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555B1 - 우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555B1
KR102049555B1 KR1020190002023A KR20190002023A KR102049555B1 KR 102049555 B1 KR102049555 B1 KR 102049555B1 KR 1020190002023 A KR1020190002023 A KR 1020190002023A KR 20190002023 A KR20190002023 A KR 20190002023A KR 102049555 B1 KR102049555 B1 KR 10204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rying
hot air
blow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보현
김윤호
Original Assignee
백보현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보현, 김윤호 filed Critical 백보현
Priority to KR102019000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하여 젖은 우산을 순환하는 열풍을 이용해 단시간에 건조하여 우산에 물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우산이 꽂아지는 공간(s)을 갖고, 이 공간(s)에 열풍이 공급되면서 꽂아진 우산의 물기를 열풍을 이용해 건조 제거시키는 건조 부재(100)와; 상기 건조 부재(100)에 연결되는데, 송풍기(2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히터(222)를 이용해 가열시키는 송풍부(220)를 이용해 열풍을 생성하며, 이 생성된 열풍을 상기 건조를 위한 공간(s) 측에 공급시켜 열풍을 제공하는 본체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우산 건조장치 {a Umbrella dry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하여 젖은 우산을 순환하는 열풍을 이용해 단시간에 건조하여 우산에 물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 눈과 같은 기상 상황에서 사용자의 머리 위를 가려 신체, 의류가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우산은 물에 젖는 특성상 우산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않으면 실내 바닥에 물이 고이게 되며, 고인 물에 보행자가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바닥을 더럽게 하는 단점이 있음으로 젖은 우산을 실내로 유입하기 전에 물기를 차단 또는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8890호를 살펴보면, 스크래핑 방식을 이용한 우산 건조장치이며, 우산을 투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투입공간이 마련된 투입본체; 상기 투입공간에 투입된 우산의 회전시 상기 우산 표면의 빗물이 스크래핑될 수 있도록 상기 투입본체에 투입공간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돌기; 및 상기 투입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간 내의 빗물을 흡입하여 상기 투입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종래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6744호를 살펴보면, 친환경 나선형 우산건조장치이며, 본체 상단에 우산삽입부와 우산삽입 상판을 포함하며, 본체 하단에는 패달과 물 받침대와 본체받침다리를 포함한다. 본체 내부에는 나선형 돌림본체를 포함하며 여기에 회전나사와 돌림본체 회전축을 형성하여 회전축 탄성장치와 스프링으로 연결된다. 나선형 돌림본체 하단에는 당김줄을 형성하며 당김줄 패달연결홈과 당김줄 회전연결홈과 연결된다. 본체 내부 하단에는 물내림대와 물받침대를 형성하여 여기에 패달밟음대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우산의 물기를 스펀지 등의 흡수체를 이용해 제거하는 흡수 방식, 또는 우산의 물기를 긁어 내어 제거하는 스크래핑 방식, 또는 원심력을 이용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 원심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들 중 흡수 방식, 원심 방식은 간접적으로 물기를 제거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우산의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제거하는 시간이 길어 우산 건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스크래핑 방식은 우산의 표면을 직접 긁어내기 때문에 우산 천의 표면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8890호가 제시되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6744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산의 물기를 직접적으로 열을 가해 건조시킬 수 있게 하여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우산 건조 효율을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의 물기를 비접촉 방식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하여 우산 천의 포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우산이 꽂아지는 공간을 갖고, 이 공간에 열풍이 공급되면서 꽂아진 우산의 물기를 열풍을 이용해 건조 제거시키는 건조 부재와;
상기 건조 부재에 연결되는데,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히터를 이용해 가열시키는 송풍부를 이용해 열풍을 생성하며, 이 생성된 열풍을 상기 건조를 위한 공간 측에 공급시켜 열풍을 제공하는 본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를 이용해 열풍을 만들면서 이 열풍을 우산이 꽂아진 공간에 송풍기를 이용해 공급시키면서 연속으로 순환되게 구성함에 따라 열풍에 의한 직접 건조로 건조 시간이 대폭 단축되면서 우산 건조의 효율이 향상되고, 열풍의 순환에 의한 비접촉 방식으로 건조가 수행됨에 따라 우산 천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들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각부 구성을 도 1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우산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이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산의 물기를 열풍을 이용해 건조 제거시키는 건조 부재(100); 열풍을 제공하는 본체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우산 건조장치(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건조 부재(100)는;
내측에 우산이 꽂아지는 공간(s)을 갖고, 이 공간(s)에 열풍이 공급되면서 꽂아진 우산의 물기를 열풍을 이용해 건조 제거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건조 부재(100)는; 길이가 긴 우산을 꽂아 건조하기 위한 제1우산꽂이(110); 및 길이가 짧은 우산을 꽂아 건조하기 위한 제2우산꽂이(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우산꽂이(110)는 상,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원통체로 제작되는데, 제1우산꽂이(110)가 본체 부재(200)의 몸체(210) 상단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우산을 꽂을 수 있는 공간(s)을 마련하고, 이 공간(s)은 본체 부재(200)의 몸체(210) 내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드나들며, 제1우산꽂이(1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우산을 내부 공간(s)에 꽂아 건조 과정을 수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우산꽂이(110)의 측방 일측에는 송풍부(220)의 송풍관로(230)와 연결되기 위한 관통 구멍이 마련된다.
