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795A - 우산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795A
KR20120109795A KR1020110027375A KR20110027375A KR20120109795A KR 20120109795 A KR20120109795 A KR 20120109795A KR 1020110027375 A KR1020110027375 A KR 1020110027375A KR 20110027375 A KR20110027375 A KR 20110027375A KR 20120109795 A KR20120109795 A KR 2012010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air
water
suc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수
Original Assignee
조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혜수 filed Critical 조혜수
Priority to KR102011002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9795A/ko
Publication of KR2012010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을 탈수시키는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팬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우산 외피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는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는, 우산이 수납되도록 입구부가 본체케이스의 외측에 노출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내통과 이 내통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의 외통이 결합된 복수개의 우산탈수통과, 상기 각 우산탈수통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우산 탈수통의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흡입팬과, 상기 우산 탈수통에서 흡입된 물과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물은 저장되고 공기는 배출되도록 일측에 상기 각 흡입팬의 토출구에서 연장된 토출관이 연결되고 타측에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물저장통이 구비된 것으로, 우산 탈수통에 수납되는 우산의 물기를 강한 흡입력으로 빨아들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우산 탈수장치{umbralla}
실용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을 탈수시키는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팬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우산 외피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는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우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수의 사람이 운집하는 공공장소나 건물의 내부로 들어갈 때, 우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산을 들고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런데, 우산을 바로 사용한 직후에는 우산의 외피가 빗물에 젖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실내로 들어갈 경우 실내 바닥에 물방울이 떨어져 바닥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에는 건물의 입구에 우산보관대나 양동이와 같은 그릇을 비치하여, 건물에 들어오는 사용자로 하여금 우산을 보관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건물의 입구에 비닐봉지를 비치하여 사용자가 우산을 담아 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빗물에 의한 실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우산보관대 설치공간의 문제나 이용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인원이 모이는 극장이나, 백화점, 터미널 등에서는 고객의 수를 충당할 수 없어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에는 자원의 낭비가 될 뿐만 아니라 비닐봉지로 인하여 쓰레기의 양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산의 물기를 강제 탈수시키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우산 탈수장치는 측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통이 구비되고, 탈수통의 하측에는 이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가 설치된 것이다. 즉, 종래의 우산 탈수장치는 탈수통의 상부에 마련된 우산투입구에 우산을 넣고, 탈수통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우산에 묻어 있는 물방울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우산 탈수장치는 탈수통이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우산이 튀어나오는 등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가 복잡하고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는 우산 탈수통의 내부에 강한 흡입기류를 형성시킴으로써, 우산 묻어 있는 물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산의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우산 탈수통이 복수개로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우산을 동시에 탈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전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후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부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우산이 수납되도록 입구부가 본체케이스의 외측에 노출되며 벽면에 공기가 유통되도록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내통과, 이 내통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 마련되며 하부에 공기가 빨려나가는 출구가 형성된 외통이 결합된 복수개의 우산 탈수통과, 상기 각 우산탈수통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우산 탈수통의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흡입팬과, 상기
우산 탈수통에서 흡입된 물과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물은 저장되고 공기는 배출되도록 일측에 상기 각 흡입팬의 토출구에서 연장된 토출관이 연결되고 타측에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물저장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탈수장치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우산을 동시에 탈수시킬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 복수개의 우산 탈수통(20a,20b,20c)이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각 우산탈수통(20a,20b,20c)의 하측 후단부에는 우산 탈수통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흡입팬(30a,30b,30c)이 설치된다. 또한, 우산 탈수통의 하부에는 우산 탈수통으로부터 유입된 물과 공기가 상호 분리되어, 물은 내부에 저장되고 공기는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물저장통(40)이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우산 탈수통(20a,20b,20c)은 우산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가 긴 원통상의 내통(21)이 구비되고, 내통(21)의 외측에는 내통(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통(21)을 감싸 밀폐구조를 이루는 외통(22)이 마련된다. 여기에서 내통(21)은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통(21)의 입구부(21b)는 입구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내면이 경사면(21c)을 이루게 된다. 이는 우산의 탈수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우산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외통(22)과 내통(21)이 결합되게 되면 이들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공간은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흐르는 흡입유로(23)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유로(23)의 입구부에는 내통(21)과 외통(22)을 상호 결합시키는 플랜지부(24)가 설치되며, 이 플랜지부(24)에는 흡입유로(23)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외기유입공(25)이 형성된다. 이는 내통(21)에 우산이 끼
워졌을 때, 우산의 외피가 흡입력에 의해 펼쳐지게 되고, 이로 인해 내통(21)의 입구부(21b) 유로가 차단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외기유입공(25)을 통해 우산 탈수통(20a,20b,20c)의 내측으로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외통(22)의 후단부 하측에는 각 우산 탈수통(20a,20b,20c)의
내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출구(26)가 형성되고, 이 출구(26)에는 각각의 우산탈수통(20a,20b,20c)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30a,30b,30c)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우산 탈수통(20a,20b,20c)은 내측에 흐르는 물기가 출구(26)쪽으로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θ)만큼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출구(26)가 형성된 후단부의 높이가 입구부(21b)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위치가 되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팬(30a,30b,30c)은 흡입력 발생되도록 다수의 날개로 구성된 팬(31)과, 이 팬(31)의 외면을 감싸 와류실을 형성하며 외주부에 토출구(32)가 형성된 케이싱(33)과, 상기 팬(31)을 회전시키는 모터(3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팬(31)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유체에 함유된 수분과 흡입양정등을 고려할 때, 유체가 중심부로 유입되어 외주방향으로 토출되는 원심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입팬(30a,30b,30c)의 토출구(32)에는 우산 탈수통에서 흡입된 물과 공기를 물저장통(40)으로 안내하는 토출관(35)이 설치된다.
