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806Y1 -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806Y1
KR200445806Y1 KR2020090006589U KR20090006589U KR200445806Y1 KR 200445806 Y1 KR200445806 Y1 KR 200445806Y1 KR 2020090006589 U KR2020090006589 U KR 2020090006589U KR 20090006589 U KR20090006589 U KR 20090006589U KR 200445806 Y1 KR200445806 Y1 KR 200445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ehydration
wet umbrella
pedestal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원
Original Assignee
오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원 filed Critical 오승원
Priority to KR2020090006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8Liquid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0/00Dry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F53/00 - D06F5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not covered by groups F26B9/00 - F26B1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전기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사람이 직접 쉬운 방법으로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 하부 중앙에는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에 젖은 우산을 수납하며 복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탈수조와, 탈수조에 연장되어 하우징의 지지턱에 안착되도록 하부 중앙에 안착홈이 마련된 받침대로 된 탈수통과; 일단이 탈수통의 탈수조와 받침대가 연결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관통홀 외부로 돌출된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로프가 탈수통의 탈수조와 받침대가 연결되는 부위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탈수통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Dehydrator for a wet umbrella}
본 고안은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전기 모터나 공기 흡입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 시 사용된 우산은 접은 후 건물(사무실,학교,관공서,백화점,할인매장 등)의 현관 입구에서 적당히 빗물을 털어서 실내로 반입시키고 있어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이 실내 바닥에 떨어져서 실내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미끄러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되고 있어 건물의 입구에 비닐 커버를 제공하거나 잠금장치가 부착된 우산 보관대를 설치하고 있으나 비닐 커버는 우산을 씌우거나 벗기기가 번거롭고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자원이 낭비되고 환경 오염이 되며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고, 우산 보관대는 키를 이용하여 장착 및 탈착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건망증으로 인한 분실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젖은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장치와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우산의 빗물을 흡입하는 장치 등이 제시되고 있었다.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 및 흡입에 의한 장치는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을 제거하는데 과다한 시간이 투입되고 우산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로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단시간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우산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429673호에는 육면체로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에 탈수통을 설치하되, 이러한 탈수통은 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물기를 탈수통에 천공되어 있는 탈수공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물기를 집수하는 저장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387318호에는 모터, 풀리 및 벨트를 사용한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조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제작을 위해서는 모터 등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여 재료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전기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사람이 직접 쉬운 방법으로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 하부 중앙에는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에 젖은 우산을 수납하며 복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탈수조와, 상기 탈수조에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지지턱에 안착되도록 하부 중앙에 안착홈이 마련된 받침대로 된 탈수통과; 일단이 상기 탈수통의 탈수조와 받침대가 연결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외부로 돌출된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프가 상기 탈수통의 탈수조와 받침대가 연결되는 부위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상기 탈수통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지지턱 주변에는 복수의 탈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물받이통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수통의 무게중심은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의 타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지지턱과 상기 받침대의 안착홈 사이에 베어링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는 둘레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고, 하우징을 벽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젖은 우산에 잔류하는 물기를 모터, 풀리 또는 기어 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별도의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의 투영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의 투영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를 벽 등에 설치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지지턱
12 …… 관통홀 13 …… 단차
20 …… 탈수통 21 …… 탈수조
22 …… 받침대 30 …… 로프
31 …… 손잡이 40 …… 물받이통
50 …… 덮개 61 …… 고리
62 …… 돌출부 63 …… 지지부
64 …… 삽입부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의 투영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조립상태의 투영 정면도이며, 도 3은 조립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물기 제거장치를 벽 등에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의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긴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바닥 중심부에는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한 지지턱(1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턱(11)은 후술할 탈수통(20)이 안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우징(10)의 하부 측면 일측에는 관통홀(12)이 뚫려 있다. 이 관통홀(12)은 후술할 로프(30)가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그 크기는 로프(30)보다 조금 큰 정도이면 충분하다.
