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563B1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563B1
KR101838563B1 KR1020160072895A KR20160072895A KR101838563B1 KR 101838563 B1 KR101838563 B1 KR 101838563B1 KR 1020160072895 A KR1020160072895 A KR 1020160072895A KR 20160072895 A KR20160072895 A KR 20160072895A KR 101838563 B1 KR101838563 B1 KR 10183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ewatering
rainwater
sens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517A (ko
Inventor
정병식
지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정병식
지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정병식, 지상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Priority to KR102016007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5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3Movable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carts, trolleys, pallet-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상면에 우산을 꽂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입구에 설치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연질 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원뿔 형태의 통으로서 표면에 복수 개의 탈수 홈 또는 탈수 구멍이 형성된 우산 탈수통;과, 상기 우산 탈수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우산 탈수통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에 의해 우산이 삽입되었음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우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및 상기 우산 탈수통 전체를 감싸는 통 형상의 밀폐 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산 빗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 손잡이를 잡은 채로 그대로 장치 입구에 삽입하면 자동으로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해주며, 장우산은 물론 몇 단으로 접는 짧은 우산까지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천시 우산을 사용한 사용자는 건물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우산을 접어서 소지하고 들어가는데, 이때 빗물에 젖은 우산을 그대로 들고 건물 내로 들어가면 우산에서 떨어진 빗물 때문에 실내 바닥이 미끄러워져 보행자가 넘어질 우려가 높아지고, 또한 바닥에 떨어진 빗물이 보행자의 신발에 묻은 각종 먼지나 오물과 혼합되어 실내 바닥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건물 입구에 우산 보관대를 비치하여 가급적 젖은 우산을 소지하고 건물 내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거나, 건물 입구에서 제공하는 비닐 커버에 우산을 담아 건물 내로 들어가도록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우산 보관대에 일시적으로 우산을 거치하는 경우에는 우산을 분실하거나 서로 바뀌는 경우가 빈발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대부분 비닐 커버를 이용하는 빙식을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비닐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닐 커버를 제작하는 비용과 사용된 비닐 커버를 회수하여 분리 수거하는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물론 잘 분해되지 않는 비닐 쓰레기를 과도하게 만들어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가 내리는 날씨에는 바람이 강한 경우도 많은데, 사용된 비닐 커버가 회수통 안에서 바람에 날려 사방으로 퍼져 비닐 커버 회수가 더 어려운 경우도 종종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근래에는 비닐 커버를 사용하여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소극적인 방식을 탈피하여 아예 건물 입구에서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한다는 적극적인 방식의 각종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우산 탈수장치를 소개할 수 있는데, 우산을 거꾸로 세워 집어넣고, 도어를 닫으면, 우산의 유무 감지와 함께 강한 송풍력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우산에 묻은 빗물을 하방향으로 불어 내어줌과 동시에 송풍력에 의해 우산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우산 탈수장치는 바람의 힘으로만 빗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접힌 우산살 사이사이로 골을 형성하는 우산 천에 잡혀 있는 빗물은 잘 제거되지 않는다. 비록 강한 건조 바람에 의해 우산이 저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충분한 원심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우산을 거꾸로 뒤집어 본체 측면의 입구 안으로 넣어야 하기 때문에 넣는 과정에서 손에 물이 묻기 쉽고, 빗물도 바닥으로 떨어지며, 구조상 장우산과 접는 우산에 모두에 대해 공용으로 사용할 수가 없고, 우산 하나하나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많은 건물 입구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7700호 (2015.09.23. 공개)
본 발명은 빗물에 젖은 우산의 물기를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우산은 물론 몇 단으로 접는 짧은 우산까지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상면에 우산을 꽂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입구에 설치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연질 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원뿔 형태의 통으로서 표면에 복수 개의 탈수 홈 또는 탈수 구멍이 형성된 우산 탈수통;과, 상기 우산 탈수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우산 탈수통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에 의해 우산이 삽입되었음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우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및 상기 우산 탈수통 전체를 감싸는 통 형상의 밀폐 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우산 탈수통과 밀폐 관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와 빗물을 흡입하는 흡입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 흡입된 빗물이 배출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우산 탈수통의 상부 영역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 개의 연질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에 삽입된 우산의 우산살이 상기 연질 날개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상기 우산 탈수통의 중간 영역에 안쪽으로 턱이 진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제2 감지센서에 의해 우산이 삽입되었음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우산 탈수통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우산 탈수통의 상단으로부터 1/3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면에 우산을 꽂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입구에 설치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연질 