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973B1 -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973B1
KR101547973B1 KR1020150073602A KR20150073602A KR101547973B1 KR 101547973 B1 KR101547973 B1 KR 101547973B1 KR 1020150073602 A KR1020150073602 A KR 1020150073602A KR 20150073602 A KR20150073602 A KR 20150073602A KR 101547973 B1 KR101547973 B1 KR 101547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mbrella
water collecting
collecting ca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이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석 filed Critical 이민석
Priority to KR102015007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는 상측이 개구되어 젖은 우산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집수되는 집수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우산의 삽입 시, 상기 우산과 접촉되면서 빗물을 흡수 및 상기 집수 케이스의 내부로 탄성 변형되는 빗물 제거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빗물 제거유닛은 복수로 이루어져 일측 선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마주하는 각 선단들의 사이에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각 탄성 플레이트의 밑면에 각각 구비되고, 구비된 일측 선단이 상기 삽입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단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우산과 접하면서 빗물을 흡수하는 빗물 흡수재; 및 상기 각 탄성 플레이트의 타측 선단을 연결하고, 상기 집수 케이스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umbrella rainwater}
본 발명은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 등지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가 내리는 날이면 대형마트나 식당, 건물의 출입구에는 젖은 우산을 통해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회용 비닐커버를 우산에 씌우고 입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비닐커버를 젖은 우산에 씌움으로써, 실내에 빗물이 유입되어 바닥의 오염이나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우산에 씌워지는 비닐커버는 단순하게 젖은 우산에 씌워지는 것으로, 비닐커버 내에 빗물이 집수되고, 집수되는 빗물은 비닐커버의 손상 시, 외부로 배출되어 바닥의 오염과,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사람들은 젖은 우산에 비치된 비닐커버를 씌우기 전, 우산을 바닥을 향해 흔들면서 빗물을 털어내는 행위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위는 입구의 바닥에 빗물을 고이게 하여 입구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빗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발생시킨다.
또한, 이러한 빗물을 털어내는 행위는 주변 사람들에 빗물을 튀게 하여 서로 간에 불쾌감을 유발시킨다.
이에 따라서, 젖은 우산에 비닐커버를 씌우기 전에 1차적으로 젖은 우산의 빗물을 안전하게 제거할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2006-0017719호(2006.06.30)
본 발명의 구현예는 실내로 진입하기 위해 젖은 우산에 비닐커버를 씌우기 전, 우산의 빗물을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1차적으로 제거하도록 된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는 상측이 개구되어 젖은 우산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집수되는 집수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우산의 삽입 시, 상기 우산과 접촉되면서 빗물을 흡수 및 상기 집수 케이스의 내부로 탄성 변형되는 빗물 제거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빗물 제거유닛은 복수로 이루어져 일측 선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마주하는 각 선단들의 사이에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각 탄성 플레이트의 밑면에 각각 구비되고, 구비된 일측 선단이 상기 삽입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단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우산과 접하면서 빗물을 흡수하는 빗물 흡수재; 및 상기 각 탄성 플레이트의 타측 선단을 연결하고, 상기 집수 케이스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 케이스는 하부 외주면에 집수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에는 배수마개가 결합되며, 외주면에 구비되는 투명창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의 집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표시하는 유량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빗물 제거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빗물 제거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우산과 접촉되면서 상기 우산의 빗물을 한번 더 흡수하여 제거하는 보조 빗물 제거유닛;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빗물 제거유닛은 상기 집수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결합 플렌지; 및 상기 결합 플렌지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우산과 접촉되면서 빗물을 흡수하는 보조 흡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 케이스에는 내부 바닥면에 상기 우산의 삽입 시, 선단부와 접촉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우천 시, 젖은 우산에 비닐커버를 씌우기 전, 우산의 빗물을 빗물 제거유닛을 통해 제거한 후, 비닐커버를 씌우고 실내로 입장을 함에 따라, 비닐커버 내에 빗물이 집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비닐커버의 손상 시, 외부로 배출되는 빗물의 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바닥의 오염이나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는 비닐커버를 씌우기 전에 우산을 바닥을 향해 흔들면서 빗물을 털어내는 행위를 생략하여 입구의 바닥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입구의 환경오염과 빗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에 빗물이 튀는 것이 방지되어 서로 간에 불쾌감이 유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현예는 별도의 전원공급을 통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직접적으로 우산을 집수 케이스 측으로 삽입과 인출시키는 간편한 동작을 통해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 없고, 설치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구현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적용되는 빗물 삽입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우산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구현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는 우천 시, 젖은 우산에 비닐커버를 씌우기 전, 우산의 빗물을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1차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적용되는 빗물 삽입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에 우산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1)는 집수 케이스(10) 및 빗물 제거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집수 케이스(1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젖은 우산(2)이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젖은 우산(2)으로부터 빗물이 집수된다.
