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595B1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595B1
KR101781595B1 KR1020160073782A KR20160073782A KR101781595B1 KR 101781595 B1 KR101781595 B1 KR 101781595B1 KR 1020160073782 A KR1020160073782 A KR 1020160073782A KR 20160073782 A KR20160073782 A KR 20160073782A KR 101781595 B1 KR101781595 B1 KR 10178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mbrella
removal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재희
Original Assignee
원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재희 filed Critical 원재희
Priority to KR102016007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가 일정 높이의 다단으로 형성되어 우산의 종류 및 길이에 상관없이 빗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의 관통공에 각각 패킹을 장착하여 우산을 털어 빗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므로 우산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 제거부의 일측에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를 설치하여 접이식 우산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 빗물 제거장치{rain removing device for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가 일정 높이의 다단으로 형성되어 우산의 종류 및 길이에 상관없이 빗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의 관통공에 각각 패킹을 장착하여 우산을 털어 빗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므로 우산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 제거부의 일측에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를 설치하여 접이식 우산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펴거나 접을 수 있어 비나 눈, 우박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나 소지품을 적시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역할을 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그러나, 상기 우산은 사용 후, 실내에 진입시 우산에 남아 있는 빗물이나 눈이 녹은 수분이 흘러내려 실내 바닥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수분으로 인한 낙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안전상에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건물들의 로비에는 우산에 비닐을 씌워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비닐을 제공하는 장치는, 사전에 여러 개의 비닐을 수납하여 준비해야함과 동시에 길이가 긴 우산 및 접이식 우산의 크기에 맞는 비닐을 따로따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준비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비닐의 반복적인 리필이 필요하므로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한 비닐은 모두 쓰레기로 버려지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자원낭비로 인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한 상태의 비닐이 쓰레기통에 버려진 상태로 방치되면 비닐 내부에 고여있는 물이 썩어 악취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빗물 제거장치 내부에 우산을 넣은 후 수동으로 회전시켜 빗물을 제거하는 방식 또는 모터의 구동으로 흡수체가 회전하면서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전방식은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우산을 하나씩 넣고 빗물이 제거될 때까지 돌려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우며 빗물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 구동방식은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콘센트가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는 등 설치의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5814호(2014.06.02.)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가 일정 높이의 다단으로 형성되어 우산을 상·하, 좌·우로 털어서 빗물을 제거하므로 우산의 종류 및 길이에 상관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빗물 제거부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우산의 삽입시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길이가 비교적 작은 장 우산의 빗물을 제거한 후 아무런 간섭없이 원활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의 관통공에 각각 패킹을 장착하므로 우산을 털어 빗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소음을 방지하므로 우산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 제거부의 일측에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를 설치하여 접이식 우산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사각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며 삽입공간으로 우산을 삽입하여 털어내면서 빗물을 제거하는 제1 빗물 제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빗물 제거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며 빗물 제거판의 중앙에 삽입공간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빗물 제거판의 상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2 빗물 제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며 빗물 제거판의 중앙에 제2 빗물 제거부재의 관통공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빗물 제거판의 상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3 빗물 제거부재가 구비되는 빗물 제거부와;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와 제3 빗물 제거부재의 관통공에 장착되어 우산의 빗물 제거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방지하여 우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패킹과;
상기 빗물 제거부의 하부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상기 빗물 제거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하부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가 일정 높이의 다단으로 형성되어 우산을 상·하, 좌·우로 털어서 빗물을 제거하므로 우산의 종류 및 길이에 상관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빗물 제거부재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우산의 삽입시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길이가 비교적 작은 장우산의 빗물을 제거한 후 아무런 간섭없이 원활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의 관통공에 각각 패킹을 장착하므로 우산을 털어 빗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므로 우산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 제거부의 일측에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를 설치하여 접이식 우산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길이가 긴 장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길이가 작은 장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접이식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상태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사각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하우징(110)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삽입공간(121a')으로 우산(A)을 삽입하여 털어내면서 빗물을 제거하는 제1 빗물 제거부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빗물 제거부재(121)의 하부에 고정되며 빗물 제거판(122a)의 중앙에 삽입공간(121a')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122b)이 형성되며 빗물 제거판(122a)의 상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122c)이 형성되는 제2 빗물 제거부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122)의 하부에 고정되며 빗물 제거판(123a)의 중앙에 제2 빗물 제거부재(122)의 관통공(122b)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123b)이 형성되고 빗물 제거판(123a)의 상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123c)이 형성되는 제3 빗물 제거부재(123)가 구비되는 빗물 제거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122)와 제3 빗물 제거부재(123)의 관통공(122b)(123b)에 