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700A - 우산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700A
KR20150107700A KR1020150125538A KR20150125538A KR20150107700A KR 20150107700 A KR20150107700 A KR 20150107700A KR 1020150125538 A KR1020150125538 A KR 1020150125538A KR 20150125538 A KR20150125538 A KR 20150125538A KR 20150107700 A KR20150107700 A KR 2015010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main body
rainwater
water collecting
collec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966B1 (ko
Inventor
조빛나
Original Assignee
조빛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빛나 filed Critical 조빛나
Priority to KR102015012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9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1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형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지며, 우산 진출입을 위한 출입구 및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공기배출구가 다수개 형성되며,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 측에는 여닫이형 제2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내측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출입구측과 연계되어 우산을 진출입시키는 입구부가 구비된 원뿔형으로 본체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탈수커버와; 상기 탈수커버가 설치된 본체 내측 중앙에 수용되는 우산의 손잡이 측을 꽂아 세우기 위한 꽂이부가 구비되고, 저면 중앙에는 축 결합공이 형성되며, 축결합공이 형성된 일측에는 높이감지용 돌부가 구비된 우산 거치블럭과; 중앙에는 상기 우산 거치블럭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중앙에 마련되고, 수용부에는 우산 거치블럭측의 높이감지용 돌부의 근접으로 우산의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마련되고, 외측둘레에는 본체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대로서 지지되며, 수용부 중앙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베어링에 관통 지지되고, 일단은 우산 거치블럭과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측에는 받침부재를 관통한 회전축의 단부와 결합되며, 원주상에는 송풍기측으로부터 불어온 바람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축과 함께 우산 거치블럭을 회전시키는 임펠러부재와; 상기 임펠러부재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단부를 탄력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및 압축스프링을 안착 지지하는 스프링커버체와; 상기 임펠러부재가 설치된 본체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임펠러부재를 통과한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고, 송풍 바람은 본체의 공기배출구측으로 유도하는 빗물유도부재와; 상기 빗물유도부재가 설치된 본체의 내부 하측에 상기 제2도어를 통해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하부로부터 이격 설치되고, 집수조에 채워지는 빗물 양에 따라 집수조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본체 외부에 구비되어 타이머에 의한 송풍기의 동작설정시간 및 세팅, 우산의 유무에 따른 송풍기의 가동제어, 집수조의 교체 알림을 각각 컨트롤 제어, 표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간단히 우산을 거꾸로 세워 집어넣고, 도어를 닫으면, 우산의 유무 감지와 함께 강한 송풍력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우산에 묻은 빗물을 하방향으로 불어 내어줌과 동시에 송풍력에 의해 우산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우산의 천 사이사이에 유착된 빗물을 남김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비닐커버 사용에의 의한 번거로움 및 환경오염 부담을 없애고, 기존의 건조 및 탈수장치에 비해 하나의 송풍기를 통한 송풍력 제어만으로도 효율적인 빗물 탈수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효과로 건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 탈수장치{Umbrella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우천시 사용된 우산으로부터 빗물을 탈수하기 위한 탈수장치로서, 각자 소지한 우산을 탈수장치에 넣어 강한 송풍력으로 우산에 유착된 빗물을 효율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일회용 비닐커버의 사용에 따른 소비성 물자절약과 쓰레기로 버려지는 비닐커버의 환경오염,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로 인한 건물 실내 바닥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누구라도 사용법을 숙지하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는 대부분의 우산 사용자들이 젖은 우산에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실내공간, 예를 들면, 호텔, 백화점, 학교, 상가 및 사무용 빌딩으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우산에 부착된 빗물 등은 우산으로부터 실내 바닥이나 계단으로 낙하되고, 이러한 빗물은 실내 바닥을 미끄럽게 하여 보행자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고, 이러한 보행자의 미끄러짐 사고가 계단 등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매우 치명적인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바닥에 떨어진 빗물은 보행자의 신발에서 떨어져 나온 각종 오염물 등과 혼합되어 실내 바닥을 더럽히게 되어 청결 관리에도 어려움이 많다.
빌딩의 출입구에는 우천시 항상 우산을 담아두기 위한 우산통을 구비하거나 우산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일회용 우산비닐커버 공급장치를 비치하게 된다.
