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241B1 - 우산 탈수기 - Google Patents

우산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241B1
KR100659241B1 KR1020050091484A KR20050091484A KR100659241B1 KR 100659241 B1 KR100659241 B1 KR 100659241B1 KR 1020050091484 A KR1020050091484 A KR 1020050091484A KR 20050091484 A KR20050091484 A KR 20050091484A KR 100659241 B1 KR100659241 B1 KR 100659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ehydration
dehydrator
swit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섭
류석태
Original Assignee
최정섭
류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섭, 류석태 filed Critical 최정섭
Priority to KR102005009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8Liquid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0/00Dry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F53/00 - D06F5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의 빗물을 탈수하는 우산 탈수기에 있어서,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싱(100) 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되, 외부로 빗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13)이 하단에 접속된 집수조(111)와, 상기 집수조(11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배기관(121)이 접속되고 하측에 집수관(131)이 접속된 분리통(112)으로 이루어진 공수분리조(110)와; 상기 케이싱(100) 내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통(112)과 배기관(121)에 의해 연통된 흡기부(120)와; 상기 공수분리조(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만곡면(115)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결착대(114)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분리통(112)과 집수관(131)에 의해 연통된 탈수통(130)과; 상기 케이싱(1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탈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탈수통(130)은 입구부에 우산을 지지하면서 탈수동작을 온/오프(on/off)하는 핸들스위치(1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탈수통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자연배수가 이루어지고 우산의 투입 및 취출이 용이하고,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탈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수분리조를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우산, 탈수기, 빗물, 집수조

Description

우산 탈수기{Umbrella dehydrator}
도 1은 종래의 우산 탈수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탈수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탈수통의 입구부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7은 도 5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싱 101 : 덮개
110 : 공수분리조 111 : 집수조
112 : 분리통 113 : 배수관
114 : 결착대 115 : 만곡면
116 : 물높이센서 117 : 전동밸브
120 : 흡기부 121 : 배기관
122 : 필터 130 : 탈수통
131 : 집수관 132 : 핸들스위치
133 : 스위치 134 : 흡수포대
135 : 스프링 136 : 스프링
137 : 슬라이딩부 138 : 집수부
139 : 표시램프 140 : 제어부
141 : 전원스위치 142 : 타이머
143 : 흡기강도 조절기 150 : 우산
본 발명은 우산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수통을 경사지 게 설치하여 자연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고,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탈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수분리조를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우산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극장, 백화점, 터미널 등의 공공시설이나 건물의 실내에 출입할 경우, 우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산을 직접 휴대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런데, 우산의 외피에는 빗물이 젖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산을 휴대해서 실내로 들어갈 경우, 실내 바닥에 우산의 빗물이 떨어져 바닥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건물의 입구에 우산보관대 등을 배치하여, 건물에 들어오는 사용자가 우산을 보관대에 보관시킨 후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는 건물의 입구에 우산 자동 포장기를 설치하여 비닐봉투 등으로 우산을 포장하여 실내에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빗물에 의한 실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우산보관대의 경우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 설치공간이나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자동 포장기의 경우 비닐봉투를 1회용으로 사용하므로 자원의 낭비가 될 뿐만 아니라 버려지는 폐비닐봉투로 인하여 쓰레기의 양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산의 빗물을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우산 탈수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우산 탈수기는 측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통이 구비되고, 탈수통의 하측에는 이를 고 속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가 설치되었다.