상기 제2우산꽂이(120)는 제1우산꽂이(110)와 동일한 원통체로 제작되는데, 제2우산꽂이(120)의 상측은 길이가 짧은 우산을 꽂을 수 있는 공간(s)이 짧은 우산의 길이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제2우산꽂이(120)의 하측은 본체 부재(200)의 송풍부(220)가 내장되기 위한 부분으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제2우산꽂이(120) 역시 상측 공간(s)의 측방 일측으로 송풍부(220)의 송풍관로(230)와 연결되기 위한 관통 구멍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건조 부재(100)는;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의 내측으로 송풍관로(230)가 연결되는 측에 각각 다수의 분사구(132)가 마련된 이중관로(131)가 형성되며 결합되는데, 이 이중관로(131)를 통해 송풍관로(23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회전하면서 상기 분사구(13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되게 하는 분사통체(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통체(130)는 제1,2우산꽂이(120)의 내부 측벽에 이격 공간을 갖도록 도넛 형태의 공간인 이중관로(131)가 외측에 마련된 중공의 관체로 제작되며, 분사통체(130)의 이중관로(131)는 송풍관로(230)가 연결되는 측에 공간이 통하도록 제1,2우산꽂이(120)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이중관로(131)가 제1,2우산꽂이(120)의 공간(s)과 구획되어 결합되도록 분사통체(130)의 직경이 제1,2우산꽂이(120)의 내경에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때, 상기 분사통체(130)의 내측에는 제1,2우산꽂이(120)의 공간(s)과 통하는 다수의 분사구(132)가 관통구멍으로 마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분사구(132)가 이중관로(131)의 내측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면서 제1,2우산꽂이(120)의 공간(s) 안쪽 전방향으로 열풍이 분사되게 한다.
특징적으로 상기 분사통체(130)의 이중관로(131)에 송풍관로(230)로부터 열풍이 공급되면서 이중관로(131)의 도넛 형상에 의해 공급된 열풍이 회전하게 되고, 이 열풍의 회전 중 다수의 분사구(132)를 통해 제1,2우산꽂이(120)의 공간(s) 안쪽으로 열풍을 분사시키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되게 한다.
예컨대 상기 분사통체(13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제1,2우산꽂이(120)의 공간(s)으로 공급되는 열풍을 와류를 생성되면서 우산에 분사되어 열풍의 회전에 의해 우산 전방향으로 고르게 열기를 전달하여 건조 효율이 향상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열풍이 우산에 잔류한 수분을 이탈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부재(100)는;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의 저부로 우산이 꽂아지는 바닥 지점에 마련되는데, 이 꽂아지는 우산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송풍부(220)의 송풍기(221)를 작동되게 하는 제1,2스위치(141,1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2스위치(141,142)는 제1,2우산꽂이(120)의 저부 외측에 공간(s) 측으로 센싱을 수행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2스위치(141,142)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의 종류이면 어떤 것이든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제1,2스위치(141,142)는 송풍부(220)의 송풍기(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제1,2우산꽂이(120)에 우산이 꽂아지면 이를 감지한 신호를 기반으로 송풍기(221)를 작동시켜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되게 한다.
