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499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499B1
KR101492499B1 KR20137022853A KR20137022853A KR101492499B1 KR 101492499 B1 KR101492499 B1 KR 101492499B1 KR 20137022853 A KR20137022853 A KR 20137022853A KR 20137022853 A KR20137022853 A KR 20137022853A KR 101492499 B1 KR101492499 B1 KR 10149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tank
water supply
t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2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433A (ko
Inventor
히토시 안도
이사오 히야마
다쿠야 다테야마
다카시 도미타
마사히로 미치사카
아사미 사토
츠토무 와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54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69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er-dryer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외조(9)는 수로 부재(50)를 구비한 외조 커버(9a)를 구비하고 있다. 수로 부재(50)에는 급수 유닛으로부터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에는, 세탁겸 탈수조(8)의 밸런스 링(8c)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간접적으로 살수하는 측면측 살수구(50b1)가 형성되며, 또한 밸런스 링(8c)의 측면 상부에 살수하는 저면측 살수구(50a1)가 형성되어 있다. 밸런스 링(8c)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살수된 수돗물은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의 원심력에 의하여 외조(9)의 내주면(9s)에 날린다. 내주면(9s)에 부딪힌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내주면(9s)을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조(槽)를 청정화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세탁 건조기)에서는, 내조(內槽)나 외조(外槽)에 오물이 부착되기 때문에, 세탁 운전과는 별개로 조 세정을 목적으로 한 코스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조 세정을 목적으로 한 코스에서는, 세정용 약제가 필요해지며, 조 세정 코스를 유저가 선택하는 조작이 필요해지는 등 세정 작업이 번잡했다.
그래서,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 세정을 행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외조의 저부에 기포를 분사시키는 기포 분사 장치를 설치해서, 외조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오물에 기포를 분사시킴으로써, 오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8-4365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조의 아래쪽의 일부만 오물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의 위쪽까지 오물을 떨어뜨리려고 하면, 조의 위쪽까지 물을 채울 필요가 있어, 절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조 세정이 우수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방진(防振) 지지되며, 내부에 세탁수를 저류(貯留)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에는, 상기 내조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경로에는, 측면측 살수구(散水口)와 저면측 살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급수 수단을 사용하여 수돗물을 상기 측면측 살수구와 저면측 살수구로부터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조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에 살수구를 설치하고, 이 살수구로부터 수돗물을 살수함으로써, 외조의 내주면에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조 세정이 우수한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케이싱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케이싱 내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급수 유닛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외조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급수 경로를 구성하는 수로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A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의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급수 유닛으로부터 세탁기(세탁 건조기)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운전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 세정 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17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앞쪽에 설치되는 수로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외조 커버에 설치되는 수로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
도 2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후측에 설치되는 수로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후측의 수로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도 2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전측의 수로 부재에 의한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2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후측의 수로 부재에 의한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2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 세정 시의 전체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세탁겸 탈수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우측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형태」라 함)에 대하여,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세탁기로서, 세탁에서부터 건조까지의 공정을 행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는, 세탁겸 탈수조(8)(내조, 도 2 참조)의 회전축이 대략 연직 방향인 세로 형식 세탁기(세로 형식 세탁 건조기)이다. 이 세탁 건조기(1A)의 케이싱(2)의 상부에는 상면 커버(2a)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 커버(2a)에는 외측 덮개(3)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덮개(3)는, 산형(山形)으로 절곡되면서 뒤쪽으로 개방됨으로써, 개구부(2b)(도 2 참조)를 개구하여, 세탁겸 탈수조(8)(도 2 참조)에 의류 등(세탁물)이 출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면 커버(2a)의 안쪽(후측)에는, 수도꼭지로부터의 급수 호스 접속구(4) 및 목욕 잔여 온수의 흡수 호스 접속구(5)가 설치되어 있다. 상면 커버(2a)의 앞쪽에는 전원 스위치(6)가 설치되고, 외측 덮개(3)의 앞쪽에는 조작 스위치(7a) 및 표시기(7b)로 이루어지는 조작 패널(7)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는, 케이싱(2) 내에, 세탁겸 탈수조(8), 외조(9), 구동 장치(10), 세제·마무리제의 투입 장치(11), 급수 유닛(12A), 건조 덕트(2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8)는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며, 스테인리스 강판 등으로 형성된 몸통판(8a)을 갖고 있다. 몸통판(8a)에는 통수(通水) 및 통풍을 위한 다수의 관통 구멍(도 2 참조, 일부만 도시)(8a1)이 형성되어 있다. 세탁겸 탈수조(8)는 내측 저면에 회전 날개(8b)를 구비한다.
외조(9)는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며, 세탁겸 탈수조(8)를 동축 상에 내포하고, 그 상부에 외조 커버(9a)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세탁 건조기(1A)의 사용자는, 외측 덮개(3) 및 외조 커버(9a)의 덮개 부재(9c)를 개방함으로써, 개구부(2b)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 내에 세탁물의 출납을 행할 수 있다.
구동 장치(10)는 외조(9)의 저면의 외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장치(10)는 모터(10a)와 클러치 기구(10b)를 가지며, 구동 장치(10)의 회전축(10c)이 외조(9)를 관통하여, 세탁겸 탈수조(8) 및 회전 날개(8b)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10b)는 모터(10a)의 회전 동력을 세탁겸 탈수조(8) 및/또는 회전 날개(8b)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터(10a)는, 그 회전을 검출하는 홀 소자(hall device) 혹은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 등으로 구성되는 회전 검출 장치(28)와, 모터(10a)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 장치(29)를 구비한다.
투입 장치(11)는, 상면 커버(2a)의 앞쪽에 구비된다. 세제나 마무리제의 투입은 투입 호스(11a)에 의해,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 사이에 행해진다.
급수 유닛(12A)은 상면 커버(2a)의 안쪽에 설치된다. 이 급수 유닛(12A)은,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투입 장치(11), 후기하는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또한, 급수 유닛(12A)은,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이나 흡수 호스 접속구(5)(도 1 참조)로부터의 목욕물을, 주수(注水) 호스(11b)를 통하여,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의 사이로부터 외조(9) 내에 주수할 수 있다. 또한, 급수 유닛(12A)은,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세정 호스(11c)를 통하여,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에 주수할 수 있다. 또, 급수 유닛(12A)의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이용하여 후기한다.
