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251B1 -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 Google Patents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251B1
KR102286251B1 KR1020190097904A KR20190097904A KR102286251B1 KR 102286251 B1 KR102286251 B1 KR 102286251B1 KR 1020190097904 A KR1020190097904 A KR 1020190097904A KR 20190097904 A KR20190097904 A KR 20190097904A KR 102286251 B1 KR102286251 B1 KR 102286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mbrella
rainwater
case
pressur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140A (ko
Inventor
박서연
Original Assignee
박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연 filed Critical 박서연
Priority to KR102019009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2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차를 이용한 흡입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우산이 삽입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케이스에 삽입된 우산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와, 케이스 중·하단에 형성되며 하단에서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우산의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저수로로 흘러내리게 할 수 있는 공기 흡입구와, 하단 내부에 형성되며 물기를 저장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The Umbrella Rainwater Remover using the air injection and air pressure difference mode}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에 관한 것으로 친환경적이며 위생적으로 우산 빗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올 때 사용하는 우산은 비를 맞지 않게 해 주지만 사용 후 물기를 없애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빗물이 묻은 우산을 건물 안에 가지고 들어가게 되면 실내에 물기가 흘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위생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 입구에 우산 물기를 제거하는 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간편한 예로는 비닐을 사용하여 우산을 감싸서 빗물을 흐르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용이 편하고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으나 무분별한 비닐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극세사를 이용하여 빗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나와 제품으로 까지 출시된 것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526260호(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에는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 빗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등록번호 제10-2004210호(우산 빗물 털이기)는 기존 극세사 방법(등록번호 제10-1526260호)을 개량한 것으로 1차적으로 브러쉬를 통과하면서 우산 외면의 빗물을 털어내고 2차적으로 극세사를 통과하면서 빗물을 2차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극세사를 이용한 빗물 제거기는 환경오염을 발생하지 않고 간편하고 이동이 편리한 점이 있어 장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우산을 극세사에 문질러 빗물을 제거함에 따라 우산살이 겹치는 부분의 빗물 제거가 생각처럼 잘 되지 않는 점이 있고 극세사에 물이 많이 묻게 될 경우 우산 빗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2단, 3단 우산같이 접는 우산의 물기들을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극세사를 말려야 되는 시간이 필요하여 장마철같이 계속하여 비가 내리는 동안에 사용하기 적절 하지 않다. 또한 극세사를 잘 말리지 않게 되면 좋지 않는 냄새가 날 수 있고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어 관리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극세사와 비슷한 방법으로 빗물 흡수재를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도 있다. 등록번호 제10-1690695호(빗물 제거 효율이 뛰어난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와이어부와 와이어부 후단에 있는 격자형 부직포와 부직포 후단에 메쉬부를 포함하여 빗물 제거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했다. 우산을 집어넣는 부분과 빗물을 잘 흡수하는 물질을 붙여서 물기를 제거하고 빗물이 맺히지 않고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방법을 제한하였다. 기존 방법보다 개선되었지만 와이어를 통해 빗물을 처리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수 있고 부직포에서 흡수하는 빗물 량 등을 고려하면 사용상 제한이 있을 것이다. 등록번호 제10-1547973호(우산의 빗물 제거장치)도 빗물 흡수재를 사용한 것으로 유사한 성능을 보일 것이라 생각된다.
공개번호 10-2017-0097939호(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우산 건조 장치)에서는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근접 센서를 통해 우산을 감지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을 건조하는 장치로,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방법과 공기 분사에 대해서는 유사성은 있으나 빠른 시간 내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 압력차를 이용한 빗물 흡입 방식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접는 우산 빗물 제거 방식도 포함되지 않았다.
