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102B1 - 체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102B1
KR101233102B1 KR1020110027084A KR20110027084A KR101233102B1 KR 101233102 B1 KR101233102 B1 KR 101233102B1 KR 1020110027084 A KR1020110027084 A KR 1020110027084A KR 20110027084 A KR20110027084 A KR 20110027084A KR 101233102 B1 KR101233102 B1 KR 10123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ole
raw material
punch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773A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11002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1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by bending workpieces of rod, wire, or strip to form links of oval or other simple shape
    • B21L1/04Making chains or chain links by bending workpieces of rod, wire, or strip to form links of oval or other simple shape by bending and interconnecting the ends of the workpieces with or without separate join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용구인 목걸이, 팔찌, 핸드백 또는 벨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인을 구성하기 위한 고리들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리들을 연속하여 결속하는 공정을 간편하게 한 체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다이의 상측에 상부다이가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의 승강에 의해 하부다이의 일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면서 금속재질로 된 띠 형상의 원재료를 소정 거리만큼씩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원재료이송수단; 상기 원재료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원재료로부터 내부에 구멍을 갖는 사각 링 형상의 고리(ring)를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다이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펀치들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다이의 하강에 의해 펀치들로 하여금 원재료를 타공 및 절단하여 내부에 구멍을 갖는 고리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리의 중앙부를 눌러주어 고리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하는 고리가공수단; 및 상기 고리가공수단에 의해 가공되는 고리들을 결속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다이의 양측에서 절곡된 고리측으로 간격이 좁혀지게 왕복 이동되게 설치하여 상기 상부다이의 상승에 의해 그 간격이 좁혀지면서 고리의 구멍을 외측으로 넓혀주어 확장시킬 수 있게 하며 그 확장된 구멍으로 인접한 고리가 삽입되면 양단을 오므려 주어 고리들을 결속할 수 있게 하는 고리결속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인 제조장치{chain manufacture device}
본 발명은 체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신용구인 목걸이, 팔찌, 핸드백 또는 벨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인을 구성하기 위한 고리들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리들을 연속하여 결속하는 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체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용 체인은 목걸이, 팔찌 또는 벨트 등과 같이 몸에 치장하는 체인 형태의 장신구를 통칭한다.
이러한 장신용 체인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원형링 형상, 타원링 형상 또는 판상으로 형성된 고리(ring)들을 서로 연결하여 체인을 형성하며, 상기 체인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후 그 양단부에 걸림 장치를 설치하여 목걸이, 팔찌 또는 벨트 등의 장신구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리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리에 어느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한 후 상기 개구를 통해 서로 연결한다. 즉, 상기 개구를 통해 서로 인접하는 고리에 끼운 후, 상기 개구가 폐쇄되도록 그 개구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서로 빠지지 않게 연결한다. 혹은 상기 개구를 용접하여 연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리를 연결하기 위해 개구의 양측부를 가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고리는 그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상기 고리의 양측단을 잡고 가압하는 작업이 곤란하여 숙련이 요구된다. 또한, 개구를 용접하는 경우에도 고리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용접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열에 의해 고리에 변형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일측이 개구되지 않도록 고리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리들을 연속하여 결속할 수 있게 한 체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다이의 상측에 상부다이가 승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다이의 상호 대면부위에는 각각 제1경사돌부와 제1롤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다이의 하강으로 제1경사돌부와 제1롤러가 상호 접촉됨에 의해, 하부다이의 일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면서 금속재질로 된 띠 형상의 원재료를 소정 거리만큼씩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원재료이송수단; 상기 원재료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원재료로부터 내부에 구멍을 갖는 사각 링 형상의 고리(ring)를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다이에는 원재료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펀치들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펀치들에 대응하는 하부다이에는 펀치공들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다이의 하강에 의해, 상기 펀치들로 하여금 상기 원재료를 타공 및 절단하여 내부에 구멍을 갖는 고리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리의 중앙부를 눌러주어 고리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하는 고리가공수단; 및 상기 고리가공수단에 의해 가공되는 고리들을 결속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다이의 상호 대면 부위에는 각각 제2~제3경사돌부와 제2~제3롤러를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여 상기 상부다이의 상승으로 제2경사돌부와 제2롤러 및 제3경사돌부와 제3롤러가 상호 접촉됨에 의해, 하부다이의 양측에서 절곡된 고리측으로 간격이 좁혀지게 왕복 이동되면서 고리의 구멍을 외측으로 넓혀주어 확장시킬 수 있게 하며 그 확장된 구멍으로 인접한 고리가 삽입되면 양단을 오므려 주어 고리들을 결속할 수 있게 하는 고리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재료이송수단은 