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509B1 -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 Google Patents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509B1
KR101247509B1 KR1020110065881A KR20110065881A KR101247509B1 KR 101247509 B1 KR101247509 B1 KR 101247509B1 KR 1020110065881 A KR1020110065881 A KR 1020110065881A KR 20110065881 A KR20110065881 A KR 20110065881A KR 101247509 B1 KR101247509 B1 KR 10124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over
umbrella
housing
removal unit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683A (ko
Inventor
황영우
Original Assignee
황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우 filed Critical 황영우
Priority to KR102011006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5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우산(10)으로부터 제거된 비닐 커버(20)가 수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산(10)의 인출시에 상기 비닐 커버(20)를 제거하는 제거부(200)와, 상기 제거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부(200)에서 제거된 상기 비닐 커버(20)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수집통로(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닐 커버(20)에서 수집된 빗물이 집수되는 물받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는 우산의 비닐 커버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비닐 커버의 수집 및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A DEVICE FOR COLLECTING A PLASTIC COVER OF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나 눈 등에 젖은 우산을 포장하는 일회용 우산 비닐 커버를 간편하게 제거하고, 수집하기 위한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백화점이나 일반 쇼핑몰 등의 입구에는 건물의 실내로 진입시에 젖은 우산을 포장하기 위한 비닐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비닐 커버는 통상 포장기로써 간편하게 우산을 포장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 젖지 않아도 되고, 실내에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여러가지 이점으로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닐 커버를 사용한 후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손으로 비닐 커버를 잡고 벗겨서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렇게 손으로 비닐을 손으로 제거하면 손에 빗물이 묻거나, 비닐 커버 내부에 고여있던 물이 흘러 옷이나 신발을 젖게하는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거된 비닐 커버를 제대로 휴지통에 담지 않거나, 바람에 의하여 비닐 커버가 휴지통 밖으로 날릴 수 있어, 주위 환경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거된 비닐 커버를 휴지통에 수집하면, 비닐 커버의 내부에 고여있던 물이 흘러 휴지통의 하부에 고인다. 따라서 휴지통 내부에 빗물과 비닐 커버가 섞여있게 되어, 비닐 커버만 따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닐 커버가 씌워진 우산을 삽입하면 제거날개가 비닐 커버에 밀착되고, 그 밀착면의 마찰에 의해 비닐 커버를 벗겨내어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부에 제거된 비닐 커버가 수집되도록 구성되는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닐 커버에서 수집된 빗물이 집수되는 물받이부가 구비되어 빗물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는, 내부에 우산으로부터 제거된 비닐 커버가 수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산의 인출시에 상기 비닐 커버를 제거하는 제거부와, 상기 제거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부에서 제거된 상기 비닐 커버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수집통로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닐 커버에서 수집된 빗물이 집수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부는,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우산의 중심대가 삽입되는 통공과, 상기 통공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유연하게 휘어졌다 복원되어 우산의 외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거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부는,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써 형성되며, 두 개 이상이 상하로 층을 이루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통로의 측면에는, 상기 비닐 커버가 상기 수집통로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부착방지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집통로의 하부에는, 상기 비닐 커버가 모이는 수집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받이부의 상측에는, 상기 비닐 커버로부터 떨어진 빗물을 상기 물받이부로 안내하는 집수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집수판은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집수판의 최저점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집된 상기 비닐 커버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는 하우징의 상부에,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우산의 중심대가 삽입되는 통공과, 통공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유연하게 휘어졌다 복원되어 우산의 외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거날개로 이루어지는 제거부가 구비된다. .
