)의 공기배출홈(14)를 연결하는 연결관(72)을 구비한다.
제어부(8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어부(80)는 우산투입구(50)로 들어오는 우산을 감지하는 감지센서(56)의 신호를 전달받아 송풍모터(70)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정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에는 송풍모터(70)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송풍모터(70)의 작동이 멈춘후에는 우산투입구(50) 상부의 표시램프(58)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우산의 빗물제거 및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아울러 제어부(8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물통(60)의 수량감지센서(미도시)가 물통(60)안의 물이 일정량 이상 찼을 시 보내는 신호를 전달받아 표시램프(58)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물통(60)안의 수량을 알 수 있도록 전달한다.
지금부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기를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빗물에 젖은 우산을 우산투입구(50)의 빗물털이막(54)의 홈에 삽입시킨다. 우산은 빗물털이막(54)을 통과하게 되며 탄성재질의 빗물털이막(54)은 우산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빗물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 이와 동시에 우산의 투입을 감지한 감지센서(56)의 신호를 제어부(80)가 전달받아 송풍모터(70)을 가동시킨다.
도 3과 도 4를 살펴보면, 송풍모터(70)의 가동으로 발생된 공기는 커버(20)로 이동하며 커버(20)의 내측과 건조실(30) 외측의 간극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한 공기는 노즐(40)의 제 1노즐관(42)과 제 2노즐관(44)이 형성하고 있는 볼록한 곡면을 지나 제 1노즐관(42)의 만곡부(42b)의 내측과 제 2노즐관(44)의 굴곡부(44b)의 외측이 인접하는 공기이동통로를 지나면서 빠른 속도로 통과하게 된다. 도면에서처럼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한 구조를 통하여 공기를 빠른 속도로 분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실(30)로 분사된 공기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우산의 빗물을 털어내며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역원추형인 건조실(30)을 통과하는 공기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다시 한 번 빠른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우산의 물기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우산에서 제거된 빗물은 건조실(30)의 외경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건조실(30)의 빗물배수구(32)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빗물은 빗물이동통로(12)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스(10)내부에 인입되어 있는 물통(60)에 쌓이게 된다.
우산이 투입되고 난 후 일정시간이 경과 후 송풍모터(70)의 가동이 끝나면 제어부(80)를 통하여 표시램프(58)를 작동시키고 사용자는 이를 보고 우산을 다시 빼내게 된다. 이때 상기 일정시간이라 함은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실험을 통하여 추출해낸 데이터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우산건조기 10 : 케이스
20 : 커버 30 : 건조실
40 : 노즐 50 : 우산투입구
60 : 물통 70 : 송풍모터
80 : 제어부

Claims (5)

  1. 공기를 발생하는 송풍모터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송풍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모터로부터 발생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간극을 갖도록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며, 역원추형 모양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건조실과;
    상기 커버와 상기 건조실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단면이 익형으로 상기 커버의 공기가 상기 건조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노즐과;
    상기 커버의 상단부에서 우산이 투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갖는 우산투입구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건조실의 하단 개방구보다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물통을 포함하는 우산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투입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빗물털이막을 포함하는 우산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커버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단면이 볼록한 곡면형상을 갖는 제 1노즐관과;
    상기 건조실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노즐관의 상단 내측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 2노즐관으로 구성된 우산 건조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투입구는 우산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우산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투입구에는 송풍모터의 동작여부를 보여주는 표시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송풍모터를 작동시키며, 정해진 타이머에 따라 상기 송풍모터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송풍모터의 동작여부에 따라 표시램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우산 건조기.
KR1020150059413A 2015-04-28 2015-04-28 우산 건조기 KR20160127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13A KR20160127924A (ko) 2015-04-28 2015-04-28 우산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13A KR20160127924A (ko) 2015-04-28 2015-04-28 우산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24A true KR20160127924A (ko) 2016-11-07

Family

ID=5752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13A KR20160127924A (ko) 2015-04-28 2015-04-28 우산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9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613A (ko) * 2018-11-26 2020-06-03 양승호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00140526A (ko) * 2019-06-07 2020-12-16 김학열 우산탈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613A (ko) * 2018-11-26 2020-06-03 양승호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00140526A (ko) * 2019-06-07 2020-12-16 김학열 우산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US11149371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400424B (zh) 衣物处理设备
WO2017099266A1 (ko)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CN101139791A (zh) 多功能衣物处理机
CN108852115B (zh) 自动洗手装置及洗手方法
CN101230531A (zh) 电动洗衣机
JP2019005577A (ja) 液体抽出装置および方法
KR20130124365A (ko) 세탁기
KR20160127924A (ko) 우산 건조기
KR20170099170A (ko) 우산 건조기
KR20150107700A (ko) 우산 탈수장치
KR101225761B1 (ko)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
KR101527602B1 (ko)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KR102134369B1 (ko) 다용도 자동 우산 건조기
KR101260242B1 (ko) 우산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KR20090085170A (ko) 우산 건조장치
KR101107523B1 (ko) 손건조기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KR101039166B1 (ko) 젖은 우산용 드라이어
KR20210025803A (ko) 우산 탈수장치
CN101555658B (zh) 衣物处理装置的芳香系统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