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064B1 -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Google Patents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3064B1 KR101233064B1 KR1020110089218A KR20110089218A KR101233064B1 KR 101233064 B1 KR101233064 B1 KR 101233064B1 KR 1020110089218 A KR1020110089218 A KR 1020110089218A KR 20110089218 A KR20110089218 A KR 20110089218A KR 101233064 B1 KR101233064 B1 KR 1012330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chair
- support
- riding
- vehicle
- support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이 타고 있는 휠체어를 장애인용 차량에 안전하게 승차시킬 수 있도록 휠체어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애인용 차량에 탑재된 윈치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서 차량 내부로 휠체어를 끌어올릴 때에 휠체어가 전복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는 휠체어의 등받이 배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휠체어의 상단부에 거는 걸쇠들과, 각각의 걸쇠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벨트들을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된 견인장치의 후크가 지지부에 연결된 상태로 휠체어를 끌어당기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는 휠체어의 등받이 배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휠체어의 상단부에 거는 걸쇠들과, 각각의 걸쇠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벨트들을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된 견인장치의 후크가 지지부에 연결된 상태로 휠체어를 끌어당기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이 타고 있는 휠체어를 장애인용 차량에 안전하게 승차시킬 수 있도록 휠체어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애인용 차량에 탑재된 윈치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서 차량 내부로 휠체어를 끌어올릴 때에 휠체어가 전복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장애인용 차량에는 장애인이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슬로프가 장착되며, 슬로프가 차량 밖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 또는 보조자가 슬로프를 따라 이동시켜 승차하거나 하차한다.
한편, 최근에는 장애인용 차량에 슬로프를 대신하여 차량 밖으로 펼쳐졌다가 접히는 슬라이딩 리프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리프트가 장착된 장애인용 차량의 경우에는 장애인 또는 보조자가 차량 밖으로 펼쳐진 리프트에 휠체어를 올리고 슬라이딩 리프트가 차량 내부로 접혀져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이 차량에 승차하게 되고, 반대로 하차할 경우 휠체어가 리프트에 올려진 상태로 리프트가 차량 밖으로 펼쳐지면서 리프트에서 지면으로 하차한다.
이와 같이 슬로프 또는 리프트가 장착된 장애인용 차량의 경우 장애인이 휠체어를 슬로프 또는 리프트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장애인용 차량의 경우에는 장애인이 용이하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윈치가 차량 내부에 장착되고 윈치에 연결된 후크를 차량 밖에 위치한 휠체어의 프레임에 건 다음, 윈치를 작동시켜 휠체어를 슬로프 또는 리프트로 끌어올린다.
하지만 차량에서 인출된 윈치의 후크를 휠체어의 프레임 하단에 건 후 윈치를 작동시켜 휠체어의 하단부를 당기면 휠체어에 앉아 있던 장애인이 뒤로 넘어져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슬로프를 오를 경우 슬로프의 경사각에 의해 후방으로 쉽게 전복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공개된 선행기술문헌이 있으나, 이런 차량의 슬로프를 오를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전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휠체어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구성은 찾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견인장치인 윈치 등과 연결된 상태로 휠체어의 뒤쪽 상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슬로프 또는 리프트로 이동하는 휠체어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넘어가 전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한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는 휠체어의 등받이 배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휠체어의 상단부에 거는 걸쇠들과, 각각의 걸쇠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벨트들을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된 견인장치의 후크가 지지부에 연결된 상태로 휠체어를 끌어당기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는 지지 바와, 상기 지지 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후크가 연결되는 러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바를 감싸는 쿠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바는 일측 방향으로 2개의 산이 지지 바의 길이 양측에 형성되고 산과 산 사이에 골이 형성된 파형 구조로서, 각각의 산에 해당하는 부위에 연결벨트가 감겨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쇠에는 