즉, 우산 탈수기는 탈수통의 상부에 형성된 우산투입구로 우산을 삽입하고, 탈수통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므로,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을 탈수통의 원심력에 의해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산 탈수장치는 탈수통이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탈수통에서 우산이 튀어나와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산이 탈수통에서 손상되거나,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고, 탈수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온풍에 의해 우산의 빗물을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열에너지 소모가 커서 유지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표시된 종래의 우산 탈수기와 같이, 우산의 빗물을 흡입팬으로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우산 탈수기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우산 탈수기는 우산(50)을 꽂을 수 있는 우산통(11)을 갖는 꽂이수단(10)과, 이 우산통(11)의 하부와 연이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흡입모터(21)로 회전되는 흡입팬(22)에 의해 이 우산통(11)의 공기와 빗물을 흡입하여 우산을 탈수시키는 흡입수단(20)이 구비된 구성으로서, 우산탈수통에 수납되는 우산의 빗물을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흡입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우산 탈수기는 하부에 설치된 집수통(31)이 만수가 되면, 집수통(31)을 탈수기에서 분리하여 집수된 빗물을 배출해야하는 불편이 있었고, 우산 통(1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긴 우산의 경우, 수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산통(11)의 하측에 형성된 받침판(12)에만 구멍이 형성되어 우산의 길이에 따라서 빗물의 제거에 따른 흡입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흡입시간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산통(11)의 하측에 흡입수단(20)이 설치되므로, 우산에서 제거된 빗물에 의해 흡입수단에 스케일 등이 발생되어 수명이 단축되거나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우산의 외피에 모래, 나뭇잎 등의 이물질이 있는 경우, 이들 이물질에 의해서 우산통의 구멍이 폐쇄되어 탈수작동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탈수통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자연배수가 이루어지고 우산의 투입 및 취출이 용이하고,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탈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수분리조를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입구부에 핸들스위치를 설치하여 탈수동작의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 및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유지비 및 관리비 등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탈수통 내에 흡수포대를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우산의 잔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산의 빗물을 탈수하는 우산 탈수기에 있어서,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싱(100) 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되, 외부로 빗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13)이 하단에 접속된 집수조(111)와, 상기 집수조(11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배기관(121)이 접속되고 하측에 집수관(131)이 접속된 분리통(112)으로 이루어진 공수분리조(110)와; 상기 케이싱(100) 내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통(112)과 배기관(121)에 의해 연통된 흡기부(120)와; 상기 공수분리조(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만곡면(115)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결착대(114)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분리통(112)과 집수관(131)에 의해 연통된 탈수통(130)과; 상기 케이싱(1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탈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탈수통(130)은 입구부에 우산을 지지하면서 탈수동작을 온/오프(on/off)하는 핸들스위치(1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스위치(132)는 일단부에 걸림판(132a)이 형성되며, 걸림판(132a)의 일단부에는 돌기(132b)가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37) 내에 설치된 스위치(133)를 동작시켜 탈수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수통(130) 내에는 우산의 외피와 접촉하여 탈수하는 흡수포대(1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탈수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탈수통의 입구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 탈수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우산 탈수기는 공수분리조(110), 흡기부(120), 탈수통(130) 및 제어부(140)로 이루어져 우산의 빗물을 탈수하는 우산 탈수기이다.
공수분리조(110)는 우산 탈수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형상의 케이싱(100) 내의 하부 바닥판의 일측에 내설되며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공수분리조(110)는 탈수통(130)에서 탈수된 우산 외피의 빗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빗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13)이 하단에 접속된 집수조(111)와, 이 집수조(11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121)이 접속되고 하측에는 탈수통(130)에서 탈수한 우산 외피의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관(131)이 접속된 분리통(112)으로 이루어진다.
집수조(111)의 측면에는 집수조(111)에 집수된 빗물의 집수량을 감지하는 물높이센서(116)가 설치되고, 집수조(111)와 배수관(113)의 접속부에는 물높이센서 (116)에서 감지된 집수량에 의거해서 빗물을 배수하는 전동밸브(117)가 설치된다.
분리통(112)의 상측에는 만곡면(115)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만곡면(115)에 탈수통(13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결착대(114)에 의해서 고정된다. 즉, 탈수통(130)은 입구측이 출구측보다 높게 형성되어 우산 외피의 빗물이 탈수통(130)의 경사면을 따라서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흘러 내리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통(112)은 탈수통(130)에서 유입된 빗물과 공기가 분리되는 원통형상이며, 하면이 개방되어 하부에 집수조(111)의 개방된 상부면이 끼워맞춤된다. 이 상태에서 분리통(112)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금구(112a)와, 집수조(111)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금구(111a)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집수조(111)와 분리통(112)이 밀폐되어 결합된다.
흡기부(120)는 우산 탈수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싱(100) 내의 하부 바닥판의 타측에 고정금구(123)을 개재해서 고정되며, 배기관(121)에 의해 분리통(112)과 연통된다. 또한, 배기관(121)이 접속되는 분리통(112)의 접속부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1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리통(112) 내의 공기을 흡인하여 분리통(112) 내를 대략 진공상태에 이르게 하므로, 분리통(112)에 연동된 탈수통(130) 내의 공기가 분리통(112)으로 흡인되면서 탈수통(130) 내에 삽입된 우산을 탈수하여 빗물을 공수분리조(110) 내로 집수하게 된다.
