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365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365A
KR20130124365A KR1020137022482A KR20137022482A KR20130124365A KR 20130124365 A KR20130124365 A KR 20130124365A KR 1020137022482 A KR1020137022482 A KR 1020137022482A KR 20137022482 A KR20137022482 A KR 20137022482A KR 20130124365 A KR20130124365 A KR 2013012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tank
water supply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2498B1 (ko
Inventor
츠토무 와다
이사오 히야마
히토시 안도
다카시 도미타
다쿠야 다테야마
아사미 사토
마사히로 미치사카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346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57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239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7673B2/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69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er-dryer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Un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케이싱과(2), 케이싱(2) 내에 방진 지지되며 내부에 물을 채우는 외조(9)와, 외조(9)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8)와, 내조(8)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10)와, 외조(9)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12)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급수 수단(12)에 의하여 외조(9) 내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헹굼 공정을 실행하고, 이 헹굼 공정에서 이용한 물을 배수한 후, 소정의 수위를 유지한 채로 상기 내조(8)를 회전시킨다(S161∼S164).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조(槽)를 세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에서는, 내조(內槽)나 외조(外槽)에 오물이 부착되기 때문에, 세탁 운전과는 별개로 조 세정을 목적으로 한 코스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조 세정을 목적으로 한 코스에서는, 세정용 약제가 필요해지며, 조 세정 코스를 유저가 선택하는 조작이 필요해지는 등 세정 작업이 번잡했다.
그래서, 세탁기의 조 세정을 행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외조 또는 내조의 저부에 기포를 분사시키는 기포 분사 장치를 설치하여, 외조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오물에 기포를 분사시킴으로써, 오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8-4365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별도로 기포 발생 수단이나 펌프를 설치해야만 하여, 세탁기 전체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여도, 내조의 내(內)저면부에 배치된 회전 날개의 이면에 오물이 부착하기 어려운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방진(防振) 지지되며 내부에 물을 채우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에 의하여 상기 외조 내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헹굼 공정을 실행하고, 이 헹굼 공정에서 이용한 물을 배수한 후, 소정의 수위를 유지한 채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여도, 내조의 내저면부에 배치된 회전 날개의 이면에 오물이 부착하기 어려운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케이싱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케이싱 내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급수 유닛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외조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급수 경로를 구성하는 수로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A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의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급수 유닛으로부터 세탁기(세탁 건조기)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운전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 세정 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 세정 공정의 플로차트.
도 1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탈수 공정의 조 세정 샤워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1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작 패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세탁겸 탈수조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회전 날개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회전 날개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2는 도 20에 나타내는 회전 날개의 A-A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형태」라 함)에 대하여,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세탁기로서, 세탁에서부터 건조까지의 공정을 행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는, 세탁겸 탈수조(8)(내조, 도 2 참조)의 회전축이 대략 연직 방향인 세로 형식 세탁기(세로 형식 세탁 건조기)이다. 이 세탁 건조기(1A)의 케이싱(2)의 상부에는 상면 커버(2a)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 커버(2a)에는 외측 덮개(3)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덮개(3)는, 산형(山型)으로 절곡되면서 뒤쪽으로 개방됨으로써, 개구부(2b)(도 2 참조)를 개구하여, 세탁겸 탈수조(8)(도 2 참조)에 의류(세탁물)가 출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면 커버(2a)의 안쪽(후측)에는, 수도꼭지로부터의 급수 호스 접속구(4) 및 목욕 후 남은 온수의 흡수 호스 접속구(5)가 설치되어 있다. 상면 커버(2a)의 앞쪽에는 전원 버튼(6)이 설치되고, 외측 덮개(3)의 앞쪽에는 조작 버튼(7a) 및 표시기(7b)로 이루어지는 조작 패널(7)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는, 케이싱(2) 내에, 세탁겸 탈수조(8), 외조(9), 구동 장치(10), 세제·마무리제의 투입 장치(11), 급수 유닛(12A), 건조 덕트(2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8)는,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며, 스테인리스 강판 등으로 형성된 몸통판(8a)을 갖고 있다. 몸통판(8a)에는 통수(通水) 및 통풍을 위한 다수의 관통 구멍(도 2 참조, 일부만 도시)(8a1)이 형성되어 있다. 세탁겸 탈수조(8)는 내측 저면에 회전 날개(8b)를 구비한다.
외조(9)는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며, 세탁겸 탈수조(8)를 동축(同軸) 상에 내포하고, 그 상부에 외조 커버(9a)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세탁 건조기(1A)의 사용자는, 외측 덮개(3) 및 외조 커버(9a)의 덮개 부재(9c)를 개방함으로써, 개구부(2b)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 내에 의류의 출납을 행할 수 있다.
구동 장치(10)는 외조(9)의 저면의 외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장치(10)는 모터(10a)와 클러치 기구(10b)를 가지며, 구동 장치(10)의 회전축(10c)이 외조(9)를 관통하여, 세탁겸 탈수조(8) 및 회전 날개(8b)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10b)는 모터(10a)의 회전 동력을 세탁겸 탈수조(8) 및/또는 회전 날개(8b)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터(10a)는, 그 회전을 검출하는 홀 소자(hall device) 혹은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 등으로 구성되는 회전 검출 장치(28)와, 모터(10a)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 장치(29)를 구비한다.
투입 장치(11)는, 상면 커버(2a)의 앞쪽에 구비된다. 세제나 마무리제의 투입은 투입 호스(11a)에 의해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의 사이에 행해진다.