커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원뿔 형태의 통으로서 표면에 복수 개의 탈수 홈 또는 탈수 구멍이 형성된 우산 탈수통; 상기 우산 탈수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상기 우산 탈수통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에 의해 우산이 삽입되었음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우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및 상기 우산 탈수통 전체를 감싸는 통 형상의 밀폐관;을 포함하고, 상기 우산 탈수통의 중간 영역에 안쪽으로 턱이 진 단차부를 형성하고, 다단으로 접는 짧은 우산이 상기 단차부에 맞닿아 탈수통의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짧은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 모터는 제2 감지센서에 의해 우산이 삽입되었음이 감지되는 동안에도 상기 우산 탈수통을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모터는 일정 간격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우산 천 사이의 골 안쪽의 빗물을 제거하도록 한,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케이스의 상면에 마련된 입구에 바로 우산을 꽂아 빗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우산의 자리를 잡기 위한 복잡한 조작이 필요 없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그리고, 우산을 입구에 집어넣는 과정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연질 커버가 많은 양의 빗물을 훑어내리기 때문에, 우산 탈수통의 회전만으로 빗물을 털어내는 것에 비해 훨씬 짧은 시간 안에 탈수를 완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출입하는 건물의 입구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다.
또한, 흡입 모터로 빗물을 재빨리 제거함에 따라 탈수 효율이 향상된다.
아울러 우산 탈수통에 단차부를 만들어 놓음으로써 장우산은 물론 몇 단으로 접는 짧은 우산까지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실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장우산과 접는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사용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10)는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입구(110)에 마련된 연질 커버(200), 그리고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우산 탈수통(300), 회전 모터(400), 밀폐 관(500)을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10)의 몸체를 형성하는 속이 비어있는 함체(函體)이다. 케이스(100) 내부에는 전술한 우산 탈수통(300), 회전 모터(400), 밀폐 관(500)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특히,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우산을 꽂을 수 있는 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우산을 든 사용자가 케이스(100) 상면의 입구(110)에 바로 우산을 꽂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100)의 저면에는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한 캐스터 휠(620)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입구(110)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210)이 형성된 연질 커버(200)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연질 커버(200)에 형성된 절개홈(210)은 우산을 끼울 때 절개홈(210)으로 나뉜 삼각형 형상의 날개 내지는 혀(舌) 부분이 탄력적으로 우산 천 표면을 훑어내리면서 1차적으로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연질 커버(200)는 절개홈(210)으로 잘린 날개 부분이 평상시 쳐져 있지 않으면서, 우산 천을 부드럽게 훑어내려 우산을 밀어넣을 때와 빼낼 때 무리가 없을 정도의 탄력을 지닌 연질 소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질 소재로 만들어진 커버는 우산과 부드럽게 밀착되어 후술할 흡입 모터(600)가 빗물과 공기를 함께 빨아들일 때 외부의 공기가 가능한 적게 들어가고, 탈수 과정에서 원심력으로 분리되는 빗물이 케이스(100) 입구(110) 쪽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다는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다.
우산 탈수통(300)은 연질 커버(200)의 아래쪽으로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우산 탈수통(300)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10) 안으로 꽂힌 우산을 수용하는 통인 동시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원심력으로 우산에 묻은 빗물을 털어내기 위한 통이다. 우산 탈수통(300)은 우산의 모양에 맞춰 원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그 표면에는 우산에서 분리된 빗물을 바깥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탈수 홈(320) 또는 탈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우산 탈수통(300)은 그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모터(400)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 모터(400)는 우산 탈수통(300)에 우산이 꽂혀있을 때에만 작동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산 탈수통(300)의 하부에는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감지센서(340)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감지센서(340)는 우산이 꽂혀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감지센서라면 기계적인 스위치가 구비된 접촉식 센서나, 빛이나 자력의 차단 여부를 통해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감지센서(340)는 빗물이 묻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빗물이 묻어있을 때 오작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감지센서(340)에 의해 우산 탈수통(300)에 우산이 충분히 깊게 꽂혀있음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회전 모터(400)가 작동된다. 이러한 자동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제어부)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당연히 구비되어 있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회전 모터(400)는 일정 간격(시간)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탈수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는 우산 탈수통(300)을 한쪽 방향으로만 계속 회전시키는 것보다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것이 접혀 있는 우산 천 사이의 골 안쪽에 묻어 있는 빗물을 제거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통 형상의 밀폐 관(500)은 우산 탈수통(300)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밀폐 관(500)은 우산 탈수통(300) 표면에 형성된 탈수 홈(320)을 통해 배출된 빗물이 부딪혀 흘러내리도록 하여 제거된 빗물을 모으기 위한 관이다. 밀폐 관(500)은 원통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원뿔 형태를 가진 우산 탈수통(300)의 뾰족한 하단 사이에는 고리 형태의 배출통(510)이 마련되어 밀폐 관(500)의 내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린 빗물이 배출통(510) 상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빗물이 묻은 접힌 우산을 케이스(100) 상면의 입구(110)를 통해 끝까지 집어넣으면 1차적으로 연질 커버(200)에 의해 많은 양의 빗물이 제거된다.