이러한 흡기부(120)로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기모터, 진공펌프 등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130)은 공수분리조(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만곡면(115)에 경사지게설치되어 입구측에서 출구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결착대(114)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집수부(138)가 형성되어 집수관(131)에 의해 분리통(112)과 연통된다. 또한, 탈수통(13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의 용량은 대략 8,000∼10,000㎟에 ±15%의 용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통(130)의 외측 상부에는 덮개(101)가 설치되어 케이싱(100)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탈수통(130)이 입구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우산 외피의 빗물이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흐르게 될 뿐만 아니라, 긴 1단 우산이나, 짧은 2단 및 3단 우산 등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탈수통(130)에 우산의 투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탈수통(130) 내에는 우산의 외피와 접촉하여 탈수하는 흡수포대(134)가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흡수포대(134)는 탈수통(130) 내측면에 고리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원통의 주머니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탈수종료시 우산을 탈수통(130)에서 취출하게 되면, 우산의 외피에 잔류한 빗물은 탈수통(130)에 내설된 흡수포대(134)에 의해서 제거되므로 완벽한 탈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흡수포대(134)로는 예를 들면 필터링 기능을 가지며, 미세한 흡수공이 형성된 부직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통(130)의 입구부는 입구측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우산의 삽입 이 용이하게 되며, 이 입구부에는 우산을 지지하면서 탈수동작을 온/오프(on/off)하는 핸들스위치(132)가 설치된다. 또한 탈수통(130)의 입구부의 상측에는 핸들스위치(132)에 의해 탈수동작이 온/오프(on/off)된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램프(139)가 설치된다.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핸들스위치(132)는 만곡된 바아형상이며, 일단부가 탈수통(130)의 외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137)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탄성수단에 의해서 탄지되며, 슬라이딩부(137) 내에 설치된 스위치(133)에 의해서 탈수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게 된다. 핸들스위치(132)의 타단부에는 핸들이 설치되고, 핸들의 아래에는 우산의 지지대가 걸어맞춤되는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부(137)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핸들스위치(132)의 슬라이딩부의 상단에는 걸림판(132a)이 형성되고, 걸림판(132a)의 하측에서 탄성수단인 스프링(136)에 의해서 상방으로 압압되므로, 핸들스위치(132)를 탈수통(130)에 삽입된 우산과 함께 하방으로 압압하여 스위치(133)를 온(on)시킨후 압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36)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스위치(13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33)로는 걸림판(132a)에 자석을 설치하거나, 자석으로 형성하여 이를 이용하는 리드스위치(reed switc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33)로는 걸림판(132a)의 상하 이동시의 압압력을 이용하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핸들스위치(132)의 상하 슬라이딩을 이용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등 다양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핸들스위치(132)는 탈수통(130)의 입구부 하단의 양측에 걸어맞춤된 스프링(135)에 의해 탄지되며, 탈수통(130)의 슬라이딩부(137)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하게 된다.
즉, 우산을 탈수통(130)에 삽입할 때, 핸들스위치(13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각도(α) 예를 들면, 대략 45˚정도 회동시킨 후, 우산을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스위치(132)가 좌우로 회동되어 우산이 삽입되면, 양측에 걸어맞춤된 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서 핸들스위치(132)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스프링(135)으로는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된 인장스프링(tension spring)과 같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탈수통(130)과 핸들스위치(132) 사이에 탄성력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핸들스위치(132)가 좌우로 회동된 경우에 핸들스위치(132)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슬라이딩하게 되면, 슬라이딩부(137)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판(132a)에 있어서, 걸림판(132a)의 일단부에 형성된, 자성을 가진 돌기(132b)가 스위치(133)의 일종인 리드스위치의 자력권 밖으로 벗어나게 되므로, 리드스위치가 탈수동작을 온(on)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핸들스위치(132)가 좌우로 회동되지 않고 탈수통(130)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핸들스위치(132)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슬라이딩하게 되면, 걸림판(132a)의 돌기(132b)가 스위치(133)의 일종인 리드스위치의 자력권 내에서 슬라이딩되므로, 돌기(132b)에 근접된 리드스위치의 접점을 작동시켜 스위치(133)가 온 (on)되고 탈수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돌기(132b)가 자석(magnet)으로 이루져 있기 때문이다.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우산 탈수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형상의 케이싱(1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탈수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에는 우산 탈수기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전원스위치(141)와, 탈수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142)와, 흡기부(120)의 흡기강도를 조절하는 흡기강도 조절기(143)와, 전원표시등 등이 설치되며, 각각의 구성부와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142)는 우산 탈수기의 1회 최대의 작동시간을 설정하여, 그 이상의 탈수작동을 방지하여 장시간의 작동으로 인한 전력의 낭비와 작동요소의 수명을 단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타이머(142)에서 1회 최대 작동시간이 30초로 설정된 경우에는 핸들스위치(132)에 의해 개시된 탈수동작이 30초 미만이면 핸들스위치(132)에 의해 탈수동작이 오프(off)되고, 30초 이상이면 타이머(142)에 의해 오프(off)된다.
흡기강도 조절기(143)는 강수량에 따라서 우산 외피의 빗물량이 달라지므로, 빗물량에 따라서 우산 탈수기의 흡기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우산 탈수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우산 탈수기의 전원스위치(141)를 온(on)으로 한 상태에서 탈수통(130) 입구측의 핸들스위치(132)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동시키고 젖은 우산(150)을 탈수통(130) 내에 삽입한다.