이러한 집수 케이스(10)는 젖은 우산(2)이 내부 집수공간(11)으로 삽입되도록 상측이 개구부(12)로 이루어지고, 하부 외주면에는 집수공간(11)과 연결되는 배수홀(13)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13)은 집수공간(11)에 빗물이 적정수준으로 집수되면 빗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항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별도의 배수마개(14)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마개(14)는 집수 케이스(10)의 외주면에 일측이 연결단(1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배수홀(13)의 개폐 시, 부주의로 인해 배수마개(14)가 분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마개(14)의 연결단(15)은 집수 케이스(10)와 열융착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은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집수 케이스(10)에는 유량계(1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계(16)는 집수 케이스(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투명창(17)을 통해 내부 집수공간(11)에 집수되는 빗물의 집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상기 유량계(16)는 집수 케이스(10)의 외주면 일부를 절개하여 집수 케이스(10)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투명창(17)과, 투명창(17)의 내측 집수공간(11) 상에 빗물의 유입에 따라 승하강하는 포인터(1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집수 케이스(10)의 집수공간(11) 상에 일정 수준 이상의 빗물이 집수되면 유량계(16)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빗물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량계(16)는 다양한 형태의 유량계(16)가 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당업계에서 널이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집수 케이스(10)에는 집수공간(11)을 이루는 바닥면(11a)에 우산(2)의 삽입 시, 우산(2)의 선단부와 접촉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재(1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재(19)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모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완충재(19)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바닥면(11a)에 삽입 또는 집수공간(11)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빗물 제거유닛(20)은 집수 케이스(10)의 개구부(12)에 결합되고, 우산(2)의 삽입 시, 우산(2)과 접촉되면서 빗물을 흡수 및 집수공간(11) 측으로 안내하고, 집수공간(11) 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빗물 제거유닛(20)은 탄성 플레이트(21), 빗물 흡수재(22) 및 결합부(2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21)는 복수로 이루어져 일측 선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마주하는 각 선단들의 사이에는 우산이 삽입되는 홀형태의 삽입부(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플레이트(21)는 자체 탄성복원력을 갖는 것으로,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빗물과 접촉됨에 따라 부식방지가 용이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 흡수재(22)는 각 탄성 플레이트(21)의 하측면(21a)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구비된 일측 선단이 우산(2)이 삽입되는 삽입부(24)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단(22a)을 통해 삽입되는 우산(2)과 밀착 접촉되면서 빗물을 흡수한다.
이때, 상기 접촉단(22a)은 우산(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22c)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부(24)를 통해 삽입되는 우산(2)과의 접촉 시, 압축변형 되면서 우산(2)의 빗물을 흡수하고, 일부 빗물을 집수공간(11) 측으로 안내시킨다.
이러한 빗물 흡수재(22)는 자체 탄성복원력을 갖으면서 물기를 흡수하는 모든 흡수재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는 탄성이 있는 해면상의 다공질 합성수지인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3)는 각 탄성 플레이트(21)의 타측 즉, 삽입부(24)를 이루는 반대편 선단을 상호 연결키고, 선단을 연결하는 밑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집수 케이스(10)의 개구부(12)에 결합되는 결합단(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단(25)은 개구부(12)와 나사결합될 수 있고, 개구부(12)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후크를 통한 결합방식 등과 같은 모든 결합방식이 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탄성 플레이트(21)가 복수로 이루어지고, 삽입부(24)를 형성하도록 선단부가 마주하며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을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중앙에 상기 삽입부(24)를 형성하고, 삽입부(24)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절개시키는 형태로 각 탄성 플레이트(21)들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 플레이트(21)는 전체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1)는 집수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빗물 제거유닛(20)의 하측에 인접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빗물 제거유닛(20)을 통과하는 우산(2)과 접촉되면서 빗물을 한번 더 흡수하여 제거하는 보조 빗물 제거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빗물 제거유닛(30)은 결합 플렌지(31) 및 보조 흡수재(3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플렌지(31)는 집수 케이스(10)의 내주면으로부터 우산(2)이 삽입되는 집수공간(11)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 플렌지(31)는 집수 케이스(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집수 케이스(10)의 내주면을 따라 전체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흡수재(32)는 결합 플렌지(31)에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홈(33)을 통해 끼워지고, 타측이 우산(2)과 접촉되면서 빗물을 흡수한다. 이때, 보조 흡수재(32)의 타측은 전술한 빗물 흡수재(22)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하는 접촉단(32a)과 경사면(32c)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 빗물 제거유닛(30)에 의하면, 빗물 제거유닛(20)을 통해 1차적으로 빗물이 제거되는 우산(2)을 보조 흡수재(32)를 통해 2차적으로 빗물을 제거시킨다. 이에 따라 우산(2)의 빗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의 작동을 상기한 도 3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부분 확대도이다.
