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180A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6180A KR20210006180A KR1020190082158A KR20190082158A KR20210006180A KR 20210006180 A KR20210006180 A KR 20210006180A KR 1020190082158 A KR1020190082158 A KR 1020190082158A KR 20190082158 A KR20190082158 A KR 20190082158A KR 20210006180 A KR20210006180 A KR 202100061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sorbing sheet
- umbrella
- module
- moisture absorbing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0—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우산이 펼쳐진 상태로 케노피가 출입하도록 전면부를 개방하는 타워형으로 형성하고 이동수단(111)을 구비하는 본체(110); 본체(110)의 좌측 내부에 설치하여 제1구동롤러(121)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모듈; 본체(110)의 우측 내부에서 제1구동모듈에 대칭하도록 설치하여 제2구동롤러(131)를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구동모듈; 본체(110)의 좌측 상, 하부에 설치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1방향전환모듈; 본체(110)의 우측 상, 하부에서 제1방향전환모듈에 대칭하도록 설치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2방향전환모듈; 제1구동모듈 및 제1방향전환모듈에 감아져 일 방향으로 순환하고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케노피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구동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에 감아져 타 방향으로 순환하고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케노피의 타측과 접촉하는 제2흡습시트(17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비에 젖은 우산의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에 젖은 우산의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우산의 형태에 관계 없이 신속한 빗물 제거작업을 수행하여 실내에서 우산을 취급시 쾌적한 사용상태를 도모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 또는 강설 시 사용하는 도구인 우산은 손잡이가 부착되는 우산대를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 스프레더 및 살을 형성하고 방수천 또는 비닐로 이루어진 캐노피를 씌워 눈, 비를 차단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우산의 종류는 그 형태에 따라서 기본적인 1단 장우산은 물론, 우산의 살 및 자루를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휴대성을 가지는 2단, 3단 우산 등이 있다. 우산은 캐노피를 펼친 상태에서 눈, 비가 외주연으로 쉽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하여 정점을 중심으로 외측 팁들을 향해 유선형으로 만곡 또는 경사지게 살을 형성한다.
우산의 캐노피는 재질 또는 코팅 상태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사용 후 표면에 물기가 잔존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특히 우산을 사용한 직후 접은 상태에서는 절첩 부위에 수분이 다량 유입된 상태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우산을 사용 즉시 실내에서 취급할 경우 케노피에 잔존하거나 흘러내리는 수분으로 인해 옷에 물기가 스며들어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바닥을 적셔 미끄럼 사고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젖은 우산을 포장하는 비닐을 출입구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나 일회용 비닐의 남용으로 인한 경제적, 환경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우산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개시된바, 일례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33922 호에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향개구된 우산투입구를 가지며 우산건조시 배기구를 통해 내부 공기가 강제배기되는 케이싱과, 우산투입구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며 우산투입구의 형상을 우산의 횡단면 형상으로 되게 하는 빗물제거판과, 케이싱의 내부에 우산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우산이 삽입고정되는 우산삽입공과, 우산에서 제거된 빗물을 하향이동시키는 물통과공이 형성된 우산지지판과,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관연결되어 케이싱내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흡입본체로 이루어지는 우산건조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97717 호에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배수구에 대응되게 배치된 물받이와, 본체부의 상부 개구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에 우산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둘레에 경사지게 배치된 다수의 홀들 및 홀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노즐과 상측에 배치된 살균기를 구비한 우산 수용부와, 본체부와 우산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며 홀들을 통해 상기 우산 수용부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송출하는 터보 팬을 포함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27602 호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우산이 투입되어 지지되되 우산 본체를 수용하는 본체수용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우산의 절첩부가 분리 수용되는 절첩부삽입홀로 이루어지는 우산지지홀을 구비하는 우산지지부재와, 우산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우산이 수용되는 건조실과, 우산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에 물기를 털어내는 에어노즐과, 중공된 관 형상을 가지며 건조실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우산의 절첩부 사이에 삽입되어 우산골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구와, 건조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저장되는 저수통을 포함하는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예컨대 도 15에서와 같이 젖은 우산을 수용하는 장치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습기를 배출하거나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건조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장치는 젖은 우산에 공기를 흡입 또는 분사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사실상 단시간에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은 장치 본체에 우산을 접은 상태로 삽입하여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2단, 혹은 3단 우산과 같이 우산살이 절첩되는 형태의 우산을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우산살 사이의 절첩부와 같은 사각지대에 바람이 미치지 못하거나, 우산의 상부와 수분이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하부의 건조 속도에서 차이가 불가피가여 건조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내포한다.
