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780B1 - 우산 건조기 - Google Patents

우산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780B1
KR102366780B1 KR1020200146510A KR20200146510A KR102366780B1 KR 102366780 B1 KR102366780 B1 KR 102366780B1 KR 1020200146510 A KR1020200146510 A KR 1020200146510A KR 20200146510 A KR20200146510 A KR 20200146510A KR 102366780 B1 KR102366780 B1 KR 10236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nical rod
dryer
folding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수
신지수
Original Assignee
백지수
신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수, 신지수 filed Critical 백지수
Priority to KR102020014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는 건조기 본체에 설치된 원추형봉형태의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접이식우산투입부(301) 둘레의 이격벽체(320)와 접이식우산투입부(301)의 원통형봉외주면(310) 사이에 장우산투입부(302)를 형성하고 이격벽체(320)와 상부케이스(100)사이의 송풍통로 및 접이식유산투입부(301)의 원추형봉내주면(305)과 원추형봉형외주면(310)사이의 공기통로로 강력한 공기가 송풍되게 함으로서 접이식우산과 장우산의 우산포로부터 빗물을 신속히 건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산 건조기{UMBRELLA DRYER}
본 발명은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젖은 우산이 투입되는 우산 건조기 본체 내에 원추형 봉을 설치하고, 이 원추형 봉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 내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송풍 안내홈을 형성하고 원추형 봉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복수의 송풍 안내홈을 형성하며, 우산 건조기 본체 내주면에 상하로 복수의 송풍구멍을 형성하여 원추형 봉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원추형 봉의 내외주면과 우산 건조기 본체 내주면으로 강력한 바람을 송풍되게 함으로써 원추형 봉 외주면과 우산 건조기 본체 내주면 사이에 투입되는 장우산과 원추형 봉의 중앙 구멍에 접이식 우산의 상측 우산 꼭지 부분이 투입되고 하측 부분은 원추형 봉 외주면과 우산 건조기 본체 내주면 사이에 투입함으로서 젖은 우산의 우산포로부터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비 오는 날이나 눈 오는 날 우산을 쓰고 다니다가 접은 우산을 휴대한 채 지하철역, 대형 마트, 슈퍼마켓, 은행, 대형 빌딩 등의 장소를 이용하는 경우 젖은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떨어져서 이들 장소의 바닥이 지저분해짐은 물론 바닥이 미끄러워져서 보행자가 빗물에 미끄러져 넘어지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젖은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이들 장소의 입구에는 이동이 가능한 1회용 우산 비닐포장기가 설치되어 사용되어 왔다. 일회용 우산 비닐포장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우산을 투입하기에 적합하게 전후방으로 벌려진 일회용 비닐봉투에 젖은 우산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넣어 젖은 우산을 앞으로 당기면 젖은 우산이 넣어진 일회용 비닐봉투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 비닐봉투와 점착제로 연결된 바로 후방의 비닐봉투는 전방의 비닐봉투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젖은 우산을 집어넣을 수 있게 상방이 벌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후방의 비닐봉투가 고정되므로 젖은 우산을 넣어 전방으로 잡아당겨진 비닐봉투는 후방의 비닐 봉투에서 간단히 분리된다.
그러나 젖은 우산을 포장하는 일회용 비닐 봉투는 빗물이 떨어지지 않게 사용하고 난 다음 폐기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일회용 비닐을 이용하지 않고 젖은 우산으로부터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우산 건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산 건조기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식 우산 건조기와 전기를 이용하지 않는 비전기식 우산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비전기식 우산 건조기는, 예컨대 젖은 우산을 투입하는 공간부 양측에 극세사 천이 구비되어 있다. 젖은 우산을 이 공간부에 투입한 다음 젖은 우산을 공간부의 양측으로 흔들면 젖은 우산의 표면이 극세사 천에 접촉되어 극세사 천에 흡수되므로 우산 표면에 있는 빗물이 제거된다.
비전기식 우산 건조기의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2057182호(2019.12.12.등록)의 "우산제수장치"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비전기식 우산 건조기의 한 예로서, 이 우산제수장치는 젖은 우산을 제1,2탈수부 사이의 설치공간에 넣어서 젖은 우산을 좌우로 움직이면 제1,2탈수부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탈착패드에 젖은 우산이 접촉되고, 이와 같이 젖은 우산을 탈착패드에 접촉시키면 우산표면의 빗물이 탈착패드에 흡착됨으로써 젖은 우산으로부터 빗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우산제수장치는 다량의 젖은 우산을 접촉시켜 탈착패드에 빗물이 흡착되므로 많이 사용할 수록 흡착패드의 흡수능력이 저하되고, 소정의 사용시간 후에는 성능이 저하된 흡착패드를 새로운 흡착패드로 교환해야 하므로 우산제수장치의 유지에 불편함이 초래된다.
