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441B1 -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441B1
KR101230441B1 KR1020100042699A KR20100042699A KR101230441B1 KR 101230441 B1 KR101230441 B1 KR 101230441B1 KR 1020100042699 A KR1020100042699 A KR 1020100042699A KR 20100042699 A KR20100042699 A KR 20100042699A KR 101230441 B1 KR101230441 B1 KR 10123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roller
heat treatment
tripl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295A (ko
Inventor
조대행
Original Assignee
조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행 filed Critical 조대행
Priority to KR102010004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44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철이 형성된 압착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열처리에 의해서 섬유원단에 엠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엠보를 형성하기 위한 2장의 섬유원단 사이에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를 삽입하는 예비단계; 상기 예비단계를 거친 3중 섬유원단에 퀄팅자수누비를 하여 엠보가 형성될 모양을 만드는 자수형성단계; 상기 자수형성단계를 거친 상기 3 중 섬유원단을, 복수 개의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열풍(熱風)을 가하는 열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철이 형성된 롤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종래의 PE솜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EMBO BY HEAT TREATMENT}
본 발명은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철이 형성된 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열처리를 이용하여 엠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엠보싱은 섬유원단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오목볼록한 모양을 나타내는 가공을 말하며 이렇게 형성된 볼록한 원단의 모양을 엠보라 한다. 엠보싱은 섬유원단 외에도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시트의 가공에도 사용되는 직물가공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원단, 합성피역, 플라스틱 등에 엠보를 형성할 때, 일정모양의 요철이 형성된 단일 혹은 다수의 압착롤러를 사용하여 섬유원단을 압착함으로써 엠보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엠보형성방법은 엠보를 형성하는 압착롤러에 일정한 모양의 요철을 형성하여야 하며, 고압으로 인해 압착롤러가 휘는 등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엠보의 입체적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엠보형성시에는 PE(폴리에틸렌)솜을 사용하여 인체에 해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요철이 형성된 압착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열처리에 의해서 섬유원단에 엠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섬유원단에 열을 가하여 엠보를 형성하는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으로서, 엠보를 형성하기 위한 2장의 섬유원단 사이에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를 삽입하는 예비단계; 상기 예비단계를 거친 3중 섬유원단에 퀄팅자수누비를 하여 엠보가 형성될 모양을 만드는 자수형성단계; 상기 자수형성단계를 거친 상기 3중 섬유원단을, 복수 개의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열풍(熱風)을 가하는 열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은 폴리에스테르 수축사(CR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풍은 전기히터 및 송풍기에 의해 150℃ ~ 170℃의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에 의하면, 요철이 형성된 롤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종래의 PE솜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섬유원단에 땀 등의 이물질이 묻는 경우라도 엠보의 형성으로 인해 흡수가 신속히 이루어져, 외관상 땀에 젖은 흔적을 노출시키지 않으며, PE솜에 의해 이루어진 엠보 섬유원단보다 가볍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엠보가 형성되는 섬유원단 사이에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이 겹쳐진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겹쳐진 3중 섬유원단 위에 퀼팅자수누비작업을 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에 의한 엠보형성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엠보를 갖는 섬유원단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엠보가 형성되는 섬유원단 사이에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이 겹쳐진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겹쳐진 3중 섬유원단 위에 퀼팅자수누비 작업을 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에 의한 엠보형성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엠보를 갖는 섬유원단의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은 2장의 섬유원단(10) 사이에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을 끼우고 상기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을 열풍(熱風)으로 수축시킴으로써 바깥면에 있는 2장의 섬유원단(10)에 엠보(31)를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엠보(31)를 형성시킬 섬유원단(10)을 깔고 그 위에 다시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을 겹쳐 놓는다. 그리고 상기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 위에 다시 엠보(31)를 형성시킬 섬유원단(10)을 겹쳐 놓는다. 상기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은 폴리에스테르 수축사(CRT)인 것이 바람직하다(예비단계).
상기 예비단계완료 후, 3장으로 겹쳐진 섬유원단(이하, '3중 섬유원단' 이라 함)에 엠보(31)가 이루어질 모양을 퀄트자수(30)누비로 형성시킨다. 상기 퀄트자수(30)누비는 일정한 모양을 갖거나, 임의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자수형성단계).
상기 자수형성단계완료 후, 3중 섬유원단의 퀄트자수(30)누비로 형성된 모양에 엠보(31)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롤러(61 ~ 65) 및 전기 히터(50)를 통해 열처리를 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중 섬유원단은 제1 롤러(61)에서 제5 롤러(65)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엠보를 형성하게 된다.
먼저, 제1 롤러(61)를 이용하여 상기 3중 섬유원단을 수평으로 균일하게 펼친 후, 상기 제1 롤러(61)를 지난 상기 3중 섬유원단이 거의 수직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롤러(62)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롤러(62)를 이용하여 상기 3중 섬유원단이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롤러(61)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상기 제1 롤러(61)의 바깥쪽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서로 반대되는 형상의 나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3중 섬유원단이 상기 제1 롤러(61)로 공급될 때, 상기 나선의 형상에 의해 상기 3중 섬유원단이 좌,우측으로 당겨져 평평하게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롤러(62)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제2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축 안쪽 혹은 축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제3 롤러 및 제4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3중 섬유원단의 중심을 잡는다.
이후, 상기 제2 롤러(62)에서 일정간격 전방(상기 3중 섬유원단의 진행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롤러(62)보다 약간 위에 설치된 제3 롤러(63)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3중 섬유원단이 원활하게 벨트(70) 제공될 수 있도록 적정하게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3 롤러(63) 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3롤러(63)와 접하는 제4 롤러(64)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열처리에 제공되는 상기 3중 섬유원단의 이동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3 롤러(63)와 제4 롤러(64) 사이를 지난 상기 3중 섬유원단은 벨트(70) 위에 놓여져 제5 롤러(65)까지 이동된다. 또한, 상기 벨트(70) 위쪽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50)와 상기 전기히터(50)의 열을 상기 3중 섬유원단으로 원활히 이동시켜주는 송풍기(fan,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히터(50)와 송풍기(40)에 의해, 상기 벨트(70) 위에서 이동중인 상기 3중 섬유원단의 중간에 끼워진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이 수축을 하게 되며, 상기 수축에 의해 상기 3중 섬유원단의 앞,뒤면의 섬유원단(10)에 퀼트자수(30)누비 모양을 따라 엠보(31)가 형성된다. 상기 수축은 대략 150℃ 내지 170℃사이의 열이 가해짐으로써 이루어지며, 섬유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온도는 가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3중 섬유원단에 가해지는 열이 너무 낮으면, (예를 들면, 150℃ 미만), 엠보(31)가 잘 형성되지 않거나, 엠보(31)형성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또한, 너무 높으면(예를 들면, 170℃초과), 섬유원단의 색상이 변색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엠보(31)가 형성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3중 섬유원단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엠보(31)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고, 상기 3중 섬유원단의 이동속도가 느릴수록 엠보(31)의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 단계를 지나, 엠보(31)가 형성된 상기 3중 섬유원단은 마지막으로 제5 롤러(65)를 지나게 되며, 여기서 상기 단계들을 거친 상기 3중 섬유원단의 길이가 측정된다.
이상의 단계를 거쳐 엠보(31)가 형성된 3중 섬유원단은 일반적으로 스칼렙 이불과 같은 침구류나 의류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며, 엠보(31)의 형성으로 인해 땀 흡수 등이 잘 이루어져 땀의 흔적을 남기지 않아 외관상 보기 좋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섬유원단 20: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 30: 퀼팅자수 40: 송풍기
50: 전기히터 61: 제1 롤러 62: 제2 롤러 63: 제3 롤러
64: 제4 롤러 65: 제5 롤러 70: 벨트