예컨대 상기 제1,2스위치(141,142)를 더 부가함에 따라 건조 부재(100)에 우산이 꽂아지면 이를 감지하여 열풍 공급을 위한 송풍기(221)를 작동되게 하고 이를 통해 우산을 꽂는 동작만으로 별도 버튼 조작 없이 자동으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부재(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우산을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에 꽂은 상태에서 건조 중 열풍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거치판(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판(160)은 원판 형태로 중앙에 우산이 삽입되는 거치홀(161)이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홀(161)의 둘레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우산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거치홈(16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판(160)은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의 상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에 꽂아지는 우산을 거치홈(162)을 이용해 지지되게 한다.
이때, 상기 거치판(160)은 거치홈(162)에 우산이 걸리면서 지지되는 작용으로 열풍의 와류에 의해 우산이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특히 거치판(160)은 등간격으로 마련된 다수의 거치홈(162)을 이용해 하나 이상의 우산을 분리하여 각각 지지할 수 있어 복수의 우산을 깔끔하게 정렬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 우산의 분실 방지 기능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 가능하고, 이 경우 복수의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에 대응하여 송풍관로(230)의 유로를 늘림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 부재(200)는;
상기 건조 부재(100)에 연결되는데, 송풍기(2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히터(222)를 이용해 가열시키는 송풍부(220)를 이용해 열풍을 생성하며, 이 생성된 열풍을 상기 건조를 위한 공간(s) 측에 공급시켜 열풍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부재(200)는; 건조 부재(100)의 제1우산꽂이(110)와 송풍부(220) 사이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1우산꽂이(110)에 공급된 열풍을 송풍부(220)의 송풍기(221)가 강제 흡입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마련하여 열풍을 연속적으로 순환되게 하는 몸체(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2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제작되며, 건조 부재(100)를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건조 부재(100)의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몸체(210)에는 송풍부(220), 제1,2스위치(141,14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구비될 수 있고, 제어반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작동한다.
이때, 상기 몸체(210)는 제1우산꽂이(110)와 송풍부(220)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함으로 송풍부(220)를 통해 제1우산꽂이(110)로 공급된 열풍을 송풍기(221)의 흡입 작용으로 다시 흡입되게 하여 외기와 함께 열풍을 순환시키고, 이 공기 순환에 의한 열풍의 재사용으로 공기 예열 기능을 수행하여 히터(222)의 부하를 줄인다.
예컨대 상기 몸체(21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송풍부(220)를 통해 생성된 열풍이 제1우산꽂이(110)에 공급된 후 몸체(210)의 유로를 통해 다시 송풍부(220)로 외기와 함께 복귀하면서 연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어 공기에 대한 예열 기능으로 히터(222)의 부하를 줄이면서 히터(222)의 전기사용량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200)는; 공기를 강제 흡입 후 배출하는 송풍기(221); 상기 송풍기(22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222);로 이루어지며, 이 생성된 열풍을 송풍관로(230)로 유입되게 하는 송풍부(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풍부(220)는 제2우산꽂이(120) 하부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몸체(210)의 공간과 통하며 연결되는데, 상기 몸체(210) 측으로 송풍기(221)의 흡입 측이 연결되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한 공기는 제2우산꽂이(120) 측으로 배출하며, 상기 송풍기(221)의 상측에 히터(222)를 마련하여 송풍기(22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열풍을 생성되게 하고, 이 생성된 열풍은 송풍관로(230)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221)는 송풍팬의 일종이고, 히터(222)는 전기 히터의 일종이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200)는; 건조 부재(100)에서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각각 꽂기 위해 마련된 제1우산꽂이(110)와 제2우산꽂이(120)의 공간(s)에 각각 통하도록 연결되며, 생성된 열풍을 상기 제1우산꽂이(110)와 제2우산꽂이(120)의 공간(s)에 각각 공급되게 하는 