아울러, 다른 예로든 종래 기술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우산의 절첩부에 상응하여 분사구를 삽입하도록 하는 구조를 구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는 우산의 형태별로 우산살의 개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반영하기 어렵고 사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우산이 펼쳐진 상태로 케노피가 출입하도록 전면부를 개방하는 타워형으로 형성하고 이동수단(111)을 구비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좌측 내부에 설치하여 제1구동롤러(121)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모듈;
상기 본체(110)의 우측 내부에서 제1구동모듈에 대칭하도록 설치하여 제2구동롤러(131)를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구동모듈;
상기 본체(110)의 좌측 상, 하부에 설치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1방향전환모듈;
상기 본체(110)의 우측 상, 하부에서 제1방향전환모듈에 대칭하도록 설치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2방향전환모듈;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1방향전환모듈에 감아져 일 방향으로 순환하고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케노피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흡습시트(160); 및
상기 제2구동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에 감아져 타 방향으로 순환하고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케노피의 타측과 접촉하는 제2흡습시트(17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비에 젖은 우산의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의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실내에서 우산을 취급시 쾌적하고 안전한 사용상태를 도모하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차별하여 우산의 형태, 즉 1단 내지 3단 우산이나 우산살의 개수에 관계없이 간편한 사용 방식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의 종류별로 상이한 만곡 형상에 따라서 케노피의 표면 전반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신속하게 빗물 제거작업을 수행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바람을 이용하는 간접적인 건조 방식에 비해 보다 단시간에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성이 탁월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동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동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동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비에 젖은 우산을 취급시 일회용 비닐 등을 사용하는 대신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쾌적한 사용상태를 도모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본체(110)의 내부에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과, 제1방향전환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과,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를 탑재하여 우산 케노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이 펼쳐진 상태로 케노피가 출입하도록 전면부를 개방하는 타워형으로 형성하는 본체(110)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110)는 주요 부품을 내부에 탑재하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전면부에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가 노출되어 작동하도록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들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을 탑재한다. 프레임은 소정의 강재 빔을 입체 격자 구조로 설치하여 본체(110)를 구조적으로 보강함과 동시에 부품들이 적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여 대기 상태로 마련하는 스위치(112)를 장착한다. 상기 스위치(112)는 후술하게 될 작동제어바(220)와 연동하도록 구성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이동수단(111)을 장착하여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이동성을 부여함으로써 설치 및 보관 장소를 간편하게 이동하도록 마련한다.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구동모듈과 제2구동모듈을 탑재한다.
상기 제1구동모듈은 상기 본체(110)의 좌측 내부에 설치하여 제1구동롤러(121)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구동모듈은 제1흡습시트(160)를 순환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수단으로써, 구동모터(123)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메인기어(122)와, 제1메인기어(122)에 치합하여 연동하는 제1서브기어(124)를 구비하여 제1구동롤러(121)를 회전한다.
상기 제1메인기어(122)는 후술하게 될 제2구동모듈의 제2메인기어(132)와 각각 복수의 구동모터(123)에 개별 축결합하거나, 또는 단일 구동모터(123)와 베벨기어로 연동하여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123)는 본체(110)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11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대기 상태에 돌입하고 후술하게 될 본체(110) 전면부에 구비하는 작동제어바(220)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여 제1구동모듈을 동작시키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구동롤러(121)는 제1서브기어(124)에 축결합하여 후술하게 될 제2서브기어(134)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되 외주면에 제1흡습시트(160)의 이면을 마찰하여 순환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구동롤러(121)는 원통형의 몸체를 수평으로 구비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마찰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제1흡습시트(160)의 이면과 마찰하면서 해당 회전방향으로 밀어내어 제1방향전환모듈을 따라서 순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구동모듈은 상기 본체(110)의 우측 내부에 설치하여 제2구동롤러(131)를 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구동모듈은 제2흡습시트(170)를 순환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수단으로써, 구동모터(123)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2메인기어(132)와, 제2메인기어(132)에 치합하여 연동하는 제2서브기어(134)를 구비하여 제2구동롤러(131)를 회전한다.