장착되어 우산(A)의 빗물 제거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우산(A)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패킹(140)이 구성되고, 상기 빗물 제거부(120)의 하부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상기 빗물 제거부(120)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부(160)로 안내하는 안내부(150)가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150) 하부의 하우징(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부(150)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빗물 제거부(120) 일측의 하우징(110)에 고정되며 삽입공간(131a')으로 접이식 우산(B)을 삽입하여 털어내면서 빗물을 제거하는 제1 빗물 제거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빗물 제거부재(131)의 하부에 고정되며 빗물 제거판(132a)의 중앙에 상기 삽입공간(131a')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132b)이 형성되며 빗물 제거판(132a)의 상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132c)이 형성되는 제2 빗물 제거부재(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132)의 하부에 고정되며 접이식 우산(B)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빗물이 저장부(160)로 배수되도록 통수공(133a)이 형성되는 지지판(133)이 구비되는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빗물 제거부재(121)(131)는,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절곡되며 내부에 우산(A)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21a')(131a')이 관통형성되는 몸체(121a)(131a)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21a)(131a)의 측면에 빗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121b)(131b)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의 몸통을 이루는 하우징(110)은 원형 또는 사각함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제거하는 빗물 제거부(120)가 고정된다.
상기 빗물 제거부(120)의 제1 빗물 제거부재(121)를 하우징(110)에 고정시키되, 몸체(121a)의 상부에 절곡형성된 부분을 하우징(110) 상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몸체(121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공간(121a')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21a)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공(121b)이 형성되어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통공(121b)은 타공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121a)는 우산(A)의 삽입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역할을 하게 되며, 우산(A)의 빗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우산(A)을 들어올릴 때, 아무런 간섭없이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빗물 제거부재(121)의 하부에 일정 높이 하향으로 이격되도록 제2 빗물 제거부재(122)가 고정된다.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122)는 빗물 제거판(122a)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10)에 고정되며, 상기 빗물 제거판(122a)의 중앙에는 제1 빗물 제거부재(121)의 삽입공간(121a')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122b)이 형성되어 우산(A)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빗물 제거판(122a)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배수공(122c)이 형성되어 빗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122)의 하부에 일정 높이 하향으로 이격되도록 제3 빗물 제거부재(123)가 고정된다.
상기 제3 빗물 제거부재(123)는 빗물 제거판(123a)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10)에 고정되며, 상기 빗물 제거판(123a)의 중앙에는 제2 빗물 제거부재(122)의 관통공(122b)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123b)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 제거판(123a)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배수공(123c)이 형성되어 빗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121)(122)(123)를 일정 높이 다단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우산(A)의 크기 및 길이에 상관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빗물을 털어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122)(123)의 관통공(122b)(123b)에는 연질의 패킹(140)이 각각 장착되어 우산(A)을 털어낼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산(A)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빗물 제거부재(123) 하부에는 제3 빗물 제거부재(123)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안내하는 안내부(150)가 고정되며, 상기 안내부(15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서 저장부(160) 측으로 경사지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150) 하부의 하우징(110)에는 안내부를 따라 안내되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6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저장부(160)는 하우징(110) 하부 내측에 레일을 형성하여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60) 내측에 흡수체(미도시)를 위치시킴으로써 빗물의 일부를 흡수하여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이 저장부(160)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빗물 제거부(120)의 일측에는 길이가 긴 장 우산 이외에 접이식 우산(B)의 빗물을 제거하도록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1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130)의 제1 빗물 제거부재(131)를 하우징(110)에 고정시키되, 몸체(131a)의 상부에 절곡형성된 부분을 하우징(110) 상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몸체(131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공간(131a')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31a)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공(131b)이 형성되어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통공(131b)은 타공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빗물 제거부재(131)의 하부에 일정 높이 하향으로 이격되도록 제2 빗물 제거부재(132)가 고정된다.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132)는 빗물 제거판(132a)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10)에 고정되며, 상기 빗물 제거판(132a)의 중앙에는 제1 빗물 제거부재(131)의 삽입공간(131a')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132b)이 형성되어 접이식 우산(B)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빗물 제거판(132a)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배수공(132c)이 형성되어 빗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132)의 관통공(132b)에는 접이식 우산(B)의 빗물 제거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패킹(140)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132)의 하부에 일정 높이 하향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판(133)이 수평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133)은 접이식 우산(B)의 빗물 제거시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하며 빗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통수공(133a)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 빗물 제거부(120)와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130)를 동시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빗물 제거부(120)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빗물 제거부(120)와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130) 및 안내부(150)는 상기 하우징(110)과 리벳으로 고정되므로 제품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우산(A)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우산(A)을 하우징(110) 위에서 제1 빗물 제거부재(121)의 삽입공간(121a')을 통해 삽입시킨다.
