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226B1 -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 Google Patents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226B1
KR101028226B1 KR1020100039236A KR20100039236A KR101028226B1 KR 101028226 B1 KR101028226 B1 KR 101028226B1 KR 1020100039236 A KR1020100039236 A KR 1020100039236A KR 20100039236 A KR20100039236 A KR 20100039236A KR 101028226 B1 KR101028226 B1 KR 10102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locking means
car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진
Original Assignee
이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진 filed Critical 이남진
Priority to KR102010003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인이나 유아가 차를 번갈아 가며 탈 경우 유아시트를 설치했다 떼었다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어른과 유아가 같이 쓸 수 있는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시트 커버는 단순히 승차감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고, 유아나 어린이가 탑승하게 될 경우에는 별도의 유아용 카시트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는 탈부착이 매우 번거롭고, 장착이나 보관시 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게 되어 자동차 내부의 공간효율이 떨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택시 등의 대중 교통에는 장착할 수 없어 안전확보가 어렵고, 또한 카시트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이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제품이 고가인데 반하여 사용기간이 짧고 및 사용기간이 끝난 후 처리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좌대와 등받이로 구성되어지는 차량용 시트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좌대는 좌판의 좌,우 양측으로 직립판을 형성하면서 등받이대는 등판의 좌,우 양측으로 날개판을 형성하여 직립판과 날개판이 절첩되어지도록 하여 시트커버를 유아용 카시트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인이 탑승할 경우에는 시트커버로 사용하고 유아나 어린이가 탑승할 경우에는 유아용 카시트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Baby seat and carrier combined use }
본 고안은 성인이나 유아가 차를 번갈아 가며 탈 경우 유아시트를 설치했다 떼었다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어른과 유아가 같이 쓸 수 있는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좌석은 시트가 좌대와 등받이로 구분되는데, 시트의 손상을 예방하고, 승차한 사람의 체형에 적합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춰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키며, 아울러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장시간 운전시 또는 승차시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시트를 감싸주는 커버를 씌워서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차 시트는 좌대의 크기나 헤드레스트의 높이, 안전밸트의 사이즈 등이 성인을 기준으로 하여 설계되어진 것이므로, 자동차에 유아나 어린이를 함께 탑승시킬 경우에는 유아나 어린이의 체격에 맞도록 설게되어진 별도의 유아용 카시트를 자동차 시트에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가 매우 번거로워서 필요할 때마다 장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따라서 대부분 경우 한번 설치 이후에 분리시키지 않고 시트에 설치한 상태로 운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를 자동차에 탑승시키지 않으면 유아용 카시트가 장착된 좌석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탑승인원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아이가 둘 이상일 경우에 사용이 더욱 어려워지며, 또한 이러한 카시트는 많은 부피를 차지하므로 트렁크에 담아서 보관하게 되면 트렁크 공간이 협소해져 정작 필요한 물품을 수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아용 카시트는 그 가격이 매우 고가(高價)인데 반하여 그 사용기간이 매우 짧고,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성장한 이후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고 보관상의 이유로 대부분 되팔거나 폐기처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사고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안전밸트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에 어린이용 카시트를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시트에 앉혀서 밸트를 매도록 하는 것이지만, 유아나 어린이의 체형에 맞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안전수단이 무용지물이 되므로 안전상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의 탑승 때마다 유아용 카시트를 시트에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에 탑승할 경우에도 유아나 어린이의 체격에 맞도록 안전수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좌대와 등받이로 이루어져 쿠션이 형성되는 차량용 시트커버의 하단에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절첩할 수 있는 좌판을 형성하고, 상기 좌판의 양측과 등받이 부분에 접고 펼 수 있는 지지판을 형성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커버의 형상이 가변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좌판의 높이를 아이에 맞도록 높여서 사고시 아이를 방어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기능과 모습을 갖추도록 하면서, 상기 좌판과 지지판에는 각각 쿠션재를 부착하여 충격흡수를 가능토록 하고 사고시 유아나 아이의 부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필요시마다 유아용 카시트를 별도로 장착하거나 분해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해체하여 보관할 경우에도 부피가 작아서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자동차 좌석을 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에도 상시 장착하여 다닐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아이를 지키게 돼 교통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트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시트 커버를 유아용 카시트로 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a는 도 2의 좌판의 승강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b는 도 2의 측면도