외조(9)의 저면에 설치된 싱크부(9m)는 하부 연통관(連通管)(13)과 연통해 있다. 하부 연통관(13)은 배수 밸브(14)를 통하여 세탁수 배수로(15)와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배수 밸브(14)를 폐쇄함으로써 외조(9) 내에 세탁수나 헹굼수를 저수(貯水) 가능해진다. 또한, 배수 밸브(14)를 개방함으로써 외조(9) 내의 물을 세탁수 배수로(15)를 통하여 세탁 건조기(1A)의 기기 밖으로 배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연통관(13)은, 케이싱(2)의 하부에 설치된 이물 제거 장치(16) 및 순환 펌프(17)를 통하여 세탁수 순환 수로(18)(일부 생략)와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탁수 순환 수로(18)는, 세탁겸 탈수조(8)보다 상측에 설치된 실보무라지 제거 장치(도시 생략)와 연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순환 펌프(17)를 구동하면, 외조(9) 내의 물이 싱크부(9m) 및 하부 연통관(13)을 통하여 이물 제거 장치(16)에 유입되어 이물이 제거되고, 순환 펌프(17)의 흡입구로 유입된다. 순환 펌프(17)로부터 보내진 물은, 세탁수 순환 수로(18)를 통하여 실보무라지 제거 장치에 유입되어 실보무라지가 제거되고, 실보무라지가 제거된 물(순환수)은 세탁겸 탈수조(8) 내에 상부로부터 살포하도록 주수된다.
건조 덕트(20)는 케이싱(2)의 배면 내측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덕트 하부는 외조(9)의 싱크부(9m)와 고무제의 주름관(20a)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건조 덕트(20) 내에는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고 있으며, 급수 유닛(12A)으로부터 수냉 제습 기구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냉각수는 건조 덕트(20)의 벽면(스테인리스제 등의 금속 플레이트)을 타고 흘러내려서 싱크부(9m)에 들어가고, 하부 연통관(13), 세탁수 배수로(15)를 통하여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건조 덕트(20)의 출구는 팬(21)의 흡기구와 접속되며, 팬(21)의 출구는 히터(22)와 접속되어 있다. 히터(22)의 출구는 송풍 덕트(23) 및 고무제의 주름관(23a)을 통하여 분출 노즐(24)과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외조(9) 내의 공기를 건조 덕트(20)에 의해 수냉 제습해서 팬(21)의 흡입구로부터 흡입하고, 팬(2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히터(22)로 가열해서, 고온 저습의 바람을 분출 노즐(24)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 내를 향해서 분출할 수 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송풍 덕트(23)에는 건조 운전 중에 세탁겸 탈수조(8) 내를 향해서 분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외조(9)의 싱크부(9m)에는 세탁수의 온도나, 건조 운전 중에 건조 덕트(20)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하부 연통관(13)과 배수 밸브(14) 사이에는 세탁수의 온도나, 건조 운전 중에 세탁수 배수로(15)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외조(9)의 측면 상부에는 외조(9)의 진동에 따른 진동 가속도를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조(9)에 채워진 세탁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겸 탈수조(8)는 몸통판(8a) 상단 가장자리부에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밸런스 링(유체 밸런서라고도 함)(8c)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밸런스 링(8c)은, 그 내부에 비중이 큰 유체를 봉입해서 구성되며,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에 세탁물의 쏠림 등에 의하여 편심이 생겼을 때에, 밸런스 링(8c) 내에서의 유체의 이동에 의해 편심을 상쇄하여, 회전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외조 커버(9a)는 대략 반원 형상의 투입구(9b)를 가지며, 외조(9) 상단 가장자리부에 부착된다. 또, 투입구(9b)에는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덮개 부재(9c)(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조 커버(9a)의 안쪽(후측)에는, 세탁수 순환 수로(18)(도 2 참조)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구(9d), 주름관(23a)(도 2 참조)이 접속되는 접속구(9e), 후기하는 조 세정용의 세정 호스(11c)가 접속되는 접속구(9f)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수 유닛(12A)은,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와,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와,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c)와,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와, 전환 전자기 밸브(12e)와, 목욕물 펌프(12f)와, 급수 경로 유닛(30)을 구비하고 있다.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는,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입수구(도시 생략)로부터 급수 경로 유닛(30) 내를 지나, 출수구(32)에 접속되는 호스(12i)(도 2 참조)를 통하여, 투입 장치(11)(도 2 참조)의 세제 투입실(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세제 투입실에 주수된 수돗물은 투입된 세제와 함께 투입 호스(11a)(도 2 참조)를 통하여 외조(9) 내로 주수된다.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는,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입수구(33)로부터 급수 경로 유닛(30) 내를 지나, 출수구(34)에 접속되는 세정 호스(11c)를 통하여 후기하는 수로 부재(50)에 급수한다.
또한,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는, 전환 전자기 밸브(12e)의 개방 시에,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입수구(33)로부터 급수 경로 유닛(30) 내를 지나, 출수구(35)에 접속되는 호스(12j)를 통하여, 투입 장치(11)(도 2 참조)의 마무리제 투입실(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마무리제 투입실에 주수된 수돗물은 투입된 마무리제와 함께 투입 호스(11a)(도 2 참조)를 통하여 외조(9) 내로 주수된다.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c)는,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통하여 건조 덕트(20)(도 2 참조)의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는,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유로(12h)에 접속되는 주수 호스(11b)(도 2 참조)로부터 외조(9) 내에 급수한다.
전환 전자기 밸브(12e)는 마무리제용으로서 급수할지를 전환하는 것이다.
또, 목욕물 펌프(12f)에 의해 퍼올려진 흡수 호스 접속구(5)로부터의 목욕물은, 유로(12h)에 합류해서 접속되는 주수 호스(11b)(도 2 참조)로부터 외조(9) 내에 급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 커버(9a)에는 수로 부재(50)가 복수의 나사(60)를 통하여 외조 커버(9a)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 수로 부재(50)는 합성 수지 등으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며, 오목면이 외조 커버(9a)측을 향하도록 해서 형성된 오목부의 수로(50s)를 갖고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는 외조 커버(9a)의 주연부를 따라 주회하도록(일주하도록) 배설(配設)된다.