상기 우산(A)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빗물 제거부재(121)의 삽입공간(121a')을 통과하여 제2 빗물 제거부재(122) 및 제 3 빗물 제거부재(123)의 관통공(122b)(123b)를 차례로 통과함과 동시에 우산(A)의 끝단부가 안내부(150) 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우산(A)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충격을 주어 털어내게 되면, 상기 우산(A)은 제1 빗물 제거부재(121)의 몸체(121a)와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122)(123)에 장착된 패킹(140)에 부딪히거나, 우산(A)의 끝단부가 안내부(150)의 바닥면에 부딪히면서 그 충격으로 인해 우산(A)의 빗물이 제거된다.
상기 우산(A)을 털어내면서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은 패킹(140)에 의해 상쇄되어 소음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충격으로 부터 우산(A)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우산(A)은 길이가 작은 장 우산(A)의 경우 우산(A)의 살대가 제1 빗물 제거부재(121)의 내측면에 위치하게 되며, 우산(A)의 빗물이 제거되어 제1 빗물 제거부재(121)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면 우산 살대는 아무런 간섭없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121a)의 내주면을 따라 상부로 원활하게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 제거부(120)는 길이가 긴 장 우산(A)을 비롯하여 휴대가 간편한 접이식 우산(B)의 빗물제거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상기 빗물 제거부(120)를 통해 제거된 빗물은 삽입공간(121a')과 몸체(121a)에 형성된 통공(121b)을 통해 떨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122)(123)의 관통공(122b)(123b)과 배수공(122c)(123c)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안내부(150)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안내부(150)에 떨어진 빗물은 경사진 면을 따라 흐름과 동시에 저장부(160)로 저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단으로 형성된 제1, 제2, 제3 빗물 제거부재(121)(122)(123)에 의해 빗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함과 아울러 별도의 비닐을 활용할 필요가 없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우산(A) 중에서도 길이가 긴 장 우산 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작은 장 우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우산(B)에 묻어있는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접이식 우산(B)을 제1 빗물 제거부재(131)의 삽입공간(131a')으로 삽입시킨다.