또한 손의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가 우산제수장치의 설치공간에 젖은 우산을 넣어서 반복하여 우산을 움직여 빗물을 탈수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흡착패드를 이용하는 우산제수장치와 달리 전기식 우산 건조기는 젖은 우산을 투입하면 송풍기에서 강력한 바람이 젖은 우산으로 송풍되어 젖은 우산 표면으로부터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930호(2014.03.17.등록)의 "우산 건조기"는 우산 건조기의 몸통을 구성하는 외통과, 외주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통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통에는 상부에 우산이 삽입되는 원추형통이 구비되고, 이 원추형 통의 상부에 상광하협의 콘이 설치되고, 이 콘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 수분제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내통의 하부에 메쉬 형태의 원판으로 형성된 회전판이 구동모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판에는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하부 수분제거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에는 열풍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내통으로 공급되게 노즐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우산 건조기는 사용자가 내통의 상부로 젖은 우산을 투입하면 원추형 통에 설치된 상부 수분제거부재에 의해 우산의 우산포에 묻은 물기가 1차적으로 닦이고, 내통 하부의 회전판에 설치된 하부 수분제거부재에 의해 우산포의 물기가 2차적으로 닦이며, 열풍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열풍이 노즐을 통해 내통 내부로 분사되므로 우산포의 물기가 증발되게 함으로써 우산포로부터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우산 건조기는 극세사천으로 구성된 상부 수분제거부재와 하부 수분제거부재가 소정 시간 사용 후에 물기 흡수력이 저하되므로 비전기식 우산 건조기에서와 같이 극세사천으로 구성된 상부 수분제거부재와 하부 수분제거부재재질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또한 내통에 2단으로 접히는 접이식 우산이 투입되는 경우 접혀진 우산포에 묻은 물기는 상부 수분제거부재와 하부 수분제거부재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열품에 의해서만 우산포에 묻은 물기만이 제거되므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포에 묻은 물기 의 제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2057182호(2019.12.12.등록)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930호(2014.03.17.등록)
본 발명의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착패드나 극세사천과 같이 교체할 필요가 없이 강력한 송풍에 의해 장우산이나 접이식 우산의 젖은 우산포로부터 빗물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우산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우산 건조기는 젖은 우산이 투입되는 우산 건조기 본체 내에 원추형 봉을 설치하고, 이 원추형 봉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 내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송풍 안내홈을 형성하고 원추형 봉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복수의 송풍 안내홈을 형성하며, 우산 건조기 본체 내주면에 상하로 복수의 송풍구멍을 형성하여 원추형 봉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로부터 원추형 봉의 내외주면과 우산 건조기 본체 내주면으로 강력한 바람을 송풍되게 함으로써 원추형 봉 외주면과 우산 건조기 본체 내주면 사이에 투입되는 장우산과 원추형 봉의 중앙 구멍에 접이식 우산의 상측 우산 꼭지 부분이 투입되고 하측 부분은 원추형 봉 외주면과 우산 건조기 본체 내주면 사이에 투입함으로서 젖은 우산의 우산포로부터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는 젖은 우산이 투입되는 우산 건조기 본체 내에 설치된 원추형 봉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강력한 바람을 송풍시키고 우산 건조기 본체의 내주면에도 강력한 바람을 송풍시킴으로써 장우산이나 접이식 우산의 우산포로부터 빗물을 신속히 제거하여 우산을 건조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를 구성하는 원추형 봉과 우산 건조기 몸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은 도1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10)는 장우산이나 접이식 우산을 사용한 후 우산포에서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중앙에 접이식우산투입부(301)용 관통구멍이 구비되되 원추형봉형태의 내주면(305)과 외주면(310) 사이의 내측공간에 송풍기(500)로부터 공급되는 송풍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봉형태의 내주면(305)과 외주면(310)에 다수의 송풍용구멍(303, 311)이 형성된 원추형봉형태로 이루어진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상기 원추형봉형태의 둘레를 감싸도록 이격되되 전방이 일부 개방되고 다수의 송풍용구멍(321)이 구비된 이격벽체(320)와 접이식우산투입부(301)의 외주면 사이에 장우산투입부(302)를 구성하도록 빗물제거부재(300)가 내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빗물제거부재(300)가 결합된 상부케이스(100)를 지지하도록 상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송풍기(500)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500)를 구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타 구성요소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500)의 전원을 ON/OFF하는 조그스위치(201)와, 상기 송풍기(500)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케이블(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되는 하부케이스(20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10)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00)의 전면 둘레에 LED등케이스(110)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는 접이식 우산의 젖은 우산포에서 빗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원추형 봉의 중앙부에 접이식우산투입부(301)를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접이식우산투입부(301)에 접이식우산의 끝부분부터 투입하고 접이식 우산의 하부를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외측의 공간부(즉, 장우산투입부)로 위치되게 하여 접이식우산의 우산포로부터 빗물이 쉽게 제거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원추형봉형태의 외측으로 형성된 이격벽체(320)는 장우산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게 이격형성된다. 상기 이격벽체(320)에는 이격벽체(320)와 원추형봉의 외주연부 사이에 투입되는 장우산의 우산포 양측에서 강력한 바람이 송풍되도록 다수의 송풍구멍(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추형봉형태의 접이식우산투입부(301)의 원추형외주면(310)에 형성된 송풍구멍(311)은 일방향으로 송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송풍구멍(311)이 하방에서 상방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시계방향으로 바람이 송풍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방향으로 송풍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10)를 사용하여 우산에서 빗물을 제거할 때 제거된 빗물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추형봉형태의 접이식우산투입부(301)는 상단 둘레에서 간격지게 하방으로 절개홈(304)이 형성된다.