도 3은 시트 커버를 유아용 카시트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좌판의 승강구조와 직립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좌판의 승강구조와 직립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b는 하판에 형성된 걸림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등받이대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등받이대의 날개판의 락장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등받이대의 날개판의 하부 락장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림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여 시트 상면을 감싸도록 되는 시트커버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트 커버(1)는 좌대(10)와 등받이대(20)로 구성되고, 상기 좌대(10)는 좌판(11)의 좌,우 양측으로 직립판(12)이 형성되고, 등받이대(20)는 등판(21)의 좌,우 양측으로 날개판(22)이 형성되어 직립판(12)과 날개판(22)을 절첩함으로써 시트 커버(1)를 유아용 카시트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좌대(10)는 좌판(11)의 하단에 승강요소(13)가 형성되어지고, 좌판(11)의 좌,우 양측으로는 직립판(12)이 절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좌판(11)의 하부에 형성된 하판(14)으로부터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립판(12)은 좌판(11)의 측변에 형성된 내입홈(11a)에 힌지결합하여 직립판(11)이 수평상태로 펴지거나, 수직상태로 직립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하판(14)의 상부에는 걸림홈(14a)을 형성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직립판(12)의 받침부(12a)가 걸림홈(14a)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홈(14a)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하면서 각각의 걸림홈(14a)은 중앙부로 갈수록 기울기를 낮추도록 하면 직립판(12)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좌판(11)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면서 좌대(10)의 공간확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직립판(12)의 받침부(12a)를 중앙부에 위치한 걸림홈(14a)에 깊숙히 넣어서 끼우게 되면 좌판(11)이 상승하게 되는 높이는 낮아지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유아나 어린이가 앉게 되는 좌대(10)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직립판(12)의 받침부(12a)를 외곽측에 위치한 걸림홈(14a)에 끼우게 되면 직립판(12)이 수직상태에 가까워지면서 좌판(11)이 상승하게 되는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유아나 어린이가 앉게 되는 좌대(10)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직립판(12)의 고정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좌대(10)의 좌, 우 너비 및 높이가 조절되므로 자동차에 탑승한 유아나 어린이의 체격에 맞추어 안전벨트(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교통사고시에 발생하는 부상을 줄이면서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립판(12)은 하판(14)으로부터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구조를 갖도록 되는데, 직립판(12)의 절첩구조가 좌판(11)의 하단에 매립되어지도록 하면 좌판(11)과 직립판(12), 하판(14)의 중첩구조가 얇게 이루어지면서 좌대(10)의 두께를 슬림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좌판(11)은 그 하부에 위치한 하판(14)과 고정되어 승강요소(13)에 의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는데, 상기 승강요소(13)는 도 4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절첩바(13a)가 좌판(11)의 하부와 하판(14)의 상부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각각의 절첩바(13a)의 양단이 좌판(11)의 하면과 하판(14)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블럭(13b)의 슬롯홀(13c)에 축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좌판(11)이 수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요소(13)는 절첩바(13a)를 판의 형태로 제작하면서 'N' 형상 또는 '∑'형상으로 절첩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절첩구조는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절첩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등받이대(20)는 등판(21)의 좌,우 양측으로 날개판(22)을 절첩가능토록 장착하면서 날개판(22)이 펴지거나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락수단(23)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락수단(23)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판(22)에 소켓홀(22a)이 형성되어 힌지축(24)에 고정되어 절첩되어지도록 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24)에 락수단(23)을 형성하여 날개판(22)의 절첩상태를 제어토록 한 것이다.