또한, 수로 부재(50)는 나사 고정을 위한 복수의 부착부(51, 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착부(51)는, 안쪽(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산형의 편부(片部)(51a)를 가지며, 이 편부(51a)에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삽입 구멍(51b)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52)는 바깥쪽에 형성된 편부(52a)를 가지며, 이 편부(52a)에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삽입 구멍(52b)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6개의 부착부(51) 및 부착부(52)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부착부(51)와 부착부(52)가 번갈아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는, 부착부(52)가 형성되는 위치에서는, 수로(50s)가 안쪽으로 돌출해서 사행(蛇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로 부재(50)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대략 원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수로 부재(5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없앰으로써, 수로 부재(50)를 외조 커버(9a)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보다 가까운 측에 배치할 수 있어, 세탁겸 탈수조(8)와 외조(9)의 극간(隙間)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로 부재(50)를 바람직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내측면(50b)에는 24개의 측면측 살수구(50b1)(살수구)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일부만 도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저면(50a)에는 4개의 저면측 살수구(50a1)(살수구)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측 살수구(50a1)는, 내측을 향하도록 저면(50a)에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관통해 있다. 저면측 살수구(50a1) 및 측면측 살수구(50b1)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개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세탁 건조기(1A)의 종류나 내부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 커버(9a)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하면에는, 수로 부재(50)가 수용되며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오목부(9a1)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9a1)의 저면(9a2)에는 2개의 홈(9a3, 9a4)이 수로 부재(50)의 내측면(50b), 외측면(50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홈(9a3, 9a4)에 시일 부재(도시 생략)를 주입해서, 홈(9a3, 9a4)에 내측면(50b), 외측면(50c)을 맞붙인 상태에 있어서, 부착부(51, 52)를 외조 커버(9a)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수로 부재(50)가 외조 커버(9a)에 대하여 수밀(水密)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때 수로 부재(50)의 측면측 살수구(50b1)는 오목부(9a1)의 측벽부(9a5)와 대향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수로 부재(50)를 외조 커버(9a)에 부착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로 부재(50)가 세탁겸 탈수조(8)(밸런스 링(8c))와 외조(9) 사이의 극간(T)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로 부재(50)의 저면(50a), 내측면(50b) 및 외측면(50c)과, 이 수로 부재(50)의 오목면이 대향하는 외조 커버(9a)의 저면(9a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급수 경로에 상당한다.
또, 수로 부재(50)는, 수로(50s)가 하나로 이어져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수로 부재를 복수 조합시켜서, 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조합시킨 개수만큼의 접속구(9f)를 외조 커버(9a)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는 제어 장치(100)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로컴퓨터(110)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111), 공정 제어부(112)(운전 제어 수단), 회전 속도 산출부(113), 의류 중량 산출부(114) 등을 구비한다.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조작 스위치(7a)로부터 입력된 운전 코스에 맞는 운전 패턴을 호출하여 세탁 또는/및 건조를 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공정 제어부(112)는,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111)로부터 호출된 운전 패턴에 의거하여,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조 세정 공정, 건조 공정의 각 공정을 운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 공정에 있어서, 공정 제어부(112)는, 각각 구동 회로(120)를 통하여, 급수 유닛(12A)(급수 전자기 밸브(12a∼12d), 전환 전자기 밸브(12e)), 배수 밸브(14), 모터(10a), 클러치 기구(10b), 히터(22), 팬(21), 순환 펌프(17)를 구동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회전 속도 산출부(113)는, 모터(10a)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장치(28)로부터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모터(10a)의 회전 속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의류 중량 산출부(114)는, 회전 속도 산출부(113)에 의해 산출된 회전 속도와, 모터 전류 검출 장치(29)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세탁겸 탈수조(8) 내의 의류의 중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의류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하가 커져, 모터(10a)에 흐르는 모터 전류가 많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모터(10a)의 모터 전류와 회전 속도에 의하여 의류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A)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급수 유닛으로부터 세탁기(세탁 건조기)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운전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 세정 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세탁 운전은, 세탁→헹굼→조 세정→탈수→조 세정→(건조)의 운전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에서는,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메인)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주수 호스(11b)를 통하여 외조(9) 내에 주수된다.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호스(12i), 투입 장치(11), 투입 호스(11a)를 통하여 외조(9) 내에 공급된다.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 및 전환 전자기 밸브(12e)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호스(12j), 투입 장치(11), 투입 호스(11a)를 통하여 외조(9) 내에 공급된다. 또한,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세정 호스(11c)를 통하여 수로 부재(50)에 급수된다.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c)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통하여 건조 덕트(20) 내의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량(布量) 센싱 공정 S1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고, 의류 중량 산출부(114)가 주수 전의 의류에 대해서 포량을 산출한다.
급수 공정 S2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주수 호스(11b)를 통하여 외조(9)와 세탁겸 탈수조(8) 사이로부터 외조(9) 내에 주수한다. 또한, 공정 제어부(112)는,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가 개방되고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폐쇄한다.
세제 용해 공정 S3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를 개방하여, 수돗물을 투입 장치(11)의 세제 투입실(도시 생략)에 급수한다. 세제 투입실에 주수된 수돗물은, 투입된 세제와 함께, 외조(9) 내에 주수된다. 또한, 공정 제어부(112)는,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가 개방되고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12a)를 폐쇄한다.
회전 급수 공정 S4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를 개방해서 외조에 급수하고, 세탁겸 탈수조(8) 및/또는 회전 날개(8b)를 회전시키면서 순환 펌프(17)를 구동하여, 고농도의 세제 용액을 실보무라지 제거 장치(19)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 내의 의류에 살포한다.
전(前) 세탁 공정 S5에서는 고농도의 세제 용액으로 의류를 세탁한다.
포질(布質) 센싱 공정 S6에서는, 우선 의류 중량 산출부(114)가 물을 머금은 상태의 의류의 중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포량 센싱 공정 S1에서 산출한 의류의 중량과 포질 센싱 공정 S6에서 산출한 물을 머금은 상태의 의류의 중량으로부터, 의류의 포질(흡수성)을 판단한다. 판단된 의류의 포질에 따라 이하의 공정이 제어된다.