제1롤러가 일측면으로 돌출되며, 제1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의 하강에 의해 제1경사돌부에 제1롤러가 접촉되면서 왕복 이동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블록에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제2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게 설치함과 아울러 하단은 원재료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블록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원재료를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이송편 및 상기 이송편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킨 원재료가 후퇴되지 않게 하부다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에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제3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게 설치함과 아울러 하단은 원재료의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가공수단에 구비되는 펀치들은 상기 원재료로부터 장방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제1펀치와 상기 제1펀치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구멍의 외측을 절단하여 내부에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고리를 형성하는 제2펀치 및 상기 제2펀치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고리의 중앙부를 눌러줌에 의해 상기 고리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하는 제3펀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펀치는 하단면에 요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펀치의 하단면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3펀치의 하단면은 상기 제1~제2펀치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결속수단은 제2~제3롤러가 일측면으로 돌출되며, 제4~제5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의 상승에 의해 제2~제3경사돌부에 제2~제3롤러가 접촉되면서 그 간격이 좁혀지도록 왕복 이동되는 제1~제2작동블록과 상기 제1~제2작동블록에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의 상승에 의해 간격이 좁혀지면서 절곡된 고리의 양단을 가압하여 오므려줄 수 있는 제1~제2가압편 및 상기 제2가압편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고리의 양단을 오므려줄 때 상기 고리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그 구멍을 넓혀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의 폭 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된 구멍확장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확장핀은 선단에 삼각형상의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느 일측이 개구되지 않게 고리들을 형성하여 그 고리들을 연속하여 결속할 수 있게 함으로서 고리에 형성되는 개구를 폐쇄시키는 공정을 없앰으로서 제조공정의 감소로 인한 단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에서 일측이 개구됨이 없는 고리를 형성한 후 연속 작업으로 그 고리들을 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인건비 및 시설비 투자, 장소 확보 등의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상,하부다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하부다이를 평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상,하부다이를 분리하여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펀치들에 의해 고리를 가공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서 원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제2펀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서 고리를 절곡하는 제3펀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서 고리들을 결속하기 위해 고리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오므려주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서 고리들을 결속하기 위해 고리에 형성되는 구멍을 외측으로 넓혀 확장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도 12g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 의해 원재료로부터 고리의 형성하고 절곡하며 고리들을 결속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서 고리들을 결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a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서 고리들을 결속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진이고,
도 15a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에서 제조한 체인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를 보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100)는 모터(102)에 의해 벨트(10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풀리(104)가 설치되고, 그 풀리(104)의 회전을 캠팔로우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부다이(102)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상부다이(102)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캠팔로우의 구성은 통상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100)에는 상,하부다이(102,104)가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다이(102)는 승강 작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다이(104)는 상부다이(102)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다이(104)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다이(102)의 승강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면서 금속재질로 된 띠 형상의 원재료(12)를 소정 거리만큼(1피치)씩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원재료이송수단(11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원재료이송수단(110)은 상기 상,하부다이(102,104)의 상호 대면부위에 각각 제1경사돌부(119a)와 제1롤러(119b)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다이(102)의 하강으로 제1경사돌부(119a)와 제1롤러(119b)가 상호 접촉됨에 의해, 하부다이(104)의 일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면서 금속재질로 된 띠 형상의 원재료(12)를 소정 거리만큼씩 이송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러한 원재료이송수단(110)은 이송블록(112)과 이송편(114) 및 고정편(1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블록(112)은 제1롤러(119b)가 일측면으로 돌출되며, 제1스프링(113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102)의 하강에 의해 제1경사돌부(119a)와 제1롤러(119b)가 접촉되면서 왕복 이동된다.