상기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장우산투입부(302)를 이루는 원추형봉과 이격벽체(320)는 하부케이스(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기설치판(400)과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송풍기설치판(400)에 설치된 송풍기(500)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상부에 위치된 원추형봉의 중앙부인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원추형봉 외측의 장우산투입부(302)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송풍기설치판(400)에는 다수의 높이조절구(402, 403, 404, 405)가 형성되고,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장우산투입부(302)의 하부에는 상기 높이조절구(402, 403, 404, 405) 결합용 결합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이격벽체(320)에는 전방돌출부(322)가 형성되어 높이조절구(402)와의 결합을 보다 안정되게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200)에는 송풍기(5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송풍기(500)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외기흡입구멍(202)이 형성되며, 송풍기(500)를 ON/OFF하는 조그스위치(201)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500)를 구동하기 위한 통상의 부품들이 내장설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10)는 전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한 후 조그스위치(201)를 작동시키면 송풍기(500)가 ON작동되어 외기흡입구멍(202)을 통해 송풍기(500)로 흡입된 외기는 송풍기설치구멍(401)을 지나서 상부케이스(100)내에 결합된 빗물제거부재(300)로 송풍이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상기 송풍기(500)에서 송풍되는 강력한 바람은 원통형봉형태의 중앙의 접이식우산삽입부(301)와 원통형봉외주면(310) 사이에 형성된 송풍통로로 송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빗물제거부재(300)를 구성하는 이격벽체(320)와 상부케이스(100) 내측의 송풍통로로 강력한 송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산 건조기(10)의 이격벽체(320)와 원통형봉형태의 접이식우산투입부(301) 사이의 장우산투입부(302)로 장우산을 투입하면 상기 장우산의 양측으로 강력한 바람이 송풍되어 장우산의 우산포에서 빗물의 제거가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장우산을 투입한 다음 장우산을 장우산투입부(302)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시키면 장우산의 우산포로부터 빗물의 제거가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접이식우산을 빗물제거부재(300)를 구성하는 원통형봉형태의 접이식우산투입부(301)로 투입하면 원통형봉형태의 내주면에 형성된 송풍구멍(303)으로부터 강력한 바람이 송풍되어 접이식우산의 우산포로부터 빗물이 제거된다. 접이식우산의 경우 접이식우산투입부(301)에 접이식우산 끝부분을 투입하고 접이식우산의 하부는 장우산투입부(302)측으로 위치되게 투입하면 보다 접이식우산의 접혀진 내측부분과 외측부분의 우산포로부터 빗물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10)는 빗물제거부재(300)가 상부케이스(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우산사용자가 장우산투입부(302)와 접이식우산투입부(301)의 상부에서 하부로 우산을 쉽게 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빗물제거부재(300)가 결합된 상부케이스(100)의 내측 하부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빗물제거부재(300)에는 전방경사부(323)가 형성되어 장우산이나 접이식우산의 우산포에서 제거된 빗물은 우산 건조기(10)의 전방으로 자연적으로 흐르게 되며, 본 발명의 우산 건조기(10)의 사용시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빗물수집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우산 건조기 100: 상부케이스
101: 전방개구 110: LED등케이스
200: 하부케이스 201: 조그스위치
202: 외기흡입구멍 203: 전선설치용구멍
204: 하부케이스바닥커버 300: 빗물제거부재
301: 접이식우산투입부 302: 장우산투입부
303: (원통형봉의 내주면에 형성된)송풍구멍
304: (원통형봉의)절개홈 310: 원통형봉외주면
311: (원통형봉외주면의)송풍구멍
320: 이격벽체 321:(이격벽체의)송풍구멍
322: 이격벽체의 전방돌출부 323: 이격벽체의 전방경사부
400: 송풍기설치판 401: 송풍기설치구멍
402: (송풍기설치판의)전방높이조절구
500: 송풍기

Claims (3)