이는 우산분실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주로 우산비닐커버를 사용하는데, 우산비닐공급장치는 장우산 또는 단우산(접이식 우산)을 넣을 수 있는 비닐봉투를 거치대상에 수 십장 세팅하여 사용자가 우산을 비닐에 넣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우산비닐커버는 우산의 천에 잔류하는 빗물로 인해 장시간 비닐봉투에 넣어두면 빗물이 우산의 천에 스며들어 우산 살대를 부식시키고, 우산을 재사용시 빗물이 우산의 천 내면에 맺혀 옷이나 신체에 일부가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산비닐공급장치는 사용 후에 젖은 일회용 비닐커버를 다량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에도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고, 또한 그 소모량도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비용부담이 있으며, 쓰레기 처리부분에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우산을 위한 일회용 비닐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우산을 자동으로 탈수 혹은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관련된 특허문헌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6344호(명칭: 우산 건조장치, 공개일자: 2009년 06월 25일,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307760호(명칭: 우산 탈수장치, 등록일자: 2003년 03월 05일, 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살피면, 중앙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송풍기와, 송풍기를 통하여 주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분산공급하도록 히팅부재가 구비되는 풍향날개와, 공기 흡입구를 중심으로 다수의 우산삽입홀이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상부동체; 상기 상부동체의 저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빈 중공의 건조실을 형성하고, 우산삽입홀과 대향하는 바닥판에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되는 하부동체; 및 상기 하부동체 저면에 일체 혹은 분할형성되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풍향날개는 송풍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건조실내에서 와류를 일으키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우산삽입홀은 고무판 혹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편에 의해 개폐 후 복귀되는 마감판에 의해 마감되며, 상기 하부동체의 바닥판는 송풍기를 통하여 하부로 분사되는 공기가 사방으로 분산되어 강제 순환되도록 중앙에 공기분산부가 돌출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우산 건조장치는 다수개의 우산을 꽂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송풍기를 이용한 와류의 방향으로 물기를 털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바람의 방향에 의해 우산의 천이 일방향으로 접히는 형태를 이루어 우산이 접히는 천의 골과 골 사이에 묻어 있는 빗물이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털리지 못하고 남아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의 우산 탈수장치를 살피면, 육면체 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우산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서랍형태로 착탈가능케 구비되어 우산으로부터 탈수된 수분을 집수하는 집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수단은 집수조의 상측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방수수단을 강구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다수개의 탈수공을 형성하여 접은 우산을 수용하는 탈수통과; 상기 케이스에는 탈수통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유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타입의 우산 탈수는 말 그대로 세탁기 혹은 탈수기와 같이 탈수통을 회전시켜 일정시간 동안 회전으로서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탈수의 원심력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우산이 접히는 천의 골과 골 사이에 빗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완전한 제거가 어려우며, 원심력에 의해 우산 상단 캡이 탈수통 내에 빠지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우천시 사용된 우산으로부터 빗물을 탈수하기 위한 탈수장치로서, 각자 소지한 우산을 탈수장치에 넣어 강한 송풍력으로 우산에 유착된 빗물을 효율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일회용 비닐커버의 사용에 따른 소비성 물자절약과 쓰레기로 버려지는 비닐커버의 환경오염,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로 인한 건물 실내 바닥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누구라도 사용법을 숙지하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우산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우산 탈수장치는,
