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190B1 -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190B1
KR102469190B1 KR1020220103930A KR20220103930A KR102469190B1 KR 102469190 B1 KR102469190 B1 KR 102469190B1 KR 1020220103930 A KR1020220103930 A KR 1020220103930A KR 20220103930 A KR20220103930 A KR 20220103930A KR 102469190 B1 KR102469190 B1 KR 10246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long
long umbrella
be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보현
김윤호
Original Assignee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김윤호 filed Critical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190B1/ko
Priority to PCT/KR2022/020623 priority patent/WO20240389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은 내부공간을 갖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로부터 일정 높이로 직립되어 구비되고, 측면 일측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개구된 장우산삽입개구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면에서 상기 장우산삽입개구와 이웃하도록 단우산삽입개구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장우산삽입개구에 근접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장우산삽입개구를 통해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로 장우산이 삽입되면 상승하여 우산천을 수용한 후 빗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장우산 빗물제거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우산삽입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단우산의 우산천이 수용된 상태로 빗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단우산 빗물제거유닛; 상기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의 상부 또는 상기 장우산삽입개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우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단우산 빗물제거유닛의 상부 또는 상기 단우산삽입개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단우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장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상기 단우산 빗물제거유닛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UMBRELLA RAINWATER REMOVAL UNIT AND UMBRELLA RAINWATER REMOVA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우산과 단우산 빗물제거유닛을 별도로 구비하고 빗물 제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시 펼쳐서 비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생활필수품으로써,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봉과, 지지봉상에 방사형으로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살대와, 상기 살대 상에 체결되는 우산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우산천은 물방울이 묻거나 흡수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된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우천시 옥내로 진입할 경우, 방수재질의 우산천으로부터 빗물이 흘러내려 바닥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출입문에 별도로 배치된 우산꽂이에 놓아두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산을 밖에 놓아두고 갈 경우 비슷한 우산을 자기 것으로 착각하여 가지고 가는 사람들이 많아 우산을 분실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해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심리적 불안감을 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우산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우산을 비닐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비닐봉지를 계속적으로 구입, 공급해야하는 경제적인 부담감뿐만 아니라 일회용으로 폐기되는 비닐봉지로 인한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능적인 면에서는 비닐봉지로 포장하여 휴대하는 우산을 눕히거나 비닐봉지가 터질 경우, 비닐봉지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외부로 흘러나와 포장지로써의 기능을 상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비닐봉지에 우산을 장시간 넣어둘 경우, 우산천에 물이 스며들어 우산살대를 부식시킴은 물론 우산의 재사용시 우산천에 잔류해있던 빗물이 흘러내리면서 옷이나 신체 일부가 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산의 우산천 표면으로부터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완전히 밀폐된 공간 내에서 빗물의 제거 과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빗물이 장치의 주변으로 튀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빗물 제거 효율이 높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빗물이 튀는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526260 등록실용 20-0493505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폐된 공간 내에서 빗물을 제거하므로 외부로 물이 튀지 않도록 한 우산 빗물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 빗물의 제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우산 빗물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은 내부공간을 갖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로부터 일정 높이로 직립되어 구비되고, 측면 일측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개구된 장우산삽입개구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면에서 상기 장우산삽입개구와 이웃하도록 단우산삽입개구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장우산삽입개구에 근접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장우산삽입개구를 통해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로 장우산이 삽입되면 상승하여 우산천을 수용한 후 빗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장우산 빗물제거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우산삽입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단우산의 우산천이 수용된 상태로 빗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단우산 빗물제거유닛; 상기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의 상부 또는 상기 장우산삽입개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우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단우산 빗물제거유닛의 상부 또는 상기 단우산삽입개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단우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장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상기 단우산 빗물제거유닛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은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원통 형상의 측면 일측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부 길이로 개구되는 장우산진입개구를 포함하는 장우산수용부재; 상기 장우산수용부재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는 자바라; 상기 장우산수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자바라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장우산수용부재로 삽입되는 장우산의 하단을 지지하는 우산지지부재; 상기 자바라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우산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장우산의 