급수 공정 S7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포량 센싱 공정 S1에서 산출한 의류의 중량과, 포질 센싱 공정 S6에서 판단한 의류의 포질에 맞춰서 외조(9)의 내부에 급수한다.
본 세탁 공정 S8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회전 날개(8b)를 회전시켜 의류를 세탁한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세탁 공정 S8에서는, 회전 날개(8b)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켜 의류를 풀어헤치는 운전도 행한다. 또한, 공정 제어부(112)는, 이 본 세탁 공정과 풀어헤침 공정을 수회 반복한다. 본 세탁이 종료되면 의류의 언밸런스 상태를 감시하여 탈수로 이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수 공정 S9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외조(9) 내의 세탁수를 배수한다.
탈수 공정 S10에서는, 배수 종료 후,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켜서 의류에 머금어진 물(세탁수)을 탈수한다.
회전 샤워 공정 S11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배수 밸브(14)를 폐쇄하고,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를 개방하여 외조(9)에 헹굼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면서 순환 펌프(17)를 구동하여, 헹굼수를 실보무라지 제거 장치(19)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 내의 의류에 살포한다.
탈수 공정 S12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면서 순환 펌프(17)를 정지시켜서 의류로부터 헹굼수를 탈수한다.
회전 샤워 공정 S13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면서 다시 순환 펌프(17)를 구동하여, 헹굼수를 실보무라지 제거 장치(19)로부터 세탁겸 탈수조(8) 내의 의류에 살포한다.
배수 공정 S14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 및 순환 펌프(17)를 정지시키고,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외조(9) 내의 헹굼수를 배수한다.
탈수 공정 S15에서는, 배수 종료 후,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켜서 의류에 머금어진 물(헹굼수)을 탈수한다.
급수 공정 S16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배수 밸브(14)를 폐쇄하고,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 및 전환 전자기 밸브(12e)를 각각 소정 시간 개방하여, 외조(9)에 마무리제를 함유하는 헹굼수를 공급한다. 또한, 급수 공정 S16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d)를 개방하여 외조(9)에 헹굼수를 공급한다.
풀어헤침 공정 S17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회전 날개(8b)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켜 의류를 풀어헤치는 운전을 행한다.
교반 공정 S18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외조(9)에 헹굼수를 채운 상태에서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켜서 의류를 교반하면서 헹군다.
조 세정 샤워 공정 S19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b)를 개방하여 수로 부재(50)에 세정수(수돗물)를 공급한다. 이때, 공정 제어부(112)는, 세탁겸 탈수조(8)를, 상기 회전 급수 공정 S4, 회전 샤워 공정 S11, S13에서의 회전 속도(35rpm)보다 높고, 탈수 공정 시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80∼130rpm)로 소정 시간(예를 들면, 90초) 회전시킨다. 또, 세탁겸 탈수조(8)를 회전시키는 패턴으로서는, 항상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역방향도 포함시켜 회전시켜도 되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측면측 살수구(50b1)로부터 수돗물이 토출되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 커버(9a)에 형성된 오목부(9a1)(도 8 참조)의 저면(9a2)에 부딪히고, 그리고 세탁겸 탈수조(8)의 밸런스 링(8c)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끼얹어진다. 이때, 세탁겸 탈수조(8)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밸런스 링(8c)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끼얹어진 수돗물은,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의 원심력에 의해 외조(9)의 내주면(9s)을 향하여 날린다. 외조(9)의 내주면(9s)까지 날린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외조(9)의 내주면(9s)을 연직 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흘러내린다. 또한, 수로 부재(50)에 측면측 살수구(50b1)가 복수 형성됨과 함께 원심력에 의해 날리므로, 외조(9)의 상부에 있어서, 그 내주면(9s)의 전체에 수돗물이 내뿜어지고, 그 후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따라서, 외조(9)의 내주면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의 전체에 수돗물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외조(9)의 내주면의 전체의 오물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저면측 살수구(50a1)로부터 수돗물이 살수되면,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밸런스 링(8c))의 외주면(8s)에 내뿜어진다. 외주면(8s)에 내뿜어진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을 연직 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흘러내린다. 또, 측면측 살수구(50b1)로부터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적하(滴下)한 수돗물의 일부도, 도 12에 있어서 얇은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을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이렇게 해서, 수로 부재(50)의 측면측 살수구(50b1)와 저면측 살수구(50a1)로부터 수돗물을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외주 가장자리부)에 살수함으로써, 외조(9)의 내주면(9s) 및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에 대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조 세정 샤워 공정 S19에서는, 급수 공정 S16에서 급수된 수돗물이 외조(9)의 바닥에 채워진 상태에서 세탁겸 탈수조(8)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므로, 세탁겸 탈수조(8)의 외측의 저면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로 되돌아와서, 조 세정 샤워 공정 S19이 종료되면, 공정 제어부(112)는 의류의 언밸런스 상태를 감시하여 최종 탈수로 이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수 공정 S20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배수 밸브(14)를 개방하여 외조(9) 내의 헹굼수를 배수한다.
탈수 공정 S21에서는, 배수 종료 후, 공정 제어부(112)가 세탁겸 탈수조(8)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의류에 머금어진 수분을 제거한다.
또, 세탁에서부터 건조까지의 일련의 운전을 행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탈수 공정 S21 후에 건조 공정 S22를 행한다. 건조 공정 S22에서는, 공정 제어부(112)가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c)를 개방하고, 히터(22)를 통전하여 팬(21)을 구동시킨다. 건조 공정(S22) 종료 후, 유저가 외측 덮개(3) 및 덮개 부재(9c)를 개방하여 의류를 꺼내고, 덮개 부재(9c) 및 외측 덮개(3)를 폐쇄하고,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스타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하의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이 개시된다.
조 세정 샤워 공정 S23에서는, 상기 조 세정 샤워 공정 S19와 마찬가지로 하여,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이나 외조(9)의 내주면(9s)에 수로 부재(50)로부터 수돗물을 살수한다.
