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784B1 - 우산 빗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784B1
KR102085784B1 KR1020190059836A KR20190059836A KR102085784B1 KR 102085784 B1 KR102085784 B1 KR 102085784B1 KR 1020190059836 A KR1020190059836 A KR 1020190059836A KR 20190059836 A KR20190059836 A KR 20190059836A KR 102085784 B1 KR102085784 B1 KR 10208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elastic
support member
elastic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열
Original Assignee
이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열 filed Critical 이경열
Priority to KR102019005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3Small self-contained devices, e.g. 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우산 빗물제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우산 빗물제거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빗물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빗물제거부는 다수의 탄성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상기 지지부재 내에서 이동하는 우산에 의해 밀리면서 변형된 후 원형으로 복원할 때 탄성력에 의해 우산을 타격하여 우산의 빗물을 털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산 빗물제거장치{RAIN REMOVING APPARATUS FOR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을 본체 내측에 넣고 좌우로 흔들거나 회전하여 다수의 탄성돌기에 의해 탄력적으로 타격되게 함으로써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우산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산 대에 연결된 다수의 우산 살과, 우산 살에 부착된 방수성 천과, 우산 대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된다.
우천 시 우산을 사용한 후 외부에서 건물 내로 진입하기 전에 우산 천에 잔류한 빗물이 실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우산의 길이에 대응하는 일회용 비닐 커버를 씌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일회용 비닐 커버는 재 사용률이 현저히 낮아 1회 사용 후 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일회용 비닐 커버는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 되므로, 요즘에는 일회용 비닐 커버를 사용하는 대신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빗물제거기가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우산 빗물제거기는 짧은 시간 내에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우산 천에 잔류하는 빗물을 흡수하거나 털어내기 위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547973호 (등록일: 2015.08.21.) (0002) 등록특허공보 제10-1526260호 (등록일: 2015.06.01.)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산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되는 다수의 탄성돌기에 의해 우산의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우산 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빗물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빗물제거부는 다수의 탄성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상기 지지부재 내에서 이동하는 우산에 의해 밀리면서 변형된 후 원형으로 복원할 때 탄성력에 의해 우산을 타격하여 우산의 빗물을 털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내측에 에어 포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막대 형상의 결합부재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상기 에어 포켓이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양측면에 다수의 공기분사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공기분사구는 각각, 탄성돌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 내에 십자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공기분사구는 상기 탄성돌기가 변형될 때 개방되고 원형으로 복원될 때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각각 양측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다수의 스크레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빗물제거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내측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빗물제거부는 다수의 탄성돌기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점차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탄성돌기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각 탄성돌기 내부에 형성된 에어 포켓에 의해 우산을 탄력적으로 타격하여 우산의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돌기에 의한 빗물 제거 뿐만아니라 각 탄성돌기에 구비된 공기분사구에서 우산 표면을 향해 분사되는 에어를 통해 우산의 빗물을 제거를 더욱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돌기에 다수의 스크레이퍼를 형성하여 우산 표면의 빗물을 긁어냄으로써 우산의 빗물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의 빗물제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체의 지지부재에 빗물제거부를 탈부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빗물제거부에 구비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빗물제거부에 구비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탄성돌기의 공기분사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본체에 우산을 삽입한 후 F1 및 F2 방향으로 번갈아 흔드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서 우산을 F1 방향 F2 B 방향으로 흔들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가 휘어지면서 양측면으로부터 번갈아 공기가 분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가 휘어질 때 공기분사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빗물제거부에 구비된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체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의 빗물제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체의 지지부재에 빗물제거부를 탈부착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빗물제거부에 구비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10)는 본체와 우산의 빗물을 털어내기 위한 한 쌍의 빗물제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20)와 베이스(20)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우산 빗물제거장치(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저면에 다수의 휠(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는 우산으로부터 제거된 빗물을 수거하기 위한 빗물 트레이(미도시)를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빗물 트레이는 베이스(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는 우산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는 