이러한 제거부의 통공에 비닐 커버가 씌워진 우산을 삽입하면, 제거날개가 우산을 감싸는 비닐 커버의 외면에 밀착되고, 우산을 인출하면 제거날개와 비닐 커버의 마찰에 의하여 비닐 커버는 하우징 내부에 남고 우산만 상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벗기지 않고, 제거부에 삽입했다가 인출하면 제거부에 의하여 제거되므로,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거부에 의하여 제거된 비닐 커버가 하우징 내부 공간에 수집되므로 비닐 커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후 비닐 커버의 처리가 깔끔하고, 주변 환경이 지저분 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에는, 비닐 커버에서 수집된 빗물이 집수되는 물받이부가 구비되어, 빗물을 집수하여 별도로 배출할 수 있으며, 빗물이 제거된 비닐 커버만 따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를 구성하는 제거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를 구성하는 물받이부 및 집수판의 설명을 위해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의 작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를 구성하는 제거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를 구성하는 물받이부 및 집수판의 설명을 위해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비닐 커버(20)를 제거하는 제거부(200)와, 제거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비닐 커버(20)를 안내하는 수집통로(300)와,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빗물이 집수되는 물받이부(400),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110) 등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포함하는 사각 박스의 형태로 형성되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개방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원형의 출입구(100a)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우산(10)으로부터 제거된 비닐 커버(20)가 수집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출입구(100a)를 통해 상기 우산(10)이 출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도어(11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110)는, 평상시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주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집된 비닐 커버(20)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열린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제거부(20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거부(2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출입구(100a)에 구비된다. 상기 제거부(200)는, 상기 출입구(100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거부(200)는,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통공(212, 222)과, 상기 통공(212, 222)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거날개(214, 2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공(212, 222)을 통해서, 우산(10)의 중심대(12)(도 5참조)가 삽입된다. 즉,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상기 우산(10)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중심대(12)가 상기 통공(212, 222)의 중심을 통과한다.
상기 제거날개(214, 224)는, 상기 통공(212, 222)의 외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부(200)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거부(200)의 일부가 방사형으로 절개됨에 따라 각각의 제거날개(214, 224)가 등분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거날개(214, 224)는, 자체의 탄성을 가지며,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유연하게 휘어졌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우산(1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통공(212, 222)으로 상기 우산(10)을 삽입하면,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우산(10)의 외면을 따라 상기 우산(10)의 삽입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우산(1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우산(10)을 인출하면 자체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상기 제거날개(214, 224)는, 상기 우산(10)을 감싸는 비닐 커버(20)에 밀착되어, 상기 비닐 커버(20)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거날개(214, 224)는, 상기 우산(10)을 감싸는 상기 비닐 커버(2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비닐 커버(20)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우산(10)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우산(10)이 상기 비닐 커버(20)로부터 이탈되어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거날개(214, 224)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비닐 커버(2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우산(10)과 상기 비닐 커버(20) 사이의 마찰력보다, 상기 제거날개(214, 224)와 상기 비닐 커버(20) 사이의 마찰력이 더 크게 작용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거부(200)는,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거부(200)는, 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자체 탄성을 가지며, 상기 비닐 커버(20)에 상기 우산(10)보다 상대적으로 큰 마찰력을 가한다.
상기 통공(212, 222)은, 상기 제거날개(214, 224)의 움직임과 함께, 상기 우산(10)의 외경을 따라 확대되거나 축소된다. 즉,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우산(10)의 외경에 맞추어 일측으로 휘면서 절개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거나 좁혀지고, 상기 제거날개(214, 224)의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통공(212, 222)이 확대되거나 축소된다.
상기 우산(1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통공(212, 222)의 직경은 2.5 ~ 3.5 cm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212, 222)의 직경이 2.5 cm 미만인 경우, 상기 우산(10)이 상기 제거부(200)의 상부로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우산(10)에 밀착하여, 상기 비닐 커버(20)가 상기 우산(10)과 함께 밀착된 채로 인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일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통공(212, 222)의 직경이 3.5 cm 초과인 경우, 상기 우산(10)이 상기 제거부(200)의 상부로 완전히 인출되기 전에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우산(10)에 밀착되는 힘이 약해져, 상기 비닐 커버(20)에 작용하는 마찰력 또한 약해져 상기 비닐 커버(20)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고 우산(10)과 함께 인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우산(10)이 상기 제거부(200)의 상부로 인출될때, 상기 우산(10)의 몸체(14)(도 5참조)까지는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우산(10)에 밀착되고, 상기 우산(10)의 꼭지(16)(도 5참조)에서는 밀착이 해지되도록, 상기 통공(212, 222)의 직경은, 상기 우산(10)의 몸체(14)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꼭지(16)의 직경보다 큰 2.5 ~ 3.5 cm 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거부(200)는, 두 개 이상이 상하로 층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제거부(20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제거부(200)와, 상기 제1 제거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제거부(20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거부(200)는, 상기 출입구(100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입구(100a)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상기 출입구(100a)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출입구(100a)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단차턱(210a, 220a)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거부(200)의 하면과, 상기 제2 제거부(200)의 상면에 각각 상기 단차턱(210a, 220a)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턱(210a, 220a)이 상기 출입구(100a)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제거부(200)와 상기 제2 제거부(200)가 상하로 대칭되어 구비된다.
