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126A - 우산 물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물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126A
KR20200028126A KR1020180106403A KR20180106403A KR20200028126A KR 20200028126 A KR20200028126 A KR 20200028126A KR 1020180106403 A KR1020180106403 A KR 1020180106403A KR 20180106403 A KR20180106403 A KR 20180106403A KR 20200028126 A KR20200028126 A KR 2020002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wind
body portion
fa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갑문
Original Assignee
노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갑문 filed Critical 노갑문
Priority to KR102018010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126A/ko
Publication of KR2020002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물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산을 펼쳐서 수용시킨 후 우산을 회전시킴으로써 우산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우산 물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증폭부로 분출되는 바람을 통해 젖은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빠르게 말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우산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자동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우산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우산을 말릴 수 있다. 특히 사람이 많이 드나드는 장소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물기제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젖은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로 인한 안전사고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우산비닐 사용으로 인한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산 물기제거장치{Apparatus for drying an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물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산을 펼쳐서 수용시킨 후 우산을 회전시킴으로써 우산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우산 물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비를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최근 대형 백화점이나 마트, 지하철, 관공서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몰리는 장소에는 우천시 우산을 포장할 수 있는 비질포장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닐포장기를 통해서 개개인이 우산을 들고 이동하더라도 실내에서는 물기가 바닥에 떨어져 통행자가 미끄러지는 위험과 통행자의 의류나 신발을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닐포장기는 비닐포장기가 소진되기 전에 포장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관리자가 수시로 비닐포장지의 소진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한 비닐포장지의 배출에 따른 쓰레기의 발생문제가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38563호 (2016.06.1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2588호 (2013.03.06)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증폭부로 분출되는 바람을 통해 젖은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빠르게 말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우산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자동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우산의 물기를 간편하게 자동 제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펼쳐진 젖은 우산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우산수용부(111)가 일측에 형성되고, 우산(10)의 우산원단(13)의 젖은 부분을 향하도록 바람분사구(112)가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는 팬(120)과, 상기 팬(120)을 회전시키는 모터(130)와, 상기 팬(120)과 연결되어 팬(120)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이 이동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연결부(140)와, 상기 연결부(140)와 연결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바람증폭부(150)를 포함하고, 몸체부(110)의 바람분사구(112)는 양끝단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부(110)는 우산(10)의 우산대(11)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되 회전동작버튼(170)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회전동작부(114)와, 우산(10)의 우산꼭지(12)가 수용되기 위한 홈 형태의 우산꼭지수용홈(115)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되, 회전동작부(114)가 회전동작되기 위한 회전동작버튼(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부(1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우산이동홈(114a)과, 제1우산이동홈(114a)과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우산이동홈(11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회전동작부(114)의 동작에 의해 우산(10)이 회전될 때 외부로 물기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우산수용부(1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물튐방지커버(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증폭부로 분출되는 바람을 통해 젖은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빠르게 말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우산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자동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우산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우산을 말릴 수 있다. 특히 사람이 많이 드나드는 장소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물기제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젖은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로 인한 안전사고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우산비닐 사용으로 인한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우산비닐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팬(120), 연결부(140), 바람증폭부(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우산수용부(111)의 일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100)의 측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100)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바람증폭부(15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우산물기제거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100)는 몸체부(110), 팬(120), 모터(130), 연결부(140), 바람증폭부(150), 회전동작부(160), 작동버튼(170), 물튐방지커버(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펼쳐진 젖은 우산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우산수용부(111)가 일측에 형성되고, 우산(10)의 우산원단(13)의 젖은 부분을 향하도록 우산수용부(111)의 일측에 바람분사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우산수용부(111)는 'U'자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되며, 우산살의 형태에 따라 일측이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우산수용부(111)는 일측이 우산대(11)가 걸쳐지고 타측이 우산꼭지(13)가 걸쳐질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즉, 우산수용부(111)에 우산(10)이 수용될 때 우산대(11)가 걸쳐지는 부분은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며, 우산꼭지(13)가 걸쳐지는 부분은 우산원단(13)의 형태와 비슷하게 하부로 갈수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우산대(11)가 걸쳐지는 부분을 제1벽면(111a)이라고 하며, 우산꼭지(13)가 걸쳐지는 부분을 제2벽면(111b)이라 한다.