상기 제2메인기어(132)는 상기 제1구동모듈의 제1메인기어(122)와 각각 복수의 구동모터(123)에 개별 축결합하거나, 또는 단일 구동모터(123)와 베벨기어로 연동하여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123)는 상기 구동모터(123)는 본체(110)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11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대기 상태에 돌입하고 후술하게 될 본체(110) 전면부에 구비하는 작동제어바(220)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여 제2구동모듈을 동작시키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구동롤러(131)는 제2서브기어(134)에 축결합하여 상기 제1서브기어(124)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되 외주면에 제2흡습시트(170)의 이면을 마찰하여 순환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구동롤러(131)는 원통형의 몸체를 수평으로 구비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마찰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제2흡습시트(170)의 이면과 마찰하면서 해당 회전방향으로 밀어내어 제2향전환모듈을 따라서 순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방향전환모듈은 상기 본체(110)의 좌측 상, 하부에 설치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방향전환모듈은 제1구동모듈에 의해 일 방향으로 순환하는 제1흡습시트(160)를 본체(110)의 내부 제1구동롤러(121)에서 전면부와 상부를 거쳐 다시 내부로 순환하는 일련의 전환점을 형성하여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경사지게 접촉면을 노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방향전환모듈은 본체(110) 내부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제1보조롤러(141) 및 제2보조롤러(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보조롤러(141) 및 제2보조롤러(142)는 원통형의 몸체를 수평으로 구비하여 제1흡습시트(160)의 이면을 감아 본체(110) 전면부에서 접촉면이 경사지게 노출되도록 방향을 전환한다.
상기 제1보조롤러(141) 및 제2보조롤러(142)는 제1구동롤러(121)와 함께 대략 삼각 형상의 전환점을 형성하는바, 외주면에는 다수의 마찰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제1흡습시트(160)의 이면과 마찰한다. 따라서, 제1보조롤러(141) 및 제2보조롤러(142)는 제1구동롤러(121)에 의해 순환하는 제1흡습시트(160)에 의해 자유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방향전환모듈은 상기 본체(110)의 우측 상, 하부에서 제1방향전환모듈에 대칭하도록 설치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방향전환모듈은 제2구동모듈에 의해 타 방향으로 순환하는 제2흡습시트(170)를 본체(110)의 내부 제2구동롤러(131)에서 상부와 전면부를 거쳐 다시 내부로 순환하는 일련의 전환점을 형성하여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경사지게 접촉면을 노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방향전환모듈은 본체(110) 내부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제3보조롤러(151) 및 제4보조롤러(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보조롤러(151) 및 제4보조롤러(152)는 원통형의 몸체를 수평으로 구비하여 제2흡습시트(170)의 이면을 감아 본체(110) 전면부에서 접촉면이 경사지게 노출되도록 방향을 전환한다.
상기 제3보조롤러(151) 및 제4보조롤러(152)는 제2구동롤러(131)와 함께 대략 삼각 형상의 전환점을 형성하는바, 외주면에는 다수의 마찰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제2흡습시트(170)의 이면과 마찰한다. 따라서, 제3보조롤러(151) 및 제4보조롤러(152)는 제2구동롤러(131)에 의해 순환하는 제2흡습시트(170)에 의해 자유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보조롤러 내지 제4보조롤러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장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총 길이에 따라서 본체(110)의 프레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함으로써 노출되는 경사각도 및 장력 등을 가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습시트(160)는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1방향전환모듈에 감아져 일 방향으로 순환하고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케노피의 일측과 접촉하여 수분을 흡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흡습시트(160)는 가로폭이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1방향전환모듈에 탑재된 롤러의 폭에 상응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환형 구조의 시트로 구성한다.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케노피와 접촉시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면서 우산살에 의한 만곡진 표면을 원만하게 수용하도록 소정의 흡습성 및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한다.