상기 우산(10)이 상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2 제거부(200)에서 1차적으로 상기 비닐 커버(20)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1 제거부(200)에서 2차적으로 상기 비닐 커버(20)를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제거부(200)는, 상기와 같이 여러층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우산(10)이 상부로 인출됨에 따라 가장 하층의 제거부(200)에서부터 가장 상층의 제거부(200)까지 여러 단계에 거쳐서 상기 비닐 커버(20)가 제거되어, 상기 비닐 커버(2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200)의 하부에는, 수집통로(3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집통로(300)는, 상기 제2 제거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거부(20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거부(200)는, 상기 제거부(200)에서 제거된 상기 비닐 커버(20)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거날개(214, 224)를 형성하는 절개의 끝부분에는 소통공(216, 226)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통공(216, 226)은, 절개가 끝나고 다수개의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연결되는 지점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소통공(216, 226)은,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일측으로 절곡되었다 원상 복귀되는 것을 반복함으로 인해 상기 제거날개(214, 224)의 접철 부위가 닳아서 약해지고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집통로(300)의 측면에는, 부착방지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부착방지홀(310)은, 상기 수집통로(300)의 측면에 원형으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부착방지홀(310)은, 상기 비닐 커버(20)와 상기 수집통로(300)의 내벽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고,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상기 비닐 커버(20)가 상기 수집통로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수집통로(300)의 하측에는, 물받이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물받이부(4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비된다.
상기 물받이부(400)에는, 상기 비닐 커버(20)의 내부에 고여있다가 흘러나온 빗물이 집수되며, 상기 빗물이 일정량 집수되면 상기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따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400)의 상측에는, 집수판(500)이 구비된다. 상기 집수판(500)은, 상기 집수판(500)은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집수판(500)의 최저점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수구(510)가 형성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판(500)은, 측면(도 4에서 우측)에서 보았을 때, 중간부가 하향지도록 'v' 자 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굴곡진 중간부에 배수구(510)가 형성된다.
상기 집수판(500)은, 상기 비닐 커버로부터 흘러나온 빗물을 상기 물받이부(4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수판(500)은, 도 4에서의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빗물이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가능 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집수판(500)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직선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일측으로 라운드지면서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집통로(300)의 하부에는, 수집망(60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집통로(300)의 하단에는, 상기 수집망(600)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수집망걸이(320)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수집망(600)은, 매쉬(mesh)망으로 이루어진 자루로 형성되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망걸이(320)를 통해 상기 수집통로(300)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수집망(600)에는, 상기 수집통로(300)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상기 비닐 커버(20)가 수집되며, 상기 비닐 커버(20)가 일정량 수집되면 상기 비닐 커버(20)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수집통로(300)로부터 따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의 작용을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의 작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우천시에 건물의 실내로 진입하면서 젖은 우산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한 비닐 커버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a)에서와 같이, 비닐 커버(20)가 씌워진 우산(10)을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0) 상부에 구비된 제거부(20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우산(10)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면,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우산(10)의 외면에 밀착할 상태로, 상기 우산(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우산(10)의 몸체(14)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우산(10)이 상기 제거부(200) 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거부(200)의 중심에 형성되는 통공(212, 2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상기 우산(10)의 몸체(14)가 상기 제거날개(214, 224)를 하측으로 밀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제거날개(214, 224)는, 상기 우산(10)의 몸체(14)에 따라 하측으로 밀리면서 원추형으로 휘어지며, 상기 우산(10)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통공(212, 222) 역시 상기 몸체(14)의 직경에 따라 확장된다. 상기 제거날개(214, 224)는, 상기 우산(10)의 외형에 맞추어 밀착되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우산(10)을 감싸는 상기 비닐 커버(20)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우산(10)을 상기 제거부(200)의 하측으로 완전히 삽입한 다음,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인출시킨다.