또, 조 세정 샤워 공정 S19, S23은 세탁 건조기(1A)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하여 ON/OFF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A)에서는, 외조 커버(9a)에 세탁겸 탈수조(8)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수로 부재(50))가 설치되고, 이 급수 경로에 급수 유닛(12A)(급수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살수하는 측면측 살수구(50b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에 수로 부재(50)에 급수함으로써, 외조(9)의 내주면(9s)에 수돗물을 날림으로써, 외조(9)의 내주면(9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곰팡이의 번식이나 이취(異臭)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탁 중인 세탁물에의 먼지의 부착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밸런스 링(8c)의 외주면)에 살수하는 저면측 살수구(50a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곰팡이의 번식, 이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세탁 중인 세탁물에의 먼지의 부착을 방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제어부(112)가 조 세정 샤워 공정 S19, S23을 실행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수(使用水) 양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헹굼 공정과 탈수 공정 사이에 행함으로써, 깨끗한 상태의 수돗물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조 세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돗물을 원심력에 의해 날려서 외조(9)의 내주면을 청정화함으로써, 수돗물을 세차게 내뿜어서 세정하는 경우보다 사용수 양을 줄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수로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세탁기)(1B)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세로 형식 세탁 건조기이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급수 유닛(12A) 대신에 급수 유닛(12B)을 구비한 것이다. 급수 유닛(12B)은, 메인(외조 급수)용으로서의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m), 마무리제 급수 전자기 밸브(12n),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o), 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p)를 구비하고 있다.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12m)는, 제어 장치(100)(공정 제어부(112))에 의하여 개방됨으로써,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투입 장치(11)의 세제 투입실(도시 생략)을 통하여 외조(9) 내에 급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무리제 급수 전자기 밸브(12n)는, 제어 장치(100)(공정 제어부(112))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투입 장치(11)의 마무리제 투입실(도시 생략)을 통하여 외조(9) 내에 급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12o)는, 제어 장치(100)(공정 제어부(112))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통하여, 건조 덕트(20)(도 2 참조)의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에 급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12p)는, 제어 장치(100)(공정 제어부(112))에 의하여 개방됨으로써, 급수 호스 접속구(4)로부터의 수돗물을, 수로 부재(50)(급수 경로)에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급수 유닛(12B)은 급수 호스 접속구(4)와 접속되며, 각 급수 전자기 밸브(12m, 12n, 12o, 12p)의 개폐에 의하여, 수돗물이 적절한 위치를 흐르도록 급수 경로 유닛이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급수 경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수로 부재(50)와 외조 커버(9a)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수로 부재(50)의 저면(50a)에 저면측 살수구(50a1)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는, 저면측 살수구(50a1)와,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면측 살수구(50a1)로부터 살수된 수돗물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겸 탈수조(8)의 상부(밸런스 링(8c)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8c1))에 직접적으로 살수된다. 이때, 세탁겸 탈수조(8)가 회전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의 원심력에 의하여 수돗물이 외조(9)의 내주면(9s)으로 비산한다. 외조(9)의 내주면(9s)에 끼얹어진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연직 방향 아래쪽을 향해서 흘러내린다. 이에 따라, 외조(9)의 내주면(9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또한 내주면(9s)에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의 외측면(50c)에 복수의 측면측 살수구(50c1)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측면측 살수구(50c1)로부터 살수된 수돗물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9)의 내주면(9s)에 직접적으로 살수된다. 내주면(9s)에 살수된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내주면(9s)을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고, 내주면(9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또는 내주면(9s)에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주면(9s)에 살수된 수돗물은, 세탁겸 탈수조(8)(밸런스 링(8c))측을 향해서 비산하여,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에 부착된다. 외주면(8s)에 부착된 수돗물은,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 시의 원심력과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외주면(8s)을 연직 방향에 경사지면서 아래쪽을 향해서 흘러내린다. 이에 따라, 세탁겸 탈수조(8)의 외주면(8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가 제거되며, 또한 외주면(8s)에 오물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C)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17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앞쪽에 설치되는 수로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외조 커버에 설치되는 수로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 도 2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 전측에 설치되는 수로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후측의 수로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도 2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 전측의 수로 부재에 의한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2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후측의 수로 부재에 의한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2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세탁 건조기)의 조 세정 시의 전체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세탁 건조기(1C)는 드럼식의 세탁 건조기이며, 케이싱(2A), 파선으로 나타내는 회전 드럼(내조)(8A)(도 17 참조), 외조(9A)(도 17 참조), 수로 부재(50A, 50B)(급수 경로), 구동 장치(10A)(구동 장치, 도 17 참조) 등을 구비하며, 케이싱(2A)에 조작 패널(7A)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수로 부재(50A, 50B)에는 급수 유닛(12C)으로부터 분기 호스(11c1, 11c2)를 통하여 각각 급수되게 되어 있다(도 24 참조).