우선, 우천 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1)를 우산(2)에 비닐커버를 씌우는 비닐커버 공급기(미도시)와 함께 건물의 입구 등지에 비치시킨다.
이때, 도 3에서처럼 사용자는 우산(2)에 비닐커버를 씌우기 전에 우산(2)의 빗물을 먼저 제거하기 위해 빗물 제거유닛(20)을 통과시키면서 집수 케이스(10)에 우산(2)을 삽입시킨다.
이후, 상기와 같이 빗물 제거유닛(20)을 통해 집수 케이스(10)의 집수공간(11)으로 삽입되는 젖은 우산(2)은 도 4에서처럼 삽입부(24)를 통과하고, 각 탄성 플레이트(21)의 하측면(21a)에 구비된 빗물 흡수재(22)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서, 빗물 흡수재(22)는 압축변형이 되는 동시에 빗물을 흡수 및 제거시킨다.
이때, 삽입부(24)를 통과 하는 우산(2)은 빗물 흡수재(22)와 접촉됨에 따라 빗물 흡수재(22)와 연결된 각 탄성 플레이트(21)가 집수 케이스(10)의 집수공간(11) 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용이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빗물 흡수재(22)는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탄성복원력과 탄성 플레이트(21)가 가지고 있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항시 우산(2)과 밀착되게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빗물을 용이하게 흡수하면서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빗물이 제거된 후, 집수 케이스(10)에 삽입된 우산(2)을 외부로 인출한다. 이때, 도 5에서처럼 우산(2)과 접촉하고 있는 빗물 흡수재(22)는 한번 더 우산(2)에 존재하는 빗물들을 흡수하고, 빗물의 일부를 집수공간(11) 측으로 안내시킨다.
그리고 탄성 플레이트(21) 및 빗물 흡수재(22)는 우산(2)의 인출에 따라 집수공간(11)의 외측으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우산(2)이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되고, 우산(2)이 완전하게 외부로 인출되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도 1참조)
여기서, 우산(2)의 삽입 및 인출 시, 탄성 플레이트(21) 및 빗물 흡수재(22)는 미세하게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도면상에는 설명을 위하여 극단적인 변형을 도시하였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예는 탄성 플레이트(21)와 빗물 흡수재(22)가 갖는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우산(2)에 가변적으로 대처하면서 젖은 우산(2)의 빗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빗물이 제거된 우산(2)에 비닐커버를 씌우고 실내로 입장을 하면은, 비닐커버 내에 빗물이 집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비닐커버의 손상 시, 외부로 배출되는 빗물의 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바닥의 오염이나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닐커버를 씌우기 전에 우산(2)을 바닥을 향해 흔들면서 빗물을 털어내는 행위를 생략하여 입구의 바닥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입구의 환경오염과 빗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빗물을 털어내는 행위의 생략을 통해 주변 사람들에 빗물이 튀는 것이 예방되어 서로 간에 불쾌감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전원공급을 통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직접적으로 우산(2)을 집수 케이스(10) 측으로 삽입과 인출시키는 간편한 동작을 통해 작동되는 것으로,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 없고, 설치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1)는 상기와 같이 젖은 우산(2)의 빗물제거 작업 시, 빗물 흡수재(22)가 과다하게 빗물을 흡수한 상태가 발생되면 수기로 움켜쥐어 빗물을 짜내면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 흡수재(32)의 경우는 빗물 제거유닛(20)을 집수 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기로 짜내서 사용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빗물의 제거작업이 종료되면, 집수 케이스(10)로부터 빗물 제거유닛(20)을 분리시켜 자연 상태의 건조작업을 진행하고, 빗물 흡수재(22) 및 보조 흡수재(32)의 손상이 발견되면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다음 우천 시, 재사용을 한다.
