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602B1 -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 Google Patents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602B1
KR101527602B1 KR1020130020985A KR20130020985A KR101527602B1 KR 101527602 B1 KR101527602 B1 KR 101527602B1 KR 1020130020985 A KR1020130020985 A KR 1020130020985A KR 20130020985 A KR20130020985 A KR 20130020985A KR 101527602 B1 KR101527602 B1 KR 10152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air
water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848A (ko
Inventor
송정일
신장화
김창욱
김상진
전민승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602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우산(U)이 투입되어 지지되는 우산지지부재(20)와;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우산(U)이 수용되는 건조실(50)과;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에 물기를 털어내는 에어노즐(36)과; 상기 건조실(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공된 관(管)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건조실(5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산(U)의 절첩부(6) 사이에 삽입되어 우산골(7)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압축공기분사구(70)와; 상기 건조실(50)의 하부에 설치되며,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저장되는 저수통(80)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지지부재(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산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몸체(22)와; 상기 지지몸체(22)의 중앙에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산 본체를 수용하는 본체수용홀(26)과, 상기 본체수용홀(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부(6)가 분리 수용되는 절첩부삽입홀(28)로 이루어지는 우산지지홀(24)과;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의 내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우산 원단(5)과 밀착되어 물기를 제거하는 밀착부재(30);를 포함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지지홀에 삽입된 우산에 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우산골에 압축공기를 분사하고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구조로, 단시간에 우산의 물기를 말끔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산지지홀에 삽입되는 우산이 우산감지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되어 우산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저수통의 전면부에 수위감지부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외부에서 저수통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물넘침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Umbrella Drying Devices Using Air Nozzle}
본 발명은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마 또는 우천시 우산에 묻은 빗물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건조할 수 있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 건조장치에 의해 빗물이 제거되는 우산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손잡이로부터 길게 연장된 손잡이대와, 손잡이대의 선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살대와, 상기 손잡이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살대와 연결바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살대를 접거나 펼치는 슬라이더와, 각각의 상기 살대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된 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산은 펼침 동작을 버튼의 누름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우산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슬라이더를 잡고 밀어 펼침 동작이 이루어지는 수동우산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우산은 손잡이대의 텔레스코프식 신축이 2단 또는 그 이상의 단수로 이루어지는 다단우산과, 손잡이대의 신축이 없는 장우산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우산의 살대 길이나 살대의 수에 따라 또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우산의 원단은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재생비닐 등이 있는데 어떠한 원단이든 방수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장시간 비를 맞게 되면 원단에 다량의 빗물이 묻게 되는 것은 물론 빗물이 흡수되기도 한다.
이러한 우산을 건조시키는 장치는 한국공개특허 10-2012-0124134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우산 건조장치는 송풍팬에 의해 링블레이드에 공기가 분사되어 물기를 제거하는 구조 이루어진다.
이러한 우산 건조장치는 건조실의 내부에 우산이 정확히 파지되지 않아 우산이 일측으로 치우쳐 고정되며, 이로 인해 우산의 절첩부(6)가 겹쳐져 제대로 물기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산이 접혀진 상태로 우산 건조장치에 삽입되는 경우, 우산골이 절첩부에 의해 가려져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건조작업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노즐 및 압축공기분사구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자동으로 우산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우산이 투입되어 지지되는 우산지지부재와, 상기 우산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우산이 수용되는 건조실과, 상기 우산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에 물기를 털어내는 에어노즐과,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공된 관(管)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건조실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산의 절첩부 사이에 삽입되어 우산골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압축공기분사구와, 상기 건조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저장되는 저수통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지지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산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에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산 본체를 수용하는 본체수용홀과, 상기 본체수용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부가 분리 수용되는 절첩부삽입홀로 이루어지는 우산지지홀과, 상기 절첩부삽입홀의 내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우산 원단과 밀착되어 물기를 제거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기 지지몸체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송풍호스연결관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호스연결관은, 상기 절첩부삽입홀 사이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공기를 상기 우산지지부재에 안내한다.