둘레의 우산천을 압박 가능한 내경을 갖는 환형으로 구비되는 우산천압박부재; 및 상기 우산천압박부재를 상기 장우산수용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바라 내측으로 흡입 압력이 제공되며, 상기 승강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우산천압박부재가 상승될 때 상기 우산천압박부재가 상기 우산천을 압박하고 상기 자바라는 상기 장우산을 둘러싸면서 내측에 상기 장우산을 수용하고, 상기 장우산이 수용된 채로 상기 자바라 내측으로 상기 흡입 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우산천으로부터 빗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산천압박부재는, 내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압박돌기 및 상기 압박돌기 아래에 형성되는 흡수천수용홈을 갖는 환형의 압박링; 내면이 상기 다수의 압박돌기의 돌출 방향의 말단 이상 돌출되게 상기 흡수천수용홈 내에 구비되는 환형의 흡수천; 상기 압박링의 높이보다 긴 높이를 갖고, 내측에 상기 압박링을 수용하는 환형 하우징; 및 상기 환형 하우징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환형 지지부 및 상기 환형 지지부의 내측 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상기 자바라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자바라 연결부를 포함하는 환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산천압박부재는 낙하빗물유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낙하빗물유도부재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낙하빗물배출구멍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그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빗물유도부재는 상기 바닥부가 상기 환형 지지부 상에 안착되어 상기 흡수천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을 상기 낙하빗물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자바라 내측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산지지부재는 상광하협 구조로 구비되어 경사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배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의 일부는 상기 다수의 측면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은 장우산 및 단우산을 각각 밀폐된 공간 내에서 빗물을 제거하므로 외부로 빗물이 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은 우산천압박부재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장우산의 우산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빗물을 1차적으로 흡수한 후 이어서 우산천압박부재 및 자바라 내의 밀폐된 공간 내에서 흡입 압력을 통해 빗물을 흡입하는 과정을 통해 빗물을 최종 흡입하여 제거하므로 빗물의 제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에서 빗물이 제거될 때 낙하빗물유도부재를 통해 빗물이 자바라의 내부를 따라 흡입되어 집수조로 배출되므로 빗물이 자바라의 외측으로 누출되어 주변 부품을 오염시키거나 자바라 주변으로 빗물이 고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우산의 우산천의 표면으로부터 흡입되는 빗물은 자바라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장우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우산지지부재를 향해 배출되는 빗물이 우산지지부재의 하부 및 다수의 측면배출구멍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도 배출되므로 빗물의 흡입시 빠른 빗물의 배출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낙하빗물유도부재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의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의 승강구동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에 장우산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의 우산천압박부재 및 자바라가 장우산의 길이방향으로 상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낙하빗물유도부재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의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의 승강구동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에 장우산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의 우산천압박부재 및 자바라가 장우산의 길이방향으로 상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은 하부케이스(100), 상부케이스(200),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 제1 센서(510), 제2 센서(520),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00)는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00)의 저면부에는 집수조(110)가 구비될 수 있고, 집수조(110) 상부 및 주변의 공간은 공기가 소통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일정 높이로 직립되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높이 60cm 이상의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일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는 측면 일측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개구된 장우산삽입개구(210) 및 측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면에서 장우산삽입개구(210)와 이웃하도록 단우산삽입개구(220)를 포함한다. 장우산삽입개구(210)는 측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므로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장우산을 삽입할 수 있고, 단우산삽입개구(220)는 그 상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단우산을 삽입할 수 있다.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은 장우산삽입개구(210)에 근접하도록 상부케이스(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케이스(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장우산삽입개구(210)를 통해 상부케이스(200) 내부로 장우산이 삽입되면 상승하여 우산천을 수용한 후 빗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은 장우산수용부재(310), 자바라(320), 우산지지부재(330), 우산천압박부재(340), 승강구동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우산수용부재(3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원통 형상의 측면 일측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부 길이로 개구되는 장우산진입개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우산수용부재(310)는 상부케이스(200) 내에 배치될 때 장우산진입개구(311)가 상부케이스(200)의 장우산삽입개구(2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장우산삽입개구(210)로 장우산을 삽입하면 장우산은 장우산진입개구(311)를 통해 장우산수용부재(310) 내에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자바라(320)는 장우산수용부재(310)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어, 장우산수용부재(3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펼쳐지고 수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자바라(320)는 하단부가 하부케이스(100)의 집수조(1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우산지지부재(330)는 장우산수용부재(310)의 하부에서 자바라(320)의 내측에 배치되며, 장우산수용부재(310)로 삽입되는 장우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우산지지부재(330)는 하단부가 집수조(110)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산지지부재(330)는 집수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직립 설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배출구멍(361)을 갖는 원통형 지지대(36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우산지지부재(330)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상광하협 구조로 구비되어 경사면(331)을 가질 수 있고, 경사면(331)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배출구멍(332)이 형성될 수 있다.