급수 유닛(12A)은 상면 커버(2a)의 안쪽에 설치된다. 이 급수 유닛(12A)은,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투입 장치(11), 후기하는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또한, 급수 유닛(12A)은,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이나 흡수 호스 접속구(5)(도 1 참조)로부터의 목욕물을, 주수(注水) 호스(11b)를 통하여,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의 사이로부터 외조(9) 내에 주수할 수 있다. 또한, 급수 유닛(12A)은,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세정 호스(11c)를 통하여,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에 주수할 수 있다. 또, 급수 유닛(12A)의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이용하여 후기한다.
외조(9)의 저면에 설치된 싱크부(9m)는 하부 연통관(連通管)(13)과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하부 연통관(13)은 배수 밸브(14)를 통하여 세탁수 배수로(15)와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배수 밸브(14)를 폐쇄함으로써 외조(9) 내에 세탁수나 헹굼수를 저수(貯水) 가능해진다. 또한, 배수 밸브(14)를 개방함으로써 외조(9) 내의 물을 세탁수 배수로(15)를 통하여 세탁 건조기(1A)의 기기 밖으로 배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연통관(13)은, 케이싱(2)의 하부에 설치된 이물 제거 장치(16) 및 순환 펌프(17)를 통하여 세탁수 순환 수로(18)(일부 생략)와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탁수 순환 수로(18)는, 세탁겸 탈수조(8)보다 상측에 설치된 실보무라지 제거 장치(도시 생략)와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순환 펌프(17)를 구동하면, 외조(9) 내의 물이 싱크부(9m) 및 하부 연통관(13)을 통하여 이물 제거 장치(16)에 유입되어 이물이 제거되고, 순환 펌프(17)의 흡입구로 유입된다. 순환 펌프(17)로부터 보내진 물은, 세탁수 순환 수로(18)를 통하여 실보무라지 제거 장치에 유입되어 실보무라지가 제거되고, 실보무라지가 제거된 물(순환수)은 세탁겸 탈수조(8) 내에 상부로부터 살포하도록 주수된다.
건조 덕트(20)는 케이싱(2)의 배면 내측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덕트 하부는 외조(9)의 싱크부(9m)와 고무제의 주름관(20a)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건조 덕트(20) 내에는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고 있으며, 급수 유닛(12A)으로부터 수냉 제습 기구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냉각수는 건조 덕트(20)의 벽면(스테인리스제 등의 금속 플레이트)을 타고 흘러내려서 싱크부(9m)에 들어가고, 하부 연통관(13), 세탁수 배수로(15)를 통하여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건조 덕트(20)의 출구는 팬(21)의 흡기구와 접속되며, 팬(21)의 출구는 히터(22)와 접속되어 있다. 히터(22)의 출구는 송풍 덕트(23) 및 고무제의 주름관(23a)을 통하여 분출 노즐(24)과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외조(9) 내의 공기를 건조 덕트(20)에 의해 수냉 제습해서 팬(21)의 흡입구로부터 흡입하고, 팬(2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히터(22)로 가열해서, 고온 저습의 바람을 분출 노즐(24)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 내를 향하여 분출할 수 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송풍 덕트(23)에는 건조 운전 중에 세탁겸 탈수조(8) 내를 향해서 분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외조(9)의 싱크부(9m)에는 세탁수의 온도나, 건조 운전 중에 건조 덕트(20)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하부 연통관(13)과 배수 밸브(14) 사이에는 세탁수의 온도나, 건조 운전 중에 세탁수 배수로(15)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외조(9)의 측면 상부에는 외조(9)의 진동에 따른 진동 가속도를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조(9)에 채워진 세탁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겸 탈수조(8)는 몸통판(8a) 상단 가장자리부에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밸런스 링(유체 밸런서라고도 함)(8c)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밸런스 링(8c)은, 그 내부에 비중이 큰 유체를 봉입해서 구성되며,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에 세탁물의 쏠림 등에 의하여 편심이 생겼을 때에, 밸런스 링(8c) 내에서의 유체의 이동에 의해 편심을 상쇄하여, 회전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외조 커버(9a)는 대략 반원 형상의 투입구(9b)를 가지며, 외조(9) 상단 가장자리부에 부착된다. 또, 투입구(9b)에는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덮개 부재(9c)(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조 커버(9a)의 안쪽(후측)에는, 세탁수 순환 수로(18)(도 2 참조)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구(9d), 주름관(23a)(도 2 참조)이 접속되는 접속구(9e), 후기하는 조 세정용의 세정 호스(11c)가 접속되는 접속구(9f)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수 유닛(12A)은,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와,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와,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c)와,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와, 전환 전자기 밸브(12e)와, 목욕물 펌프(12f)와, 급수 경로 유닛(30)을 구비하고 있다.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는,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입수구(도시 생략)로부터 급수 경로 유닛(30) 내를 지나, 출수구(32)에 접속되는 호스(12i)(도 2 참조)를 통하여, 투입 장치(11)(도 2 참조)의 세제 투입실(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세제 투입실에 주수된 수돗물은 투입된 세제와 함께 투입 호스(11a)(도 2 참조)를 통하여 외조(9) 내로 주수된다.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는,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입수구(33)로부터 급수 경로 유닛(30) 내를 지나, 출수구(34)에 접속되는 세정 호스(11c)를 통하여 후기하는 수로 부재(50)에 급수한다.
또한,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는, 전환 전자기 밸브(12e)의 개방 시에,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입수구(33)로부터 급수 경로 유닛(30) 내를 지나, 출수구(35)에 접속되는 호스(12j)를 통하여, 투입 장치(11)(도 2 참조)의 마무리제 투입실(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마무리제 투입실에 주수된 수돗물은 투입된 마무리제와 함께 투입 호스(11a)(도 2 참조)를 통하여 외조(9) 내로 주수된다.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c)는,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통하여 건조 덕트(20)(도 2 참조)의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는,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유로(12h)에 접속되는 주수 호스(11b)(도 2 참조)로부터 외조(9) 내에 급수한다.