상기 지지몸체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에어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노즐은, 상기 우산지지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우산지지부재의 내부에는, 송풍분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분지부는, 상기 송풍호스연결관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에어노즐로 분배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우산지지부재의 상부면에는, 우산이 장착됨을 감지하는 우산감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우산감지부재는 비접촉식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통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통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위감지부재가 더 구비된다.
삭제
상기 저수통의 하부면은,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에서 낙하하는 물이 전방으로 이송되어 배수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우산지지홀에 삽입된 우산에 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우산골에 압축공기를 분사하고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구조로, 단시간에 우산의 물기를 말끔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산지지홀에 삽입되는 우산이 우산감지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되어 우산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저수통의 전면부에 수위감지부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외부에서 저수통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물넘침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에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우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산지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산지지부재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산지지부재와 건조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에 우산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에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우산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와, 손잡이(1)로부터 길게 연장된 손잡이대(2)와, 손잡이대(2)의 선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살대(3)와, 상기 손잡이대(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살대(3)와 연결바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살대를 접거나 펼치는 슬라이더(4)와, 각각의 살대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된 원단(5)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접혀진 우산(U)인 경우, 상기 살대(3)가 손잡이대(2) 측으로 이동되며, 원단(5)이 접혀져 절첩부(6)가 형성된다. 상기 절첩부(6)와 절첩부(6) 사이에는 우산골(7)이 형성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산지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산지지부재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산지지부재와 건조실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우산(U)이 투입되어 지지되는 우산지지부재(20)와,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우산(U)이 수용되는 건조실(50)과,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에 물기를 털어내는 에어노즐(36)과, 상기 건조실(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공된 관(管)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건조실(5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산(U)의 절첩부(6) 사이에 삽입되어 우산골(7)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압축공기분사구(70)와, 상기 건조실(50)의 하부에 설치되며,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저장되는 저수통(80)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지지부재(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산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몸체(22)와, 상기 지지몸체(22)의 중앙에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산 본체를 수용하는 본체수용홀(26)과, 상기 본체수용홀(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부(6)가 분리 수용되는 절첩부삽입홀(28)로 이루어지는 우산지지홀(24)과,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의 내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우산 원단(5)과 밀착되어 물기를 제거하는 밀착부재(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인 프레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외부 충격으로 부터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에는 경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2)는 일정한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이 보다 쉽게 확인된다. 상기 경사부(12)의 상부면에는 우산지지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우산지지부재(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산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몸체(22)와, 상기 지지몸체(22)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우산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우산지지홀(24)과, 상기 우산지지홀(24)의 내부에 설치되며 우산 원단(5)과 밀착되어 물기를 제거하는 밀착부재(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몸체(22)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몸체(22)는 우산(U)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몸체(22)의 상부면에는 우산지지홀(24)이 형성된다. 상기 우산지지홀(24)은, 상기 지지몸체(22)의 중앙에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산 본체를 수용하는 본체수용홀(26)과, 상기 본체수용홀(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부(6)가 수용되는 절첩부삽입홀(2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수용홀(26)은 상기 지지몸체(22)의 중앙에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수용홀(26)의 내부에는 우산(U)의 손잡이대(2)와 원단(5)이 삽입된다.