즉, 락수단(23)이 등판(21)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24)에 끼움되어진 상태에서 락수단(23)이 상,하로 승강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락수단(23)과 소켓홀(22a)에는 각각 걸림수단(23a)을 형성하여 날개판(22)의 절첩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때 상기 걸림수단(23a)을 방사형의 형태로 일정한 각도로 분할되어지도록 하면 날개판(22)의 절첩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락수단(23)의 하단부에 걸림수단(27a)에 의하여 날개판(22)의 회전을 제어하는 보조락수단(27)을 형성하면 상기 락수단(23)과 보조락수단(27)의 이중구조에 의하여 날개판(22)의 절첩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의 체격에 맞도록 적절한 각도로 날개판(22)의 절첩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카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날개판(22)에 의하여 좌,우가 지지되어 유아나 어린이의 몸이 튕겨 나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대(10)는 좌판(11)의 전방으로 발받이판(15)을 분할 형성하면서 발받이판(15)이 좌판(11)의 전방에 힌지수단(미도시)으로 고정되어 상, 하로 절첩되어지도록 하면 좌판(11)의 승,하강에 따라 발받이판(15)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유아나 어린이의 발받침 용도로 사용되어 어린이의 몸을 카시트에 더욱 밀착시키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좌판(11)의 전방에 가림대(16)를 상측으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등판(21)은 걸고리(26)를 형성하면 가림대(16)와 걸고리(26)에 안전벨트(30)를 고정하여 차량에 비치되어진 안전벨트와는 별도로 유아나 어린이의 안전벨트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걸고리(26)는 수직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하면 안전벨트(30)의 고정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체형에 맞도록 길이조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림대(16)는 좌판(11)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하로 절첩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받발이판(15)의 상면에 내입홈(15a)을 형성하면 가림대(16)가 내입홈(15a)에 삽입되면서 가림대(16)를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가림대(16)는 경질체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하거나 밴드형태의 직물지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좌판(11)의 전방에는 고리(11a)를 형성하여 가림대(16)가 고리(11a)에 장착되어진 상태로 가림대(16)의 상부로 안전벨트의 장착을 위한 고정링(16a)이 형성되어 안전벨트(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대(10)와 등받이부(20)를 구성하는 좌판(11)과 직립판(12), 등판(21)과 날개판(22), 발받이판(15)은 각각 쿠션재(40)를 부착하여 충격흡수를 하면서 사고시 유아나 어린이의 부상을 방지토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1: 시트 커버
10: 좌대 11: 좌판
11a: 고리 12: 직립판
12a: 받침부 13: 승강요소
13a: 절첩바 13b: 레일블럭
13c: 슬롯홀 14: 하판
14a: 걸림홈 15: 발받이판
15a: 내입홈 16: 가림대
16a: 고정링
20: 등받이대 21: 등판
22: 날개판 22a: 소켓홀
23: 락수단 23a: 걸림수단
24: 힌지축 25: 압축스프링
26: 걸고리 27: 보조락수단
27a: 걸림수단
30: 안전벨트
40: 쿠션재

Claims (11)

  1. 좌대(10)와 등받이대(20)로 이루어져 자동차 시트 상면을 감싸도록 되는 시트 커버(1)에 있어서,
    상기 좌대(10)는 좌판(11)의 좌,우 양측으로 절첩가능토록 장착된 직립판(12)이 형성되고 좌판(11)의 하단에는 승강요소(13)에 의하여 하판(14)에 고정되어 좌판(11)이 상,하로 승강되어진 상태에서 직립판(12)에 의하여 지지토록 되고, 상기 등받이대(20)는 등판(21)의 좌,우 양측으로 날개판(22)이 절첩가능토록 되면서 날개판(22)이 절첩된 상태에서 락수단(23)에 의하여 절첩상태가 고정되어 유아용 카시트로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10)는 좌판(11)의 전방으로 발받이판(15)이 분할 형성되고, 상기 발받이판(15)은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가능토록 되어 좌판(11)의 승,하강에 따라 발받이판(15)의 기울기가 조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판(12)은 좌판(11)의 양측으로 형성된 내입홈(11a)에 힌지결합되어 절첩가능토록 되고, 상기 직립판(12)의 하단으로는 받침부(12a)가 형성되어 하판(14)의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홈(14a)에 삽입고정되어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4a)은 측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걸림홈(14a)은 중앙부로 갈수록 기울기를 낮춰 직립판(12)의 경사도를 조절하면서 좌판(11)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요소(13)는 다수의 절첩바(13a)가 좌판(11)과 하판(14)을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절첩바(13a)의 양단이 좌판(11)의 하면과 하판(14)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블럭(13b)의 슬롯홀(13c)에 삽입고정되어 좌판(11)이 수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22)은 소켓홀(22a)이 형성되어 등판(21)의 양측으로 형성된 힌지축(24)에 축고정되어진 상태에서 날개판(22)이 회동가능토록 되고, 상기 힌지축(24)에는 락수단(23)이 장착되어 소켓홀(22a)의 걸림상태에 따라 날개판(22)의 회전을 제어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23)은 등판(21)양측의 힌지축(24)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 힌지축(24)에 압축스프링(25)이 장착되어 락수단(23)이 탄성작동되고, 상기 락수단(23)과 소켓홀(22a)에는 각각 걸림수단(23a)이 형성되어 날개판(22)의 절첩상태를 제어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21)은 락수단(23)의 하단부에 걸림수단(27a)에 의하여 날개판(22)의 회전을 제어하는 보조락수단(27)이 형성되고, 상기 락수단(23)과 보조락수단(27)의 걸림수단(23a,27a)은 방사형으로 이루어져 날개판(22)의 절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의 전방에 가림대(16)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등판(21)은 걸고리(26)가 형성되어 가림대(16)와 걸고리(26)에 안전벨트(30)가 고정되고, 상기 걸고리(26)는 수직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어 안전벨트(30)의 고정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체형에 맞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10. 