전환 전자기 밸브(12e)는 마무리제용으로서 급수할지를 전환하는 것이다.
또, 목욕물 펌프(12f)에 의해 퍼올려진 흡수 호스 접속구(5)로부터의 목욕물은, 유로(12h)에 합류해서 접속되는 주수 호스(11b)(도 2 참조)로부터 외조(9) 내에 급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 커버(9a)에는 수로 부재(50)가 복수의 나사(60)를 통하여 외조 커버(9a)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 수로 부재(50)는 합성 수지 등으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며, 오목면이 외조 커버(9a)측을 향하도록 해서 형성된 오목부의 수로(50s)를 갖고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는 외조 커버(9a)의 주연부를 따라 주회하도록(일주하도록) 배설(配設)된다.
또한, 수로 부재(50)는 나사 고정을 위한 복수의 부착부(51, 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착부(51)는, 안쪽(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산형의 편부(片部)(51a)를 가지며, 이 편부(51a)에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삽입 구멍(51b)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52)는 바깥쪽에 형성된 편부(52a)를 가지며, 이 편부(52a)에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삽입 구멍(52b)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6개의 부착부(51) 및 부착부(52)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부착부(51)와 부착부(52)가 번갈아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는, 부착부(52)가 형성되는 위치에서는, 수로(50s)가 안쪽으로 돌출해서 사행(蛇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로 부재(50)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대략 원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수로 부재(5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없앰으로써, 수로 부재(50)를 외조 커버(9a)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보다 가까운 측에 배치할 수 있어, 세탁겸 탈수조(8)와 외조(9)의 극간(隙間)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로 부재(50)를 바람직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내측면(50b)에는 24개의 측면측 살수구(散水口)(50b1)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일부만 도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저면(50a)에는 4개의 저면측 살수구(50a1)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측 살수구(50a1)는, 내측을 향하도록 저면(50a)에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관통해 있다. 저면측 살수구(50a1) 및 측면측 살수구(50b1)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개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세탁 건조기(1A)의 종류나 내부의 구조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 커버(9a)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하면에는, 수로 부재(50)가 수용되며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오목부(9a1)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9a1)의 저면(9a2)에는 2개의 홈(9a3, 9a4)이 수로 부재(50)의 내측면(50b), 외측면(50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홈(9a3, 9a4)에 시일 부재(도시 생략)를 주입해서, 홈(9a3, 9a4)에 내측면(50b), 외측면(50c)을 맞붙인 상태에 있어서, 부착부(51, 52)를 외조 커버(9a)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수로 부재(50)가 외조 커버(9a)에 대하여 수밀(水密)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때 수로 부재(50)의 측면측 살수구(50b1)는 오목부(9a1)의 측벽부(9a5)와 대향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수로 부재(50)를 외조 커버(9a)에 부착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로 부재(50)가 세탁겸 탈수조(8)(밸런스 링(8c))와 외조(9) 사이의 극간(T)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로 부재(50)의 저면(50a), 내측면(50b) 및 외측면(50c)과, 이 수로 부재(50)의 오목면이 대향하는 외조 커버(9a)의 저면(9a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급수 경로에 상당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는 제어 장치(100)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로컴퓨터(110)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111), 공정 제어부(112), 회전 속도 산출부(113), 의류 중량 산출부(114) 등을 구비한다.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조작 버튼(7a)으로부터 입력된 운전 코스에 맞는 운전 패턴을 호출하여 세탁 또는/및 건조를 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공정 제어부(112)는,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111)로부터 호출된 운전 패턴에 의거하여,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조 세정 공정, 건조 공정의 각 공정을 운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 공정에 있어서, 공정 제어부(112)는, 각각 구동 회로(120)를 통하여, 급수 유닛(12A)(급수 전자기 밸브(12a∼12d), 전환 전자기 밸브(12e)), 배수 밸브(14), 모터(10a), 클러치 기구(10b), 히터(22), 팬(21), 순환 펌프(17)를 구동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회전 속도 산출부(113)는, 모터(10a)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장치(28)로부터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모터(10a)의 회전 속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의류 중량 산출부(114)는, 회전 속도 산출부(113)에 의해 산출된 회전 속도와, 모터 전류 검출 장치(29)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세탁겸 탈수조(8) 내의 의류의 중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의류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하가 커져, 모터(10a)에 흐르는 모터 전류가 많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모터(10a)의 모터 전류와 회전 속도에 의하여 의류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A)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급수 유닛으로부터 세탁기(세탁 건조기)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운전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 세정 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세탁 운전은, 세탁→헹굼→조 세정→탈수→조 세정→(건조)의 운전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에서는,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메인)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주수 호스(11b)를 통하여 외조(9) 내에 주수된다.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호스(12i), 투입 장치(11), 투입 호스(11a)를 통하여 외조(9) 내에 공급된다.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 및 전환 전자기 밸브(12e)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호스(12j), 투입 장치(11), 투입 호스(11a)를 통하여 외조(9) 내에 공급된다. 또한,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세정 호스(11c)를 통하여 수로 부재(50)에 급수된다.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c)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통하여 건조 덕트(20) 내의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량(布量) 센싱 공정 S1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고, 의류 중량 산출부(114)가 주수 전의 의류에 대하여 포량을 산출한다.
급수·세제 투입 공정 S2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주수 호스(11b)를 통하여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 사이로부터 외조(9) 내에 주수한다. 또한, 공정 제어부(112)는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가 개방되고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폐쇄한다. 이것은, 급수 호스 접속구(4)에 접속되어 있는 주수 호스(11b) 내에 공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그 공기를 외조(9) 내로 배출하는 동작이다.