탈수기 방식을 사용한 방법(등록번호 제10-18385630호)은 우산을 탈수통에 집어넣어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우산을 회전시켜 물기를 탈수하는 과정에서 우산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좋은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 또한 2단, 3단 우산 같이 접는 우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26260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0421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9069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4797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385630호 공개번호 10-2017-0097939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산 빗물을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차를 이용한 흡입 방식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위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차를 이용한 흡입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우산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우산이 삽입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케이스에 삽입된 우산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와, 케이스 중.하단에 형성되어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우산의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저수로로 흘러내리게 할 수 있는 공기 흡입구와, 케이스 하단에 형성되며 물기를 저장하는 저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케이스는 개구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우산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 장치와 우산이 기구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공기 분사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고압으로 배출하는 공기 펌프(공기 분사부용)와,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n열로 복수개로 형성되며 공기 펌프(공기 분사부용)에서 생성된 고압의 공기를 케이스에 삽입된 우산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공기 분사부는 상기 우산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우산 길이에 따라 분사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와 분사 노즐, 분사부 내 물 흐름 홈, 분사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공기 순환부는 케이스 중.하단에서 형성되며 케이스 외부에 형성된 공기 펌프(공기 순환부용), 공기 흡입구 안쪽으로 우산 빗물을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빠르게 흡수하는 공기 순환부와 내부 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케이스 하단의 저수부는 우산 빗물을 저장하는 부분이며 빗물 수위를 알려주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외부 공기 배출부는 공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분출되어 자연스럽게 공기 순환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케이스 하단의 저수부는 외부 공기 배출부를 통해 흘러내린 빗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 배출부 위쪽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압력차를 이용하여 빗물을 흡입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정보 표시 및 제어부는 케이스 상단에 형성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산 빗물을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차를 이용한 흡입 방식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위생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 손상을 최소로 하며 빠른 시간 내에 물기를 제거하여 사용자의 우산 관리나 건물 내 습도를 유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접는 우산 빗물 제거 방법도 제안하여 다양한 우산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접는 우산 전용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와 분사 노즐과 물 흐름 홈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중.하단에 형성되며 우산 빗물을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흡입하는 공기 순환부와 배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중.하단에 형성되며 우산 빗물을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케이스 상단의 공기를 아래쪽으로 흡입하는 공기 순환부와 배출구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은 저수부 상단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본질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가 분사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우산을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110) 고압의 공기 분사 장치와 공기 압력차를 이용해 우산 빗물을 흡입할 수 있는 장치가 들어 있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며 케이스(100)에 삽입된 우산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털어내는 분사부(200)와, 케이스(100) 중.하단에 형성되며 분사부(200)에 의해 우산으로부터 떨어진 빗물 또는 우산에 묻은 빗물을 공기 압력차로 공기 흡입구(330) 안쪽으로 빨아들이는 공기 순환부(300), 공기 순환부(300) 안쪽을 통과해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부(500)와 케이스 하단으로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400)와 케이스(100) 상단에 형성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100)는 케이스 상단에서 우산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110)와, 케이스(100)측면에 형성되며 우산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우산 길이 센서(120)와 우산이 기구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산 지지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사부(200)는 케이스(100)의 상단에 복수 열로(본 실시 예에서는 3열) 형성되며 케이스(100) 외부에 있는 공기 펌프(220)와, 삽입된 우산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사부(200)는 도 1에서는 분사부(200)를 3열로 구성하였으나 실제 제조 과정에서는 추가로 분사부(20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우산 길이 감지 센서(120)를 통해 삽입되는 우산 길이를 측정하여 선택적으로 분사부(200)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는 우산 빗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케이스(100) 안쪽에 형성되며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230),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 노즐(240),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 지지대(250),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 물 흐름 홈(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접는 우산의 경우 접히는 부분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음에 따라 우산 접히는 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230)와 접는 우산 전용 분사 노즐이(240) 필요하다. 또한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대(250)도 필요하다.