하부가 빗물배출방지판(23)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빗물배출방지판(23)은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 사이에서 우산으로부터 분리된 빗물이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 사이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빗물제거부(50)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빗물제거부(50)는 고정판(51)과, 고정판(51)의 일면에 구비된 다수의 탄성돌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51)은 타면에 다수의 제1 훅앤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53a,53b,53c)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지지부재(31,33)의 내측면에는 각 고정판(51)의 다수의 제1 훅앤루프 패스너(53a,53b,53c)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수의 제2 훅앤루프 패스너(32a,32b,32c)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판(51)이 지지부재(31)의 크기와 거의 유사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부재(3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판을 지지부재(31)보다 작게 형성하는 경우, 지지부재(31)에 고정판 다수 부착할 수도 있고, 이때 다수의 고정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탄성돌기(60)는 결합부재(60a)에 의해 고정판(5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60a)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탄성돌기(60)가 본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60a)는 각 탄성돌기(60) 내의 에어 포켓(61)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탄성돌기(6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본체에 삽입한 상태로 반대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흔드는 우산에 의해 밀리는 경우) 적당한 곡률로 휘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탄성돌기(60)는 빗물이 묻은 우산을 본체에 넣고 흔들 때(도 12 참조) 우산에 의해 일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휘어지게 되므로(도 13 및 도 14 참조) 내구성이 높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탄성돌기(6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내측에 공기가 존재하는 에어 포켓(61)이 형성된다. 에어 포켓(61)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탄성돌기(60)가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에어 쿠션 역할을 함으로써 일정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빗물이 묻은 우산을 본체에 넣고 흔들 때(도 12 참조), 다수의 탄성돌기(60)는 우산에 의해 밀렸다가 우산이 해당 탄성돌기(60)를 지나감과 동시에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우산을 탄력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 이때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은 다수의 탄성돌기(60)의 타격력에 의해 우산으로부터 분리되어 베이스(20)의 상면으로 떨어져 빗물 트레이로 수거될 수 있다.
다수의 탄성돌기(60)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빗물제거부(50)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때, 하측에 위치한 서로 마주하는 각 탄성돌기들 간의 간격은 상측에 위치한 서로 마주하는 각 탄성돌기들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탄성돌기(60)의 배치는 도 12와 같이 우산을 거꾸로 본체에 삽입한 상태로 빗물을 제거할 때, 다수의 탄성돌기(60)가 우산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 및 타격할 수 있도록 하여 빗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탄성돌기(60)의 돌출 길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하나의 결합부재(60a)에는 9개의 탄성돌기(6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탄성돌기(60)는 인접한 3개의 탄성돌기가 동일한 돌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측의 3개의 탄성돌기의 돌출 길이가 동일하고, 중간의 3개의 탄성돌기의 돌출 길이가 동일하고, 하측의 3개의 탄성돌기의 돌출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측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탄성돌기의 돌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우산을 탄력적으로 타격함과 동시에 우산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빗물제거부에 구비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탄성돌기(160)는 각각 양측부(164,165)에 다수의 공기분사구(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돌기(160)의 양측부(164,165)의 두께(t3, 약 2mm)는 탄성돌기(160)가 휘어질 때 공기분사구(170)가 양호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상측 및 하측부(161,163)의 두께(t1,t2)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돌기(160)의 상측 및 하측부(161,163)는 양측부(164,165)보다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돌기(160)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돌기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수의 공기분사구(170)는 탄성돌기(160)의 양측면은 물론이고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탄성돌기(160)의 선단부(167)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만약 탄성돌기(160)의 선단부(167)에 공기분사구를 형성하는 경우 공기분사구가 원활하게 개방하기 위해, 탄성돌기(160)의 선단부(167)의 두께(t4)는 양측부(164,165)의 두께(t3)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탄성돌기의 공기분사구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각 공기분사구(170)는 탄성돌기(160)의 양측부(164,165)의 외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요홈부(170a)와, 요홈(170a)의 내측에 대략 십자형태를 이루는 제1 및 제2 절개부(171,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분사구(170)를 이루는 요홈부(170a)는 탄성돌기(160)가 휘어질 때 더 쉽게 제1 및 제2 절개부(171,172)가 벌어질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공기분사구(170)의 요홈부(170a)는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2는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본체에 우산을 삽입한 후 F1 및 F2 방향으로 번갈아 흔드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서 우산을 F1 방향 F2 B 방향으로 흔들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가 휘어지면서 양측면으로부터 번갈아 공기가 분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가 휘어질 때 공기분사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와 같이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우산(300)을 제1 및 제2 지지부재(31,33) 사이에 삽입하면, 우산(300)은 한 쌍의 빗물제거부(50)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우산(300)을 서로 반대 방향(F1 방향 및 F2 방향)으로 교대로 흔들거나 이동하면, 도 13 및 도 14와 같이 다수의 탄성돌기(160)에 구비된 다수의 공기분사구(170)로부터 공기가 분사된다.