그 후, 공정 제어부(112)가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투입 장치(11)의 세제 투입실(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세제 투입실에 주수된 수돗물은 투입된 세제와 함께 외조(9) 내에 주수된다. 또한, 공정 제어부(112)는,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가 개방되고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또는, 소정 수위까지 도달한 후)에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를 폐쇄한다.
세제 용해 공정 S3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순환 펌프(17)(또는, 세탁겸 탈수조(8), 또는 회전 날개(8b))를 구동시켜 세제를 용해하여 고농도의 세제 용액을 생성한다.
회전 급수 공정 S4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를 개방하여 외조에 급수하고, 세탁겸 탈수조(8) 및/또는 회전 날개(8b)를 회전시키면서 순환 펌프(17)를 구동하여, 고농도의 세제 용액을 실보무라지 제거 장치(19)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 내의 의류에 살포한다. 이때,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를 개방하여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를 세정해도 된다.
전(前) 세탁 공정 S5에서는, 고농도의 세제 용액으로 의류를 세탁한다.
포질(布質) 센싱 공정 S6에서는, 우선 의류 중량 산출부(114)가 물을 머금은 상태의 의류의 중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포량 센싱 공정 S1에서 산출한 물을 머금지 않은 의류의 중량과 포질 센싱 공정 S6에서 산출한 물을 머금은 상태의 의류의 중량으로부터, 의류의 포질(흡수성)을 판단한다. 판단된 의류의 포질에 따라 이하의 공정이 제어된다.
세탁 급수 공정 S7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포량 센싱 공정 S1에서 산출한 의류의 중량과, 포질 센싱 공정 S6에서 판단한 의류의 포질에 맞춰서 외조(9)(또는 세탁겸 탈수조(8))의 내부에 급수한다.
본 세탁 공정 S8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회전 날개(8b)를 회전(또는, 정방향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켜 의류를 세탁한다. 이때, 순환 펌프(17)를 구동하여 세제 용액을 의류에 살포해도 된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세탁 공정 S8에서는, 회전 날개(8b)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켜 의류를 풀어헤치는 운전도 행한다. 또한, 공정 제어부(112)는, 이 본 세탁 공정과 풀어헤침 공정을 수회 반복한다. 본 세탁이 종료되면 의류의 언밸런스 상태를 감시하여 탈수로 이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수 공정 S9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외조(9) 내의 세탁수를 배수한다.
탈수 공정 S10에서는, 배수 종료 후,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켜서 의류에 머금어진 물(세탁수)을 탈수한다.
회전 샤워 공정 S11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배수 밸브(14)를 폐쇄하고,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를 개방하여, 세탁겸 탈수조(8)에 헹굼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면서 헹굼수를 세탁겸 탈수조(8) 내의 의류에 살포한다.
탈수 공정 S12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면서 순환 펌프(17)를 정지시켜서 의류로부터 헹굼수를 탈수한다.
회전 샤워 공정 S13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면서 헹굼수를 세탁겸 탈수조(8) 내의 의류에 살포한다.
배수 공정 S14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 및 순환 펌프(17)를 정지시키고,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외조(9) 내의 헹굼수를 배수한다.
탈수 공정 S15에서는, 배수 종료 후,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켜서 의류에 머금어진 물(헹굼수)을 탈수한다.
헹굼 급수 공정 S16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배수 밸브(14)를 폐쇄하고,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를 개방하여,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면서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를 세정한다. 소정 시간 경과 후(또는, 소정 수위까지 도달한 후)에 전환 전자기 밸브(12e)를 소정 시간 개방하여, 세탁겸 탈수조(8)에 마무리제를 함유하는 헹굼수를 공급한다. 또한, 헹굼 급수 공정 S16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를 개방하여 외조(9)(또는, 세탁겸 탈수조(8))에 헹굼수를 공급한다.
풀어헤침 공정 S17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회전 날개(8b)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켜 의류를 풀어헤치는 운전을 행한다.
교반 공정 S18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외조(9)에 헹굼수를 채운 상태에서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켜서 의류를 교반하면서 헹군다.
조 세정 공정 S19에서는, 공정 제어부(112)에 의하여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켜서, 세탁겸 탈수조(8) 저면의 상면 및 하면이나 회전 날개(8b) 저면의 하면을 세정한다.
여기에서, 회전 날개(8b)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회전 날개(8b)를 위쪽으로부터 본 표면측의 도면이고, 도 21은, 회전 날개(8b)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이면측의 도면이고, 도 22는, 도 20의 A-A단면도이다. 이 회전 날개(8b)는, 세탁겸 탈수조(8)의 내저면부를 일부 또는 전부 덮는 직경을 갖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대로, 회전 날개(8b)에는, 중심측으로부터 외경측에 걸쳐서 점차 높게 형성되는 산부(山部)(8b1)를 복수, 예를 들면 2개 갖고 있다. 이 산부(8b1)는, 회전 방향으로 파형(波型)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 파형의 정상부가 중심측으로부터 외경측에 걸쳐서 이어짐으로써 봉우리부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회전 날개(8b)가 회전하면 봉우리부에 의하여 의류가 튀어올라 효율적으로 의류의 교환이 행해진다.