송풍관로(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풍관로(230)는 공기가 유동하는 중공의 관체로 제작되는데, 송풍부(220)에 연결되는 제1관(231); 상기 제1관(231)에서 연장되면서 제1우산꽂이(110)에 연결되는 제2관(232); 상기 제1관(231)에서 연장되면서 제2우산꽂이(120)에 연결되는 제3관(2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관(231)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제2관(232), 제3관(233)을 통해 제1,2우산꽂이(120)에 각각 공급되어 우산에 대한 건조 과정을 유도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200)는; 건조 부재(100)가 연결된 몸체(210)의 내측으로 우산으로부터 유입된 물기를 모아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저장조(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조(240)는 제1우산꽂이(110)의 하부로 몸체(210) 내측에 구비되는데, 우산으로부터 유입되는 물기를 모이기 위해 사방이 막히면서 상부만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어 저장조(240)의 내부 공간에 물을 모아 저장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저장조(240)는 물이 모이면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를 위해 몸체(210)에 저장조(240)를 외부로 분리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조(240)에 밸브를 연결하여 이 밸브의 개폐에 따라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200)는; 건조 부재(100)의 제1우산꽂이(110)와 몸체(210) 사이에 구비되는데, 유선형으로 휘어서 등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날개(251)를 이용해 제1우산꽂이(110)에서 몸체(210) 측으로 강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유도하는 유선배출구(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선배출구(250)는 이중 관체로 제작되는데, 내측 중앙에 우산이 꽂아져 고정되게 하는 우산꽂이홀(252)이 형성되고, 상기 우산꽂이홀(252)의 외측으로 다수의 날개(251)가 등간격으로 수직 배치되어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날개(251) 사이로 제1우산꽂이(110)에 공급되는 열풍 및 외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날개(251)는 유선형으로 휘어진 판재로 제작되는데, 다수의 날개(251)가 휜 방향이 일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유선형의 유로를 갖게 하고, 이 날개(251)의 유선형 유로에 의해 유선배출구(2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와류를 유도한다.
예컨대, 상기 유선배출구(25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유선배출구(250)를 통해 유도되는 와류로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우산의 물기를 효율적으로 우산으로부터 이탈시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우산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우산 건조장치(1) 중 상기 송풍관로(230)는 제1우산꽂이(110)에 연결된 제1관(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밸브(234) 및 제2우산꽂이(120)에 연결된 제2관(23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밸브(2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234) 및 제2밸브(235)는 제1,2스위치(141,142)에 각각 연결되면서, 이 제1,2스위치(141,142)의 센싱에 따라 각각 개폐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밸브(234) 및 제2밸브(235)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종이며, 상기 제1스위치(141)에는 제1밸브(234)가 연결되고, 제2스위치(142)에는 제2밸브(235)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밸브(234)는 제1관(231)에 구비되어 제1관(231)의 개폐를 제어하고, 제2밸브(235)는 제2관(232)에 구비되어 제2관(232)의 개폐를 제어하게 한다.
이때, 제1밸브(234) 및 제2밸브(235)는 평상시 제1관(231), 제2관(232)을 각각 폐쇄하고, 제1우산꽂이(110) 또는 제2우산꽂이(120)에 우산이 꽂아지면 이를 제1,2스위치(141,142)가 각각 감지하면서 상기 제1밸브(234) 및 제2밸브(23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제1밸브(234) 및 제2밸브(235)를 더 부가함에 따라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에서 우산이 꽂아진 측만 송풍부(220)의 열풍이 선택적 공급되어 열풍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불필요하게 제1우산꽂이(110)와 제2우산꽂이(120) 중에서 사용하지 않은 것까지 열풍이 공급되지 않게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우산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우산 건조장치(1)는 건조 부재(100)와 본체 부재(200)의 외측을 감싸서 보호하고, 외면에 광고를 위한 표시부(310)를 갖는 케이스(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00)는 건조 부재(100)의 제1우산꽂이(110), 제2우산꽂이(120)의 공간(S) 개구 측이 상측 외부로 노출 가능하면서 상기 건조 부재(100)와 본체 부재(200)를 완전히 감쌀 수 있는 형태의 함체로 제작되면서 상기 건조 부재(100)와 본체 부재(200)를 보호하고, 케이스(300) 외면에 