우산이 깊숙이 꽂혀 그 끝이 우산 탈수통(300)의 바닥에 닿으면 제1 감지센서(340)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모터(400)가 작동하여 우산 탈수통(300)을 회전(일방향 회전 또는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우산에 묻은 빗물을 원심력으로 털어내게 된다.
우산으로부터 제거된 빗물은 우산 탈수통(300) 표면에 형성된 탈수 홈(320)을 통해 비산(飛散)되지만, 우산 탈수통(300)을 감싸는 밀폐 관(500)의 내면에 부딪히기 때문에 결국 밀폐 관(500)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려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빗물을 그대로 흘러보내면 주변이 지저분해질 수 있으므로, 케이스(100) 내부 바닥 부분에 물받이(610)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빗물 제거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흡입 모터(600)는 우산 탈수통(300)과 밀폐 관(50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어, 그 공간에 있는 공기와 빗물을 함께 흡입하게 된다. 흡입 모터(600)에 의해 우산 탈수통(300)과 밀폐 관(500) 사이에는 하향 기류가 형성되는데, 이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줄이면 빗물을 직접 빨아당기는 힘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입구(110)에 마련된 연질 커버(200)가 우산과 부드럽게 밀착될 수 있는 연질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우산 탈수통(300)의 상부 영역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연질 날개(310)를 구비함으로써 케이스(100) 입구(110)에 삽입된 우산의 우산살이 우산 탈수통(300) 내부의 연질 날개(310)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면 외기에 대한 밀폐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 모터(600)가 구비되는 경우라면, 전술한 물받이(610)는 흡입 모터(600)에 의해 흡입된 후 배출되는 빗물을 받아서 모을 수 있도록 흡입 모터(600) 다음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는 우산 탈수통(300)의 중간 영역에 안쪽으로 턱이 진 단차부(3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단차부(33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2단이나 3단으로 접는 짧은 우산이 손으로 다시 빼낼 수 없게 안으로 깊게 빠지지 않고 우산 탈수통(300) 중간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우산 탈수통(300)의 중간에 단차부(330)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10)는 장우산은 물론 몇 단으로 접는 짧은 우산까지도 제한 없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근래에는 접는 우산 중 휴대성이 좋은 3단으로 접는 우산의 비율이 2단 우산에 비해 더 높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단차부(330)의 위치를 우산 탈수통(300)의 상단으로부터 1/3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우산 탈수통(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감지센서(3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차부(330)에는 짧은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센서(34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회전 모터(400)는 제2 감지센서(342)에 의해 우산이 삽입되었음이 감지되는 동안 우산 탈수통(3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단차부(330)의 구조상 장우산은 제2 감지센서(342)에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 모터(400)는 제1 감지센서(340)나 제2 감지센서(342) 중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가 나타났을 때만 운전되도록 제어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시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내용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우산 빗물 제거장치
100: 케이스 110: 입구
200: 연질 커버 210: 절개홈
300: 우산 탈수통 310: 연질 날개
320: 탈수 홈 330: 단차부
340: 제1 감지센서 342: 제2 감지센서
400: 회전 모터 500: 밀폐 관
510: 배출통 600: 흡입 모터
610: 물받이 620: 캐스터 휠

Claims (6)

  1. 상면에 우산을 꽂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입구에 설치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연질 커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원뿔 형태의 통으로서 표면에 복수 개의 탈수 홈 또는 탈수 구멍이 형성된 우산 탈수통;
    상기 우산 탈수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상기 우산 탈수통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에 의해 우산이 삽입되었음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우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및
    상기 우산 탈수통 전체를 감싸는 통 형상의 밀폐관;을 포함하고,