또한, 회전 날개(8b)에 있어서의 복수의 산부(8b1) 사이에는, 대략 평탄한 곡부(谷部)(8b2)를 복수, 예를 들면 2개 갖고 있다. 이 곡부(8b2)에는, 중심측으로부터 외경측에 걸쳐서 방사상이며 또한 엇갈리게 복수의 볼록부(8b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8b3)에 의하여, 산부(8b1)로부터 낙하되는 의류에 지압적(指壓的) 효과를 부여하거나, 의류의 움직임을 활성화하거나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세정력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곡부(8b2)에는 복수의 곡부 관통 구멍(8b4)이 설치되어 있어, 의류와 회전 날개(8b) 사이에 수막(水膜)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회전 날개(8b)의 이면측에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대로, 둘레 방향 리브(8b5) 및 직경 방향 리브(8b6)가 강도 확보 등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들 둘레 방향 리브(8b5) 및 직경 방향 리브에 의하여 칸막이되는 공간 중, 특히 산부(8b1)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칸막이 공간(8b7)에는 공기가 머물기 쉬워 오물이 남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산부 관통 구멍(8b8)을 설치함으로써, 회전 날개(8b)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에 이르는 물의 흐름이 생겨, 이 칸막이 공간(8b7)에의 오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공간(8b7)의 외경측에 산부 관통 구멍(8b8)을 형성하면, 높은 원심력이 작용하여 물의 흐름이 더 좋아진다.
또한, 산부 관통 구멍(8b8)을 설치하는 위치로서는, 산부(8b1)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단부와 봉우리부 사이로서, 둘레 방향 단부 부근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봉우리부 부근에는 산부 관통 구멍(8b8)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의류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산부 관통 구멍(8b8)이나 곡부 관통 구멍(8b4)은 배수뿐만 아니라 건조 시의 온풍도 통과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6을 사용해서 조 세정 공정 S19의 동작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공정 제어부(112)는, 헹굼수가 소정의 수위(s)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161), 소정 수위(s)보다 수위가 높을 경우에는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헹굼수를 배수한다(스텝 162). 이 소정 수위(s)는, 예를 들면 세탁겸 탈수조(8)의 저면이나 회전 날개(8b) 저면보다 높은 수위로 한다. 소정 수위(s) 이하가 되면 배수 밸브(14)를 폐쇄한다(스텝 163).
이 후, 공정 제어부(112)는, 세탁겸 탈수조(8)를, 상기 회전 급수 공정 S4, 회전 샤워 공정 S11, S13에서의 회전 속도(35r/min)보다 빠른 회전 속도(예를 들면, 80∼130r/min)로 상기 회전 날개(8b)와 함께 회전시킨다(스텝 164). 또,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는 패턴으로서, 정방향(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 이외에, 역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되고, 정방향과 역방향을 번갈아 반복해서 회전시켜도 된다.
소정 시간(t)(예를 들면, 90∼120초) 경과했는지 판단하여(스텝 165), 소정 시간(t) 경과했으면 세탁겸 탈수조(8)를 정지시킨다(스텝 166). 스텝 166에서 세탁겸 탈수조(8)를 정지시키고 있지만, 반드시 세탁겸 탈수조(8)를 정지시킬 필요는 없으며, 회전시킨 채로 탈수 공정으로 이행해도 된다.
또한, 이 조 세정 공정 S19는,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헹굼 2(최종 헹굼)에서 사용한 헹굼수를 한번 모두 배수한 후에 배수 밸브(14)를 폐쇄하고,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를 개방하여,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수위까지 급수한 후에 실행해도 된다.
조 세정 공정 S19는, 헹굼수(또는, 수돗물)이 외조(9)의 바닥에 채워진 상태에서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므로, 세탁겸 탈수조(8)의 외측의 저면이나 회전 날개(8b) 저면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날개(8b)에 있어서의 산부(8b1)에도 산부 관통 구멍(8b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산부(8b1)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칸막이 공간(8b7)에 대해서도, 오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조 세정 공정 S19이 종료되면, 공정 제어부(112)는 의류의 언밸런스 상태를 감시하여 최종 탈수로 이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수 공정 S20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외조(9) 내의 헹굼수를 배수한다.
탈수·조 세정 샤워 공정 S21에서는, 배수 종료 후,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의류에 머금어진 수분을 제거한다. 이 탈수·조 세정 샤워 공정 S21에서는, 탈수를 위하여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도중 단계(소정의 회전 속도로 되었을 때)에, 후술하는 살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하는 조 세정 샤워의 동작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동작에 대하여 도 17을 사용해서 더 설명한다.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켜 단계적으로 가속한다(스텝 171). 소정 회전 속도(n1)(예를 들면, 400r/min)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72). 소정 회전 속도(n1)에 도달하면, 소정 회전 속도(n1)를 유지(스텝 173)한 채로,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를 개방하여, 수로 부재(50)에 세정수(수돗물)를 공급한다(스텝 174). 소정 시간(t1)(예를 들면, 30∼120초)이 경과할 때까지 수로 부재(50)에 급수한다(스텝 175). 여기에서,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에는 후술하는 살수구가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살수구로부터 분사된 수돗물이 외조(9)의 내벽면 또는 세탁겸 탈수조(8)의 외벽면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결과, 외조(9)나 세탁겸 탈수조(8)에 오물이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소정 시간(t1)이 경과했으면,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를 폐쇄하고(스텝 176), 세탁겸 탈수조(8)를 더 가속하여(스텝 177), 탈수를 계속해서 의류에 머금어진 수분을 제거한다.
소정 회전 속도(n1)를 유지했을 경우로 설명했지만, 소정 회전 속도(n1)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소정 회전 속도(n2)(예를 들면 600r/min)를 설정하여, 소정 회전 속도(n1)∼소정 회전 속도(n2)의 가속 중에 실행해도 되고, 또한 소정 회전 속도(n2)를 소정 시간(t2)(예를 들면, 30∼120초) 유지해서 실행해도 된다.