또한, 하우징(10)의 외측벽에는 둘레 방향으로 상하 두 곳에 단차(1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우징(10)을 벽 등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후술할 고정용 고리(61)가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0)의 바닥 중심부에 마련된 지지턱(11) 주변에는 후술할 탈수통(20)에서 배출되는 물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탈수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아래쪽에는 하우징(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기를 저장할 수 있는 물받이통(4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 결합방식은 나사결합 방식도 가능하고, 끼워 맞춤식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탈수통(20)은 하우징(10)의 내측에 조립되는데, 탈수통(20)은 탈수조(21)와 받침대(22)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탈수조(21)는 그 형상이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젖은 우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에는 젖은 우산에서 배출된 빗물 등 물기가 탈수조(21)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복수의 탈수공이 뚫려 있다.
받침대(22)는 탈수조(21) 아래쪽에서 연장되어 조립되어 있는데 대략 바둑알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받침대(22)의 바닥면에는 하우징(10)의 바닥 중심부에 돌출한 지지턱(11)에 안착되도록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의 내경은 지지턱(11)의 외경보다 좀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너무 크게 하면 탈수통이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그 간격은 적당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받침대(22)에 형성된 안착홈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지지턱(11)에 안착된 탈수통(20)는 지지턱(1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탈수통(20)의 회전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해 지지턱(11)과 안착홈 사이에 구름 베어링 등 회전 저항을 작게 해 주는 매개체를 삽입하여도 좋다.
삭제
또한, 하우징(10)의 상단에 결합하며 탈수조(21)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는 덮개(50)를 설치할 수 있다. 덮개(50)는 내부가 관통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진 도자기 형상을 이루며, 하우징(10)의 상단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아래쪽 외경에는 일정 높이의 단차를 형성하여 하우징(10)의 상단에 끼워지도록 한다.
탈수조(21)과 받침대(22)는 일체로 형성시켜도 무방하고 별도로 제작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키는 경우 탈수조(21)가 회전함으로써 서로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열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탈수조(21)와 받침대(22)가 연결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데, 이곳에 로프(30)의 일단을 고정시키며 타단은 하우징(10)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홀(12)을 통과시켜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로프(30)의 타단에 사람이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31)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하우징(10)을 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수단은 하우징(10)의 단차(13)를 따라 돌아가면서 걸쳐지는 고리(61)와 벽에 지지할 수 있는 판재 형상의 지지부(63)로 이루어져 있는데, 고리(61)의 양 끝단에는 돌출부(62)가 연장되어 있으며 돌출부(62)에는 관통하는 구멍이 뚫려 있다. 또한, 지지부(63)의 상하 두 곳에는 고리(61)의 돌출부(62)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64)에도 마찬가지로 관통하는 구멍이 뚫려 있다.
즉, 고리(61)를 통하여 하우징(10)에 형성된 단차(13)를 감싸고, 고리(61)의 양 끝단에 연장된 돌출부(62)를 지지부(63)의 삽입부(64)에 결합시킨 다음 돌출부(62)와 삽입부(64)에 각각 형성된 구멍으로 핀 등을 이용하여 끼워 넣으면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탈수통(20)의 탈수조(21)와 받침대(22)가 연결되는 부위(23)에 로프(30)가 감겨져 있는지 확인한다. 로프(30) 감겨 있지 않다면 탈수통(20)을 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로프(30)를 탈수조(21)와 받침대(22)가 연결되는 부위(23)에 감기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탈수통(20)에 물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젖은 우산 등을 넣고 한 손은 하우징(10)을 잡고 다른 한 손은 로프(30)의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31)를 잡아 당긴다. 만약 하우징(10)이 벽걸이 수단에 의해 벽에 고정되어 있다면 굳이 하우징(10)을 손으로 잡을 필요는 없다.