도 3은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230)와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 노즐(240),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 물 흐름 홈(260)을 확대한 것으로 접히는 부분에 분사 노즐이 삽입되어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240)의 고압의 공기로 인해 떨어진 빗물이 분사부(230) 안쪽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물 흐름 홈(260)을 만들어 빗물이 케이스(100) 하단으로 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공기 순환부(300)는 공기 펌프(320)를 통해 들어온 공기를 케이스(100) 하단으로 빠른 속도로 배출하는 내부 공기 배출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 순환부(300)는 우산 길이 감지 센서(120)을 통해 우산 길이에 따라 순환부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산 길이가 짧으면 공기 순환부(300)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길이가 길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우산 길이에 따라 가변적으로 이동한다.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 지지대(250)를 공기 순환부(300)에 연결한다면 접는 우산 안쪽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230)도 우산 길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외부 공기가 공기 펌프(320)를 거쳐 공기 순환부(300)를 통과하면서 공기 속도가 빨라지게 되며 내부 공기 배출부(310)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공기 순환부(300)의 위쪽은 압력이 커지고 아래쪽은 압력이 작아지게 된다.
도 5는 공기 순환부(300) 단면도로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내부 공기 배출부(310)를 통해 배출된, 속도가 빨라진 공기로 인해 공기 순환부(300) 위쪽과 아래쪽의 기압차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내부 공기 배출부(310)가 아래로 공기를 빠르게 배출함에 따라 빗물 등이 역류하여 내부 공기 배출부(310)로 유입할 가능성이 없어 감전사고 위험을 없앨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 공기 배출부(310)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공기 흡입구(330)로 흡입된 공기와 빗물은 외부 공기 배출부(400)과 빗물 저수부(500)로 이동하게 된다.
외부 공기 배출부(400)를 통과한 공기는 저수부 상단에 있는 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완전 배출되어 본 발명 장치 안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한다.
또한 빗물 저수부(500)와 빗물 수위 상승을 감지할 수 있는 빗물 저수부 수위 센서(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우산 빗물 제거기의 전체 상황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장치 제어를 할 수 있는 제어부(600)는 우산 삽입 여부, 우산 길이 측정 결과, 우산 길이에 따른 공기 분사 노즐 및 공기 순환부 작동 상황, 빗물 저수부 수위 상태, 각종 모터 및 전기 장치 정상 동작 여부를 표시하며 필요 시 해당 동작 제어기능도 포함한다.
100 : 케이스 110 : 우산 삽입구 120 : 우산 길이 감지 센서
130 : 우산 지지대
200 : 공기 분사부 210 : 공기 분사 노즐 210-1 : 공기 분사 노즐로 분출되는 공기
220 : 공기 펌프(공기 분사부용) 230 :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
240 :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 노즐
240-1 :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 노즐로 분출되는 공기
250 :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 지지대
260 :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 물 흐름 홈
300 : 공기 순환부 310 : 공기 순환부에서 케이스 하단으로 배출되는 내부 공기
배출부 310-1 : 공기 순환부 안쪽(공기 흡입구)으로 분출되는 공기
320 : 공기 펌프(공기 순환부용) 330 : 공기 흡입구
400 : 외부 공기 배출부
500 : 빗물 저수부 510 : 빗물 저수부 수위 센서 520 : 저수부 지지대
600 : 정보 표시 및 제어부

Claims (11)

  1. 우산을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공기 분사 장치와 공기 압력차를 이용해 우산 빗물을 흡입한 수 있는 장치가 들어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상단에 형성되며 케이스에 삽입된 우산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털어내는 분사부와;
    케이스 중.하단에 형성되며 분사부에 의해 우산으로부터 떨어진 빗물 또는 우산에 묻은 빗물을 공기 압력차로 공기 흡입구(공기 순환부 안쪽)로 빨아들이는 공기 순환부와;
    공기 흡입구를 통과해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부와;
    케이스 하단으로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 공기 배출부와;
    케이스 상단에 형성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 형성되어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펌프와;
    상기 케이스 내부 측면에 복수 열로 형성되며 우산 길이 감지 센서를 통해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공기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개구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우산 길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우산이 기구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접는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케이스 안쪽 중앙에 형성되며 접는 우산 틈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접는 우산 전용 분사 노즐과;