상기 제2흡습시트(170)는 상기 제2구동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에 감아져 타 방향으로 순환하고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케노피의 타측과 접촉하여 수분을 흡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흡습시트(170)는 가로폭이 상기 제2구동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에 탑재된 롤러의 폭에 상응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환형 구조의 시트로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케노피와 접촉시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면서 우산살에 의한 만곡진 표면을 원만하게 수용하도록 소정의 흡습성 및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한다.
상기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는 본체(110)의 좌, 우측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바, 양측 시트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상호 간섭을 배제함과 동시에 우산대의 말단부가 시트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케노피의 전체 표면이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 전반에 걸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의 일측에는 제1구동롤러(121) 및 제2구동롤러(131)에 감아져 순환하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1탈수모듈 및 제2탈수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1탈수모듈 및 제2탈수모듈은 각각 제1브래킷(182) 및 제2브래킷(192)과,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와, 집수조(18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브래킷(182) 및 제2브래킷(19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 저면에 장착하는 탄성부재(181,191)에 결합하여 상, 하 탄성적으로 구비한다. 제1브래킷(182) 및 제2브래킷(192) 각각의 내측에는 하기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가 축결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는 상기 제1브래킷(182) 및 제2브래킷(192)에 축결합한다.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는 상기 제1구동롤러(121) 및 제2구동롤러(131)의 하측에서 제1구동롤러(121) 및 제2구동롤러(131)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경로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하여 가압함으로써 수분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에 의해 배출되는 수분은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의 하부에 구비하는 집수조(184)에 저장되어 본체(110)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방향전환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의 일측에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일부 구간을 견인하는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는 소재의 특성에 따라 소정의 탄력성을 가지는바 수분을 다량 흡수한 상태에서 자칫 늘어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제1방향전환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에 의해 순환하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에 긴장력을 부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본체(110) 내부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이면에 작용하는 롤러(210a) 타입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도 6 내지 도 9 및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본체(110)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회동바(210b) 타입으로 구비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장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우산의 케노피가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에 접촉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작동제어바(220)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제어바(220)는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의 사이에서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구비하되 우산의 케노피에 의해 가압 회동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작동제어바(220)의 일측에는 소정의 감지수단(미도시)을 장착하여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112)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위치(112)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의 작동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우산에 접촉하여 수분을 털어주는 요동모듈을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동모듈은 상기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에 의한 빗물 제거과정에 진행됨과 동시에 우산을 요동시켜 수분을 털어줌으로써 빗물 제거 효율을 증대하도록 구비하며, 요동롤러(231)와 요동레버(233)와 요동바(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요동롤러(231)는 상기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사이에서 본체 하부의 프레임에 설치하며 상기 구동모터(1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요동롤러(231)의 일측면에는 중심에서 편심된 일측에 접촉핀(232)을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 접촉핀(232)은 하기 요동레버(233)의 하측을 향해 돌출하여 편심 구동시 하기 요동레버(233)에 간헐적으로 접촉하며 요동레버(233)가 일정 각도 상향 회동하도록 들어올리는 작동상태를 구현한다.
상기 요동레버(233)는 요동롤러(231)의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접촉핀(232)에 간헐적으로 접촉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요동레버(233)는 본체(110)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는 후단을 기점으로 상기 요동롤러(231)의 일측을 거쳐 상기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사이로 본체(110)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한다. 상기 요동레버(233)는 하기 요동바(234)의 배치 각도를 고려하여 선단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절곡편 형상으로 구비한다.