구체적으로, 우산(300)을 F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13과 같이 탄성돌기(160)는 선단부 측이 F1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때 공기분사구(170)는 대략 타원형으로 형상이 변형되면서 제1 및 제2 절개부(171)가 개방되면서 형성된 개구(173)를 통해 에어 포켓(169)에 존재하는 공기가 탄성돌기(160) 외부로 순간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돌기(160)가 휘어지면서 일측면이 늘어나는 반면 타측면이 수축된다. 이에 따라 탄성돌기(160)의 늘어나는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분사구(170)가 개방되고, 수축하는 타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분사구(170)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우산(300)을 F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돌기(160)는 늘어나는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분사구(170)가 개방되면서 공기가 토출되고, 수축하는 타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분사구(170)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탄성돌기(160)의 다수의 공기분사구(170)에서 순간적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우산(300) 표면에 분사됨에 따라 우산(300)에 잔류하는 빗물이 우산으로부터 더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빗물제거부에 구비된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빗물제거부에 구비된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260)는 양측면에 각각 다수의 스크레이퍼(270)가 탄성돌기(2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스크레이퍼(270)는 탄성돌기(26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좌우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스크레이퍼(270)는 우산(300)을 F1 방향 및 F2 방향으로 흔들거나 이동할 때 탄성돌기(260)가 휘어지면서 우산(300) 표면에 잔류하는 빗물을 긁어 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돌기(260)는 다수의 스크레이퍼(270)와 함께 다수의 공기분사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다수의 공기분사구는 다수의 스크레이퍼(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체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10a)는 깔때기 형상의 지지부재(13a)와, 지지부재(13a) 내측면에 구비된 다수의 탄성돌기(60b)와, 지지부재(13a)의 하단에 결합된 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우산의 빗물제거 시 우산의 상단이 삽입되는 요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요홈은 우산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산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우산의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다.
다수의 탄성돌기(60b)는 각각 양측면에 다수의 공기분사구(60c)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탄성돌기(60b)는 다수의 공기분사구(60c) 대신에 전술한 다수의 스크레이퍼(270)만 형성되거나, 다수의 공기분사구(60c)와 다수의 스크레이퍼(270)를 함께 구비할 수도 있다.
다수의 탄성돌기(60b)는 지지부재(13a)의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재(13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제거장치(10a)를 통해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산을 지지부재(13a)의 공간부(11a)에 삽입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다수의 탄성돌기(60b)는 회전하는 우산에 의해 밀리면서 휘어진다. 이때 다수의 공기분사구(60c)로부터 공기가 토출되어 우산의 표면에 분사되면 우산의 표면에 잔류하는 빗물이 우산으로부터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탄성돌기(60b)는 우산을 회전하는 동안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우산을 탄력적으로 타격하여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을 털어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탄성돌기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각 탄성돌기 내부에 형성된 에어 포켓에 의해 우산을 탄력적으로 타격하여 우산의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돌기에 의한 빗물 제거 뿐만아니라 각 탄성돌기에 구비된 공기분사구에서 우산 표면을 향해 분사되는 에어를 통해 우산의 빗물을 제거를 더욱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돌기에 다수의 스크레이퍼를 형성하여 우산 표면의 빗물을 긁어냄으로써 우산의 빗물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될 것이다.