케이싱(2A)은, 외곽이 강판과 수지 성형품을 조합함과 함께 베이스(Bs) 상에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A)의 전면의 대략 중앙에는 의류 등(세탁물, 건조 대상물)을 출납하기 위한 투입구를 폐색하는 도어(3A)가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어(3A)의 근방에는 도어(3A)의 로크(lock) 기구(도시 생략)를 해제하는 도어 개방 버튼(3a)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7A)의 우측에는 전원을 ON/OFF하는 전원 스위치(6A)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7A)의 좌측에는 세제나 유연제 등을 투입하는 인출식의 트레이(F1)가 설치되고, 조작 패널(7A)의 우측에는 인출식의 건조 필터(F2)가 설치되어 있다. 건조 필터(F2)는 메시(mesh)식의 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건조 운전 시에 실보무라지나 먼지 등이 제거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A)의 상면에는 수도꼭지와 접속되는 급수 호스 접속구(4A), 목욕 잔여 온수를 퍼올리는 호스가 접속되는 흡수 호스 접속구(5A)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선으로 나타내는 회전 드럼(8A)(내조)은 케이싱(2A) 내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통 형상의 세탁겸 탈수조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전 드럼(8A)은 전측(앞쪽) 단면에 의류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8d)를 가짐과 함께, 그 둘레벽 및 저벽(안쪽)에 통수 및 통풍을 위한 다수의 관통 구멍(8a1)(도 22 및 도 23 참조)을 갖고 있다. 개구부(8d)의 가장자리부에는 회전 드럼(8A)과 일체인 밸런스 링(8e)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드럼(8A)의 내주벽에는, 안길이 방향(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프터(8f)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어, 세탁, 건조 시에 회전 드럼(8A)이 회전하면, 의류 등이 리프터(8f)와 원심력에 의해 둘레벽을 따라 들어올려지고,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있다. 또, 회전 드럼(8A)의 회전 중심은 개구부(8d)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외조(9A)는, 회전 드럼(8A)을 동축 상에 내포함과 함께 전면(前面)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세탁실 및 건조실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외조(9A)의 전면의 개구에는 합성 수지제의 외조 커버(9h)가 설치되며, 외조(9A) 내에의 저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외조 커버(9h) 전측(앞쪽) 중앙에는, 의류 등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9h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9h1)와 도시하지 않은 보강 부재에 설치한 개구부는 고무제의 패킹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패킹은 외조(9A)와 도어(3A)의 수밀성을 유지하는 역활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및 탈수 시의 누수의 방지가 도모되어 있다. 외조(9A)의 저면에는 배수구(9i)가 설치되며 배수 호스(H)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조(9A)의 하부는, 하측이 베이스(Bs)에 고정된 복수의 방진 수단(F3)(코일스프링과 댐퍼에 의해 구성)에 의해 방진 지지되어 있다. 또한, 외조(9A)의 상부는 상부 보강 부재에 부착된 보조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외조(9A)가 전후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수 호스(H)의 도중에는 배수 밸브(14A)가 설치되며, 이 배수 밸브(14A)를 폐쇄하고 급수함으로써 외조(9A) 내에 물이 채워지고, 배수 밸브(14A)를 개방함으로써 외조(9A) 내의 물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구동 장치(10A)는 회전 드럼(8A)을 회전 구동하는 것이며, 외조(9A)의 배면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10A)의 회전축(10g)은 외조(9A)를 관통하여 회전 드럼(8A)의 배면에 설치된 금속제 플랜지(10h)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세탁 건조기(1C)는 케이싱(2A)의 내부에 송풍 덕트(송풍로)(20A)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 덕트(20A)는 외조(9A)의 배면측을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덕트(20b)와, 외조(9A)의 상면측을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상측 덕트(20c)를 갖고 있다. 후측 덕트(20b)의 하부는, 외조(9A)의 배면 하부에 설치된 출구(9j)가 유연 구조의 벨로즈(20d)를 통하여 대략 수평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후측 덕트(20b) 내에는 수냉 제습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덕트(20c)의 하류측에는 송풍 수단으로서의 팬(21A)과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22A)를 구비한 송풍 팬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 유닛이 작동하면, 팬(21A)의 흡인력에 의하여 상측 덕트(20c)로부터 송풍 팬 유닛 내에 공기가 유입되고, 히터(22A)를 통과함으로써 유입된 공기가 가열되어, 송풍 팬 유닛의 토출구(도시 생략)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공기가 후측 덕트(20b)를 통과할 때, 도시하지 않은 수냉 제습 기구에 의해 냉각되어 제습이 행해진다. 송풍 팬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가열 공기는 온풍 덕트(20k), 벨로즈(20l), 토출 노즐(20m)을 통하여 회전 드럼(8A) 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도 18은 외조 커버(9h)를 내측으로부터 본 상태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 커버(9h)(외조(9A)의 앞쪽)에는 조 세정용으로서 수돗물을 살수하는 수로 부재(50A)가 부착된다. 이 수로 부재(50A)는 대략 궁형(弓形) 형상(원호 형상)을 나타내며, 외조 커버(9h)의 내면(9k)의 상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환언하면 회전 드럼(8A)(도 17 참조)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A)는 원주의 4분의 1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며,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같은 길이로 연장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A)의 전면(측면)(50d)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살수구(50b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의 살수구(50b2)가 형성되어 있지만, 9개 미만이어도 10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수로 부재(50A)의 상면(50e)에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급수구(50f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A)의 좌우 양단에는 살수구(50c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살수구(50c2)는 좌우 옆쪽으로 살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A)의 상면(50e)에는, 복수의 부착부(51A)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51A)는 직사각형상의 편부(51a)를 가지며, 이 편부(51a)에 나사 삽입 구멍(51b)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부착부(51)는 상면(50e)과 한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A)의 저면(50f)에는 급수구(50f1)와 대향하는 위치에 살수구(50a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수구(50a2)는 1개만 설치되어 있지만,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0은, 외조 커버(9h)를 떼어낸 외조(9A) 내를 전측(앞쪽)으로부터 본 상태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9A)의 저면(안쪽의 면)(9t)에는 조 세정용으로서 수돗물을 살수하는 수로 부재(50B)가 부착된다. 이 수로 부재(50B)는 대략 궁형 형상(원호 형상)을 나타내며, 외조(9A)의 저면(9t)(안쪽의 면)의 상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환언하면 회전 드럼(8A)(도 17 참조)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B)는 원주의 4분의 1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며,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같은 길이로 연장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도 2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B)의 전면(측면)(50g)에는 살수구(50b3, 50b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B)는 그 상면과 하면에 번갈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부착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51B)는 직사각형상의 편부(51a)를 가지며, 이 편부(51a)에 나사 삽입 구멍(51b)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2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B)의 배면(측면)(50h)에는 복수의 살수구(50b4)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살수구(50b4)는 수로 부재(50B)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B)의 상기 부착부(51B)는 배면(50h)과 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C)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해서 각 공정이 실행된다. 