상기 요동바(234)는 요동레버(233)에 선단을 결합하여 우산에 접촉하고, 본체(110) 내부의 프레임에 결합하는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을 상, 하 요동하여 우산을 털어주도록 구비한다. 상기 요동바(234)는 우산 케노피의 만곡진 형상 및 상기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의 경사각도를 고려하여 선단을 하향 경사지게 구비한다. 상기 요동바(234)는 상기 요동롤러(231)의 회전속도 및 접촉핀(232)의 편심 거리에 따라서 상, 하로 요동하며, 요동바(234)의 최저점 내지 최고점 사이의 각도범위는 약 15~20° 범위로 형성하여 요동바(234)에 의한 우산의 요동 강도를 적정선으로 도출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타워형 본체(110)의 전면부 좌, 우측에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를 배치한다.
본체(110) 내부에는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과, 제1방향전환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을 탑재한다.
또한, 본체(110) 하부에는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를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하도록 제1탈수모듈 및 제2탈수모듈을 탑재한다.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의 사이에 작동제어바(220)를 구비하여 스위치(112)와 연동하도록 탑재한다.
본 발명의 빗물 제거장치를 가동하기 위하여,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112)를 작동하면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의 구동모터(123)에 전원이 공급되고 작동제어바(220)에 의한 전원 인가가 이루어지기 까지 대기 상태에 돌입한다.
사용자는, 도 11 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에 젖은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케노피의 표면을 본체(110) 전면부에 경사지게 노출되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에 접촉한다.
우산살에 의한 케노피의 만곡진 형상에 의해 도 12 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가 본체(110)의 내측으로 만곡지게 요입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제어바(220) 역시 케노피에 의해 본체(110)의 내측으로 가압 회동한다.
상기 작동제어바(220)의 일측에 부착된 감지수단(미도시)이 스위치(112)에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을 인가하고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의 구동모터(123)가 회전 작동한다.
상기 구동모터(123)는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하여 제1메인기어(122) 및 제2메인기어(132)를 개별 축결합하거나 베벨결합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제1메인기어(122) 및 제2메인기어(132)의 회전에 의해 그에 치합하는 제1서브기어(124) 및 제2서브기어(134) 역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서브기어(124)에 축결합하는 제1구동롤러(121)와, 제2서브기어(134)에 축결합하는 제2구동롤러(131)는 좌, 우측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 제1구동롤러(121) 및 제2구동롤러(1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돌기에 이면을 접촉하는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순환한다.
상기 제1흡습시트(160)는 제1구동롤러(121)와, 제1탈수롤러(183)와, 제1보조롤러(141), 및 제2보조롤러(142)에 감겨진 상태로 일 방향으로 순환한다. 상기 제2흡습시트(170)는 제2구동롤러(131)와, 제2탈수롤러(193)와, 제3보조롤러(151), 및 제4보조롤러(152)에 감겨진 상태로 타 방향으로 순환한다.
상기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는 각각의 접촉면에 우산 케노피의 일측과 타측 표면을 접촉하면서 수분을 흡수한다.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순환하므로 우산이 본체(1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며 우산을 회전시키는 작용에 의해 표면 전반을 고르게 접촉시키면서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빗물 제거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에 흡수되는 수분은 제1구동롤러(121) 및 제2구동롤러(131)의 일측에서 탄성적으로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를 가압하는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에 의해 탈수되고 집수조(184)에 저장된다.