이러한 이송블록(112)에 상기 이송편(114)이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제2스프링(115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편(114)의 하단은 원재료(12)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블록(112)의 왕복 이동에 의해 원재료(12)를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이송편(114)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킨 원재료(12)가 후퇴되지 않게 하고자 고정편(116)을 상기 하부다이(104)에 고정되는 고정블록(118)에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제3스프링(117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편(116)의 하단을 원재료의 상면을 가압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는 고리가공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리가공수단(120)은 상기 원재료이송수단(110)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씩 이송되는 원재료로부터 내부에 구멍(14a)을 갖는 사각 링 형상의 고리(ring)(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가공수단(120)은 상기 상부다이(102)에는 원재료(12)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펀치들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펀치들에 대응하는 하부다이(104)에는 펀치공들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다이(102)의 하강에 의해, 상기 펀치들로 하여금 상기 원재료(12)를 타공 및 절단하여 내부에 구멍(14a)을 갖는 고리(14)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리(14)의 중앙부를 눌러주어 고리(14)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한다.
이와 같은 고리가공수단(120)에 구비되는 상기 펀치들은 원재료(12)로부터 장방형의 구멍(14a)을 형성하는 제1펀치(122)와, 상기 제1펀치(122)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구멍(14a)의 외측을 절단하여 내부에 장방형의 구멍(14a)을 갖는 고리(14)를 형성하는 제2펀치(124)와, 상기 제2펀치(124)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고리(14)의 중앙부를 눌러줌에 의해 상기 고리(14)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하는 제3펀치(1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3펀치(122~126)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다이(104)에 제1~제3펀치공(128a~128c)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제3펀치(122~126)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제2펀치(122~124)의 하단면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펀치(126)의 하단면은 상기 제1~제2펀치(122~124)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는 상기 제1~제2펀치(122~124)가 동시에 작동되게 하고, 상기 제3펀치(126)가 시간차를 두고 작동되게 하여 고리를 결속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2펀치(124)에 의해 절단된 고리(14)의 중간부를 시간차를 두고 눌러주어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펀치(126)의 하단에는 요입홈(12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입홈(126a)은 결속된 고리(14)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요입홈(126a)에 의해 이미 결속된 고리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3펀치(126)에 형성된 요입홈(126a)은 결속된 고리의 상단부가 위치되게 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3펀치(126)의 외측부에 의해 고리(14)의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한다.( 도9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는 고리결속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리결속수단(130)은 상기 고리가공수단(120)에 의해 가공되는 고리들을 결속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결속수단(130)은 상기 상,하부다이(102,104)의 상호 대면 부위에 각각 제2~제3경사돌부(138a,139a)와 제2~제3롤러(138b,139b)를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여 상기 상부다이(102)의 상승으로 제2경사돌부(138a)와 제2롤러(138b) 및 제3경사돌부(139a)와 제3롤러(139b)가 상호 접촉됨에 의해, 하부다이(104)의 양측에서 절곡된 고리(14)측으로 간격이 좁혀지게 왕복 이동되면서 고리(14)의 구멍(14a)을 외측으로 넓혀주어 확장시킬 수 있게 하며, 그 확장된 구멍(14a)으로 인접한 고리(14)가 삽입되면 양단을 오므려 주어 고리(14)들을 결속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러한 고리결속수단(130)은 제1~제2작동블록(132a,132b)과 제1,제2가압편(134a,134b) 및 구멍확장핀(1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작동블록(132a,132b)은 제2~제3롤러(138b~139b)가 일측면으로 돌출되며, 제4~제5스프링(133a~135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102)의 상승에 의해 제2~제3경사돌부(138a~139a)에 제2~제3롤러(138b~139b)가 접촉되면서 그 간격이 좁혀지도록 왕복 이동된다.