광고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부(310)가 디스플레이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310)는 별도 제작된 LCD, LED 디스플레이를 케이스(300)의 외면 모양에 맞게 화면이 노출되도록 매립하여 결합하거나, 다수의 LED를 표시부(310)의 외형에 맞게 일정간격으로 식립하여 LED 자체를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0)는 각종 광고 문구, 이미지,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300)는; 하단부에 결합되어 우산 건조장치(1)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퀴(320)는 구름 동작이 가능한 캐스터이며, 케이스(300)의 하단부에 복수의 바퀴(320)가 대칭 방향에 각각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4개의 바퀴(320)가 케이스(300) 하단부 둘레에 각각 결합되면서 케이스(300)를 지지하고, 바퀴(320)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300)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바퀴(320)를 통해 우산 건조장치(1)를 임의 설치위치로 가변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실시 예로서, 우산 건조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우산 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우산 건조장치(1)는 우산을 사용하여 물기가 우산에 있으며, 이 우산을 건조 부재(100)에 꽂아 건조준비를 하는데, 길이가 긴 우산은 제1우산꽂이(110)에 꽂고, 길이가 짧은 우산은 제2우산꽂이(120)에 꽂아 건조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제1우산꽂이(110), 제2우산꽂이(120)에 우산이 꽂아지면, 상기 제1,2스위치(141,142)가 각각 센싱을 수행하여 우산을 감지하고, 이 감지한 신호를 송풍부(220)에 제공하여 송풍부(220)가 자동 동작 되게 한다.
이때, 상기 송풍부(220)는 송풍기(221)를 통해 제1우산꽂이(110)를 통해 공기를 몸체(210) 측으로 유입되게 하고, 몸체(210)에 유입된 공기는 송풍기(221)를 거쳐 히터(222)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열풍이 생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부(220)를 통해 열풍이 생성되면, 이 열풍은 송풍관로(230)를 통해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에 각각 공급되고, 상기 공급되는 열풍을 통해 우산의 물기를 열풍 건조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에 공급된 열풍은 분사통체(130)에 의해 회전하면서 와류를 형성하고, 이 와류에 의해 우산 건조 효율이 향상됨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우산 건조를 수행하는 중에 제1우산꽂이(110)에 공급된 열풍은 송풍기(221)가 강제 흡입하면서 몸체(210)를 통해 송풍부(220) 측으로 복귀 후 연속적으로 다시 순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우산 건조장치 100; 건조 부재
110; 제1우산꽂이 120; 제2우산꽂이
130; 분사통체 200; 본체 부재
210; 케이스 220; 송풍부
230; 송풍관로 240; 저장조
250; 유선배출구 S; 공간

Claims (5)

  1. 내측에 우산이 꽂아지는 공간(s)을 갖고, 이 공간(s)에 열풍이 공급되면서 꽂아진 우산의 물기를 열풍을 이용해 건조 제거시키는 건조 부재(100)와;
    상기 건조 부재(100)에 연결되는데, 송풍기(2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히터(222)를 이용해 가열시키는 송풍부(220)를 이용해 열풍을 생성하며, 이 생성된 열풍을 상기 건조를 위한 공간(s) 측에 공급시켜 열풍을 제공하는 본체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 부재(100)는 길이가 긴 우산을 꽂아 건조하기 위한 제1우산꽂이(110); 및 길이가 짧은 우산을 꽂아 건조하기 위한 제2우산꽂이(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부재(200)는 건조 부재(100)에서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각각 꽂기 위해 마련된 제1우산꽂이(110)와 제2우산꽂이(120)의 공간(s)에 각각 통하도록 연결되며, 생성된 열풍을 상기 제1우산꽂이(110)와 제2우산꽂이(120)의 공간(s)에 각각 공급되게 하는 송풍관로(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200)는 건조 부재(100)의 제1우산꽂이(110)와 송풍부(220) 사이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1우산꽂이(110)에 공급된 열풍을 송풍부(220)의 송풍기(221)가 강제 흡입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마련하여 열풍을 연속적으로 순환되게 하는 몸체(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부재(200)는 건조 부재(100)가 연결된 몸체(210)의 내측으로 우산으로부터 유입된 물기를 모아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저장조(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 부재(100)는 거치홀(161)의 둘레로 하나 이상 형성된 거치홈(162)을 이용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우산을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에 꽂은 상태에서 건조 중 열풍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거치판(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200)는 건조 부재(100)의 제1우산꽂이(110)와 몸체(210) 사이에 구비되는데, 유선형으로 휘어서 등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날개(251)를 이용해 제1우산꽂이(110)에서 몸체(210) 측으로 강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유도하는 유선배출구(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우산꽂이(110) 및 제2우산꽂이(120)의 저부로 우산이 꽂아지는 바닥 지점에 마련되는데, 상기 꽂아지는 우산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송풍부(220)의 송풍기(221)를 작동되게 하는 제1,2스위치(141,1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로(230)는 제1우산꽂이(110)에 연결된 제1관(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밸브(234); 및,