아울러, 상기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에 늘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의 이면 또는 접촉면에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은 롤러(210a) 타입 또는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은 회동바(210b) 타입의 장력조절수단이 작용하여 긴장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우산 케노피에 수분이 제거되는 동안에 본체의 하부에서는 요동모듈에 의해 우산을 요동하여 수분을 털어주는 동작이 진행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요동모듈의 요동롤러(23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측 접촉핀(232)을 편심 구동하면 접촉핀(232)에 의해 요동레버(233)의 선단이 소정의 각도로 상향 회전하고, 접촉핀(232)과 이격되면 중력에 의해 하향 회전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요동레버(233)에 선단을 결합하는 요동바(234)는 선단을 상, 하로 요동하면서 우산을 털어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가 순환하면서 우산의 케노피 표면 전반과 접촉하여 수분이 제거되면, 사용자는 우산을 제1흡습시트(160)와 제2흡습시트(170)로부터 이격한다. 이와 동시에 가압 회동 상태에 있던 작동제어바(220)는 원위치하면서 스위치(112)와 연동하여 구동모터(123)에 전원 인가를 해제하고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은 다음 사용자가 우산을 접촉하기까지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젖은 우산을 펼친 상태로 케노피의 표면으로부터 수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하도록 구성하여 실내에서 우산을 취급시 쾌적하고 안전한 사용상태를 도모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산의 형태, 즉 1단 내지 3단 우산이나 우산살의 개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우산의 종류별로 상이한 만곡 형상을 원만하게 반영하면서 수분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고 별도의 장치 조작 과정을 배제하는 등의 일련의 구성을 탑재하여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활용도, 사용성, 효율성이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110: 본체
111: 이동수단
112: 스위치 121,131: 제1,2구동롤러
122,132: 제1,2메인기어 123: 구동모터
124,134: 제1,2서브기어 141,142: 제1,2보조롤러
151,152: 제3,4보조롤러 160,170: 제1,2흡습시트
181,191: 탄성부재 182,192: 제1,2브래킷
183,193: 제1,2탈수롤러 184: 집수조
210: 장력조절수단 220: 작동제어바
231: 요동롤러 232: 접촉핀
233: 요동레버 234: 요동바
112: 스위치 121,131: 제1,2구동롤러
122,132: 제1,2메인기어 123: 구동모터
124,134: 제1,2서브기어 141,142: 제1,2보조롤러
151,152: 제3,4보조롤러 160,170: 제1,2흡습시트
181,191: 탄성부재 182,192: 제1,2브래킷
183,193: 제1,2탈수롤러 184: 집수조
210: 장력조절수단 220: 작동제어바
231: 요동롤러 232: 접촉핀
233: 요동레버 234: 요동바
Claims (7)
- 우산이 펼쳐진 상태로 케노피가 출입하도록 전면부를 개방하는 타워형으로 형성하고 이동수단(111)을 구비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좌측 내부에 설치하여 제1구동롤러(121)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모듈;
상기 본체(110)의 우측 내부에서 제1구동모듈에 대칭하도록 설치하여 제2구동롤러(131)를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구동모듈;
상기 본체(110)의 좌측 상, 하부에 설치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1방향전환모듈;
상기 본체(110)의 우측 상, 하부에서 제1방향전환모듈에 대칭하도록 설치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치하는 제2방향전환모듈;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1방향전환모듈에 감아져 일 방향으로 순환하고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케노피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흡습시트(160); 및
상기 제2구동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에 감아져 타 방향으로 순환하고 본체(110)의 전면부에서 케노피의 타측과 접촉하는 제2흡습시트(17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에는,
구동모터(123)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메인기어(122) 및 제2메인기어(132)와, 제1메인기어(122) 및 제2메인기어(132)에 치합하여 연동하는 제1서브기어(124) 및 제2서브기어(134)를 구비하고,
상기 제1메인기어(122) 및 제2메인기어(132)는,
복수의 구동모터(123)에 개별 축결합하거나, 또는 단일 구동모터(123)와 베벨기어로 연동하여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1구동롤러(121) 및 제2구동롤러(131)는,
제1서브기어(124) 및 제2서브기어(134) 각각에 축결합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되 외주면에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이면을 마찰하여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전환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은,
본체(110) 내부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제1,2보조롤러(141,142) 및 제3,4보조롤러(151,1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보조롤러(141,142) 및 제3,4보조롤러(151,152)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이면을 감아 본체(110) 전면부에서 접촉면이 경사지게 노출되도록 방향을 전환하되,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장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의 일측에는,