또한, 상기 빗물 흡수재의 재질로 통상 사용되는 스펀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보다는 (i)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얻은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와 (ii)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광중합 반응시켜 수득되는 다공질 흡수재를 사용하는 우산의 삽입 및 인출 과정에서 뻑뻑한 느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 흡수재의 재질로 (i)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얻은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ii) 광중합 개시제 및 (iii) 닥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광중합 반응시켜 수득되는 다공질 흡수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우산의 삽입 및 인출 과정에서 뻑뻑한 느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 과정에서 우산과 우산 빗물 제거장치가 서로 탈착되지 않는 문제 역시 전혀 발생하지 않아서, 따로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손으로 잡고 있을 필요 없이 한 손으로 우산을 쉽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제조예 1
분자량이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3.4g(3.4mmol)을 잘 건조된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50㎖의 벤젠을 첨가한 다음, 오일 배스(oil bath)에서 60℃의 온도로 환류(reflux)하에서 완전 용해시켰다. 그 다음에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methacryloyl choloride) 0.68mL(7mmol)를 첨가하고, 1mL(7.2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한 후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공정(filtering)을 통해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과량의 n-헥산에 적가한 후, 40℃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에스테르계 광경화형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항온조(20℃)에 장착된 5mm 노즐을 통하여 실리콘 오일에다 적하하였다. 이로 인하여 형성된 겔을 300∼400nm 파장의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10분 동안 빛을 쬐여 다공질 흡수재를 얻었다.
제조된 다공질 흡수재는 기공 크기(pore size)가 10∼200㎛이고 높은 수분 흡수성을 갖는 소프트한 고무상 탄성체로서, 압축강도는 1kg/cm3 이상이었고, 3차원 가교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는 대신에,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1 중량부를 혼합한 후, 여기에 추가로 아래에서 제조한 닥나무 추출액 10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다공질 흡수재를 제조하였다.
닥나무 줄기를 5 내지 10cm 길이로 자르고, 이렇게 자른 닥나무 줄기와 닥나무 잎 및 물을 중량비가 1 : 1 : 30이 되도록 잘 섞었다. 이를 가열하되, 물이 최초 양의 절반이 될 때까지 가열시켰다. 닥나무 잎과 줄기를 제거하고 거름망으로 여과하여 닥나무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위에서 제조예 1과 2에서 각각 제조한 다공질 흡수재를 맑은 날 음지에서 24 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이를 빗물 흡수재(22)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에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대조를 위하여 통상 시중에서 구매한 스펀지(극동씨앤씨, 해면 스펀지, 살색, 1.05 m x 1.8 m)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그 결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우산을 집수 케이스 측으로 삽입하고 인출하는 과정에서 뻑뻑함이 느껴졌고, 우산 면이 다공질 흡수재와 빗물로 인한 부착력이 강해 특히 인출할 때 우산 빗물 제거장치가 우산과 함께 인출 방향으로 올라오는 문제가 있어, 탈착을 위해서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우산을 인출해야 했다.
반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비교예 1에 비해 삽입과 인출 과정에서 뻑뻑함은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로 감소되었고, 다만 인출 과정에서 우산과 우산 빗물 제거장치가 서로 탈착되지 않는 문제는 여전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삽입과 인출 과정에서 뻑뻑함은 실시예 1보다도 더욱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출 과정에서 우산과 우산 빗물 제거장치가 서로 탈착되지 않는 문제 역시 전혀 발생하지 않아서, 따로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손으로 잡고 있을 필요 없이 한 손으로 우산을 쉽게 인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2: 우산
10: 집수 케이스 11: 집수공간
11a: 바닥면 12: 개구부
13: 배수홀 14: 배수마개
15: 연결단 16: 유량계
17: 투명창 18: 포인터
19: 완충재 20: 빗물 제거유닛
21: 탄성 플레이트 21a: 하측면
22: 빗물 흡수재 22a: 접촉단
22c: 경사면 23: 결합부
24: 삽입부 25: 결합단
30: 보조 빗물 제거유닛 31: 결합 플렌지
32: 보조 흡수재 32a: 접촉단
32c: 경사면 33: 끼움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상측이 개구되는 개구부가 포함되어 젖은 우산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집수되는 집수 케이스; 및 (b)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우산의 삽입 시, 상기 우산과 접촉되면서 빗물을 흡수 및 상기 집수 케이스의 내부로 탄성 변형되는 빗물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로서;