    상기 제2우산꽂이(120)에 연결된 제2관(23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밸브(2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234) 및 제2밸브(235)는 제1,2스위치(141,142)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제1,2스위치(141,142)의 센싱에 따라 각각 개폐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 부재(100)와 본체 부재(200)에는 외측을 감싸서 보호하고, 외면에 광고를 위한 표시부(310)를 갖는 케이스(300)를 더 포함한 우산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2023A 2019-01-08 2019-01-08 우산 건조장치 KR102049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023A KR102049555B1 (ko) 2019-01-08 2019-01-08 우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023A KR102049555B1 (ko) 2019-01-08 2019-01-08 우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55B1 true KR102049555B1 (ko) 2019-11-27

Family

ID=6872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023A KR102049555B1 (ko) 2019-01-08 2019-01-08 우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4702A (zh) * 2020-11-11 2021-02-09 朱朝宏 一种商场用雨伞脱水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428A (ko) * 2003-05-15 2004-11-20 신황희 우산 빗물 흡수기
KR20110000995U (ko) * 2009-07-22 2011-01-28 박진용 장식성을 갖는 빗물받이 우산마개
KR20150099637A (ko) * 2014-02-21 2015-09-0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건조장치
KR20170099170A (ko) * 2016-02-23 2017-08-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산 건조기
KR20180016744A (ko) 2016-08-08 2018-02-20 김민구 친환경 나선형 우산건조장치
KR20180078890A (ko) 2016-12-30 2018-07-10 양재열 스크래핑 방식을 이용한 우산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428A (ko) * 2003-05-15 2004-11-20 신황희 우산 빗물 흡수기
KR20110000995U (ko) * 2009-07-22 2011-01-28 박진용 장식성을 갖는 빗물받이 우산마개
KR20150099637A (ko) * 2014-02-21 2015-09-0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건조장치
KR20170099170A (ko) * 2016-02-23 2017-08-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산 건조기
KR20180016744A (ko) 2016-08-08 2018-02-20 김민구 친환경 나선형 우산건조장치
KR20180078890A (ko) 2016-12-30 2018-07-10 양재열 스크래핑 방식을 이용한 우산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4702A (zh) * 2020-11-11 2021-02-09 朱朝宏 一种商场用雨伞脱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8058B (zh) 用于烘干柔和衣物的可旋转筒式衣物烘干机及其控制方法
US20050223503A1 (en) Heating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US7178265B2 (en) Ambient air clothes dryer
BRPI0715349A2 (pt) mÁquina méltipla de tratamento de artigo a ser lavado e mÉotdo de controle da mesma
KR102049555B1 (ko) 우산 건조장치
KR20120124134A (ko) 우산 건조장치
CN104374002A (zh) 干衣空调器及控制方法
KR101583906B1 (ko) 우산 건조장치
US7658015B1 (en) Clothes drying device
CN108131901B (zh) 快速干燥机
KR101249900B1 (ko) 우산 건조기
KR20110075102A (ko) 송풍식 우산 건조 장치
KR20090085170A (ko) 우산 건조장치
KR101253628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CN101824737B (zh) 衣物处理装置
JP6667175B2 (ja) 球体乾燥装置
CN204959418U (zh) 一种烘干机
CN208905494U (zh) 一种服装收纳展示装置
CN207419098U (zh) 衣物烘干器
CN206847237U (zh) 一种节能环保型纺织品烘干除尘仪
CN105483988B (zh) 防变形衣架
CN104695166B (zh) 具有干衣功能的滚筒洗衣机
KR20030010904A (ko) 세탁물 건조장치
JP4495487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1307885B1 (ko) 다단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