우산천압박부재(340)는 자바라(320)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우산지지부재(330)에 지지되는 장우산의 둘레의 우산천을 압박 가능한 내경을 갖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우산천압박부재(340)는 환형의 압박링(341), 환형의 흡수천(342), 환형 하우징(343) 및 환형 지지대(344)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의 압박링(341)은 내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압박돌기(3411) 및 압박돌기(3411) 아래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흡수천수용홈(3412)을 포함할 수 있다.
환형의 흡수천(342)은 흡수천수용홈(3412) 내에 구비된다. 이때, 흡수천(342)의 내면이 다수의 압박돌기(3411)의 돌출 방향의 말단 이상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환형의 하우징(343)은 압박링(341)의 높이보다 긴 높이를 갖고, 내측 중심부에 압박링(341)을 수용한다.
환형 지지대(344)는 환형 하우징(343)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환형 지지부(3441) 및 환형 지지부(3441)의 내측 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자바라(320)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자바라 연결부(344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구동장치(350)는 우산천압박부재(340)를 장우산수용부재(3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구동장치(350)는 와이어의 권취 방식으로 우산천압박부재(3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승강구동장치(350)는 다수의 가이드봉(351), 다수의 이동브라켓(352), 제1 와이어(353), 제2 와이어(354), 제1 와이어권취드럼(355), 제2 와이어권취드럼(356), 제1 권취모터(357), 제2 권취모터(35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가이드봉(351)은 장우산수용부재(310)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고 장우산수용부재(310)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이동브라켓(352)은 각각의 가이드봉(3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 몸체부(3521), 우산천압박부재(340)의 환형의 하우징(343)의 외면과 원통형 몸체부(3521)의 측면의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하우징연결부(3522), 원통형 몸체부(3521)의 측면의 타측으로부터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되는 와이어연결부(3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353)는 일단부가 다수의 이동브라켓(352)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연결부(3523)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와이어권취드럼(355)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와이어(354)는 일단부가 제1 와이어(353)와 연결되는 이동브라켓(352)의 와이어연결부(3523)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와이어권취드럼(356)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와이어권취드럼(355)은 제1 와이어(353)가 연결되는 이동브라켓(352)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장우산수용부재(310)의 상단부 방향에 배치되고, 제1 와이어(353)가 감기거나 풀린다.
제2 와이어권취드럼(356)은 제2 와이어(354)가 연결되는 이동브라켓(352)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장우산수용부재(310)의 하단부 방향에 배치되고, 제2 와이어(354)가 감기거나 풀린다.