통형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지며, 우산 진출입을 위한 출입구 및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공기배출구가 다수개 형성되며,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 측에는 여닫이형 제2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내측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출입구측과 연계되어 우산을 진출입시키는 입구부가 구비된 원뿔형으로 본체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탈수커버와; 상기 탈수커버가 설치된 본체 내측 중앙에 수용되는 우산의 손잡이 측을 꽂아 세우기 위한 꽂이부가 구비되고, 저면 중앙에는 축 결합공이 형성되며, 축 결합공이 형성된 일측에는 높이감지용 돌부가 구비된 우산 거치블럭과; 중앙에는 상기 우산 거치블럭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중앙에 마련되고, 수용부에는 우산 거치블럭측의 높이감지용 돌부의 근접으로 우산의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마련되고, 외측둘레에는 본체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대로서 지지되며, 수용부 중앙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베어링에 관통 지지되고, 일단은 우산 거치블럭과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측에는 받침부재를 관통한 회전축의 단부와 결합되며, 원주상에는 송풍기측으로부터 불어온 바람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축과 함께 우산 거치블럭을 회전시키는 임펠러부재와; 상기 임펠러부재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단부를 탄력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및 압축스프링을 안착 지지하는 스프링커버체와; 상기 임펠러부재가 설치된 본체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임펠러부재를 통과한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고, 송풍 바람은 본체의 공기배출구측으로 유도하는 빗물유도부재와; 상기 빗물유도부재가 설치된 본체의 내부 하측에 상기 제2도어를 통해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하부로부터 이격 설치되고, 집수조에 채워지는 빗물 양에 따라 집수조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상기 본체 외부에 구비되어 타이머에 의한 송풍기의 동작설정시간 및 세팅, 우산의 유무에 따른 송풍기의 가동제어, 집수조의 교체 알림을 각각 컨트롤 제어, 표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산 탈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탈수커버의 내측둘레에는 우산으로부터 탈수되는 빗물이 탈수커버의 내벽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요홈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산 거치블럭의 꽂이부는 일자형으로 된 우산손잡이를 쪽는 제1꽂이홈 및 제1꽂이홈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되어 라운드형으로 구부러진 우산손잡이를 꽂아주기 위한 제2꽂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수조는 내부 고정형으로 일측에 배수라인이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설치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는, 간단히 우산을 거꾸로 세워 집어넣고, 도어를 닫으면, 우산의 유무 감지와 함께 강한 송풍력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우산에 묻은 빗물을 하방향으로 불어 내어줌과 동시에 송풍력에 의해 우산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우산의 천 사이사이에 유착된 빗물을 남김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비닐커버 사용에의 의한 번거로움 및 환경오염 부담을 없애고, 기존의 건조 및 탈수장치에 비해 하나의 송풍기를 통한 송풍력 제어만으로도 효율적인 빗물 탈수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효과로 건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우산 탈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내부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탈수커버 절개도 및 탈수커버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우산이 삽입된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탈수 장치에 우산을 삽입하거나 빼내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5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블럭에 일 실시예의 우산손잡이를 안치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서 빗물수집용기의 탈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집수조에 배수라인이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일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7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산 탈수장치(10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U)의 진출입을 위한 출입구(11) 및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12)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공기배출구(13)가 다수개 형성되며, 공기배출구(13)가 형성되며, 하부 측에는 여닫이형 제2도어(14)가 구비된 통형의 본체(10)가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지는 타입으로 제공된다.
본체(10)의 하단부는 평평한 바닥면에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는 받침판이 도 1에서와 같이 구비되거나 혹은 별도의 높이조절다리(도면에서 생략함)를 다수개 구비하여 바닥지형에 맞게 다리높이를 조절하여 세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 상부에는 내측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기 위한 송풍기(20)가 설치되고, 그 외측은 송풍기를 가릴 수 있는 커버가 미관상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출입구(11)측과 연계되어 우산(U)을 진출입시키는 입구부(31)가 구비된 원뿔형의 탈수커버(30)가 상기 본체(10)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탈수커버(30)의 내측둘레에는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U)으로부터 탈수되는 빗물이 탈수커버(30)의 내벽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요홈(32)이 배열 형성된다.
상기 탈수커버(30)가 설치된 본체(10) 내측 중앙에는 우산(U)을 안치시키기 위한 우산 거치블럭(40)이 구비된다.
상기 우산 거치블럭(40)은 우산(U)의 손잡이(U1) 측을 꽂아 세우기 위한 꽂이부(41)가 마련되며, 이 꽂이부(41)는 일자형으로 된 우산 손잡이(U1)를 꽂는 제1꽂이홈(41a) 및 제1꽂이홈(41a)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되어 라운드형으로 구부러진 우산손잡이(U1)를 꽂아주기 위한 제2꽂이홈(41b)이 형성된다.