상기 우산(10)이 상부로 인출되면, 도 5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비닐 커버(2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일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비닐 커버(20)의 외측에 밀착하는 힘이 더 커진다.
즉, 상기 제거부(200)는, 상기 우산(10)이 삽입되면서 상기 우산(10)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원추형으로 일측으로 절곡된 후, 판막(瓣膜)의 원리처럼 상기 우산(10)을 삽입 방향으로 계속 해서 이동시키는 경우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우산(10)을 삽입 방향의 반대측으로 인출시키는 경우 상기 통공(212, 222)의 직경이 좁아지면서 상기 우산(10)에 가해지는 압박이 커지며, 상기 비닐 커버(20)에 가해지는 마찰력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하측으로 원추형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우산(10)을 상측으로 인출시키면, 상기 제거날개(214, 224)의 하측 끝단이 상기 비닐 커버(20)를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우산(10)을 계속해서 상부로 인출시키면, 상기 제거날개(214, 224)가 상기 비닐 커버(20)를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밀면서, 상기 비닐 커버(20)가 상기 우산(10)에서 벗겨져 제거된다.
상기 우산(10)을 상기 제거부(200)의 상부로 완전히 인출시키면, 도 5의 (d)에서와 같이, 상기 우산(10)만 상기 제거부(200)의 상부로 인출되며, 상기 우산으로부터 벗겨진 상기 비닐 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남게된다.
상기 비닐 커버(20)는, 상기 제거부(200) 하부에 구비된 수집통로(300)를 통해 하부의 수집망(600)으로 이동한다.
상기 비닐 커버(20)는 빗물에 의하여 상기 수집통로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으나, 상기 수집통로(300)에 형성된 부착방지홀(310)에 의하여 상기 수집통로(300)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하측의 상기 수집망(600) 내부로 낙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닐 커버(20)가 씌워진 우산(10)을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한후, 인출하여 상기 우산(10)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남게 되는 상기 비닐 커버(20)는, 상기 수집망(600) 내부에 수집된다.
상기 수집망(600)은, 매쉬(mesh)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닐 커버(20)의 내부에서 흘러나온 빗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수집망(600)을 통해 배출된 빗물은, 경사진 집수판(500)을 통해 일측으로 안내되며, 상기 집수판(500)에 형성된 배수구(510)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물받이부(400)에 집수된다.