상기 본체수용홀(26)의 외측에는 절첩부삽입홀(28)이 형성된다.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은 상기 본체수용홀(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45°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은 방사상으로 길게 관통되게 형성되어, 우산(U)의 절첩부(6)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의 내부에는 밀착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밀착부재(30)는 도 3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30)는 톱니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재(30)는 상기 절첩부(6)와 표면과 밀착되어 상기 절첩부(6)의 표면에 물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내부에는 송풍분지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분지부(32)는 상기 절첩부삽입홀(28)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22)에 부채꼴 형상으로 중공되게 형성된다. 상기 송풍분지부(32)는 상기 본체수용홀(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분지부(32)은 후술할 송풍팬(62)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다수의 에어노즐(36)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송풍호스연결관(34)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호스연결관(34)는 각각의 상기 송풍분지부(32)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호스연결관(34)은 일반적인 호스연결관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송풍호스연결관(34)은 상기 송풍분지부(32)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분지부(32)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에어노즐(36)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노즐(36)은 일반적인 공기분사노즐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어노즐(36)은 상기 송풍분지부(32)를 따라 다수개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에어노즐(36)은, 도 4와 같이,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의 중심선(LC)을 기준으로 45°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에어노즐(36)은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U) 원단(5)의 물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상부면에는 우산감지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우산감지부재(40)는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중앙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우산감지부재(40)는 비접촉식센서가 사용되며, 상기 우산지지홀(24)에 우산(U)이 장착되는 감지한다.
상기 우산감지부재(40)는 컨트롤러(42)와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러(42)는 상기 우산감지부재(40)에 의해 우산(U)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42)는 후술할 송풍팬(62) 및 압축공기분사부재(74)를 작동시켜 우산(U)의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 지지몸체(22)의 하부에는 건조실(50)이 설치된다. 상기 건조실(50)은 상측은 중공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은 꼬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건조실(50)의 내부에는 우산(U)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건조실(50)의 하부에는 배출구(5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52)는 중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하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52)는, 상기 건조실(50) 내부의 물기를 상기 건조실(5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건조실(5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송풍호스삽입홀(54)이 형성된다. 상기 송풍호스삽입홀(54)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50)의 중심축(C)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45°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송풍호스삽입홀(54)를 통해 후술할 송풍호스(56)가 상기 건조실(50)의 외부에서 상기 건조실(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송풍호스삽입홀(54)의 내부에는 송풍호스(56)가 삽입된다. 상기 송풍호스(56)는 일반적인 플렉시블 호스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송풍호스(56)는 일단이 상기 송풍호스연결관(34)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분지부(58)에 연결된다. 상기 송풍호스(56)는 후술할 송풍팬(62)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상기 송풍호스연결관(34)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호스(56)는 분지부(58)에 연결된다. 상기 분지부(58)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유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분지부(58)의 배출홀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송풍팬(62)의 성능에 따라 작업자가 다양한 갯수를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분지부(58)의 우측면에는 메인공급관(6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공급관(60)은 내부가 중공된 관(管)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분지부(58)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송풍팬(62)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공급관(60)은 후술할 송풍팬(62)의 공기를 상기 분지부(58)에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공급관(60)의 하부에는 송풍팬(62)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62)은 일반적인 팬(Fan)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송풍팬(62)에 의해 공기가 발생되어, 상기 메인공급관(60)에 공기가 송풍된다.
상기 건조실(50)의 상측에는 압축공기분사구(7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구(70)는 중공된 관(管)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구(70)는,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수용홀(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45°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구(70)는 상기 절첩부삽입홀(28) 사이에 설치되어 우산(U)의 우산골(7)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구(70)의 일측에는 분사호스(72)가 설치된다. 상기 분사호스(72)는 일반적인 플렉시블 호스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분사호스(72)의 일단은 상기 압축공기분사구(7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압축공기분사부재(74)에 연결된다. 상기 분사호스(72)는 후술할 압축공기분사부재(74)에서 발생시키는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분사구(70)에 안내한다.
상기 분사호스(72)이 하부에는 압축공기분지부(73)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지부(73)는 일반적인 분지관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공기분지부(73)는 후술할 압축공기분사부재(74)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여 다수의 상기 분사호스(72)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공기분지부(73)의 하부에는 압축공기분사부재(74)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74)는 일반적인 콤프레셔(Compresso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74)는 상기 분사호스(72)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건조실(50)의 하부에는 저수통(80)이 설치된다. 상기 저수통(80)은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52)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실(50)의 물기가 저장된다.