제1구동롤러(121) 및 제2구동롤러(131)에 감아져 순환하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1탈수모듈 및 제2탈수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탈수모듈 및 제2탈수모듈은,
본체(110) 저면에 장착하는 탄성부재(181,191)에 결합하여 상, 하 탄성적으로 구비하는 제1브래킷(182) 및 제2브래킷(192)과,
제1브래킷(182) 및 제2브래킷(192)에 축결합하고 제1구동롤러(121) 및 제2구동롤러(131)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위치하여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를 가압하는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와,
제1탈수롤러(183) 및 제2탈수롤러(193)의 하부에 구비하는 집수조(18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전환모듈 및 제2방향전환모듈의 일측에는,
본체(110) 내부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일부 구간을 견인하는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롤러(210a) 타입 또는 회동바(210b) 타입으로 구비하되,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의 장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제1흡습시트(160) 및 제2흡습시트(170)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구비하되 우산의 케노피에 의해 가압 회동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1구동모듈 및 제2구동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작동제어바(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우산에 접촉하여 수분을 털어주는 요동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모듈은,
본체 하부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중심에서 편심된 일측에 접촉핀(232)을 돌출하는 요동롤러(231)와,
상기 요동롤러(231)의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접촉핀(232)에 간헐적으로 접촉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요동레버(233)와,
상기 요동레버(233)에 선단을 결합하여 우산에 접촉하고, 본체 내부의 프레임에 결합하는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을 상, 하 요동하는 요동바(23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158A KR20210006180A (ko) | 2019-07-08 | 2019-07-08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158A KR20210006180A (ko) | 2019-07-08 | 2019-07-08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6180A true KR20210006180A (ko) | 2021-01-18 |
Family
ID=7423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2158A KR20210006180A (ko) | 2019-07-08 | 2019-07-08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6180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1913Y1 (ko) | 2003-01-28 | 2003-05-01 | 설순임 | 우산 물기 제거장치 |
KR200333922Y1 (ko) | 2003-08-19 | 2003-11-19 | 백민호 | 우산건조기 |
KR101397717B1 (ko) | 2012-06-21 | 2014-05-26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우산 물기 제거장치 |
KR101527602B1 (ko) | 2013-02-27 | 2015-06-10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
-
2019
- 2019-07-08 KR KR1020190082158A patent/KR20210006180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1913Y1 (ko) | 2003-01-28 | 2003-05-01 | 설순임 | 우산 물기 제거장치 |
KR200333922Y1 (ko) | 2003-08-19 | 2003-11-19 | 백민호 | 우산건조기 |
KR101397717B1 (ko) | 2012-06-21 | 2014-05-26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우산 물기 제거장치 |
KR101527602B1 (ko) | 2013-02-27 | 2015-06-10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어노즐을 이용한 우산 제수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635783A (zh) | 一种连续式球类清洗装置 | |
CN104374002B (zh) | 干衣空调器及控制方法 | |
CN207936669U (zh) | 一种新型多功能紫菜晾晒架 | |
CN206396513U (zh) | 一种太阳能自动伸缩晾衣雨蓬 | |
CN106885452A (zh) | 雨伞甩干装置 | |
CN209230239U (zh) | 一种无纺布回料装置 | |
KR20210006180A (ko)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
CN205641914U (zh) | 一种园林用服务区雨伞烘干装置 | |
CN112556347A (zh) | 一种便于遮雨的木制品晾干架 | |
US20120023770A1 (en) | Tumble air dryer | |
CN109222360B (zh) | 一种自动收集雨水用于加湿空气的雨伞及其使用方法 | |
CN110572122A (zh) | 一种柔性光伏曲面清洗系统 | |
CN206063681U (zh) | 一种高尔夫球洗球干燥系统 | |
CN207163121U (zh) | 一种雨伞快速晾干装置 | |
CN113186700B (zh) | 一种带预热功能的地毯加工装置 | |
CN212820565U (zh) | 一种用于鞋楦加工的旋转式喷涂装置 | |
CN112195582B (zh) | 一种布料智能清洗烘干设备 | |
CN113676002A (zh) | 一种电动机和电动机驱动的清洁设备及其使用方法 | |
CN211608173U (zh) | 一种改进型高效率蔬菜清洗装置 | |
CN210070482U (zh) | 一种雨伞脱水装置 | |
CN109366797A (zh) | 一种应用于编织袋的除尘装置 | |
CN219920205U (zh) | 一种水循环清洗果类装置 | |
CN217848720U (zh) | 一种具有防潮功能的配电箱 | |
KR200336647Y1 (ko) | 우산 물기 제거기 | |
KR20060099228A (ko) | 젖은 우산 수분 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