즉, 외조(9A)에 수돗물을 채운 상태에서, 회전 드럼(8A)을 세탁 시의 회전 속도보다 높고, 탈수 시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80∼130rpm)로 회전시킨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A)는 외조 커버(9h) 내에 회전 드럼(8A)의 둘레 방향(도시 안쪽과 앞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조 커버(9h)는 회전 드럼(8A)의 전단부(前端部)의 밸런스 링(8e)의 둘레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전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9h2)을 갖고 있다. 또한, 회전 드럼(8A)의 몸통판은, 수로 부재(50A)의 위치에 있어서 직경이 작아지는 교축부(8v)를 갖고 있으며, 이 교축부(8v)에 밸런스 링(8e)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수로 부재(50A)의 급수구(50f1)는 외조 커버(9h)를 관통하여 외조 커버(9h)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급수구(50f1)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 유닛으로부터 수돗물이 호스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세탁 건조기(1C)에서는, 수로 부재(50A)의 전면(50d)에 형성된 살수구(50b2)로부터, 외조 커버(9h)(외조(9A))의 내주면(9s)을 향하여 살수된다. 내주면(9s)에 살수된 수돗물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 커버(9h)의 내주면(9s)의 표면을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흘러내린다. 또한, 수로 부재(50A)의 저면(50f)에 형성된 살수구(50a2)로부터는,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8A)의 상부(교축부(8v))에 살수된다. 교축부(8v)에 살수된 수돗물은, 회전 드럼(8A)의 원심력에 의하여 외조 커버(9h)(외조(9A))의 내주면(9s)에 비산되며, 또한 교축부(8v)보다 뒤쪽의 외조(9A)나 회전 드럼(8A)의 외주면(8s)으로 비산하여 뒤쪽으로 흐른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B)는, 외조(9A)의 저면(9t)에 회전 드럼(8A)의 둘레 방향(도시 안쪽과 앞쪽)으로 연장되어 배설된다. 또한, 수로 부재(50B)는, 그 배면(50h)과 저면(9t) 사이에 살수구(50b4)로부터 저면(9t)에 살수 가능해지는 극간이 형성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드럼(8A)은, 저면(8t)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환상의 플랜지부(8t1)가 뒤쪽을 향해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8t1) 내에 합성 수지제의 저판(8u)이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세탁 건조기(1C)에서는, 수로 부재(50B)의 배면(50h)에 형성된 살수구(50b4)로부터,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9A)의 저면(9t)을 향하여 수돗물이 살수된다. 저면(9t)에 살수된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아래쪽을 향해서 흘러내린다. 또한, 수로 부재(50B)의 전면(50g)에 형성된 살수구(50b3, 50b3)(도 20, 도 21 참조)로부터는,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8A)의 저판(8u)을 향하여 살수된다. 저판(8u)에 살수된 수돗물은, 회전 드럼(8A)이 회전함으로써 저판(8u)의 외주면 전체에 살수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로 부재(50A)에는, 외조 커버(9h)의 내주면(9s)을 향해서 살수되는 살수구(50b2)가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살수구(50b2)로부터 살수된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외조 커버(9h)의 내주면(9s)을 연직 방향의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또한, 수로 부재(50A)의 양단부에 형성된 살수구(50c2)로부터는, 외조 커버(9h)의 내주면(9s)을 향해서 살수되므로, 외조 커버(9h)의 좌우 양단부의 내주면(9s)에 대해서도 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외조 커버(9h)의 내주면 전체에 수돗물을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로 부재(50A)에는 회전 드럼(8A)의 전단 상부를 향하여 살수되는 살수구(50a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살수구(50a2)로부터 살수된 수돗물은, 회전 드럼(8A)의 원심력에 의하여 교축부(8v)와 대향하는 외조(9A)의 내주면(9s)을 향해서 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수로 부재(50B)에는 회전 드럼(8A)의 저면(8t)측(저판(8u), 도 22 참조)을 향해서 살수하는 살수구(50b3, 50b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살수구(50b3)로부터 살수된 수돗물은 회전 드럼(8A)이 회전함으로써 저판(8u)의 외주 전체에 살수되게 된다.
또한, 수로 부재(50B)에는 외조(9A)의 저면(9t)(도 23 참조)을 향해서 살수하는 복수의 살수구(50b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살수구(50b4)로부터 저면(9t)에 살수된 수돗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외조(9A)의 저면(9t)을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흘러내린다. 따라서, 외조(9A)의 저면(9t)의 전체에 수돗물을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C)에서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공정이 실행된다. 조 세정 샤워 공정을 실행할 때에는, 헹굼 2의 급수 공정 S16(도 11 참조)에서 외조(9A)에 헹굼수(깨끗한)를 채워 두고, 회전 드럼(8A)을 회전시킴으로써, 채운 물이 위쪽으로 쓸려올라가서, 회전 드럼(8A) 주위의 외조(9A)의 내주면이 세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 건조기(1C)에서는, 외조 커버(9h)(외조(9A))에 회전 드럼(8A)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로 부재(50A)(급수 경로)가 설치되며, 이 수로 부재(50A)에는 급수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외조 커버(9h)의 내주면(9s)에 살수하는 살수구(50b2)가 설치되어 있다(도 22 참조). 이에 따르면, 외조 커버(9h)(외조(9A))의 내주면(9s)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곰팡이의 번식이나 이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탁 중인 세탁물에의 먼지의 부착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교축부(8v)(회전 드럼(8A))에 살수하는 살수구(50a2)가 형성된 수로 부재(50A)를 구비하고 있으므로(도 22 참조), 교축부(8v)(회전 드럼(8A))의 외주면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곰팡이의 번식, 이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세탁 중인 세탁물에의 먼지의 부착을 방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판(8u)(회전 드럼(8A))에 살수하는 살수구(50b3)가 형성된 수로 부재(50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도 23 참조), 저판(8u)(회전 드럼(8A))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조(9A)의 저면(9t)에 살수하는 살수구(50b4)가 형성된 수로 부재(50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도 23 참조), 저면(9t)(외조(9A))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오물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 건조기(1A, 1B)의 세탁겸 탈수조(8)의 몸통판(8a)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8a1)(탈수 구멍)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8a1)의 군(群)과 그 하단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8a1)의 군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탈수 시에 상단(上段)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8a1)으로부터 토출된 물과, 그 하단(下段)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8a1)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일부에 있어서 서로 겹쳐서 외조(9)에 배출된다. 따라서, 외조(9)의 내주면(몸통판(8a) 상하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탈수 시에 토출되는 물이 닿지않는 영역(스트라이프 형상의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세로 형식 세탁 건조기(1A, 1B)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드럼식 세탁 건조기(1C)에 적용해도 된다.
이상,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로서, 세탁겸 탈수조(8)의 회전축이 대략 연직 방향인 세로 형식 세탁 건조기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로서, 회전 드럼(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이 대략 수평 방향인 드럼식 세탁 건조기(1C)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 기능을 갖지 않는 세로 형식 세탁기, 드럼식 세탁기여도 된다.