또한, 우산 거치블럭(40)의 저면 중앙에는 축 결합공(42)이 형성되며, 축결합공(42)이 형성된 일측에는 높이감지용 돌부(43)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감지용 돌부(43)는 금속소재로 후술하는 근접센서(S1)가 근접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우산 거치블럭(40)은 받침부재(50)에 안치되어 회전가능한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50)의 중앙에는 상기 우산 거치블럭(40)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1)가 중앙에 마련되고, 수용부(51)에는 우산 거치블럭(40)측의 높이감지용 돌부(43)의 근접으로 우산(U)의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S1)가 마련되며, 그 외측둘레에는 본체(10)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대(52)로서 지지되며, 상기 수용부(51) 중앙에는 후술하는 회전축(60)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53)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60)은 받침부재(50)의 베어링(53)에 관통 지지되고, 일단은 상기 우산 거치블럭(40)측의 축 결합공(42)과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50)의 하부측에는 받침부재(50)를 관통한 회전축(60)의 단부와 결합되며, 원주상에는 송풍기(20)측으로부터 불어온 바람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축과 함께 우산 거치블럭(40)을 회전시키는 임펠러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임펠러부재(70)는 날개가 다수개 배열 형성된 원반 형체로, 상기 송풍기(20)의 바람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60)과 연결된 우산 거치블럭(4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체이다.
상기 임펠러부재(70)의 하부 중앙에는 회전축(60)을 탄력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압축스프링(81) 및 압축스프링(81)을 안착 지지하는 스프링커버체(8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임펠러부재(70)가 설치된 본체(10)의 내측 하부에는 임펠러부재(70)의 날개 사이를 통과한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고, 송풍 바람은 본체(10)의 공기배출구(13)측으로 유도하는 빗물유도부재(90)가 설치된다.
상기 빗물유도부재(90)는 빗물을 중앙으로 집속되도록 하는 경사진 콘부(91)가 형성되며, 이러한 콘부(91)는 빗물을 후술하는 집수조(110)를 벗어나지 않게 유도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본체(10)측 공기배출구(13)으로는 직접 빗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림막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콘부(91)의 위치는 공기배출구가 위치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본체 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빗물유도부재(90)가 설치된 본체(1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본체의 제2도어(14)를 통해 인출가능한 집수조(110)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110)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에는 집수조에 채워지는 빗물의 집수된 양에 따라 집수조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S2)가 구비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S2)는 집수조에 채워진 빗물처리를 위한 부분이다.
상기 본체(10) 외부에는 제어기가 구비되며, 이 제어기(120)는 타이머(T)에 의한 송풍기(20)의 동작설정시간 및 세팅, 우산(U)의 유무에 따른 송풍기(20)의 가동제어, 집수조(110)의 교체 알림을 각각 컨트롤 제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120)는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송풍기의 가동시작, 마침, 제1도어의 개방 상태, 순서 등을 음성으로 알림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조를 탈착하여 빗물을 처리하는 방식이 아닌 일 실시예로 상기 집수조(110)는 내부 고정형으로 일측에 배수라인(P)이 본체(10)의 외측으로 연장설치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라인(P)이 설치되는 구조는 상기의 구성에서 집수조(110)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의 적용은 생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우산 탈수장치의 이용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100)의 사용은 우천시 건물 현관 등에 비치하여 사용한다.
본체(10)측 전면 상부측에 마련된 제어기(120)는 송풍기(20)의 가동시간, 우산의 유무를 감지하는 시간 등을 모두 세팅한 상태에서 이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이다.
상기 본체(10)의 출입구(11)측의 제1도어는 개방된 상태이며, 여기서 이용자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출입구(11)측과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는 탈수커버(30)의 입구부(31)를 통해 탈수커버(30) 내측으로 위치시키며, 이때 이용자는 우산(U)의 손잡이(U1)부분을 우산 거치블럭(40)에 안치시켜 세워준다.
우산(U)은 우산 천에 부착되어 우산 천을 돌려 감싼 상태로 정리할 수 있는 정리 끈을 결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에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우산 거치블럭(40)의 꽂이부(41)에 안치되는 우산 손잡이(U1)가 일자형인 경우에는, 제1꽂이홈(41a)에 안내시키고,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라운드형으로 제작된 손잡이(U1)의 경우는, 제1꽂이홈(41a)과 통하도록 형성된 제2꽂이홈(41b)에 꽂아 우산을 거치시켜 주고, 제1도어(12)를 닫아준다.