상기 물받이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 및 이탈되도록 서랍형으로 구비되어, 집수된 빗물을 다른 곳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망(600)도 상기 수집통로(300)의 하측에 탈착 가능해, 상기 수집망(600)에 상기 비닐 커버(20)가 채워지면 상기 수집통로(300)로부터 분리시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우산 12 : 중심대
14 : 몸체 16 : 꼭지
20 : 비닐 커버 100 : 하우징
110 : 도어 200 : 제거부
210 : 제1 제거부 212, 222 : 통공
214, 224 : 제거날개 216, 226 : 소통공
220 : 제2 제거부 300 : 수집통로
310 : 부착방지홀 320 : 수집망걸이
400 : 물받이부 500 : 집수판
510 : 배수구 600 : 수집망

Claims (6)

  1. 내부에 우산(10)으로부터 제거된 비닐 커버(20)가 수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산(10)의 인출시에 상기 비닐 커버(20)를 제거하며,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우산(10)의 중심대(12)가 삽입되는 통공(212, 222)과, 상기 통공(212, 222)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유연하게 휘어졌다 복원되어 우산의 외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제거날개(214, 224)를 포함하는 제거부(200)와;
    상기 제거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부(200)에서 제거된 상기 비닐 커버(20)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수집통로(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닐 커버(20)에서 수집된 빗물이 집수되는 물받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200)는,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써 형성되며,
    두 개 이상이 상하로 층을 이루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로(300)의 측면에는, 상기 비닐 커버(20)가 상기 수집통로(300)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부착방지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집통로(300)의 하부에는, 상기 비닐 커버(20)가 모이는 수집망(6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400)의 상측에는, 상기 비닐 커버(20)로부터 떨어진 빗물을 상기 물받이부(400)로 안내하는 집수판(5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집수판(500)은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집수판(500)의 최저점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수구(5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집된 상기 비닐 커버(20)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도어(1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KR1020110065881A 2011-07-04 2011-07-04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KR101247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81A KR101247509B1 (ko) 2011-07-04 2011-07-04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81A KR101247509B1 (ko) 2011-07-04 2011-07-04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83A KR20130004683A (ko) 2013-01-14
KR101247509B1 true KR101247509B1 (ko) 2013-04-01

Family

ID=4783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881A KR101247509B1 (ko) 2011-07-04 2011-07-04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5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570A (ko) 2015-07-14 2017-01-24 (주)에이 앤 에스 개발 우산용 비닐 봉투 회수기
KR20170002535U (ko) 2017-05-01 2017-07-12 (주)에이 앤 에스 개발 우산용 비닐 봉투 회수기
KR101845962B1 (ko) 2016-07-18 2018-04-05 김보현 묶지 않은 우산을 깊숙이 밀어 넣어도 걸리지 않는 비전기식 우산 비닐봉지 회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6928U (ko) * 1989-10-06 1991-05-31
JPH08154719A (ja) * 1994-12-02 1996-06-18 Kansei Corp 傘袋処理機
KR20030089193A (ko) * 2002-05-17 2003-11-21 차진명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KR100815107B1 (ko) 2005-11-14 2008-03-19 서영석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6928U (ko) * 1989-10-06 1991-05-31
JPH08154719A (ja) * 1994-12-02 1996-06-18 Kansei Corp 傘袋処理機
KR20030089193A (ko) * 2002-05-17 2003-11-21 차진명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KR100815107B1 (ko) 2005-11-14 2008-03-19 서영석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570A (ko) 2015-07-14 2017-01-24 (주)에이 앤 에스 개발 우산용 비닐 봉투 회수기
KR101845962B1 (ko) 2016-07-18 2018-04-05 김보현 묶지 않은 우산을 깊숙이 밀어 넣어도 걸리지 않는 비전기식 우산 비닐봉지 회수장치
KR20170002535U (ko) 2017-05-01 2017-07-12 (주)에이 앤 에스 개발 우산용 비닐 봉투 회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83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509B1 (ko)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EP2960182A1 (en) Apparatus for waste collection
CN206385633U (zh) 滤除及传输系统
US8387640B2 (en) Umbrella device for automobile
KR101547973B1 (ko)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KR101793505B1 (ko) 배수구 여과장치
KR101193204B1 (ko)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234395B1 (ko) 우산 포장 비닐 회수장치
KR100815107B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JP2009068264A (ja) 排水栓構造
KR20130045146A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거름망
US7909200B1 (en) Wastebasket
KR101444888B1 (ko) 우산비닐회수장치
KR20140034563A (ko) 우산비닐회수기
CN112482543B (zh) 一种现代城市建筑的排水系统
KR100869629B1 (ko) 휴대용 우산커버
KR200215008Y1 (ko) 우산꽂이
KR200411137Y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JP2010148588A (ja) 雫受け器
KR20170087840A (ko) 담배꽁초수거통이 구비된 도로용 빗물받이
JP3201178U (ja) 抜け毛対策用浴室ゴミ箱
KR200329181Y1 (ko) 우산보관통
JPH0447579Y2 (ko)
CN216416194U (zh) 一种土壤采样用鞋套
KR102134992B1 (ko) 우산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