흡입팬(30a,30b,30c)이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0)의 후단부에는 복수의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식혀질수 있도록 내부 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환기구(10a)가 형성된다. 이 환기구(10a)는 본체케이스(10)의 후면과 상면에 각각 형성되어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배출되면서 모터(34)를 식혀주게 된다.
상기 물저장통(40)은 우산 탈수통(20a,20b,20c)의 하부에 설치되며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사각의 통으로 구비된다. 이 물저장통은 흡입팬(30a,30b,30c)의 구동에 의해 물과 함께 유입된 외부 공기가 물저장통(40)의 내부 공간을 경유하면서 상호 분리되게 되고, 이 때 공기는 배출되고 물만 저장되게 된다. 이 물저장통(4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각 흡입팬의 토출구(32)에서 연장된 복수의 토출관(35)이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게 설치되고, 타측 상부에는 물저장통(40)으로 유입된 물과 공기 성분 중에서 공기만이 배출되는 공기배출구(41)가 형성된다. 이 공기배출구(41)는 본체케이스(10)의 외측과 연통되어 분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공기배출구(41)의 크기는 물저장통(40)의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토출관(35)의 단면적을 합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물저장통(40) 내부를 경유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저장통(40)의 내측으로 연장된 토출관(35)과 공기가 빠져나가는 공기배출구(41)는 되도록 멀리 떨어지게 구성하여 토출관(35)으로 유입된 유체가 공기배출구(41)쪽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물과 공기로 분리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저장통(40)의 하단부 일측에는 물저장통(40)의 내부에 모인 물을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배수관(50)이 설치된다. 이 배수관(50)은 본체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장이 되며, 연장된 단부에는 배수관(50)을 개폐하는 배수밸브(51)가 설치된다. 또한, 물저장통(40)의 일측방에는 물저장통(40)에 모이는 수위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42)이 마련되고, 이 투명창(42)이 형성된 부분과 인접되는 본체케이스(10)에는 투명창(42) 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개부(10b)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는 우산 탈수통(20a,20b,20c)이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 우산 탈수통에는 각각 별도의 흡입팬(30a,30b,30c)이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우산 탈수통에 우산을 넣었을 때 우산이 진입된 우산 탈수통과 연계가 되는 흡입팬 만 가동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각 우산 탈수통의 입구부에는 우산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7a,27b,27c)가 설치되고, 본체케이스(10)의 내측 적소에는 감지센서(27a,27b,27c)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각 흡입팬(30a,30b,30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90)가 설치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젖은 우산을 우산 탈수통(20a,20b,20c)의 내부에 밀어 넣게 되면, 우산탈수통의 입구부에 설치된 감지센서(27a,27b,27c)가 감지되고, 이 감지센서의 정보를 토대로 제어부(90)에서는 우산이 진입된 우산 탈수통과 연계된 흡입팬을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우산이 진입된 우산 탈수통에는 강한 흡입력이 발생되고, 외부공기는 우산 탈수통의 입구부(21b)와 외기유입공(25)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흡입팬(30a,30b,30c), 토출관(35), 물저장통(40), 공기배출구(41)를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는 우산 탈수통의 흡입유로(23)와 내통(21)의 내부를 흐르는 강한 흡입 기류에 의해 외부공기와 함께 출구(26)쪽으로 빨려 들어가게 됨으로써 탈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우산에서 탈수된 물기를 함유한 채 물저장통(4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물저장통(40)의 내부공간을 거치면서 물과 공기로 분리되어 물은 물저장통(40)의 내측에 모이게 되고, 공기는 공기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물저장통(40) 내에 빗물이 일정량 이상 모이게 되면, 배수관(50)의 단부에 마련된 배수밸브(51)를 열어 물을 배출시키면 된다. 이 때 사용자는 물저장통(40)의 일측에 마련된 투명창(42)을 통해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케이스, 20a,b,c: 우산 탈수통,
27a,b,c: 감지센서, 30a,30b,30c: 흡입팬,
35: 토출관, 40: 물저장통,
41: 공기배출구, 42: 투명창

Claims (5)