우산(U)을 내부에 거치시키고 난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 내외)이 경과하면, 제어기(120)측에서 제1도어(12)를 닫아줄 것을 음성으로 표시하고, 음성표시에 맞추어 이용자는 제1도어(12)를 닫아 준다.
상기 우산 거치블럭(40)에 안치된 우산(U)은 그 무게에 따라 하부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고, 우산 거치블럭(40)의 저부측 높이감지용 돌부(43)는 받침부재(50)의 수용부(51)에 구비된 근접센서(S1)에 최대한 근접되는 상태가 되며, 근접센서(S1)에서 받은 전기적인 감지신호는 제어기(120)를 통해 송풍기(20)를 가동시켜 준다.
상기 송풍기(20)의 가동은 근접센서의 감지 후 타이머(T)에 의해 설정시간 동안 고압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탈수커버(30) 내에 안치된 우산은 고압의 송풍력에 의해 천에 묻어있는 빗물을 하부방향으로 신속히 불어내게 된다.
상기 탈수커버(30)는 원뿔형으로 되어 있어 송풍기(20)의 출구측으로부터 강하게 분사되는 송풍압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우산(U)의 경사진 천 부위를 강타하면서 불어 내어 빗물을 털어내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고압으로 강한 바람을 불어 빗물을 털어냄에 있어, 일부 칼수커버 내에서 비산되는 일부의 빗물은 탈수커버(30)의 내벽 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요홈(32)사이에 유도되어 하부방향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최대한 우산(U)에 다시 빗물이 유착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압으로 바람을 불어 빗물을 털어내는 과정에서 송풍력은 하부방향으로 향하며, 받침부재(50)의 하부에 회전축(60)상에 설치된 임펠러부재(70)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임펠러부재(70)의 회전은 회전축(60)과 연결된 우산 거치블럭(40)을 회전시키게 되며, 우산 거치블럭(40)에 안치된 우산(U)은 회전된다. 여기서 회전축(60)의 회전은 수용부(51)측의 베어링(53)을 통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바람의 영향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부재(70)는 우산(U)의 무게를 고려한 것으로, 고속회전이 아닌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우산의 회전에 의해 우산의 살대로 인한 우산 천의 골과 골 사이에 남을 수 있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불어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임펠러부재(70)의 회전은 임펠러부재의 각각의 날개 사이로 우산(U)으로부터 털어진 빗물이 통과하고, 그 하부측에 위치한 빗물유도부재(90)의 콘부(91)를 따라 빗물유도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집수조(110)로 빗물이 모여진다.
상기와 같이 빗물유도부재(90)를 따라 빗물은 집수조(110)로 모이게 되고, 임펠러부재(70)를 통과한 송풍력은 상기 콘부(91)가 위치한 본체의 수평선상에 위치한 공기배출구(13)를 통해 빠져 나가가 됨으로써, 빗물은 집수조(110)측으로, 남은 송풍력은 본체 공기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 본체(10) 내부의 압을 자연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정시간 동안 송풍기(20)에 의한 송풍력의 작용은 설정된 시간 내에 완료되면, 이용자는 제어기(120)를 통해 음성 혹은 버저, 램프의 표시안내로서 제1도어(12)를 개방하여 우산 거치블럭(40)에 안치시킨 자신의 우산(U)을 본체 외부로 꺼내어 챙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함에 있어 집수조(110)에 채워지는 빗물의 양이 제한된 양만큼 채워지게 되면, 집수조(110) 하부측에서 집수조에 밀착 설치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S2)의 전기적인 신호로서 제어기(120)를 통해 집수조 내의 빗물을 처리할 것을 안내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관리자가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측 제2도어(14)를 개방하고, 집수조(110)를 본체 외부로 빼내어 빗물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2는 상기 집수조(110)를 본체(10)에 고정방식으로 세팅한 것으로, 이는 집수조(110)를 직접 꺼내어 처리하지 않고 배수라인(P)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타입으로도 빗물배수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는 이용자들이 많은 관공서, 백화점, 학교 등등의 건물을 드나드는 이용자들이 우천시 일회용 비닐커버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산에 묻은 빗물을 깔끔히 털어낼 수 있고, 이러한 작용은 상부에서 불어주는 고압의 송풍력으로서 우산을 회전시켜 가면서 골과 골 사이에 남아 있는 빗물까지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우산꽂이통 비치가 필요 없고, 보다 빠르게 건조되는 이점이 있고 바닥오염방지 및 빗물로 인한 바닥 미끄러짐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 11: 출입구