이러한 제1~제2작동블록(132a,132b)에 상기 제1~제2가압편(134a,134b)이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102)의 상승에 의해 간격이 좁혀지면서 절곡된 고리(14)의 양단을 가압하여 오므려준다.(도 10참조)
이때, 상기 구멍확장핀(136)으로 고리(14)에 형성된 구멍(14a)을 외측으로 벌려주어 확장시켜 주는데(도 11a ~도 11b참조), 이는 뒤에서 인접하여 계속 이송되는 고리가 확장된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도 12d ~도 12g참조)
이러한 구멍확장핀(136)은 상기 제2가압편(134b)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고리(14)의 양단을 오므려줄 때 상기 고리(14)의 구멍(14a)으로 삽입되어 그 구멍(14a)을 넓혀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14a)의 폭 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멍확장핀(136)의 선단은 삼각형상의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구멍확장핀(136)으로 고리의 구멍(14a)을 확장할 때 용이하게 고리의 구멍(14a)으로 삽입되어 확장시킬 수 있게 한다.(도 11a ~도 11b, 도 12e ~도 12f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다이(102)의 승강에 의해 도 12a표시와 같은 원재료(12)를 소정 거리만큼(1피치씩)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다이(102)의 하강에 의해 도 12b표시와 같이 제1펀치(122)로 원재료(12)에 구멍(14a)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2펀치(124)로 절단하여 고리(14)를 형성하고, 도 12c표시와 같이 제3펀치(126)로 고리(14)의 중앙부를 눌러주어 고리가 하부로 이동되게 하면서 그 고리의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다이(102)의 상승에 의해 도 10표시와 같이 상기 제1~제2작동블록(132a~132b)의 간격이 좁혀지게 작동되어 제1~제2가압편(134a~134b)으로 절곡된 고리를 오므려준다. 이때, 도 12d, 도 12b ~도 12f표시와 같이 상기 구멍확장핀(136)으로 구멍(14a)을 외측으로 벌려준다.
이와 같이 구멍(14a)을 외측으로 벌려주어 확장시켜 주게 되면, 도 12g표시와 같이 뒤에서 계속 이송되는 인접한 고리는 확장된 구멍(14a)으로 삽입된 후, 위 공정의 반복으로 결속된다. 즉, 확장된 고리의 구멍(14a)으로 인접한 고리(14)가 삽입되면 상기 제3펀치(126)로 고리(14)를 눌러주어 하부로 이동되게 하면서 구멍에 삽입된 고리의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제1~제2가압편(134a~134b)으로 절곡된 고리(14)의 양단을 오므려 주어 결속되며, 이는 도 13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제조장치는 상부다이(102)의 하강에 의해 연속적으로 원재료로부터 구멍(14a)을 형성하고, 절단함과 아울러 확장된 구멍으로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절곡하고, 또 상부다이(102)의 상승에 의해 제1~제2가압편(134a~134b)으로 확장된 구멍으로 삽입되어 절곡된 고리(14)를 오므려줌으로서 결속하여 체인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4a의 사진은 구멍이 확장된 상태에서 인접한 고리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진이고, 도 14b의 사진은 구멍으로 삽입된 인접한 고리가 절곡된 상태를 보인 사진이며, 도 14c의 사진은 절곡된 고리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오므려준 상태를 보인사진이다. 또한, 이러한 결속방법에 의해 제조된 체인(10)은 도 15a ~도 15c의 사진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100 - 체인 제조장치 102 - 상부다이
104 - 하부다이 110 - 원재료이송수단
112 - 이송블록 114 - 이송편
116 - 고정편 120 - 고리가공수단
122 - 제1펀치 124 - 제2펀치
126 - 제3펀치 128a~128c - 제1~제3펀치공
130 - 고리결속수단 132a~132b - 제1~제2작동블록
134a~134b - 제1~제2가압편 136 - 구멍확장핀

Claims (7)

  1. 하부다이의 상측에 상부다이가 승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다이의 상호 대면부위에는 각각 제1경사돌부와 제1롤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다이의 하강으로 제1경사돌부와 제1롤러가 상호 접촉됨에 의해, 하부다이의 일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되면서 금속재질로 된 띠 형상의 원재료를 소정 거리만큼씩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원재료이송수단;
    상기 원재료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원재료로부터 내부에 구멍을 갖는 사각 링 형상의 고리(ring)를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다이에는 원재료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펀치들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펀치들에 대응하는 하부다이에는 펀치공들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다이의 하강에 의해, 상기 펀치들로 하여금 상기 원재료를 타공 및 절단하여 내부에 구멍을 갖는 고리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리의 중앙부를 눌러주어 고리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하는 고리가공수단; 및
    상기 고리가공수단에 의해 가공되는 고리들을 결속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다이의 상호 대면 부위에는 각각 제2~제3경사돌부와 제2~제3롤러를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여 상기 상부다이의 상승으로 제2경사돌부와 제2롤러 및 제3경사돌부와 제3롤러가 상호 접촉됨에 의해, 하부다이의 양측에서 절곡된 고리측으로 간격이 좁혀지게 왕복 이동되면서 고리의 구멍을 외측으로 넓혀주어 확장시킬 수 있게 하며 그 확장된 구멍으로 인접한 고리가 삽입되면 양단을 오므려 주어 고리들을 결속할 수 있게 하는 고리결속수단을 포함하는 체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이송수단은 제1롤러가 일측면으로 돌출되며, 제1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의 하강에 의해 제1경사돌부에 제1롤러가 접촉되면서 왕복 이동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블록에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제2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게 설치함과 아울러 하단은 원재료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블록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원재료를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이송편 