수로 부재(50)에 급수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측면측 살수구(50b1)로부터 수돗물이 토출되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 커버(9a)에 형성된 오목부(9a1)의 저면(9a2)에 부딪히고, 그리고 세탁겸 탈수조(8)의 밸런스 링(8c)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끼얹어진다. 이때, 세탁겸 탈수조(8)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밸런스 링(8c)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끼얹어진 수돗물은,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의 원심력에 의해 외조(9)의 내주면(9s)을 향하여 날린다. 외조(9)의 내주면(9s)까지 날린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외조(9)의 내주면(9s)을 연직 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흘러내린다. 또한, 수로 부재(50)에 측면측 살수구(50b1)가 복수 형성됨과 함께 원심력에 의해 날리므로, 외조(9)의 상부에 있어서, 그 내주면(9s)의 전체에 수돗물이 내뿜어지고, 그 후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따라서, 외조(9)의 내주면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의 전체에 수돗물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외조(9)의 내주면 전체의 오물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저면측 살수구(50a1)로부터 수돗물이 살수되면,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밸런스 링(8c))의 외주면(8s)에 내뿜어진다. 외주면(8s)에 내뿜어진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을 연직 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흘러내린다. 또, 측면측 살수구(50b1)로부터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적하(滴下)한 수돗물의 일부도, 도 12에 있어서 얇은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을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이렇게 해서, 수로 부재(50)의 측면측 살수구(50b1)와 저면측 살수구(50a1)로부터 수돗물을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외주 가장자리부)에 살수함으로써, 외조(9)의 내주면(9s) 및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에 대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세탁에서부터 건조까지의 일련의 운전을 행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탈수 공정 S21 후에 건조 공정 S22를 행한다. 건조 공정 S22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c)를 개방하고, 히터(22)를 통전하여 팬(21)을 구동시킨다. 건조 공정(S22) 종료 후, 유저가 외측 덮개(3) 및 덮개 부재(9c)를 개방하여 건조한 의류를 꺼내고, 덮개 부재(9c) 및 외측 덮개(3)를 폐쇄하고,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스타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하의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이 개시된다.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에서는, 의류 중량 산출부(114)에 의하여 세탁겸 탈수조(8) 내에 의류가 남아있지 않은지를 판단하고, 의류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탈수·조 세정 샤워 공정 S21의 조 세정 샤워 동작과 마찬가지로,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이나 외조(9)의 내주면(9s)에 수로 부재(50)로부터 수돗물을 살수한다.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에서는, 조 세정 샤워 동작에 의하여 수돗물을 살수한 후에,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물을 배수한 후에, 히터(22)를 통전하여 팬(21)을 구동시켜서, 외조(9) 및 세탁겸 탈수조(8)를 건조시켜, 곰팡이의 번식이나 이취(異臭)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조 세정 공정 S19, 탈수·조 세정 샤워 공정 S21,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의 조 세정, 조 세정 샤워 동작은, 세탁 건조기(1A)에 설치된 버튼에 의해 ON/OFF를 설정할 수 있으며, 유저가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A)에 있어서의 조작 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동 조 세정용 버튼(25)을 설정한 상태에서 세탁 코스를 개시하면, 조 세정 공정 S19 및 탈수·조 세정 샤워 공정 S21이 행해지고,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 코스를 개시하면, 이들 조 세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자동 조 세정용 버튼(25)을 설정한 상태에서 세탁 건조 코스를 개시하면, 우선, 세탁 코스와 마찬가지로, 조 세정 공정 S19 및 탈수·조 세정 샤워 공정 S21이 행해진다. 그 후, 건조 공정 S22이 종료되었을 때, 자동 조 세정용 버튼(25)은 점등 또는 점멸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으로 이행하기 위한 조작 방법을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 안내하는 기능을 마련해도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건조 후의 의류를 꺼낸 후, 스타트 버튼(26)(또는 자동 조 세정용 버튼(25))을 조작하면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을 개시하고, 전원 버튼(27)을 조작하면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을 실시하지 않고 종료된다. 또, 건조 공정 S22이 종료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 조 세정용 버튼(25)이 소등되고 전원이 끊긴다.
이렇게, 사용자가 의류를 모두 꺼낸 것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 조작 등을 마련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8) 내에 건조 후의 의류가 들어있는 채로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을 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가 남은 채로 조 세정 샤워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건조 후의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을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조 세정 공정 S19 또는 탈수·조 세정 샤워 공정 S21을, 자동 조 세정용 버튼(25)의 설정의 유무에 관계없이 반드시 실시하도록 하고, 조 세정 샤워 공정 S23만을 자동 조 세정용 버튼(25)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A)에서는, 외조 커버(9a)에 세탁겸 탈수조(8)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수로 부재(50))가 설치되고, 이 급수 경로에 급수 유닛(12A)(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살수하는 측면측 살수구(50b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에 수로 부재(50)에 급수하는 것에 의해, 외조(9)의 내주면(9s)에 수돗물을 날림으로써, 외조(9)의 내주면(9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곰팡이의 번식이나 이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탁 중인 세탁물에의 먼지의 부착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밸런스 링(8c)의 외주면)에 살수하는 저면측 살수구(50a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곰팡이의 번식, 이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세탁 중인 세탁물에의 먼지의 부착을 방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수단에 의하여 외조(9) 내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헹굼 공정을 실행하고, 이 헹굼 공정에서 이용한 물이 배수 밸브(14)를 개방함으로써 배수되어, 소정의 수위(예를 들면, 세탁겸 탈수조(8)의 저면 하단보다 높은 수위)로 되었을 때에, 배수 밸브(14)를 폐쇄하고,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겸 탈수조(8)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탈수 공정으로 이행함으로써, 물을 절약하면서 외조(9)나 세탁겸 탈수조(8)의 저면, 회전 날개(8b)의 이면측 등에 오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제어부(112)가 조 세정 공정 S19, 탈수 공정 S21,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에서,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를 개방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수(使用水) 양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헹굼 공정의 종료 후에 조 세정을 행함으로써, 깨끗한 상태의 수돗물로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조 세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소량의 수돗물을 원심력에 의해 날려서 외조(9)의 내주면(9s), 및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을 세정할 수 있으므로, 수돗물을 세차게 내뿜어서 세정하는 경우보다 사용수 양을 줄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세탁기)(1B)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세로 형식 세탁 건조기이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급수 유닛(12A) 대신에 급수 유닛(12B)을 구비한 것이다. 