    상기 우산 탈수통의 중간 영역에 안쪽으로 턱이 진 단차부를 형성하고, 다단으로 접는 짧은 우산이 상기 단차부에 맞닿아 탈수통의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짧은 우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 모터는 제2 감지센서에 의해 우산이 삽입되었음이 감지되는 동안에도 상기 우산 탈수통을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모터는 일정 간격으로 정·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우산 천 사이의 골 안쪽의 빗물을 제거하도록 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탈수통과 밀폐 관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와 빗물을 흡입하는 흡입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 흡입된 빗물이 배출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탈수통의 상부 영역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 개의 연질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에 삽입된 우산의 우산살이 상기 연질 날개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우산 탈수통의 상단으로부터 1/3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160072895A 2016-06-13 2016-06-13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183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895A KR101838563B1 (ko) 2016-06-13 2016-06-13 우산 빗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895A KR101838563B1 (ko) 2016-06-13 2016-06-13 우산 빗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17A KR20170140517A (ko) 2017-12-21
KR101838563B1 true KR101838563B1 (ko) 2018-04-26

Family

ID=6093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895A KR101838563B1 (ko) 2016-06-13 2016-06-13 우산 빗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5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91Y1 (ko) 2019-04-18 2019-10-08 이승훈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200490928Y1 (ko) 2019-11-25 2020-02-11 이승훈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00028126A (ko) 2018-09-06 2020-03-16 노갑문 우산 물기제거장치
KR20200028071A (ko) 2018-09-05 2020-03-16 황인석 우산빗물 제거장치
KR20200045103A (ko)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00142982A (ko) 2019-06-14 2020-12-23 이대우 신속하게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10019140A (ko) 2019-08-12 2021-02-22 박서연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9316A (zh) * 2018-06-19 2018-11-06 上海理工大学 一种雨伞存放装置
KR102011662B1 (ko) 2018-07-16 2019-08-19 박종섭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109015692A (zh) * 2018-09-10 2018-12-18 广东宏穗晶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家庭服务机器人
KR102298416B1 (ko) * 2019-12-27 2021-09-06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식 우산 보관통
WO2024038973A1 (ko) * 2022-08-19 2024-02-22 세일정밀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제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KR102488577B1 (ko) * 2022-08-19 2023-01-13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우산 빗물제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0Y1 (ko) * 2013-05-09 2013-10-10 나두환 우산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0Y1 (ko) * 2013-05-09 2013-10-10 나두환 우산 건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071A (ko) 2018-09-05 2020-03-16 황인석 우산빗물 제거장치
KR20200028126A (ko) 2018-09-06 2020-03-16 노갑문 우산 물기제거장치
KR20200045103A (ko)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90191Y1 (ko) 2019-04-18 2019-10-08 이승훈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00142982A (ko) 2019-06-14 2020-12-23 이대우 신속하게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10019140A (ko) 2019-08-12 2021-02-22 박서연 공기 분사와 공기 압력 차 방식을 이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KR200490928Y1 (ko) 2019-11-25 2020-02-11 이승훈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17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563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044580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235127B1 (ko) 우산 건조장치
KR101397717B1 (ko)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20200021157A (ko) 우산 빗물 흡입기
KR101249900B1 (ko) 우산 건조기
JP2003056982A (ja) 傘脱水装置
KR100463022B1 (ko) 우산 물기 자동 제거기
KR101307885B1 (ko) 다단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KR20100128673A (ko) 우산 건조기
KR940008028Y1 (ko) 우산의 빗물털이기
KR20210067528A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2134426B1 (ko)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JPH06194039A (ja) 傘脱水機
KR20100128731A (ko) 우산탈수기
KR102180100B1 (ko) 친환경 원심 우산 탈수기
KR20150078370A (ko) 우산건조장치
JP2000234858A (ja) 濡れ傘脱水装置
KR200307760Y1 (ko) 우산 탈수장치
KR20060098752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우산 탈수기
KR102032430B1 (ko) 우산 탈수장치
JP3510412B2 (ja) 傘の除滴装置
KR100449280B1 (ko) 우산의 빗물제거장치
KR200395993Y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