및 상기 이송편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이송시킨 원재료가 후퇴되지 않게 하부다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에 소정 경사를 이루며 제3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게 설치함과 아울러 하단은 원재료의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가공수단에 구비되는 펀치들은 상기 원재료로부터 장방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제1펀치와 상기 제1펀치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구멍의 외측을 절단하여 내부에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고리를 형성하는 제2펀치 및 상기 제2펀치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고리의 중앙부를 눌러줌에 의해 상기 고리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하는 제3펀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펀치는 하단면에 요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제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펀치의 하단면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3펀치의 하단면은 상기 제1~제2펀치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결속수단은 제2~제3롤러가 일측면으로 돌출되며, 제4~제5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의 상승에 의해 제2~제3경사돌부에 제2~제3롤러가 접촉되면서 그 간격이 좁혀지도록 왕복 이동되는 제1~제2작동블록과 상기 제1~제2작동블록에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다이의 상승에 의해 간격이 좁혀지면서 절곡된 고리의 양단을 가압하여 오므려줄 수 있는 제1~제2가압편 및 상기 제2가압편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고리의 양단을 오므려줄 때 상기 고리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그 구멍을 넓혀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의 폭 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된 구멍확장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확장핀은 선단에 삼각형상의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제조장치.
KR1020110027084A 2011-03-25 2011-03-25 체인 제조장치 KR10123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084A KR101233102B1 (ko) 2011-03-25 2011-03-25 체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084A KR101233102B1 (ko) 2011-03-25 2011-03-25 체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773A KR20120108773A (ko) 2012-10-05
KR101233102B1 true KR101233102B1 (ko) 2013-02-18

Family

ID=4728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084A KR101233102B1 (ko) 2011-03-25 2011-03-25 체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0115B (zh) * 2012-10-17 2014-09-10 深圳市翠绿首饰股份有限公司 圆形链扣饰品的自动加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918U (ko) * 1999-04-22 2000-11-25 서종화 장신용 체인 제조의 가공다이 회전장치
KR20040060094A (ko) * 2002-12-30 2004-07-06 문계익 체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918U (ko) * 1999-04-22 2000-11-25 서종화 장신용 체인 제조의 가공다이 회전장치
KR20040060094A (ko) * 2002-12-30 2004-07-06 문계익 체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773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7339B2 (en) Element blan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697599B1 (ko) 코루게이트 핀 제조장치
KR101233102B1 (ko) 체인 제조장치
CN106270292A (zh) 一种u型栓冲弯模具及其加工方法
KR20100110126A (ko) 다양한 규격의 힌지 플레이트를 성형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CN102366790A (zh) 折弯模
KR101606324B1 (ko) 컴파운드 금형
JP2014008516A (ja) あり溝及びあり形の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型
KR20060039819A (ko) 열간 형단조용 분할금형 및 이를 이용한 단조방법
JP2019171390A (ja) 金属板材の成形方法
JP2009520602A (ja) ロッカピン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エンボス加工装置
KR100655456B1 (ko) 링크부재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0497342B1 (ko) 체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WO2011070857A1 (ja) ワークの打ち抜き製造方法
KR100819782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JP2018083220A (ja) 順送金型、および、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KR101014059B1 (ko) 프레스절단식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보석체인
CN2909909Y (zh) 缝爪链制造设备
KR200446033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40107214A (ko) 캡의 걸림편 밴딩 금형과 상기 금형을 이용한프로그레시브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캡 제조방법
KR102625193B1 (ko) 멀티 포밍구조를 갖는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JP2012232337A (ja) コルゲートフィン製造装置
JP6502391B2 (ja) プロファイル付けされた物品をフォーミング加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260970B2 (en) Hot forge forming facility
CN104902778B (zh) 牙链的间隙制作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