길이조절버클이 장착되며 길이조절버클에 연결벨트가 감겨진 상태로 길이조절버클에 감긴 연결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걸쇠와 지지부의 거리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에는 2개의 연결벨트가 연결되며 2개의 연결벨트는 간격고정벨트의 양단에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는 차량의 견인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휠체어의 뒤쪽 상단을 지지함으로써, 휠체어가 슬로프의 경사각을 따라 올라가면서 무게 중심으로 뒤로 넘어가는 것을 막아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는 휠체어 프레임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에 걸쇠를 걸어 둠으로써, 견인 시에 휠체어 지지대가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만약 견인 시에 휠체어 지지대가 미끄러져 이동하게 되면 휠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어 전복될 수 있는데 걸쇠를 휠체어 등받이 또는 손잡이 등에 걸어 둠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휠체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 지지대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 지지대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 지지대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100)는 휠체어(1)의 등받이(5) 배면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며 양단에는 장애인용 차량에 장착된 윈치의 후크(11)가 체결될 수 있는 러그(113)가 형성된 지지부(110)와, 휠체어(1) 뒤쪽 상단에 위치한 지지부(110)가 견인 시에 하부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휠체어(1)의 손잡이(3) 및 등받이(5)에 걸어두는 2개의 걸쇠(140)와, 상기 걸쇠(140)를 지지부(110)에 연결하는 2개의 연결벨트(120), 그리고 연결벨트(120)가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2개의 연결벨트(120)를 연결하는 간격고정벨트(13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휠체어 지지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지지대(100)의 지지부(110)는 완만한 파형의 구조로 형성된 지지 바(111)와, 상기 지지 바(111)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진 3개의 쿠션부(115)를 포함하며, 지지 바(111)의 양끝단에는 러그(11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파형 구조의 지지 바(111)는 상향으로 2개의 산이 양측에 형성되고 산과 산 사이에 골이 형성된 구조로서, 각각의 산에 해당하는 부위에 연결벨트(120)가 감긴 상태로 재봉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3개의 쿠션부(115)는 지지 바(111)의 산과 산 사이에 지지 바(111)를 감싸 위치하고 산과 러그(113) 사이에 각각 지지 바(111)를 감싸 위치한다.
그리고 연결벨트(120)의 자유단부에는 걸쇠(140)가 장착되는데 걸쇠(140)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의 손잡이(3)에 걸었을 때에 연결벨트(120)는 파형 구조인 지지 바(111)의 산에 해당하는 부위에 위치함으로써, 지지 바(1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며, 특히 쿠션부(115)와 간섭되어 지지 바(1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안정적이다.
한편 지지 바(111)와 걸쇠(14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걸쇠(140)에는 길이조절버클(121)이 장착되어 있으며, 연결벨트(120)는 길이조절버클(121)에 연결된다. 따라서 길이조절버클(121)에 감긴 연결벨트(1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걸쇠(140)와 지지 바(11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의 연결벨트(120)에 간격고정벨트(130)가 연결되어 2개의 연결벨트(120)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지 않게 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의 사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장애인용 차량의 슬로프(20)를 전개한 상태에서 슬로프(20)에 대응하여 휠체어(1)를 위치한다. 그리고 지지부(110)를 휠체어의 등받이(5) 배면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한 후 걸쇠(140)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의 손잡이(3)에 걸거나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의 등받이(5) 상단에 걸어 지지부(110)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지지부(110)의 위치가 적정 지점보다 아래쪽에 있거나 위쪽에 위치할 경우 길이조절버클(121)에 감긴 연결벨트(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지부(110)가 적정 지점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걸쇠(140)에 의해 지지부(110)가 등받이(5) 배면 상단의 적정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에 탑재된 윈치의 후크(11)를 당겨 지지부(110)의 러그(113)에 각각 건다.
그리고 견인장치인 윈치를 작동시켜 후크(11)에 연결된 벨트(13)를 감으면 그 힘이 지지부(110)에 전달되고 휠체어(1)가 슬로프(20)를 따라 올라가게 된다. 이때 지지부(110)가 등받이(5)의 배면 상단을 지지함으로써, 슬로프(20)의 경사각에 의해 휠체어(1)가 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다른 윈치의 후크를 휠체어(1)의 프레임(7) 하단에 걸어 당김으로써, 휠체어(1)의 상단과 하단을 동시에 끌어 슬로프(20)를 안전하게 오를 수 있다.