20: 베이스
13a, 31,33: 지지부재
50: 빗물제거부
51: 고정판
60, 60b, 160, 260: 탄성돌기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빗물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빗물제거부는 상기 지지부재 내에서 이동하는 우산에 의해 밀리면서 변형된 후 원형으로 복원할 때 탄성력에 의해 우산을 타격하여 우산의 빗물을 털어내도록 내측에 에어 포켓을 구비한 다수의 탄성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막대 형상의 결합부재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상기 에어 포켓이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밀폐되며, 양측면에 다수의 공기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공기분사구는 각각, 탄성돌기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 내에 십자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공기분사구는 상기 탄성돌기가 변형될 때 개방되고 원형으로 복원될 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각각 양측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다수의 스크레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제거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제거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내측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빗물제거부는 다수의 탄성돌기가 서로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제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탄성돌기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점차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제거장치.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제거장치.
KR1020190059836A 2019-05-22 2019-05-22 우산 빗물제거장치 KR10208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36A KR102085784B1 (ko) 2019-05-22 2019-05-22 우산 빗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36A KR102085784B1 (ko) 2019-05-22 2019-05-22 우산 빗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784B1 true KR102085784B1 (ko) 2020-03-05

Family

ID=6980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836A KR102085784B1 (ko) 2019-05-22 2019-05-22 우산 빗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8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187U (ko) * 1990-01-20 1991-10-04
JP2000234858A (ja) * 1999-02-10 2000-08-29 Toyo Denso Co Ltd 濡れ傘脱水装置
JP2007032934A (ja) * 2005-07-27 2007-02-08 Tadashi Saito 傘脱水装置
JP2012052749A (ja) * 2010-09-02 2012-03-15 Sho Akiyama 傘のしずく取り装置
KR20140125511A (ko) * 2013-04-19 2014-10-29 박순재 우산용 물기제거 장치
KR101526260B1 (ko) 2014-05-08 2015-06-10 이백관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KR101547973B1 (ko) 2015-05-27 2015-09-01 이민석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KR20180032212A (ko) * 2018-01-12 2018-03-29 정태봉 물 털기 장치
KR200488873Y1 (ko) * 2018-11-30 2019-04-01 이중용 우산 빗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187U (ko) * 1990-01-20 1991-10-04
JP2000234858A (ja) * 1999-02-10 2000-08-29 Toyo Denso Co Ltd 濡れ傘脱水装置
JP2007032934A (ja) * 2005-07-27 2007-02-08 Tadashi Saito 傘脱水装置
JP2012052749A (ja) * 2010-09-02 2012-03-15 Sho Akiyama 傘のしずく取り装置
KR20140125511A (ko) * 2013-04-19 2014-10-29 박순재 우산용 물기제거 장치
KR101526260B1 (ko) 2014-05-08 2015-06-10 이백관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KR101547973B1 (ko) 2015-05-27 2015-09-01 이민석 우산의 빗물 제거장치
KR20180032212A (ko) * 2018-01-12 2018-03-29 정태봉 물 털기 장치
KR200488873Y1 (ko) * 2018-11-30 2019-04-01 이중용 우산 빗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935A (en) Tongue cleaner
US6460190B1 (en) Cleaning mitten
ES2437221T3 (es) Cepillo para el cabello con autolimpieza
EP1034721A1 (en) Tongue scraping and cleaning device
RU2009121914A (ru) Зубная щетка
RU200712249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2011045706A (ja) 頭皮洗浄具
RU2007128060A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2085784B1 (ko) 우산 빗물제거장치
MX354782B (es) Cepillo de dientes.
US5485647A (en) Sporting event scraper brush
KR200451606Y1 (ko) 세척이 용이한 머리빗
KR101292527B1 (ko) 바형 휴대용 단말기의 충격흡수커버
KR101690385B1 (ko) 네일아트 리무버 장치
US2198442A (en) Cushion pad for hand vibrators
US10701994B2 (en) Perspiration redirecting band
KR101272759B1 (ko) 바형 휴대용 단말기의 분리형커버
JPH07308268A (ja) トイレ便器の洗浄用刷毛
KR20230040685A (ko) 물과 먼지를 제거해주는 솔이 달린 구멍이 있는 우산꽂이
KR20030089197A (ko) 리코더 윈드웨이용 클리너
JP2018011904A (ja) 掃除用具
KR950006566Y1 (ko) 칠판지우개 털이기
KR200190315Y1 (ko) 지우개
RU2003103790A (ru) Каскадный импактор
JP2022502107A (ja) 真空掃除機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