제1 권취모터(357)는 제1 와이어권취드럼(355)을 회전시켜서 제1 와이어권취드럼(355)에 제1 와이어(353)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
제2 권취모터(358)는 제2 와이어권취드럼(356)을 회전시켜서 제2 와이어권취드럼(356)에 제2 와이어(354)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구동장치(350)는 제1 권취모터(357)가 회전되면 제1 와이어(353)가 제1 와이어권취드럼(355)에 권취되면서 제1 와이어(353)와 연결된 이동브라켓(352)을 상부 방향으로 당겨서 우산천압박부재(340)가 상승되도록 하고, 제2 권취모터(358)가 회전되면 제2 와이어(354)가 제2 와이어권취드럼(356)에 권취되면서 제2 와이어(354)와 연결된 이동브라켓(352)을 하부 방향으로 당겨서 우산천압박부재(340)가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구동장치(350)의 구현을 위해서, 각각의 가이드봉(351) 및 각각의 이동브라켓(352)과 마주하는 장우산수용부재(310)의 측면에는 가이드봉(351)과 평행한 가이드슬릿(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우산천압박부재(340)는 낙하빗물유도부재(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낙하빗물유도부재(345)는 바닥부(3451) 및 측면부(345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3451)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낙하빗물배출구멍(3451a)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3452)는 바닥부(345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그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낙하빗물유도부재(345)는 바닥부(3451)가 환형 지지부(3441) 상에 안착되어 흡수천(342)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을 낙하빗물배출구멍(3451a)을 통해 자바라(320) 내측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의 자바라(320) 내측으로 흡입 압력이 제공될 수 있다. 흡입 압력의 제공을 위해, 예를 들어, 흡입 압력은 양방향 흡입 구조의 흡입펌프(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흡입펌프는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의 하부에 펌프하우징(560)을 구비하고, 펌프하우징(560)은 단우산 빗물유도부재(345)의 내부 및 하부케이스(100)의 내부를 통해 장우산 빗물유도부재(345)의 자바라(320) 내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구비되어 흡입펌프의 흡입 압력이 자바라(320)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은 상부케이스(200) 내부에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단우산삽입개구(220)를 통해 삽입되는 단우산의 우산천이 수용된 상태로 빗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은 단우산을 수용하는 탈수통(410)과 이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20)로 구성되며, 단우산이 탈수통에 삽입되면 탈수통이 회전하며 빗물을 제거하고 탈수통 하단에 형성된 배수공(430)을 통해 빗물은 집수조로 유입된다.
상기 배수공(430)과 집수조는 별도의 호스 등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510)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의 상부 또는 장우산삽입개구(2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장우산의 삽입 및 빗물 제거 후 우산을 빼내었는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510)는 장우산수용부재(2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센서(510)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수분을 감지하는 형태 또는 우산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센서(520)는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의 상부 또는 단우산삽입개구(220)의 내측에 구비되어 단우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520)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수분을 감지하는 형태 또는 우산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530)는 제1 센서(510) 및 제2 센서(52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 및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0)는 후술하는 입력부(54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부케이스(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은 입력부(540) 및 표시등(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40)는 제어부(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케이스(200)의 상면 일측에 버튼입력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40)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 및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이 빗물을 흡입하는 과정의 유지시간, 빗물의 흡입세기,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의 우산천압박부재(340)의 승강횟수 등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등(550)은 제어부(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 및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의 작동 시작 및 작동 종료까지의 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은 단우산 및 장우산에 대해 각각 구분하여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의 장우산삽입개구(210)를 통해 장우산이 삽입되면, 장우산삽입개구(210)에 대응되는 장우산진입개구(311)를 통해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의 장우산수용부재(310)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장우산의 하단부는 우산천압박부재(34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우산지지부재(330)에 지지되며, 제1 센서(510)는 장우산의 삽입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530)로 출력한다.
제1 센서(5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제어부(530)로 입력되면 제어부(530)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의 승강 구동을 시작한다. 즉, 제어부(530)에 의해 승강구동장치(350)의 제1 권취모터(357)가 회전되어 제1 와이어(353)가 제1 와이어권취드럼(355)에 권취되면서 제1 와이어(353)와 연결된 이동브라켓(352)을 상부 방향으로 당겨서 우산천압박부재(340)가 상승된다.