급수 유닛(12B)은, 메인(외조 급수)용으로서의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m), 마무리제 급수 전자기 밸브(12n),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o), 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p)를 구비하고 있다.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m)는, 제어 장치(100)(공정 제어부(112))에 의하여 개방됨으로써,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투입 장치(11)의 세제 투입실(도시 생략)을 통하여 외조(9) 내에 급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무리제 급수 전자기 밸브(12n)는, 제어 장치(100)(공정 제어부(112))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투입 장치(11)의 마무리제 투입실(도시 생략)을 통하여 외조(9) 내에 급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o)는, 제어 장치(100)(공정 제어부(112))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통하여, 건조 덕트(20)(도 2 참조)의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에 급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p)는, 제어 장치(100)(공정 제어부(112))에 의하여 개방됨으로써,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수로 부재(50)(급수 경로)에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급수 유닛(12B)은 급수 호스 접속구(4)와 접속되며, 각 급수 전자기 밸브(12m, 12n, 12o, 12p)의 개폐에 의하여, 수돗물이 적절한 위치를 흐르도록 급수 경로 유닛이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수 경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수로 부재(50)와 외조 커버(9a)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수로 부재(50)의 저면(50a)에 저면측 살수구(50a1)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는, 저면측 살수구(50a1)와,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면측 살수구(50a1)로부터 살수된 수돗물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밸런스 링(8c)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직접적으로 살수된다. 이때, 세탁겸 탈수조(8)가 회전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의 원심력에 의해 수돗물이 외조(9)의 내주면(9s)으로 비산한다. 외조(9)의 내주면(9s)에 끼얹어진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연직 방향 아래쪽을 향해서 흘러내린다. 이에 따라, 외조(9)의 내주면(9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또한 내주면(9s)에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외측면(50c)에 복수의 측면측 살수구(50c1)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측면측 살수구(50c1)로부터 살수된 수돗물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9)의 내주면(9s)에 직접적으로 살수된다. 내주면(9s)에 살수된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내주면(9s)을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고, 내주면(9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또는 내주면(9s)에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주면(9s)에 살수된 수돗물은, 세탁겸 탈수조(8)(밸런스 링(8c))측을 향해서 비산하여,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에 부착된다. 외주면(8s)에 부착된 수돗물은,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의 원심력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외주면(8s)을 연직 방향에 경사지면서 아래쪽을 향해서 흘러내린다. 이에 따라,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또한 외주면(8s)에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통 구멍(8a1)의 위치를 연구하여, 탈수 시의 고속 운전에 의하여 날린 물로 외조(9)의 오물을 씻어내는 점을 이하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몸통판(8a)은, 그 재질로서 스테인리스강 등이 이용되며,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의 판재를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몸통판(8a)의 내벽면에는, 탈수용의 관통 구멍(8a1) 외에,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구면(球面) 형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8a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8a3)의 직경은 관통 구멍(8a1)의 직경보다 크며, 각 돌출부(8a3)의 주위에는 관통 구멍(8a1)이 8개 형성되고, 이들 관통 구멍(8a1)이 돌출부(8a3)와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8a3)와 관통 구멍(8a1) 사이에 물의 통로로 되는 극간이 형성되기 쉬워지므로, 의류로부터 탈수된 물이 이 극간을 통하여 관통 구멍(8a1)으로 흘러 탈수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몸통판(8a)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는, 돌출부(8a3) 및 관통 구멍(8a1)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으며, 이 영역에 복수의 보조 관통 구멍(8a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 관통 구멍(8a2)은, 몸통판(8a)의 축 방향에 대하여, 각 관통 구멍(8a1)의 장소와 겹치지 않게 비켜서 형성되어 있으며, 각 관통 구멍(8a1) 사이의 스페이스를 보충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탈수 시의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에 의하여, 관통 구멍(8a1) 및 보조 관통 구멍(8a2)으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측으로 분출한 물이, 외조(9)의 내벽면의 축 방향에 대하여,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구석구석까지 닿게 된다. 그 결과, 외조(9)의 내벽면의 오물 부착 방지 효과를 균등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몸통판(8a)의 둘레 방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은, 탈수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관통 구멍(8a1) 및 돌출부(8a3)의 배치를 확보하면서, 몸통판(8a)의 둘레 방향의 다른 영역에, 높이가 다른 보조 관통 구멍(8a2)을 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복수 나열해서 설치함으로써, 오물 부착의 방지 효과를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몸통판(8a)은, 도 19와 같이, 동일 형상인 제1 판부(8A1)와 제2 판부(8A2)로 구성되며, 각 판부의 둘레 방향 일단 및 타단에 있어서의 보조 관통 구멍(8a2)의 배치는, 서로 둘레 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조 관통 구멍(8a2)을 동일한 형(型)으로 제조할 수 있어 몸통판(8a)의 생산성이 높다.
이상,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로서,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축이 대략 연직 방향인 세로 형식 세탁 건조기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 기능을 갖지 않는 세로 형식 세탁기, 드럼식 세탁기여도 된다.
