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416B1 - 다단식 우산 보관통 - Google Patents

다단식 우산 보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416B1
KR102298416B1 KR1020190176778A KR20190176778A KR102298416B1 KR 102298416 B1 KR102298416 B1 KR 102298416B1 KR 1020190176778 A KR1020190176778 A KR 1020190176778A KR 20190176778 A KR20190176778 A KR 20190176778A KR 102298416 B1 KR102298416 B1 KR 10229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accommodating part
umbrella accommodating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952A (ko
Inventor
이영동
장준혁
Original Assignee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4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 우산 보관통에 관한 것으로, 본 다단식 우산 보관통은 제1 우산 수용부와, 제1 우산 수용부에 수용 배치되며 제1 우산 수용부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제2 우산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다단식 우산보관통은 서로 다른 길이의 우산들의 보관 및 회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단식 우산 보관통{Multi-level type umbrella stand}
본 발명은 다단식 우산 보관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우산 수용부와, 제1 우산 수용부에 수용 배치되며 제1 우산 수용부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제2 우산 수용부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길이의 우산들의 보관 및 회수가 용이한 다단식 우산 보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기업체, 금융기관, 행정기관의 민원실 등 많은 사람이 출입하며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건물의 출입구에는 비가 오는 날에 사용된 우산을 보관하기 위한 우산 보관통을 비치한다.
이와 같은 우산 보관통에 보관되는 우산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며, 특히 2단, 3단 접이식 우산의 경우 일반 장우산에 비하여 그 길이가 절반 또는 그 이하의 길이로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우산 보관통의 경우 하나의 통에 장우산과 접이식 우산을 함께 보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우산과 함께 보관된 접이식 우산은 회수 시 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관 중에 장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접이식 우산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회수 과정에서 장우산에 묻어 있던 빗물이 신체 또는 옷을 적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84135호 (2017.07.27)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제1 우산 수용부와, 제1 우산 수용부에 수용 배치되며 제1 우산 수용부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제2 우산 수용부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길이의 우산들의 보관 및 회수가 용이한 다단식 우산 보관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제1 우산 수용부 하측에 탈부착 가능한 배수부가 배치되고,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의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보관되는 우산으로부터 낙하하는 빗물의 제거가 용이한 다단식 우산 보관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제2 우산 수용부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더 많은 개수의 우산 보관이 요구될 때 제2 우산 수용부를 분리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 후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다단식 우산 보관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우산이 투입되면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를 회전시켜 보관된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우산이 투입되어도 근접한 사람이 있는 경우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에 의해 근접한 사람에게 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식 우산 보관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은, 제1 우산 수용부와, 제1 우산 수용부에 수용 배치되며, 제1 우산 수용부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제2 우산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때, 우산 보관통은 제1 우산 수용부 하측에 탈부착 가능한 배수부가 배치되고,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우산 수용부는 상단 둘레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침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2 우산 수용부는 걸침 프레임을 통해 제1 우산 수용부의 상단 둘레에 걸쳐져 지지되며, 제1 우산 수용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우산 보관통은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에 수용되는 우산을 감지하는 우산 감지모듈과, 제1 우산 수용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제1 우산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그리고 우산 감지모듈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에 우산이 투입되면 제1 우산 수용부가 회전하도록 회전모듈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산 보관통은 우산 보관통 주변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모듈은 우산 감지모듈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에 우산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투입 판단부와, 주변 감지모듈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우산 보관통 주변의 근접객체 유무를 판단하는 객체 판단부, 그리고 투입 판단부 및 객체 판단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에 우산이 투입되고 우산 보관통 주변의 근접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우산 수용부가 회전하도록 회전모듈을 동작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우산 수용부와, 제1 우산 수용부에 수용 배치되며 제1 우산 수용부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제2 우산 수용부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길이의 우산들의 보관 및 회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우산 수용부 하측에 탈부착 가능한 배수부가 배치되고,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의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보관되는 우산으로부터 낙하하는 빗물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우산 수용부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더 많은 개수의 우산 보관이 요구될 때 제2 우산 수용부를 분리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 후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우산이 투입되면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를 회전시켜 보관된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우산이 투입되어도 근접한 사람이 있는 경우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에 의해 근접한 사람에게 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으로부터 빗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우산 수용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에서 제어모듈이 회전모듈을 회전 제어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으로부터 빗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우산 수용부(200)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통은 제1 우산 수용부(100)와, 제1 우산 수용부(100)에 수용 배치되며, 제1 우산 수용부(100)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제2 우산 수용부(20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통에는 두 개의 우산 수용부(100,200)가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제1 우산 수용부(100)에는 장우산(lu)을 보관하며, 상대적으로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제2 우산 수용부(200)에는 2단 또는 3단 접이식 우산(su)이 보관된다. 