1A, 1B, 1C : 세탁 건조기(세탁기)
2, 2A : 케이싱
8 : 세탁겸 탈수조(내조)
8A : 회전 드럼(내조)
8a : 몸통판
8c, 8d : 밸런스 링
8c1 : 외주 가장자리부 상면
8s : 외주면
8t : 저면
8u : 저판
8v : 교축부
9, 9A : 외조
9a, 9h : 외조 커버
9a1 : 오목부
9a2 : 저면
9s : 내주면
9t : 저면
10 : 구동 장치
11c : 세정 호스
12 : 급수 유닛(급수 수단)
12a : 세제 급수 전자기 밸브
12b : 마무리제/조 세정 급수 전자기 밸브
12c : 냉각수 급수 전자기 밸브
12d : 외조 급수 전자기 밸브
12e : 전환 전자기 밸브
50, 50A, 50B : 수로 부재(급수 경로)
50a : 저면
50a1 : 저면측 살수구
50a2 : 살수구
50b : 내측면
50b1 : 측면측 살수구
50b2, 50b3, 50b4 : 살수구
50c : 외측면
51, 51A, 51B, 52, 52A, 52B : 부착부
60 : 나사
100 : 제어 장치
112 : 공정 제어부(운전 제어 수단)

Claims (6)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방진(防振) 지지되며, 내부에 세탁수를 저류(貯留)하는 외조(外槽)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內槽)와,
    상기 내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에는 상기 내조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경로에는, 측면측 살수구(散水口)와 저면측 살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급수 수단을 사용하여 수돗물을 상기 측면측 살수구와 상기 저면측 살수구로부터 살수함으로써 상기 내조의 외주면과 상기 외조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수돗물을 상기 외조의 바닥에 채운 상태에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급수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수돗물을 상기 측면측 살수구와 상기 저면측 살수구로부터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수돗물을 상기 외조의 바닥에 채운 상태에서, 상기 내조를, 세탁 시의 회전 속도보다 높고, 탈수 시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급수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수돗물을 상기 측면측 살수구와 상기 저면측 살수구로부터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에는, 상기 내조의 상부에 살수하는 복수의 상기 저면측 살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급수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수돗물을 상기 저면측 살수구로부터 살수함으로써, 상기 내조의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외조를 향해서 상기 수돗물이 날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는 회전 드럼이고,
    상기 외조의 전면(前面)에는, 외조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외조 커버 내에는,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경로에는, 상기 외조 커버의 내주면을 향해서 살수하는 복수의 상기 측면측 살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급수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수돗물을 상기 측면측 살수구로부터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방진 지지되며, 내부에 세탁수를 저류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에는 상기 내조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경로에는, 상기 내조의 상면에 적하(滴下)하는 살수구와 상기 내조의 외주면에 내뿜는 살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급수 수단을 사용하여 수돗물을 상기 각 살수구로부터 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37022853A 2011-04-19 2012-02-20 세탁기 KR101492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3460 2011-04-19
JP2011093460A JP5785764B2 (ja) 2011-04-19 2011-04-19 洗濯機
PCT/JP2012/054014 WO2012144262A1 (ja) 2011-04-19 2012-02-20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433A KR20130129433A (ko) 2013-11-28
KR101492499B1 true KR101492499B1 (ko) 2015-02-11

Family

ID=4704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22853A KR101492499B1 (ko) 2011-04-19 2012-02-20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85764B2 (ko)
KR (1) KR101492499B1 (ko)
CN (2) CN103547725B (ko)
WO (1) WO2012144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9865B (zh) * 2015-07-07 2021-03-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EP3412822B9 (en) * 2016-02-01 2021-08-18 LG Electronics Inc. Drum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tub thereof
US11326292B2 (en) 2016-02-01 2022-05-10 Lg Electronics Inc. Drum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tub thereof
CN108252029A (zh) * 2016-12-29 2018-07-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可清洗洗衣机内外桶的外桶盖及洗衣机
WO2019027295A1 (en) 2017-08-04 2019-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N111286925B (zh) * 2018-12-10 2022-05-3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环
KR102664420B1 (ko) * 2019-06-28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679A (ja) * 1995-04-28 1996-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H09786A (ja) * 1995-04-29 1997-01-07 Daewoo Electronics Co Ltd 噴射ノズル組立体を具備した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843A (ja) * 1994-03-25 1995-10-20 Nec Corp 携帯無線機の着信通報方法及び通報装置
US6205603B1 (en) * 1997-12-19 2001-03-27 Maytag Corporation Front water injection for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JP2006239141A (ja) * 2005-03-03 2006-09-14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08259665A (ja) * 2007-04-12 2008-10-30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679A (ja) * 1995-04-28 1996-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H09786A (ja) * 1995-04-29 1997-01-07 Daewoo Electronics Co Ltd 噴射ノズル組立体を具備した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23359A (ja) 2012-11-15
WO2012144262A1 (ja) 2012-10-26
CN105734886B (zh) 2017-11-17
CN103547725A (zh) 2014-01-29
JP5785764B2 (ja) 2015-09-30
KR20130129433A (ko) 2013-11-28
CN105734886A (zh) 2016-07-06
CN103547725B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499B1 (ko) 세탁기
KR101492498B1 (ko) 세탁기
US20090019896A1 (en) Washing machine
WO2012144264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71728B2 (ja) 洗濯機
JP2014083138A (ja) 洗濯乾燥機
JP634933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43720B2 (ja) 洗濯機
JP5740518B2 (ja) 洗濯機
JP5663688B2 (ja) 洗濯機
JP5326034B2 (ja) 洗濯機
JP5907673B2 (ja) 洗濯機
JP201511988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307101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276753B2 (ja) 洗濯機
JP2013226337A (ja) 洗濯機
JP6108567B2 (ja) 洗濯機
JP5398932B2 (ja) 洗濯機および縦型洗濯機
JP574694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894886B2 (ja) 洗濯機
JP589935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35872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3066724A (ja) 洗濯機
JP2012249723A (ja) 洗濯機
JP2018086463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