이때, 우산천압박부재(340)의 환형의 압박링(341)의 다수의 압박돌기(3411)가 장우산의 우산천을 압박하면서 상승하여 우산천을 짜는 것과 같은 작용으로 빗물이 압박돌기(3411) 하부의 흡수천(342)을 향해 낙하하여 흡수천(342)에 흡수되고, 이와 동시에 흡수천(342)이 장우산의 우산천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여 우산천의 표면의 빗물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자바라(320)가 펼쳐지면서 장우산의 길이방향을 둘러싸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우산천압박부재(340)가 최대 높이까지 상승하면 장우산의 우산천은 자바라(320)로 둘러싸여 우산천압박부재(340) 및 자바라(320) 내측에 수용되며, 이러한 상태가 유지된 채로 자바라(320)의 내측에 흡입펌프에 의해 흡입 압력이 제공되어, 장우산의 우산천의 표면의 빗물이 우산지지부재(330) 방향으로 흡입된다.
이때, 흡입되는 빗물은 낙하빗물유도부재(345)의 낙하빗물배출구멍(3451a)을 통해 배출되면서 자바라(320)의 내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된 후 자바라(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낙하하여 집수조(110)로 최종 낙하되고, 이와 동시에 장우산의 하단부로부터 흡입되는 빗물은 우산지지부재(330)의 경사면(331)을 따라 배출되면서 일부는 다수의 측면배출구멍(332)을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는 우산지지부재(330)의 하단부를 통해 배출된다.
입력부(540)를 통해 설정된 빗물을 흡입하는 과정의 유지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530)는 제2 권취모터(358)를 회전시키고, 제2 권취모터(358)가 회전되면 제2 와이어(354)가 제2 와이어권취드럼(356)에 권취되면서 제2 와이어(354)와 연결된 이동브라켓(352)을 하부 방향으로 당겨서 우산천압박부재(340)가 하강되어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상부케이스(200)의 단우산삽입개구(220)를 통해 단우산이 삽입되면, 단우산은 단우산 빗물제거유닛(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단우산의 우산천의 표면의 빗물이 제거된다. 예를 들어, 단우산은 탈수통에 수용되어 탈수통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빗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은 장우산 및 단우산을 각각 밀폐된 공간 내에서 빗물을 제거하므로 외부로 빗물이 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은 우산천압박부재(34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우산천을 압박하고 흡수하는 것으로 빗물을 1차적으로 흡수한 후, 우산천압박부재(340)가 하강하며 2차 압박 흡수하는 것으로 빗물을 제거하며, 여기에 우산천압박부재(340) 및 자바라(320) 내의 밀폐된 공간 내에서 흡입 압력을 통해 빗물을 흡입하는 과정을 통해 빗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므로 빗물의 제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우산 빗물제거유닛(300)에서 빗물이 제거될 때 낙하빗물유도부재(345)를 통해 빗물이 자바라(320)의 내부를 따라 흡입되어 집수조(110)로 배출되므로 빗물이 자바라(320)의 외측으로 누출되어 주변 부품을 오염시키거나 자바라(320) 주변으로 빗물이 고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우산의 우산천의 표면으로부터 흡입되는 빗물은 자바라(32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장우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우산지지부재(330)를 향해 배출되는 빗물이 우산지지부재(330)의 하부 및 다수의 측면배출구멍(332)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도 배출되므로 빗물의 흡입시 빠른 빗물의 배출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자바라(320)가 상승하며 빗물을 제거하고, 다시 자바라(320)가 하강하며 우산을 빼내고, 제 1센서는 이를 감지하며, 제어부(530)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승강구동장치(350)를 다시 가동시켜 이동브라켓(352)를 더 하강시켜 흡수천의 물기를 짜내게 된다.