  1. 장우산이나 접이식 우산을 사용한 후 우산포에서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중앙에 접이식우산투입부(301)용 관통구멍이 구비되되 원추형봉의 내주면(305)과 외주면(310) 사이의 내측공간에 송풍기(500)로부터 공급되는 송풍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봉의 내주면(305)과 외주면(310)에 다수의 송풍용구멍(303, 311)이 형성된 원추형봉형태로 이루어진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상기 원추형봉의 둘레를 감싸도록 이격되되 전방이 일부 개방되고 다수의 송풍용구멍(321)이 구비된 이격벽체(320)와 접이식우산투입부(301)의 외주면 사이에 장우산투입부(302)를 구성하도록 빗물제거부재(300)가 내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빗물제거부재(300)가 결합된 상부케이스(100)를 지지하도록 상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송풍기(500)가 설치된 하부케이스(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우산투입부(301)의 원추형봉외주면(310)에 형성된 송풍구멍(311)은 일방향으로 송풍이 이루어지게 송풍구멍(311)이 하방에서 상방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시계방향으로 바람이 송풍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장우산투입부(302)를 이루는 원추형봉과 이격벽체(320)는 하부케이스(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기설치판(400)과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송풍기설치판(400)에 설치된 송풍기(500)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상부에 위치된 원추형봉의 중앙부인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원추형봉 외측의 장우산투입부(302)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송풍기설치판(400)에는 다수의 높이조절구(402, 403, 404, 405)가 형성되고, 접이식우산투입부(301)와 장우산투입부(302)의 하부에는 상기 높이조절구(402, 403, 404, 405) 결합용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기.
KR1020200146510A 2020-11-05 2020-11-05 우산 건조기 KR10236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510A KR102366780B1 (ko) 2020-11-05 2020-11-05 우산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510A KR102366780B1 (ko) 2020-11-05 2020-11-05 우산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780B1 true KR102366780B1 (ko) 2022-02-23

Family

ID=8049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510A KR102366780B1 (ko) 2020-11-05 2020-11-05 우산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7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30Y1 (ko) 2012-11-13 2014-04-01 이준석 우산 건조기
KR20170067327A (ko) * 2015-12-08 2017-06-16 임주생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102057182B1 (ko) 2019-02-12 2019-12-18 모리스앤코 주식회사 우산제수장치
KR102101861B1 (ko) * 2019-08-12 2020-04-17 김윤호 통풍량 조절 기능을 갖는 우산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30Y1 (ko) 2012-11-13 2014-04-01 이준석 우산 건조기
KR20170067327A (ko) * 2015-12-08 2017-06-16 임주생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102057182B1 (ko) 2019-02-12 2019-12-18 모리스앤코 주식회사 우산제수장치
KR102101861B1 (ko) * 2019-08-12 2020-04-17 김윤호 통풍량 조절 기능을 갖는 우산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281B2 (en) Dust-removing device for the dust-collecting tank of a dust-collecting machine
US6327792B1 (en) Portable and collapsible sports dryer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20170140517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393832Y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US20070011841A1 (en) Cleaning apparatus
KR20170067327A (ko)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KR102366780B1 (ko) 우산 건조기
KR20120050874A (ko) 청소용구 보관장치
KR101583906B1 (ko) 우산 건조장치
KR101851589B1 (ko) 우산 빗물제거 탈수장치
CN211897501U (zh) 带干衣罩的电动晾衣机
KR101948859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JP2004144425A (ja) 傘脱水機
KR20200114539A (ko) 이동식 우산 건조기
KR20150078370A (ko) 우산건조장치
KR101307885B1 (ko) 다단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CN107587334B (zh) 带烘干功能的可伸缩式晾衣机
KR20200097614A (ko) 우산 빗물 제거기
JPH07324859A (ja) 傘の脱水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49286A (ko)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KR20100128731A (ko) 우산탈수기
CN112657947B (zh) 车间移动除尘装置
JPH07190615A (ja) 圧縮空気吐出による雨傘回転式脱水及び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