12: 제1도어 13: 공기배출구
14: 제2도어 20: 송풍기
30: 탈수커버 31: 입구부
32: 요홈 40: 우산 거치블럭
41: 꽂이부 41a: 제1꽂이홈
41b: 제2꽂이홈 42: 축 결합공
43: 높이감지용 돌부 50: 받침부재
51: 수용부 52: 연결대
53: 베어링 60: 회전축
70: 임펠러부재 80: 스프링커버체
81: 압축스프링 90: 빗물유도부재
91: 콘부 110: 집수조
120: 제어기 U: 우산
U2: 손잡이 S1: 근접센서
S2: 무게감지센서 P: 배수라인
T: 타이머

Claims (4)

  1. 비에 젖은 우산(U)을 넣어 탈수하도록 된 우산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산 탈수장치(100)는,
    통형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지며, 우산 진출입을 위한 출입구(11) 및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12)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공기배출구(13)가 다수개 형성되며, 공기배출구(13)가 형성되며, 하부 측에는 여닫이형 제2도어(14)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에 구비되어 내측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기(20)와;
    상기 본체(10)의 출입구(11)측과 연계되어 우산(U)을 진출입시키는 입구부(31)가 구비된 원뿔형으로 본체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탈수커버(30)와;
    상기 탈수커버(30)가 설치된 본체(10) 내측 중앙에 수용되는 우산(U)의 손잡이(U1) 측을 꽂아 세우기 위한 꽂이부(41)가 구비되고, 저면 중앙에는 축 결합공(42)이 형성되며, 축결합공(42)이 형성된 일측에는 높이감지용 돌부(43)가 구비된 우산 거치블럭(40)과;
    중앙에는 상기 우산 거치블럭(40)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1)가 중앙에 마련되고, 수용부(51)에는 우산 거치블럭(40)측의 높이감지용 돌부(43)의 근접으로 우산(U)의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S1)가 마련되고, 외측둘레에는 본체(10)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대(52)로서 지지되며, 수용부(51) 중앙에는 베어링(53)이 설치된 받침부재(50)와;
    상기 받침부재(50)의 베어링(53)에 관통 지지되고, 일단은 우산 거치블럭(40)과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60)과;
    상기 받침부재(50)의 하부측에는 받침부재(50)를 관통한 회전축(60)의 단부와 결합되며, 원주상에는 송풍기(20)측으로부터 불어온 바람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축과 함께 우산 거치블럭(40)을 회전시키는 임펠러부재(70)와;
    상기 임펠러부재(70)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축(60)을 탄력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압축스프링(81) 및 압축스프링(81)을 안착 지지하는 스프링커버체(80)와;
    상기 임펠러부재(70)가 설치된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임펠러부재(70)를 통과한 빗물을 하부로 유도하고, 송풍 바람은 본체(10)의 공기배출구(13)측으로 유도하는 빗물유도부재(90)와;
    상기 빗물유도부재(90)가 설치된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상기 제2도어(14)를 통해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조(110)와;
    상기 집수조(110)의 하부로부터 이격 설치되고, 집수조에 채워지는 빗물 양에 따라 집수조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S2)와;
    상기 본체(10) 외부에 구비되어 타이머(T)에 의한 송풍기(20)의 동작설정시간 및 세팅, 우산(U)의 유무에 따른 송풍기(20)의 가동제어, 집수조(110)의 교체 알림을 각각 컨트롤 제어, 표시하는 제어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커버(30)의 내측둘레에는 우산(U)으로부터 탈수되는 빗물이 탈수커버(30)의 내벽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요홈(32)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거치블럭(40)의 꽂이부(41)는 일자형으로 된 우산 손잡이(U1)를 꽂는 제1꽂이홈(41a) 및 제1꽂이홈(41a)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되어 라운드형으로 구부러진 우산손잡이(U1)를 꽂아주기 위한 제2꽂이홈(4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110)는 내부 고정형으로 일측에 배수라인(P)이 본체(10)의 외측으로 연장설치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KR1020150125538A 2015-09-03 2015-09-03 우산 탈수장치 KR101676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538A KR101676966B1 (ko) 2015-09-03 2015-09-03 우산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538A KR101676966B1 (ko) 2015-09-03 2015-09-03 우산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700A true KR20150107700A (ko) 2015-09-23