다시 말해, 우산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빗물이 흡수천에 더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우산이 제거된 상태에서 더 하강시키며, 이때 흡수천의 저면이 우산지지부재(330)의 상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압축되어 물기가 짜지며 다음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게 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원통 형상의 측면 일측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부 길이로 개구되는 장우산진입개구를 포함하는 장우산수용부재;
    상기 장우산수용부재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는 자바라;
    상기 장우산수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자바라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장우산수용부재로 삽입되는 장우산의 하단을 지지하는 우산지지부재;
    상기 자바라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우산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장우산의 둘레의 우산천을 압박 가능한 내경을 갖는 환형으로 구비되는 우산천압박부재; 및
    상기 우산천압박부재를 상기 장우산수용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바라 내측으로 흡입 압력이 제공되며,
    상기 승강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우산천압박부재가 상승될 때 상기 우산천압박부재가 상기 우산천을 압박하고 상기 자바라는 상기 장우산을 둘러싸면서 내측에 상기 장우산을 수용하고, 상기 장우산이 수용된 채로 상기 자바라 내측으로 상기 흡입 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우산천으로부터 빗물을 흡입하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천압박부재는,
    내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압박돌기 및 상기 압박돌기 아래에 형성되는 흡수천수용홈을 갖는 환형의 압박링;
    내면이 상기 다수의 압박돌기의 돌출 방향의 말단 이상 돌출되게 상기 흡수천수용홈 내에 구비되는 환형의 흡수천;
    상기 압박링의 높이보다 긴 높이를 갖고, 내측에 상기 압박링을 수용하는 환형 하우징; 및
    상기 환형 하우징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환형 지지부 및 상기 환형 지지부의 내측 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상기 자바라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자바라 연결부를 포함하는 환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천압박부재는 낙하빗물유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낙하빗물유도부재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낙하빗물배출구멍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그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빗물유도부재는 상기 바닥부가 상기 환형 지지부 상에 안착되어 상기 흡수천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을 상기 낙하빗물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자바라 내측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지지부재는 상광하협 구조로 구비되어 경사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배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의 일부는 상기 다수의 측면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장우산 빗물제거유닛.
KR1020220103930A 2022-08-19 2022-08-19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KR10246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930A KR102469190B1 (ko) 2022-08-19 2022-08-19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PCT/KR2022/020623 WO2024038973A1 (ko) 2022-08-19 2022-12-16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930A KR102469190B1 (ko) 2022-08-19 2022-08-19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190B1 true KR102469190B1 (ko) 2022-11-23

Family

ID=8423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930A KR102469190B1 (ko) 2022-08-19 2022-08-19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249B1 (ko) * 2023-03-28 2023-08-24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 제거 장치
WO2024038973A1 (ko) * 2022-08-19 2024-02-22 세일정밀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0Y1 (ko) * 2013-05-09 2013-10-10 나두환 우산 건조장치
KR101526260B1 (ko) 2014-05-08 2015-06-10 이백관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KR102099716B1 (ko) * 2019-09-09 2020-04-10 백보현 우산 건조장치 및 그 건조 방법
KR200493505Y1 (ko) 2019-12-23 2021-04-12 주식회사 지나테크 우산 빗물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0Y1 (ko) * 2013-05-09 2013-10-10 나두환 우산 건조장치
KR101526260B1 (ko) 2014-05-08 2015-06-10 이백관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KR102099716B1 (ko) * 2019-09-09 2020-04-10 백보현 우산 건조장치 및 그 건조 방법
KR200493505Y1 (ko) 2019-12-23 2021-04-12 주식회사 지나테크 우산 빗물 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8973A1 (ko) * 2022-08-19 2024-02-22 세일정밀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KR102570249B1 (ko) * 2023-03-28 2023-08-24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190B1 (ko)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US4245666A (en) Collecting device for ceiling leaks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102488577B1 (ko) 우산 빗물제거 장치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JP2003056982A (ja) 傘脱水装置
KR102254845B1 (ko) 우산 건조장치
CN110897285A (zh) 一种雨伞除水器
KR102092309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274476Y1 (ko) 우산 탈수기
KR102570249B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CN211533004U (zh) 一种雨伞除水器
KR101332639B1 (ko) 우산
TW201945611A (zh) 洗衣機
WO2024038973A1 (ko)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US4930552A (en) Drain standpipe
KR102004524B1 (ko) 우산 건조 장치
KR200445806Y1 (ko)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KR20190002072U (ko)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CN214537224U (zh) 一种具有脱水功能的酒店用雨伞收纳装置
JPH07332850A (ja) 傘の脱水装置
KR100709231B1 (ko) 우산건조장치
KR102450115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51307Y1 (ko) 회전 탈수형 대걸레
KR100788462B1 (ko) 우산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