제 9항에 있어서, 가림대(16)는 좌판(11)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하로 절첩가능토록 되고, 발받이판(15)의 상면에는 내입홈(15a)이 형성되어 가림대가 삽입되면서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대(16)는 밴드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좌판(11)의 전방에는 고리(11a)가 형성되어 가림대(16)가 고리(11a)에 장착되어진 상태로 가림대(16)의 상부로 안전벨트의 장착을 위한 고정링(16a)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KR1020100039236A 2010-04-28 2010-04-28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KR10102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36A KR101028226B1 (ko) 2010-04-28 2010-04-28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36A KR101028226B1 (ko) 2010-04-28 2010-04-28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226B1 true KR101028226B1 (ko) 2011-04-07

Family

ID=4404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236A KR101028226B1 (ko) 2010-04-28 2010-04-28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864A1 (ko) * 2012-05-10 2013-11-14 Lee Nam-Jin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KR200494755Y1 (ko) 2021-08-12 2021-12-16 경현승 유아용 보조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1336A (ja) * 1983-12-19 1985-07-1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座席
JPH07108862A (ja) * 1993-10-12 1995-04-25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KR970036623A (ko) * 1995-12-15 1997-07-22 한승준 자동차용 유아 안전 시트
KR1998005525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1336A (ja) * 1983-12-19 1985-07-1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座席
JPH07108862A (ja) * 1993-10-12 1995-04-25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KR970036623A (ko) * 1995-12-15 1997-07-22 한승준 자동차용 유아 안전 시트
KR1998005525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시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864A1 (ko) * 2012-05-10 2013-11-14 Lee Nam-Jin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KR101348542B1 (ko) * 2012-05-10 2014-01-09 이남진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CN104349935A (zh) * 2012-05-10 2015-02-11 李南填 幼儿坐垫兼汽车坐垫套
JP2015521130A (ja) * 2012-05-10 2015-07-27 リ,ナム−ジン 乳児シート兼用自動車シートカバー
US9643520B2 (en) 2012-05-10 2017-05-09 Nam-Jin Lee Combined car seat cover and infant seat
KR200494755Y1 (ko) 2021-08-12 2021-12-16 경현승 유아용 보조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773B2 (en) Child safety seat support apparatus
KR101348542B1 (ko)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EP2484549B1 (en) A child seat
EP3159206B1 (en) An infant seat for motorcars
US9487111B2 (en) Spinning infant car seat
RU2006146874A (ru) Основание для детского безопасного сиденья
US9604554B2 (en) Child car seat with height-adjustable seat cushion
KR101028226B1 (ko)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KR101362390B1 (ko) 성인 및 어린이 겸용 자동차시트
KR102306836B1 (ko) 아동을 위한 휴식 장소 수립 방법 및 장치
KR20130020711A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20070039018A (ko)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CZ2015540A3 (cs) Hlavová opěrka vozidla
AU2012211518A1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CN110001472B (zh) 用于设置在机动车中的儿童约束系统的儿童座椅垫子
AU2020203913A1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KR101747876B1 (ko)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EP3712009B1 (en) Child safety seat
CN204196735U (zh) 一种儿童增高垫
KR200261829Y1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200299154Y1 (ko) 다목적 유아용 카시트
US20110140495A1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CN210055375U (zh) 一种婴儿用轮椅床
AU2016101119B4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KR20230128628A (ko) 자동차의 보조석용 다용도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