    접는 우산 전용 분사 노즐 사이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물 흐름 홈을 구성한 접는 우산 전용 공기 분사부 물 흐름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부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 형성되어 케이스 내부 공기 순환부로 공기를 빠른 속도로 순환해주는 공기 펌프와;
    케이스 중.하단에 형성되며 분사부에 의해 우산으로부터 떨어진 빗물 또는 우산에 묻은 빗물을 공기 압력차로 공기 흡입구(공기 순환부 안쪽)로 빨아들이는 내부 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부는
    내부 공기 배출부가 아래로 공기를 빠르게 배출함에 따라 빗물 등이 역류하여 내부 공기 배출부로 유입할 가능성이 없어 감전사고 위험을 없앨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부는
    우산 길이 감지 센서를 통해 우산 길이를 감지하여 우산 길이에 따라 공기 순환부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여 우산 빗물 제거를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 배출부는
    공기 순환부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분출되어 자연스럽게 공기 순환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부는
    외부 공기 배출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부에 고인 빗물의 수위 상승을 감지하여 수위 상황을 상기 정보 표시 및 제어부에 알려주는 빗물 저수부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부는
    외부 공기 배출부를 통해 흘러내린 빗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 배출부 위쪽까지 형성되며 외부 공기 배출구를 통과한 공기가 저수부 상단에 있는 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완전 배출되어 본 발명 장치 안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및 제어부는
    케이스 상단에 형성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20190097904A 2019-08-12 2019-08-12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286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04A KR102286251B1 (ko) 2019-08-12 2019-08-12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04A KR102286251B1 (ko) 2019-08-12 2019-08-12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140A KR20210019140A (ko) 2021-02-22
KR102286251B1 true KR102286251B1 (ko) 2021-08-09

Family

ID=7468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904A KR102286251B1 (ko) 2019-08-12 2019-08-12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2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939A (ja) * 2000-03-16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傘乾燥装置
KR101235127B1 (ko) * 2011-05-03 2013-02-28 신아시스템(주) 우산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755A (ja) * 1993-01-22 1994-08-12 Kansei Corp 傘の脱水装置
KR101526260B1 (ko) 2014-05-08 2015-06-10 이백관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KR101547973B1 (ko) 2015-05-27 2015-09-01 이민석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KR101690695B1 (ko) 2015-09-17 2016-12-28 이경열 빗물 제거효율이 뛰어난 우산빗물제거장치
KR20170097939A (ko) 2016-02-19 2017-08-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우산 건조 장치
KR101838563B1 (ko) 2016-06-13 2018-04-26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04210B1 (ko) 2019-01-14 2019-07-29 최지화 우산 빗물 털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939A (ja) * 2000-03-16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傘乾燥装置
KR101235127B1 (ko) * 2011-05-03 2013-02-28 신아시스템(주) 우산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140A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237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101704420B1 (ko) 의류 건조기
KR20170099170A (ko) 우산 건조기
KR200469310Y1 (ko) 우산 건조장치
KR102286251B1 (ko)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US118023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based lint collection
KR101260242B1 (ko) 우산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170097939A (ko)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우산 건조 장치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KR200399142Y1 (ko) 두발 탈수 기능을 겸비한 헤어드라이어
CN110248581A (zh) 用于烘手器的除臭收集盘
KR20120028482A (ko) 우산 건조기
KR102176916B1 (ko) 고압분사 공기순환방식 우산 빗물 제거기
CN107558091B (zh) 衣物烘干装置
KR20200114539A (ko) 이동식 우산 건조기
KR20100128673A (ko) 우산 건조기
KR20060098752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우산 탈수기
KR20210025803A (ko) 우산 탈수장치
KR200328520Y1 (ko) 우산건조기
KR102304875B1 (ko) 우산제수기
KR102288732B1 (ko)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CN109234995A (zh) 一种衣物烘干装置
CN207323423U (zh) 一种新型节水烘干净手器
KR102589482B1 (ko) 우산 건조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