KR101676966B1 KR101676966B1 (ko) 2016-11-17

Family

ID=5424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538A KR101676966B1 (ko) 2015-09-03 2015-09-03 우산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9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266A1 (ko) * 2015-12-08 2017-06-15 임주생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CN108877092A (zh) * 2018-08-01 2018-11-23 长春理工大学 一种多功能一体伞柜
KR20200082195A (ko) * 2018-12-28 2020-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원심 우산 탈수기
CN111678318A (zh) * 2020-06-02 2020-09-18 李少武 一种展厅雨伞快速干燥设备
CN113142952A (zh) * 2021-04-20 2021-07-23 陈梓言 一种简易组装多功能雨伞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355B1 (ko) * 2018-11-28 2021-05-14 주식회사 모드컴케이스 건조 효율이 향상된 우산 건조기
KR20200080769A (ko) 2018-12-27 2020-07-07 장석현 우산용 탈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74A (ja) * 1989-06-16 1991-01-30 Noritake Co Ltd スチーム式遠赤外線ヒーター
JPH06194039A (ja) * 1992-12-28 1994-07-15 Kansei Corp 傘脱水機
JPH06249576A (ja) * 1993-02-26 1994-09-06 Kansei Corp 傘脱水機
KR20140081557A (ko) * 2012-12-21 2014-07-01 정종목 자기 부상식 우산 탈수 건조 소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374B2 (ja) 1996-12-25 2000-03-15 東京瓦斯株式会社 樹脂注入兼用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74A (ja) * 1989-06-16 1991-01-30 Noritake Co Ltd スチーム式遠赤外線ヒーター
JPH06194039A (ja) * 1992-12-28 1994-07-15 Kansei Corp 傘脱水機
JPH06249576A (ja) * 1993-02-26 1994-09-06 Kansei Corp 傘脱水機
KR20140081557A (ko) * 2012-12-21 2014-07-01 정종목 자기 부상식 우산 탈수 건조 소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266A1 (ko) * 2015-12-08 2017-06-15 임주생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CN108877092A (zh) * 2018-08-01 2018-11-23 长春理工大学 一种多功能一体伞柜
KR20200082195A (ko) * 2018-12-28 2020-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원심 우산 탈수기
CN111678318A (zh) * 2020-06-02 2020-09-18 李少武 一种展厅雨伞快速干燥设备
CN113142952A (zh) * 2021-04-20 2021-07-23 陈梓言 一种简易组装多功能雨伞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966B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20170140517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1938694B1 (ko)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CN106885452A (zh) 雨伞甩干装置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135010B1 (ko) 진공흡입 싸이클론식 우산빗물제거장치
KR102488577B1 (ko) 우산 빗물제거 장치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KR102092309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150002867U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200206174Y1 (ko) 우산탈수장치
KR20150078370A (ko) 우산건조장치
KR102151115B1 (ko)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KR20100128731A (ko) 우산탈수기
KR102004524B1 (ko) 우산 건조 장치
KR101307885B1 (ko) 다단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KR200336647Y1 (ko) 우산 물기 제거기
KR200429673Y1 (ko) 사무실용 소형 우산 탈수기
KR200445806Y1 (ko)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JP3084950U (ja) 傘の脱水装置
KR20200114539A (ko) 이동식 우산 건조기
CN204825434U (zh) 烘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