1A, 1B : 세탁 건조기(세탁기)
2, 2A : 케이싱
8 : 세탁겸 탈수조(내조)
8a : 몸통판
8a1 : 관통 구멍
8a2 : 보조 관통 구멍
8a3 : 돌출부
8b : 회전 날개
8b1: 산부
8b2: 곡부
8b3: 볼록부
8b4 : 곡부 관통 구멍
8b5 : 둘레 방향 리브
8b6 : 직경 방향 리브
8b7 : 칸막이 공간
8b8 : 산부 관통 구멍
8c : 밸런스 링
8c1 :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
8s : 외주면
9 : 외조
9a : 외조 커버
9a1 : 오목부
9a2 : 저면
9s : 내주면
10 : 구동 장치
11c : 세정 호스
12 : 급수 유닛(급수 수단)
25 : 자동 조 세정용 버튼
26 : 스타트 버튼
27 : 전원 버튼
50 : 수로 부재(급수 경로)
100 : 제어 장치
112 : 공정 제어부(운전 제어 수단)

Claims (9)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방진(防振) 지지되며 내부에 물을 채우는 외조(外槽)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內槽)와,
    상기 내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에 의하여 상기 외조 내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헹굼 공정을 실행하고, 이 헹굼 공정에서 이용한 물을 배수한 후, 소정의 수위를 유지한 채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헹굼 공정에서 이용한 물을 배수하고, 상기 소정의 수위가 되었을 때에 상기 배수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배수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헹굼 공정에서 이용한 물을 배수한 후, 상기 배수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급수 수단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수위까지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수위를 유지한 채로, 상기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내조의 회전 속도보다 높은 회전 속도로, 상기 내조를 소정 시간 회전시킨 후, 탈수 공정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수위는, 상기 내조의 저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에는, 상기 내조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경로에는, 상기 내조의 상부에 살수하는 복수의 살수구(散水口)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 공정으로 이행해서 배수한 후, 상기 내조를 회전시켜,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수돗물을 상기 살수구로부터 살수함으로써, 상기 내조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외조를 향하여 상기 수돗물이 날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에는, 상기 내조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경로에는, 상기 외조의 내주면에 살수하는 복수의 살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 공정으로 이행해서 배수한 후, 상기 내조를 회전시켜,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수돗물을 상기 살수구로부터 살수함으로써, 상기 외조의 내주면에 살수된 상기 수돗물이 상기 내조측을 향하여 비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구는, 상기 내조의 상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살수하는 측면측 살수구와, 상기 내조의 외주면에 살수하는 저면측 살수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내(內)저면부에 배치되며 회전 구동되는 회전 날개를 갖고,
    상기 회전 날개는, 중심측으로부터 외경측에 걸쳐서 점차 높게 형성되며, 또한, 회전 방향으로 파형(波型)으로 경사지는 복수의 산부(山部)를 갖고 있으며, 이들 산부에 관통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37022482A 2011-04-19 2012-02-20 세탁기 KR101492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3460A JP5785764B2 (ja) 2011-04-19 2011-04-19 洗濯機
JPJP-P-2011-093460 2011-04-19
JP2011123909A JP5907673B2 (ja) 2011-06-02 2011-06-02 洗濯機
JPJP-P-2011-123909 2011-06-02
PCT/JP2012/054015 WO2012144263A1 (ja) 2011-04-19 2012-02-20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365A true KR20130124365A (ko) 2013-11-13
KR101492498B1 KR101492498B1 (ko) 2015-02-11

Family

ID=4704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22482A KR101492498B1 (ko) 2011-04-19 2012-02-20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92498B1 (ko)
CN (1) CN103492628B (ko)
WO (1) WO2012144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7282B2 (ja) * 2013-08-06 2015-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TR201719756T3 (tr) * 2013-09-16 2018-01-22 Arcelik As Temizlik maddesi duşlama ünitesi içeren bir yıkayıcı.
KR102402082B1 (ko) 2015-06-30 2022-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31975B1 (ko) * 2015-09-03 2022-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16863A (ko) 2016-08-08 201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36866B1 (ko) 2016-08-08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WI710683B (zh) * 2016-08-26 2020-11-2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滾筒式洗衣機及滾筒式乾燥機
CN107780127A (zh) * 2016-08-31 2018-03-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羽绒服洗涤方法及洗衣机
CN107503078B (zh) * 2017-08-30 2020-12-11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波轮洗衣机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50B1 (ko) * 1991-01-12 1995-06-30 대우전자주식회사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세탁기 및 기포를 이용한 피세탁물의 세탁방법
JPH08299679A (ja) * 1995-04-28 1996-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KR960034606U (ko) * 1995-04-29 1996-11-21 세탁기의 분사노즐
JP2006334117A (ja) * 2005-06-02 2006-12-14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
CN101643994A (zh) * 2009-02-25 2010-02-10 任文涛 全自动洗衣机的自洁装置
CN102234902B (zh) * 2010-04-30 2014-12-10 海尔集团公司 一种使用柔性颗粒清洗洗衣机内外桶之间的洗衣机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92628A (zh) 2014-01-01
CN103492628B (zh) 2016-03-09
KR101492498B1 (ko) 2015-02-11
WO2012144263A1 (ja)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365A (ko) 세탁기
JP5771728B2 (ja) 洗濯機
WO2012144264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492499B1 (ko) 세탁기
JP5719955B2 (ja) 洗濯機
JP5743720B2 (ja) 洗濯機
JP5740518B2 (ja) 洗濯機
JP5891113B2 (ja) 洗濯機
JP5663688B2 (ja) 洗濯機
JP5326034B2 (ja) 洗濯機
JP5889575B2 (ja) 洗濯機
JP2015002876A (ja) 洗濯機
JP6072506B2 (ja) 洗濯機
JP5907673B2 (ja) 洗濯機
JP2013226337A (ja) 洗濯機
JP5802822B2 (ja) 洗濯機
JP5276753B2 (ja) 洗濯機
JP6108567B2 (ja) 洗濯機
JP5982596B2 (ja) 洗濯機
JP201506250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398932B2 (ja) 洗濯機および縦型洗濯機
JP5894886B2 (ja) 洗濯機
JP5891097B2 (ja) 洗濯機
JP201520492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2249723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