그리고 이때, 제1 우산 수용부(100)의 바닥면 보다 제2 우산 수용부(200)의 바닥면이 더 높게 배치하여 제1 우산 수용부(100)와 제2 우산 수용부(200)의 상단 높이가 유사하거나 같은 높이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통은 길이가 짧은 우산이더라도 보관 및 회수가 용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통은 상술한 제1 우산 수용부(100) 및 제2 우산 수용부(200) 외에도, 배수부(300) 및 바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300)는 제1 우산 수용부(100) 하측에 배치되며,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배수부(300)의 외측에는 돌출된 손잡이(310)이가 형성되어 배수부(30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100,200)의 바닥면에는 배수홀(110,22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우산 수용부(20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제2 배수홀(220)이 형성되어 제2 우산 수용부(200)에 수용된 우산(su)에서 빗물이 낙하하면 제2 배수홀(220)을 통해 제1 우산 수용부(100)로 낙하하도록 하고, 제1 우산 수용부(10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제1 배수홀(110)이 형성되어 제1 우산 수용부(100)에 수용된 우산(lu)에서 낙하한 빗물 또는 제2 우산 수용부(200)로부터 낙하한 빗물이 제1 배수홀(110)을 통해 배수부(300)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수홀(110)을 통해 낙하한 빗물이 배수부(300)에 수용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300)의 분리를 통해 배수부(300)에 수용된 빗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바퀴(400)는 배수부(300)가 수용 배치되는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어 우산 보관통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우산 수용부(200)는 제1 우산 수용부(100)에 수용 배치된 상태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우산 수용부(100)의 몸체를 제2 우산 수용부(200)에 지지시키는 지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더 많은 개수의 우산 보관이 요구될 때 제2 우산 수용부(200)를 분리하여 우산 보관통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 후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2 우산 수용부(200)는 제1 우산 수용부(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우산 수용부(200)를 제1 우산 수용부(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수단으로 제2 우산 수용부(200)의 상단 둘레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침 프레임(210)을 포함하고, 이로 인해 제2 우산 수용부(200)는 걸침 프레임을 통해 제1 우산 수용부(100)의 상단 둘레에 걸쳐져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800)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과 마찬가지로 제1 우산 수용부(100), 제2 우산 수용부(200) 및 배수부(300)를 포함하지만, 바퀴(400)가 구비되지 않으며, 회전모듈(500), 우산 감지모듈(600), 객체 감지모듈(700) 및 제어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모듈(500)은 배수부(300)가 수용 배치되는 하우징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우징에 함께 결합되는 제1 우산 수용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모듈(500)은 제어모듈(8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 구동부(510) 회전 구동부(510)에서 회전력이 생성되면 회전되도록 회전 구동부(510)의 상측에 연결되고, 회전하면 제1 우산 수용부(100) 및 제1 우산 수용부(100)에 지지되는 제2 우산 수용부(200)가 회전하도록 배수부(300)가 수용 배치되는 하우징의 하측에 연결되는 회전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우산 수용부(100) 및 제2 우산 수용부(200)가 회전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수용된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우산 감지모듈(600)은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100,200)에 수용되는 우산을 감지하며, 객체 감지모듈(700)은 우산 보관통 주변의 객체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모듈(800)은 우산 감지모듈(600)과 객체 감지모듈(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100,200)가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51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800)은 우산 감지모듈(600)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100,200)에 우산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투입 판단부(810)와, 객체 감지모듈(700)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우산 보관통 주변의 근접객체 유무를 판단하는 객체 판단부(820), 그리고 투입 판단부(810) 및 객체 판단부(820)의 판단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100,200)가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부(510)를 구동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제어부(830)는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100,200)에 우산이 투입되면 회전 구동부(510)를 구동 제어하여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100,200)에 투입된 우산의 빗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부(830)는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100,200)에 우산이 투입되고 우산 보관통 주변의 근접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회전 구동부(51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100,200)가 회전할 때 우산을 투입한 사용자에게 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가 우산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100,200)가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우산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100,200)에 우산이 투입되고 우산 보관통 주변의 근접객체가 존재하여 회전 제어부(830)가 회전 구동부(510)를 구동 제어하지 않은 경우, 회전 구동부(510)의 신호에 따라 객체 판단부(82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근접객체의 존재를 재판단하고, 회전 제어부(830)는 객체 판단부(820)의 재판단 결과 상기 근접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회전 구동부(51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에서 제어모듈(800)이 회전모듈(500)을 회전 제어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우산 보관통에서 제어모듈(800)이 회전모듈(500)을 회전 제어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투입 판단부(810)가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100,200)에 우산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0), 만약 우산이 투입되지 않았다면(S10-N) 우산이 투입될 때까지 대기하며, 우산이 투입되었다면(S10-Y), 객체 판단부(820)가 객체 감지모듈(700)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근접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0).
만약, 근접객체가 존재하면(S30-Y), 객체 판단부(820)는 설정시간 동안 대기 후(S30),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근접객체의 존재 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다(S20).
반면에, 근접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S30-N) 제어모듈(800)은 회전모듈(500)을 회전 제어할 수 있다(S4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우산 수용부
110: 제1 배수홀
200: 제2 우산 수용부
210: 걸침 프레임
220: 제2 배수홀
300: 배수부
310: 손잡이
400: 바퀴
500: 회전모듈
510: 회전 구동부
520: 회전판
600: 우산 감지모듈
700: 객체 감지모듈
800: 제어모듈
810: 투입 판단부
820: 객체 판단부
830: 회전 제어부