상기 저수통(80)은 전면에는 수위감지부재(82)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부재(82)는 일반적인 플로터형 수위감지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위감지부재(82)는 전자식 수위감지기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수위감지부재(82)는 상기 저수통(8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눈금이 상승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저수통(8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저수통(80)의 전면에는 배수홀(84)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84)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저수통(8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배수홀(84)에는 내부에는 고무마개(85)가 장착되어, 상기 배수홀(8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우산지지부재(20)의 우산지지홀(24)에 우산(U)을 삽입한다. 우산(U)은 손잡이대(2)와 살대(3) 그리고 일부 원단(5)이 본체수용홀(26)에 삽입되고, 절첩부(6)가 절첩부삽입홀(28)에 삽입된다.
상기 절첩부(6)가 절첩부삽입홀(28)에 삽입되면,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착부재(30)가 절첩부(6)의 원단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부재(30)에 의해 우산(U)의 절첩부(6)가 지지되고, 우산(U)이 상기 우산지지홀(24)에서 배출될 때, 절첩부(6)의 물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산지지홀(24)의 내부에 우산(U)이 삽입되면, 우산감지부재(40)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2)에 우산감지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컨트롤러(42)는 송풍팬(62)과 압축공기분사부재(74)를 작동시킨다.
상기 송풍팬(62)에 의해 공기가 발생되면, 상기 송풍팬(62)과 연결된 분지부(58)에 공기가 공급되고, 송풍호스(56)를 통해 지지몸체(22)의 내부에 형성된 송풍분지부(32)에 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송풍분지부(32)에 공기가 공급되면, 하부에 연결된 에어노즐(36)을 통해 우산(U)의 외주면에 공기가 경사지게 분사된다. 상기 에어노즐(36)은 절첩부(6)가 삽입되는 상기 절첩부삽입홀(28)에 대해 45°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절첩부(6)의 45°각도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노즐(36)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우산(U)의 물기는 건조실(50)의 하부방향으로 털어진다.
또한, 우산골(7)은 접혀지는 부분으로 물기가 잘 털리지 않으므로, 우산골(7)에 압축공기분사구(70)가 설치된다. 다수개의 상기 압축공기분사구(70)는 우산골(7)에 각각 설치되어, 압축공기분사부재(74)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우산골(7)에 분사하여 물기를 털어낸다.
따라서, 강력한 압축공기에 의해 우산골(7)의 물기를 깨끗하게 제거 할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36)과 상기 압축공기분사구(70)에 의해 우산(U)에서 제거된 물기는 상기 건조실(50)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구(52)을 통해 상기 저수통(80)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저수통(80)의 전면에 설치된 수위감지부재(82)를 통해 상기 저수통(80)의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정량 이상의 물이 저수통에 저장되면, 배수홀(84)의 고무마개(85)를 제거하여 상기 저수통(8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경사면
20. 우산지지부재 22. 지지몸체
24. 우산지지홀 26. 본체수용홀
28. 절첩부삽입홀 30. 밀착부재
32. 송풍분지부 34. 송풍호스연결관
36. 에어노즐 40. 우산감지부재
50. 건조실 56. 송풍호스
62. 송풍팬 70. 압축공기분사구
74. 압축공기분사부재 80. 저수통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우산(U)이 투입되어 지지되는 우산지지부재(20)와;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우산(U)이 수용되는 건조실(50)과;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에 물기를 털어내는 에어노즐(36)과;
    상기 건조실(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공된 관(管)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건조실(5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산(U)의 절첩부(6) 사이에 삽입되어 우산골(7)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압축공기분사구(70)와;
    상기 건조실(50)의 하부에 설치되며,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저장되는 저수통(80)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지지부재(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산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몸체(22)와;
    상기 지지몸체(22)의 중앙에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산 본체를 수용하는 본체수용홀(26)과, 상기 본체수용홀(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부(6)가 분리 수용되는 절첩부삽입홀(28)로 이루어지는 우산지지홀(24)과;
    상기 절첩부삽입홀(28)의 내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우산 원단(5)과 밀착되어 물기를 제거하는 밀착부재(30);를 포함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22)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송풍호스연결관(34)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호스연결관(34)은, 상기 절첩부삽입홀(28) 사이에 설치되어 송풍팬(62)의 공기를 상기 우산지지부재(20)에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22)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에어노즐(36)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노즐(36)은, 상기 우산지지홀(24)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내부에는, 송풍분지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분지부(32)는, 상기 송풍호스연결관(34)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에어노즐(36)로 분배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지지부재(20)의 상부면에는,