우산(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우산수용부(111)에 우산원단(13)의 일부를 수용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우산원단(13)의 1/4 정도가 수용되는 정도의 크기로 우산수용부(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람분사구(112)는 양끝단이 아래 방향을 향하는 호 형태로 형성되어, 우산수용부(111)에 수용된 우산의 측면까지 바람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분사구(112)는 바람증폭부(150)로 배출되는 바람이 바로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 갯수의 바람증폭부(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갯수가 형성된다.
도 3은 바람분사구(112)가 아래방향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바람분사구(112)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호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부(110)는 물기배출구(113), 회전동작부(114), 우산꼭지수용홈(115)을 더 포함한다.
물기배출구(113)는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몸체부(1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물기배출구(113)는 바람분사구(112)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물기배출을 빠르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물기배출구(113)는 도 1과 같이 외부로 물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출관 등을 통해 물기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동작부(114)은 제1벽면(111a)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우산(10)의 우산대(11)가 수용되기 위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작동버튼(170)을 통해 작동 시 수용된 우산대(11)가 회전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동작부(114)는 작동버튼(17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의 구조와 원리는 통상적이므로 생략한다.
또한 회전동작부(1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산꼭지수용홈(115)은 제2벽면(111b)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우산(10)의 우산꼭지(12)가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동작부(114)와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팬(120)은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모터(130)에 의해 팬(120)이 회전되며, 팬(120)이 회전됨으로써 생성된 바람이 연결부(140)로 이동된다.
모터(130)는 상기 팬(12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터(13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팬(120)의 일측에 형성된다.
연결부(140)는 상기 팬(120)과 연결되어 팬(120)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이 이동되는 통로역할을 하며, 상기 팬(120)과 연결되어 소정갯수가 형성된다.
바람증폭부(150)는 상기 연결부(140)와 연결되어 감겨진 형태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람증폭부(150)는 연결부(140)와 연결되어 소정 갯수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간략하게 표시되어 있지만 바람증폭부(150)는 바람이 주입되는 연결부(140)와 연결되는 부분과 나선형 모양의 바람증폭부(150) 내부를 휘몰아쳐서 배출되는 바람분사구(111b)까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외 부분은 밀폐되어 바람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바람증폭부(150)는 연결부(140)를 통해 이동된 바람이 나선형의 모양의 내부(a)에서 외부(b)를 향하도록 바람이 나선상을 따라 회전하며 배출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바람이 나선형으로 통과되기 때문에 송풍기능이 증폭되어 우산의 물기를 빠르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연결부(140)와 바람증폭부(150)는 연결부(140)의 길이를 달리하여 높이차가 생기도록 형성되며, 우산수용부(111)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연결부(140)의 길이가 길어지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연결부(140)가 길이가 긴 연결부(14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는 3개의 연결부(140)와 바람증폭부(150)만 도시되었지만 이는 우산물기제거기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갯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증폭부(150)는 연결부(140)의 끝단에 연결되며, 바람증폭부(150)의 배치에 따라 우산수용부(111)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형성된 바람분사구(112)를 통해 바람이 우산원단에 고루고루 분사되어 빠르게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팬(120)의 회전(s)에 의해 발생된 바람은 연결부(140)를 지나서 k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바람증폭부(15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바람증폭부(150)는 도면과 같이 일직선의 긴 막대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우산(10)의 측면부분도 빠르게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양끝단이 하방으로 향하는 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증폭부(150)의 형태가 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몸체부(110)의 바람분사구(112)의 형태도 이와 대응되는 호 형태로 배치되어 바람이 우산(10)을 향하여 분사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팬(120), 연결부(140), 바람증폭부(150)는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되, 제2벽면(111b)의 후방에 밀착되어 형성됨으로써 바람분사구(112)와 연결되어 바람이 바람분사구(112)로만 통과되도록 한다