로프(30)의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31)를 잡아 당기게 되면 로프(30)가 풀리면서 젖은 우산이 담겨 있던 탈수통(20)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탈수조(21)와 받침대(22)가 연결되는 부위(23)에 감겨 있던 로프(30)가 모두 풀리더라도 탈수통(20)은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함으로써 로프(30)는 다시 탈수조(21)와 받침대(22)가 연결되는 부위(23)에 감기게 된다. 로프(30)를 다시 잡아 당기게 되면 탈수통(20)은 기존에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동작을 수회 반복하게 되면 젖은 우산에 맺혀 있던 물기들은 탈수통(20)의 회전으로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탈수조(21)에 형성된 탈수공을 통하여 하우징(10)의 하부로 모이게 된다. 우산에 맺혀 있던 물기가 모두 제거된 이후에는 우산을 탈수통(20)에서 꺼내고 하우징(10)의 하부에 모여 있던 물기를 버리면 된다.
만약 하우징(10)의 하부에도 복수의 탈수공이 형성되고 별도의 물받이통(40)이 결합되어 있으면 물받이통(40)만 하우징(10)에서 분리하여 모여 있던 물기를 버리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 하부 중앙에는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에 젖은 우산을 수납하며 복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탈수조와, 상기 탈수조에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지지턱에 안착되도록 하부 중앙에 안착홈이 마련된 받침대로 된 탈수통과;
    일단이 상기 탈수통의 탈수조와 받침대가 연결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외부로 돌출된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프가 상기 탈수통의 탈수조와 받침대가 연결되는 부위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상기 탈수통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지지턱 주변에는 복수의 탈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물받이통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타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지지턱과 상기 받침대의 안착홈 사이에 베어링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벽에는 둘레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고,
    하우징을 벽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KR2020090006589U 2009-05-29 2009-05-29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KR200445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589U KR200445806Y1 (ko) 2009-05-29 2009-05-29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589U KR200445806Y1 (ko) 2009-05-29 2009-05-29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806Y1 true KR200445806Y1 (ko) 2009-09-03

Family

ID=4365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589U KR200445806Y1 (ko) 2009-05-29 2009-05-29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568B1 (ko) * 2018-12-03 2019-06-12 전은정 휴대용 우산통
KR20210044527A (ko) * 2019-10-15 2021-04-23 박예준 우산 빗물 제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476Y1 (ko) * 2002-01-29 2002-05-06 김희훈 우산 탈수기
KR200411137Y1 (ko) * 2005-12-09 2006-03-10 서영석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476Y1 (ko) * 2002-01-29 2002-05-06 김희훈 우산 탈수기
KR200411137Y1 (ko) * 2005-12-09 2006-03-10 서영석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568B1 (ko) * 2018-12-03 2019-06-12 전은정 휴대용 우산통
KR20210044527A (ko) * 2019-10-15 2021-04-23 박예준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252580B1 (ko) * 2019-10-15 2021-05-17 박예준 우산 빗물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US10852017B2 (en) Air umbrella device
KR200445806Y1 (ko)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JP6274592B1 (ja) 傘の脱水機
KR102469190B1 (ko)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KR101262897B1 (ko) 접이식 우산 탈수장치
KR100815107B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KR102488577B1 (ko) 우산 빗물제거 장치
KR102092309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1509408B1 (ko) 커버 일체형 우산
KR200429673Y1 (ko) 사무실용 소형 우산 탈수기
KR100659241B1 (ko) 우산 탈수기
KR102151115B1 (ko)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KR20120109795A (ko) 우산 탈수장치
KR101082089B1 (ko) 진동우산
KR20130004683A (ko)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KR200215008Y1 (ko) 우산꽂이
KR20100128731A (ko) 우산탈수기
KR910007575Y1 (ko) 제습기의 배수 장치
CN205457889U (zh) 一种多功能伞架
KR200411137Y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KR20200094923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0634840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200336647Y1 (ko) 우산 물기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