1 : 휠체어
3 : 손잡이
5 : 등받이
7 : 프레임
11 : 후크
13 : 벨트
20 : 슬로프
100 : 휠체어 지지대
110 : 지지부
111 : 지지 바
113 : 러그
115 : 쿠션부
120 : 연결벨트
121 : 길이조절버클
130 : 간격고정벨트
140 : 걸쇠
3 : 손잡이
5 : 등받이
7 : 프레임
11 : 후크
13 : 벨트
20 : 슬로프
100 : 휠체어 지지대
110 : 지지부
111 : 지지 바
113 : 러그
115 : 쿠션부
120 : 연결벨트
121 : 길이조절버클
130 : 간격고정벨트
140 : 걸쇠
Claims (6)
- 휠체어(1)의 등받이(5) 배면에 위치하는 지지부(110)와,
휠체어(1)의 상단부에 거는 걸쇠(140)들과,
각가의 걸쇠(140)들과 지지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벨트(120)들을 포함하며,
차량에 장착된 견인장치의 후크(11)가 지지부(110)에 연결된 상태로 휠체어(1)를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110)는 지지 바(111)와, 상기 지지 바(11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후크(11)가 연결되는 러그(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제2항에 있어서,
지지 바(111)를 감싸는 쿠션부(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 바(111)는 일측 방향으로 2개의 산이 지지 바(111)의 길이 양측에 형성되고 산과 산 사이에 골이 형성된 파형 구조로서, 각각의 산에 해당하는 부위에 연결벨트(120)가 감겨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
걸쇠(140)에는 길이조절버클(121)이 장착되며 길이조절버클(121)에 연결벨트(120)가 감겨진 상태로 길이조절버클(121)에 감긴 연결벨트(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걸쇠(140)와 지지부(110)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110)에는 2개의 연결벨트(120)가 연결되며 2개의 연결벨트(120)는 간격고정벨트(130)의 양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9218A KR101233064B1 (ko) | 2011-09-02 | 2011-09-02 |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9218A KR101233064B1 (ko) | 2011-09-02 | 2011-09-02 |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3064B1 true KR101233064B1 (ko) | 2013-02-14 |
Family
ID=4789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9218A KR101233064B1 (ko) | 2011-09-02 | 2011-09-02 |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306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1499B1 (ko) | 2021-02-17 | 2021-06-08 | 주식회사 오텍 | 복지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00609A (ja) | 1999-04-22 | 2000-10-31 | Araco Corp | 車椅子用固定装置 |
JP2001046437A (ja) | 1999-08-04 | 2001-02-20 | Araco Corp | 車椅子固定装置 |
JP2001061896A (ja) | 1999-08-30 | 2001-03-13 | Toyota Auto Body Co Ltd | 車椅子固定装置 |
JP2002166822A (ja) | 2000-12-04 | 2002-06-11 | Araco Corp | 車椅子用シートベルト装置 |
-
2011
- 2011-09-02 KR KR1020110089218A patent/KR1012330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00609A (ja) | 1999-04-22 | 2000-10-31 | Araco Corp | 車椅子用固定装置 |
JP2001046437A (ja) | 1999-08-04 | 2001-02-20 | Araco Corp | 車椅子固定装置 |
JP2001061896A (ja) | 1999-08-30 | 2001-03-13 | Toyota Auto Body Co Ltd | 車椅子固定装置 |
JP2002166822A (ja) | 2000-12-04 | 2002-06-11 | Araco Corp | 車椅子用シートベルト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1499B1 (ko) | 2021-02-17 | 2021-06-08 | 주식회사 오텍 | 복지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65931A (en) | Detachable child seat and supporting frame | |
KR101289000B1 (ko) | 운송수단에 배치되는 스트레쳐 및 스트레쳐 픽스츄어 | |
US8147345B2 (en) | Baby seat sling for suspending a baby seat from a structure | |
US6189970B1 (en) | Harness for juvenile vehicle seat | |
CA2662922A1 (en) | Free-standing hanging infant baskette | |
CN104939987B (zh) | 一种多功能担架车 | |
KR101233064B1 (ko) | 승차용 휠체어 지지대 | |
KR200476857Y1 (ko) | 햇빛가리개 탈부착이 가능한 유모차 | |
KR101362390B1 (ko) | 성인 및 어린이 겸용 자동차시트 | |
JP6113689B2 (ja) | 座浴用車椅子 | |
KR102298247B1 (ko) | 휠체어 후방에 부착고정되는 휠체어고정횡바 및 이를 이용한 이동차량 휠체어고정시스템 | |
KR20130020711A (ko) |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 |
JP2017056172A (ja) | 移乗機能つき車椅子 | |
JP6082376B2 (ja) | 移乗移動装置 | |
US20150182028A1 (en) | Portable support apparatus for infants and toddlers | |
US9138073B2 (en) | Portable seat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JP3215104U (ja) | 介護リフト用吊り具 | |
KR101028226B1 (ko) |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 |
JPS6316582Y2 (ko) | ||
JP2016016702A (ja) | ジュニアシート | |
KR101399125B1 (ko) | 보행보조기 | |
JP3178461U (ja) | 要介護者用車椅子 | |
KR20120035920A (ko) | 열차용 자전거 주차대 | |
JP2015211709A (ja) | 入浴装置 | |
JP5480939B2 (ja) | ベルトアセンブ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