    우산이 장착됨을 감지하는 우산감지부재(40)가 설치되며, 상기 우산감지부재(40)는 비접촉식센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80)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통(80)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위감지부재(8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80)의 하부면(81)은,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50)에서 낙하하는 물이 전방으로 이송되어 배수홀(8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KR1020130020985A 2013-02-27 2013-02-27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KR10152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85A KR101527602B1 (ko) 2013-02-27 2013-02-27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85A KR101527602B1 (ko) 2013-02-27 2013-02-27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48A KR20140106848A (ko) 2014-09-04
KR101527602B1 true KR101527602B1 (ko) 2015-06-10

Family

ID=5175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985A KR101527602B1 (ko) 2013-02-27 2013-02-27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6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03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10006180A (ko) 2019-07-08 2021-01-18 영신기전공업(주) 우산 빗물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82B1 (ko) * 2018-10-11 2019-04-29 (주)스페이스링크 제트 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자동 우산건조기
KR102158570B1 (ko) * 2018-11-22 2020-09-2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우산털이
CN110250684B (zh) * 2019-06-20 2020-12-04 山东天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雨伞伞骨固定沥水装置
CN113350037A (zh) * 2021-07-15 2021-09-07 李丹 一种耳科临床洗耳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764A (ja) * 1992-10-19 1994-05-13 Nippon Avionics Co Ltd 雨傘水滴除去装置
JPH11132655A (ja) * 1997-10-29 1999-05-21 Hokuetsu Kogyo Co Ltd 傘乾燥機
JP2004251529A (ja) * 2003-02-20 2004-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傘脱水機
KR20120109795A (ko) * 2011-03-28 2012-10-09 조혜수 우산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764A (ja) * 1992-10-19 1994-05-13 Nippon Avionics Co Ltd 雨傘水滴除去装置
JPH11132655A (ja) * 1997-10-29 1999-05-21 Hokuetsu Kogyo Co Ltd 傘乾燥機
JP2004251529A (ja) * 2003-02-20 2004-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傘脱水機
KR20120109795A (ko) * 2011-03-28 2012-10-09 조혜수 우산 탈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03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134426B1 (ko) * 2018-10-22 2020-07-15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10006180A (ko) 2019-07-08 2021-01-18 영신기전공업(주) 우산 빗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48A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602B1 (ko)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ES2369374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productos textiles con un dispositivo de limpieza ultrasónica.
US7516565B1 (en) Steam channeling structure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KR200393832Y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170099170A (ko) 우산 건조기
AU2009100238A4 (en) Steam channeling structure
KR101260242B1 (ko) 우산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170097939A (ko)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우산 건조 장치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KR102134369B1 (ko) 다용도 자동 우산 건조기
KR100965746B1 (ko) 손 세정액 디스펜서
ITMI990443A1 (it) Accessorio almeno in parte flessibile per asciugacapelli atto a modificare la sezione di passaggio del flusso d'aria generato dall'asciugaca
KR20200142920A (ko) 우산 건조장치
KR102176916B1 (ko)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CN110042639B (zh) 一种便捷式衣物熨烫机
KR20160127924A (ko) 우산 건조기
ES2869966T3 (es) Depósito de condensación para una secadora de ropa con un dispositivo para la extracción del condensado
KR20100006488U (ko) 우산 탈수장치
KR20210025803A (ko) 우산 탈수장치
KR102426506B1 (ko) 제트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KR19980063840U (ko) 우산건조기
KR20060098752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우산 탈수기
KR102538083B1 (ko) 스팀분사헤드를 이용한 모자 다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