    상기 빗물 제거유닛은 (b1) 복수로 이루어져 일측 선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마주하는 각 선단들의 사이에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탄성 플레이트; (b2) 상기 각 탄성 플레이트의 밑면에 각각 구비되고, 구비된 일측 선단이 상기 삽입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단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우산과 접하면서 빗물을 흡수하는 빗물 흡수재; 및 (b3) 상기 각 탄성 플레이트의 타측 선단을 연결하고, 상기 집수 케이스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빗물 흡수재는 (i)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얻은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ii) 광중합 개시제 및 (iii) 닥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광중합 반응시켜 수득되는 다공질 흡수재이며;
    상기 닥나무 추출액은 닥나무 줄기와 닥나무 잎 및 물의 중량비 1 : 1 : 30의 혼합물에서 상기 물의 양을 최초의 절반이 될 때까지 농축시켜 얻은 닥나무 추출액이고, 상기 혼합액에는 (i) 상기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ii) 상기 광중합 개시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iii) 상기 닥나무 추출액 5 내지 15 중량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KR1020150073602A 2015-05-27 2015-05-27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KR101547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602A KR101547973B1 (ko) 2015-05-27 2015-05-27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602A KR101547973B1 (ko) 2015-05-27 2015-05-27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973B1 true KR101547973B1 (ko) 2015-09-01

Family

ID=5424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602A KR101547973B1 (ko) 2015-05-27 2015-05-27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9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695B1 (ko) 2015-09-17 2016-12-28 이경열 빗물 제거효율이 뛰어난 우산빗물제거장치
KR101845962B1 (ko) 2016-07-18 2018-04-05 김보현 묶지 않은 우산을 깊숙이 밀어 넣어도 걸리지 않는 비전기식 우산 비닐봉지 회수장치
KR102011662B1 (ko) 2018-07-16 2019-08-19 박종섭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85784B1 (ko) 2019-05-22 2020-03-05 이경열 우산 빗물제거장치
KR20210019140A (ko) 2019-08-12 2021-02-22 박서연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476Y1 (ko) * 2002-01-29 2002-05-06 김희훈 우산 탈수기
KR100465152B1 (ko) * 2003-01-10 2005-01-13 한유진 젖은 우산탈수기
JP2009063284A (ja) * 2007-08-09 2009-03-26 Ots:Kk 傘の滴取り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476Y1 (ko) * 2002-01-29 2002-05-06 김희훈 우산 탈수기
KR100465152B1 (ko) * 2003-01-10 2005-01-13 한유진 젖은 우산탈수기
JP2009063284A (ja) * 2007-08-09 2009-03-26 Ots:Kk 傘の滴取り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695B1 (ko) 2015-09-17 2016-12-28 이경열 빗물 제거효율이 뛰어난 우산빗물제거장치
KR101845962B1 (ko) 2016-07-18 2018-04-05 김보현 묶지 않은 우산을 깊숙이 밀어 넣어도 걸리지 않는 비전기식 우산 비닐봉지 회수장치
KR102011662B1 (ko) 2018-07-16 2019-08-19 박종섭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85784B1 (ko) 2019-05-22 2020-03-05 이경열 우산 빗물제거장치
KR20210019140A (ko) 2019-08-12 2021-02-22 박서연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973B1 (ko)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CN110071432A (zh) 一种带有清尘装置的配电柜
CA2951456C (en) Body fluid retention device with shielding side wall
CN109178721B (zh) 一种市政建设废旧衣物回收箱
KR100815107B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CN104075542B (zh) 一种雨伞干燥装置
CN207331935U (zh) 一种公路排水装置
CN215973260U (zh) 一种肝胆外科护理用废液收集装置
CN205759024U (zh) 脱细胞血管交联装置
CN208379716U (zh) 一种智能蹲便器
CN220942122U (zh) 一种针对于较大颗粒侵害的便携式冲眼装置
KR101614219B1 (ko) 빗물 흘림 방지 캡 및 이를 가지는 우산
CN203980795U (zh) 一种雨伞干燥装置
CN110897285A (zh) 一种雨伞除水器
CN209636946U (zh) 一种具有快速排水功能的艺术井盖
CN212689152U (zh) 一种带有过滤装置的地漏
CN203531121U (zh) 城市道路下水道防臭味溢出装置
KR200411137Y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CN208516181U (zh) 一种具有排水和压缩垃圾体积功能的环保型垃圾箱
CN211533004U (zh) 一种雨伞除水器
CN204001168U (zh) 可自动控制的窨井盖
CN214538764U (zh) 一种污水处理用的采样装置
KR20140016027A (ko) 빗물 흐름 방지 우산
CN203270315U (zh) 便于清洗的滚筒洗衣机
CN107595073A (zh) 一种收集雨伞上的雨水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