우산(150)을 탈수통(130)에 삽입한 후, 우산(150)의 손잡이를 핸들스위치(132)의 오목부에 걸어서 함께 하방으로 압압하면, 핸들스위치(132)가 슬라이딩하게 되고, 핸들스위치(132)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판(132a)의 돌기(132b)에 의해서 스위치(133)가 온(on)으로 된다.
스위치(133)가 온(on)되면, 흡기부(120)가 동작하여 배기관(121)을 개재해서 공수분리조(1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게 되므로, 공수분리조(110)에 연통된 탈수통(130)의 우산 외피의 빗물이 흡인되어 집수관(131)을 개재해서 공수분리조(110)로 유입된다.
공수분리조(110)에 유입된 빗물은 공수분리조(110)의 하측에 설치된 집수조(111)에 저장된 후 소정의 집수량이 저장되면, 전동밸브(117)가 작동하여 배수관(113)을 개재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탈수통(130)에서 우산(150)을 취출하면, 핸들스위치(132)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스위치(133)을 오프(off)로 하게되어 흡기부(120)의 동작을 정시킨다. 또 우산(150)의 취출시에는 탈수통(130)에 내설된 흡수포대(134)에 의해서 우산 외피에 잔류하는 빗물이 제거되어 우산의 탈수를 완료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수통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자연배수가 이루어지고 우산의 투입 및 취출이 용이하고,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탈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수분리조를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구부에 핸들스위치를 설치하여 탈수동작의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 및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유지비 및 관리비 등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탈수통 내에 흡수포대를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우산의 잔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우산의 빗물을 탈수하는 우산 탈수기에 있어서,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싱(100) 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되, 외부로 빗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13)이 하단에 접속된 집수조(111)와, 상기 집수조(11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배기관(121)이 접속되고 하측에 집수관(131)이 접속된 분리통(112)으로 이루어진 공수분리조(110)와;
    상기 케이싱(100) 내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통(112)과 배기관(121)에 의해 연통된 흡기부(120)와;
    상기 공수분리조(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만곡면(115)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결착대(114)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분리통(112)과 집수관(131)에 의해 연통된 탈수통(130)과;
    상기 케이싱(1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탈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탈수통(130)은 입구부에 우산을 지지하면서 탈수동작을 온/오프(on/off)하는 핸들스위치(1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스위치(132)는 일단부에 걸림판(132a)이 형성되며, 걸림판(132a)의 일단부에는 돌기(132b)가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37) 내에 설치된 스위치(133)를 동작시켜 탈수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130) 내에는 우산의 외피와 접촉하여 탈수하는 흡수포대(1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기.
KR1020050091484A 2005-09-29 2005-09-29 우산 탈수기 KR10065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84A KR100659241B1 (ko) 2005-09-29 2005-09-29 우산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84A KR100659241B1 (ko) 2005-09-29 2005-09-29 우산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241B1 true KR100659241B1 (ko) 2006-12-19

Family

ID=3781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484A KR100659241B1 (ko) 2005-09-29 2005-09-29 우산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2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90A (ko)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모드컴케이스 우산 건조기
KR20200063598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모드컴케이스 건조 효율이 향상된 우산 건조기
KR20200097614A (ko)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모드컴케이스 우산 빗물 제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90A (ko)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모드컴케이스 우산 건조기
KR20200063598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모드컴케이스 건조 효율이 향상된 우산 건조기
KR20200097614A (ko)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모드컴케이스 우산 빗물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82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압축장치
WO2016165341A1 (zh) 带自清理功能的过滤系统及干衣机
RU2226433C1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KR100659241B1 (ko) 우산 탈수기
KR100678673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장치
CN101664290B (zh) 旋风式出风水过滤吸尘器
CN208999265U (zh) 一种室内用灰尘检测器
KR102488577B1 (ko) 우산 빗물제거 장치
JP3130700U (ja) 樹脂容器回収装置
KR200410801Y1 (ko) 제습기의 자동 배수장치.
CN114262623A (zh) 适用于原油加工用重力式油水分离机
CN110897285A (zh) 一种雨伞除水器
KR101367967B1 (ko) 싱크대용 탈수장치
KR200445806Y1 (ko) 젖은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KR20080086190A (ko) 빌트인 공기정화기
KR100465152B1 (ko) 젖은 우산탈수기
KR10111815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CN215442313U (zh) 一种市政雨水蓄水装置
KR900006954Y1 (ko) 제습기의 집수 콘테이너 만수 경보 장치
KR200429673Y1 (ko) 사무실용 소형 우산 탈수기
CN220988500U (zh) 一种自助泵吸式咖啡机
KR101574751B1 (ko)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
CN211533004U (zh) 一种雨伞除水器
KR102362520B1 (ko) 산업용 청소기에 탈부착가능한 집진장치
CN207520743U (zh) 智能型雨水旋流微孔除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