.회전동작버튼(170)은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되, 몸체부(110)의 회전동작부(114)가 작동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회전동작버튼(170)을 누름으로써 자동으로 우산(1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우산을 회전시키어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산(10)을 회전시키는 이유는 우산원단(13)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전체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10)이 2회전만 하더라도 우산의 물기가 충분히 제거되기 때문에 2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우산의 필요에 따라 우산을 더 회전할 수도 있으며 덜 회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튐방지커버(180)는 우산(10)이 회전될 때 외부로 물기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우산수용부(1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산(10)의 수용된 부분의 끝단이 덮어지도록 몸체부(110)의 상부 끝단 중에 회전동작부(114)와 우산꼭지수용홈(115)과 멀리 위치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몸체부(110)의 회전동작부(114)를 대신하여 제1우산이동홈(114a)이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우산꼭지수용홈(115)을 대신하여 제1우산이동홈(115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우산이동홈(114a)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제2우산이동홈(115a)도 제1우산이동홈(114a)과 대응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우산이동홈(114a)과 제2우산이동홈(115a)이 일측이 하방경사지도록 형상된다. 이와 같이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우산이동홈(114a)과 제2우산이동홈(115a)의 최상단부(m1)에 우산(10)을 위치시키면 우산(10)이 최하단부(m2)로 굴러감으로 우산원단(13)의 전면에 물기가 제거될 수 있다(도 7의 G방향 참고). 이와 같이 제1우산이동홈(114a)과 제2우산이동홈(115a)이 형성됨으로써 우산(10)의 회전동작을 위한 회전동작버튼(170)이 불필요해지나 필요에 따라 회전동작버튼(170)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우산이동홈(114a)과 제2우산이동홈(115a)에 각각 이동레일을 설치하고 회전동작버튼(170)을 통하여 우산(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우산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이 몸체부(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젖은 우산의 표면에 바람을 분사함으로써 우산에 붙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5 참고).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우산
11 우산대
12 우산꼭지
13 우산원단
100 우산물기제거장치
110 몸체부
111 우산수용부
111a 제1벽면
111b 제2벽면
112 바람분사구
113 물기배출구
114 회전동작부
115 우산꼭지수용홈
114a 제1우산이동홈
115a 제2우산이동홈
120 팬
130 모터
140 연결부
150 바람증폭부
170 회전동작버튼
180 물튐방지커버

Claims (5)

  1. 펼쳐진 젖은 우산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우산수용부(111)가 일측에 형성되고, 우산(10)의 우산원단(13)의 젖은 부분을 향하도록 바람분사구(112)가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는 팬(120)과,
    상기 팬(120)을 회전시키는 모터(130)와,
    상기 팬(120)과 연결되어 팬(120)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이 이동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연결부(140)와,
    상기 연결부(140)와 연결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바람증폭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110)의 바람분사구(112)는 양끝단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우산(10)의 우산대(11)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되 회전동작버튼(170)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회전동작부(114)와,
    우산(10)의 우산꼭지(12)가 수용되기 위한 홈 형태의 우산꼭지수용홈(115)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되, 회전동작부(114)가 회전동작되기 위한 회전동작버튼(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우산이동홈(114a)과,
    제1우산이동홈(114a)과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우산이동홈(11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회전동작부(114)의 동작에 의해 우산(10)이 회전될 때 외부로 물기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우산수용부(1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물튐방지커버(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KR1020180106403A 2018-09-06 2018-09-06 우산 물기제거장치 KR20200028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03A KR20200028126A (ko) 2018-09-06 2018-09-06 우산 물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03A KR20200028126A (ko) 2018-09-06 2018-09-06 우산 물기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26A true KR20200028126A (ko) 2020-03-16

Family

ID=6994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03A KR20200028126A (ko) 2018-09-06 2018-09-06 우산 물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12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88B1 (ko) 2010-11-03 2013-03-14 이정호 우산 건조기
KR101838563B1 (ko) 2016-06-13 2018-04-26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우산 빗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88B1 (ko) 2010-11-03 2013-03-14 이정호 우산 건조기
KR101838563B1 (ko) 2016-06-13 2018-04-26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우산 빗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098Y1 (ko) 터널식 우산건조기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KR101583906B1 (ko) 우산 건조장치
CN106196927A (zh) 雨伞速干机
KR20200028126A (ko) 우산 물기제거장치
KR20090085170A (ko) 우산 건조장치
KR20010082953A (ko) 우산 건조기
KR20120028482A (ko) 우산 건조기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KR20100128673A (ko) 우산 건조기
KR102092309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JP2001208470A (ja) 傘乾燥機
KR101973382B1 (ko) 제트 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자동 우산건조기
KR20060098752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우산 탈수기
KR20200049286A (ko)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JP2000041718A (ja) 傘用乾燥装置
KR200336647Y1 (ko) 우산 물기 제거기
KR20190002073U (ko) 우산 건조장치
KR20200054393A (ko) 회오리바람을 활용한 우산 빗물 제거기
JPH06294579A (ja) 傘乾燥装置
KR960003898Y1 (ko) 우산탈수기
JP2567201Y2 (ja) 浴室専用防水型除湿装置
KR102199547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090683B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2413213B1 (ko) 우산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