상기 접이식 우산(B)은 제1 빗물 제거부재(131)의 삽입공간(131a')을 통과하여 제2 빗물 제거부재(132)의 관통공(132b)을 통과함과 동시에 접이식 우산(B)의 끝단부가 지지판(133)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접이식 우산(B)을 좌,우방향으로 털어서 접이식 우산(B)에 묻이있는 빗물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접이식 우산(B)은 제2 빗물 제거부재(132)의 관통공(132b)에 장착된 패킹(140)에 부딪히면서 빗물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접이식 우산(B)의 끝단부를 지지판(133)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접이식 우산(B)을 상,하로 움직여 부딪히게 하여 빗물을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거된 빗물은 지지판(133)의 통수공(133a)을 통해 안내부(150) 측으로 떨어지게 되며, 안내부(150)로 떨어진 빗물은 경사진 면을 따라 흐름과 동시에 저장부(160)로 저장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우산 빗물 제거장치 110: 하우징
120: 빗물 제거부 121: 제1 빗물 제거부재
122: 제2 빗물 제거부재 123: 제3 빗물 제거부재
130: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 131: 제1 빗물 제거부재
132: 제2 빗물 제거부재 133: 지지판
140: 패킹 150: 안내부
160: 저장부

Claims (3)

  1. 사각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절곡되며 내부에 우산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관통되는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 빗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우산을 삽입하여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충격을 주어 털어내면서 빗물을 제거하며 우산의 빗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우산을 들어올릴 때 아무런 간섭없이 인출되도록 하는 제1 빗물 제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빗물 제거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며 빗물 제거판의 중앙에 삽입공간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빗물 제거판의 상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2 빗물 제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며 빗물 제거판의 중앙에 제2 빗물 제거부재의 관통공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빗물 제거판의 상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3 빗물 제거부재가 구비되는 빗물 제거부와;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와 제3 빗물 제거부재의 관통공에 장착되어 우산의 빗물 제거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우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패킹과;
    상기 빗물 제거부의 하부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상기 빗물 제거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 하부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제거부 일측의 하우징에 고정되며 삽입공간으로 접이식 우산을 삽입하여 털어내면서 빗물을 제거하는 제1 빗물 제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빗물 제거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며 빗물 제거판의 중앙에 상기 삽입공간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빗물 제거판의 상면에는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2 빗물 제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빗물 제거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며 접이식 우산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빗물이 저장부로 배수되도록 통수공이 형성되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접이식 우산 빗물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3. 삭제
KR1020160073782A 2016-06-14 2016-06-14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178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82A KR101781595B1 (ko) 2016-06-14 2016-06-14 우산 빗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82A KR101781595B1 (ko) 2016-06-14 2016-06-14 우산 빗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595B1 true KR101781595B1 (ko) 2017-09-25

Family

ID=6003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782A KR101781595B1 (ko) 2016-06-14 2016-06-14 우산 빗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72A (ko) 2018-11-16 2020-05-26 김영진 회전식 우산물기 제거장치
KR102187632B1 (ko) 2020-06-30 2020-12-07 최정길 흡수 및 배수가 효과적인 우산 물기 제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722A (ja) 1998-07-07 2000-01-25 Sanai Fujita 傘の雨雫切り装置
KR200215008Y1 (ko) * 2000-08-11 2001-02-15 신창식 우산꽂이
KR200274476Y1 (ko) * 2002-01-29 2002-05-06 김희훈 우산 탈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722A (ja) 1998-07-07 2000-01-25 Sanai Fujita 傘の雨雫切り装置
KR200215008Y1 (ko) * 2000-08-11 2001-02-15 신창식 우산꽂이
KR200274476Y1 (ko) * 2002-01-29 2002-05-06 김희훈 우산 탈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72A (ko) 2018-11-16 2020-05-26 김영진 회전식 우산물기 제거장치
KR102187632B1 (ko) 2020-06-30 2020-12-07 최정길 흡수 및 배수가 효과적인 우산 물기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595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US10852017B2 (en) Air umbrella device
KR101173237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CN205709201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收线器
KR101397717B1 (ko)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101851589B1 (ko) 우산 빗물제거 탈수장치
KR100815107B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KR101578758B1 (ko)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KR20200007407A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JP2006325963A (ja) 傘の石突き装着具および傘
KR20049092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CN113346684B (zh) 一种基于帕斯卡定律多泡吸附式除杂质的电机维修工作台
KR20200094923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130005798U (ko) 우산보관통
KR20210154406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187632B1 (ko) 흡수 및 배수가 효과적인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20200027230A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0411137Y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JP2021165596A (ja) 傘の滴取り方法、及び傘の滴取り器
KR102102747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17086Y1 (ko) 분진유도홈을 갖는 업/다운 시스템용 기어박스
KR20190002072U (ko)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CN211320847U (zh) 一种方便维修的电缆分支箱
KR100634840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CN104647325A (zh) 布线工具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