  1. 내부에 우산이 수납되도록 입구부가 본체케이스(10)의 외측에 노출되며 벽면에 공기가 유통되도록 다수의 탈수공(21a)이 형성된 내통(21)과, 이 내통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 마련되며 하부에 공기가 빨려나가는 출구(26)가 형성된 외통(22)이 결합된 복수개의 우산 탈수통(20a,20b,20c)과, 상기 각 우산탈수통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우산 탈수통의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흡입팬(30a,30b,30c)과, 상기 우산 탈수통에서 흡입된 물과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물은 저장되고 공기는 배출되도록 일측에 상기 각 흡입팬에서 연장된 토출관(35)이 연결되고 타측에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41)가 형성된 물저장통(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우산 탈수통은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외통의 내면과 상기 내통의 외면은 상호 이격되어 흡입유로(23)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유로의 입구부에는 외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다수의 외기유입공(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우산 탈수통의 입구부에는 우산의 진입여부를 제어부(90)에 전달하여 상기 각 흡입팬을 제어하도록 감지센서(27a,27b,27c)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통(4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물저장통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42)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투명창과 인접된 부분에 절개부(1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후단부에는 상기 흡입팬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도록 외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환기구(1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KR1020110027375A 2011-03-28 2011-03-28 우산 탈수장치 KR20120109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375A KR20120109795A (ko) 2011-03-28 2011-03-28 우산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375A KR20120109795A (ko) 2011-03-28 2011-03-28 우산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795A true KR20120109795A (ko) 2012-10-09

Family

ID=4728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375A KR20120109795A (ko) 2011-03-28 2011-03-28 우산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97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02B1 (ko) * 2013-02-27 2015-06-1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CN110873520A (zh) * 2018-09-03 2020-03-10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烘干储存装置
CN113883861A (zh) * 2021-11-15 2022-01-04 桃源县君和野茶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茶叶加工的高效烘焙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02B1 (ko) * 2013-02-27 2015-06-1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CN110873520A (zh) * 2018-09-03 2020-03-10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烘干储存装置
CN110873520B (zh) * 2018-09-03 2021-09-14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烘干储存装置
CN113883861A (zh) * 2021-11-15 2022-01-04 桃源县君和野茶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茶叶加工的高效烘焙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20120109795A (ko) 우산 탈수장치
WO2017099266A1 (ko)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CN106246600A (zh) 离心鼓风机
ES2373103T3 (es) Aparato para la recogida de polvo y aspiradora que incorpora este aparato.
KR20200142840A (ko) 의류 관리기
CN107830587A (zh) 多功能除湿机器人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ES2394237T3 (es) Secadora de ropa de condensación con recipiente colector de condensado
KR101249900B1 (ko) 우산 건조기
CN111588327A (zh) 排水组件、洗涤设备及其排水方法
KR19990081528A (ko) 우산 탈수장치
KR101307885B1 (ko) 다단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JP2008032248A (ja) 風路における異物除去装置
CN214437809U (zh) 气液分离装置、污水箱及表面清洁装置
KR19990081526A (ko) 우산 탈수장치
KR19990081525A (ko) 우산 탈수장치
KR19990081523A (ko) 우산 탈수장치
KR19990081527A (ko) 우산 탈수장치
KR19990081524A (ko) 우산 탈수장치
CN103654628B (zh) 吸尘器
KR101583075B1 (ko) 드럼통 세척액 회수 및 세척 볼의 세척장치
KR102134426B1 (ko)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190002073U (ko) 우산 건조장치
CN104368225A (zh) 一种用于空压机的气水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