Claims (5)

  1. 제1 우산 수용부; 및
    상기 제1 우산 수용부에 수용 배치되며, 상기 제1 우산 수용부보다 상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제2 우산 수용부;
    상기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에 수용되는 우산을 감지하는 우산 감지모듈;
    상기 제1 우산 수용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우산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및
    상기 우산 감지모듈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에 우산이 투입되면 상기 제1 우산 수용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모듈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우산 수용부는 상단 둘레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하향 절곡 형성되며, 서로 간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4개의 걸침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우산 수용부는 상기 걸침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 우산 수용부의 상단 둘레에 걸쳐져 지지되며, 상기 제1 우산 수용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우산 보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보관통은
    상기 제1 우산 수용부 하측에 탈부착 가능한 배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우산 보관통.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보관통은
    상기 우산 보관통 주변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우산 감지모듈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1 및 제2 우산 수용부에 우산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투입 판단부;
    상기 객체 감지모듈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우산 보관통 주변의 근접객체 유무를 판단하는 객체 판단부; 및
    상기 투입 판단부 및 객체 판단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우산 수용부에 우산이 투입되고 상기 우산 보관통 주변의 근접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우산 수용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모듈을 동작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우산 보관통.
KR1020190176778A 2019-12-27 2019-12-27 다단식 우산 보관통 KR10229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778A KR102298416B1 (ko) 2019-12-27 2019-12-27 다단식 우산 보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778A KR102298416B1 (ko) 2019-12-27 2019-12-27 다단식 우산 보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952A KR20210083952A (ko) 2021-07-07
KR102298416B1 true KR102298416B1 (ko) 2021-09-06

Family

ID=7686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778A KR102298416B1 (ko) 2019-12-27 2019-12-27 다단식 우산 보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4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08Y1 (ko) * 2000-08-11 2001-02-15 신창식 우산꽂이
KR200447819Y1 (ko) * 2009-08-20 2010-02-23 홍복선 우산 꽂이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428A (ko) * 2003-05-15 2004-11-20 신황희 우산 빗물 흡수기
KR200484135Y1 (ko) 2015-06-22 2017-08-10 배정동 우산꽂이
KR101838563B1 (ko) * 2016-06-13 2018-04-26 주식회사 지티아너스 우산 빗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08Y1 (ko) * 2000-08-11 2001-02-15 신창식 우산꽂이
KR200447819Y1 (ko) * 2009-08-20 2010-02-23 홍복선 우산 꽂이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952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9997B2 (en) Mop strainer
US20180184862A1 (en) Vacuum cleaner
RU173038U1 (ru) Узел в сборе для фильтрации
KR102298416B1 (ko) 다단식 우산 보관통
CN106679136A (zh) 天井机面板和空调装置
US20150305575A1 (en) Soap keeper
JP4469302B2 (ja) 異物吸引回収装置
KR20130050530A (ko) 빗물 탈수를 겸하는 우산 보관 및 반출 장치
KR100899024B1 (ko) 케익용 받침대
US20180078110A1 (en) Mop bucket with a sliding base
KR20200007407A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1781595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208743255U (zh) 一种稻谷除尘装置
CN206572720U (zh) 天井机面板和空调装置
CN107738846A (zh) 升降式大容量垃圾存储装置
US11744228B2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102090963B1 (ko) 일회용 컵 수거를 위한 카톤 블랭크
KR200466987Y1 (ko) 비누케이스 조립체
TWI598061B (zh) 傘體除水裝置
CN211124150U (zh) 一种便于固定的多功能读卡器
KR20190135631A (ko) 립밤 먼지제거 케이스
CN214451035U (zh) 一种图书馆用图书分类存放装置
JP3840983B2 (ja) 排水口フィルタ
CN205236542U (zh) 水槽内活动支架结构
EP1790268A1 (en) Mop bucket with d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