Claims (3)

  1. 섬유원단에 열을 가하여 엠보를 형성하는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으로서,
    엠보(31)를 형성하기 위한 2장의 섬유원단(10) 사이에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를 삽입하는 예비단계;
    상기 예비단계를 거친 3중 섬유원단에 퀄팅자수(30)누비를 하여 엠보(31)가 형성될 모양을 만드는 자수형성단계;
    상기 자수형성단계를 거친 상기 3중 섬유원단을, 복수 개의 롤러(61 ~ 65)를 통과시키면서 열풍(熱風)을 가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단계는, 제1 롤러(61)를 이용하여 상기 3중 섬유원단을 수평으로 균일하게 펼친 후, 수직 하방으로 이동한 3중 섬유원단이 수직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롤러(62)를 이용하여 중심을 잡아주며, 상기 제2 롤러(62)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롤러(63)를 상하로 위치 조절하여 3중 섬유원단이 원활하게 벨트(70)에 제공하고, 상기 제3 롤러(63) 위에서 3중 섬유원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3롤러(63)와 접하는 제4 롤러(64)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열처리에 제공되는 상기 3중 섬유원단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벨트(70) 위에서 이동중인 3중 섬유원단에 열풍을 가하여 상기 3중 섬유원단의 중간에 끼워진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이 수축되어 엠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을 갖는 섬유원단(20)은 폴리에스테르 수축사(CR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은 전기히터(50) 및 송풍기(40)에 의해 150℃ ~ 170℃의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KR1020100042699A 2010-05-07 2010-05-07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KR101230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99A KR101230441B1 (ko) 2010-05-07 2010-05-07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99A KR101230441B1 (ko) 2010-05-07 2010-05-07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295A KR20110123295A (ko) 2011-11-15
KR101230441B1 true KR101230441B1 (ko) 2013-02-06

Family

ID=4539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699A KR101230441B1 (ko) 2010-05-07 2010-05-07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213B1 (ko) 2015-11-26 2016-09-21 한철운 프레스 타입의 마이크로 엠보 가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18B1 (ko) * 2012-10-16 2013-02-07 김순남 직물 주름/엠보싱 형성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2096360B1 (ko) * 2017-01-25 2020-04-03 (유)이안지오텍 아스팔트 포장 보강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507A (ko) * 2000-02-15 2001-09-01 정창현 수축성 직물을 이용한 누비이불 제조방법
KR200337190Y1 (ko) * 2003-09-09 2004-01-03 손대승 주름직물 가공원단
JP2007022066A (ja) 2005-06-17 2007-02-01 Kao Corp 伸縮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89114A (ko) * 2008-02-18 2009-08-21 주식회사 제승 주름을 지닌 이중직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507A (ko) * 2000-02-15 2001-09-01 정창현 수축성 직물을 이용한 누비이불 제조방법
KR200337190Y1 (ko) * 2003-09-09 2004-01-03 손대승 주름직물 가공원단
JP2007022066A (ja) 2005-06-17 2007-02-01 Kao Corp 伸縮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89114A (ko) * 2008-02-18 2009-08-21 주식회사 제승 주름을 지닌 이중직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213B1 (ko) 2015-11-26 2016-09-21 한철운 프레스 타입의 마이크로 엠보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295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5556B (zh) 无纺布及其制造方法
JP2623330B2 (ja) 経緯伸縮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368775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nonwoven fabric
TW55375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continuous filaments
KR200454138Y1 (ko) 인조피혁 엠보싱 가공장치
JP5374142B2 (ja) 不織布
KR101230441B1 (ko) 열처리를 이용한 엠보형성방법
CN107475879A (zh) 一种提花人造高低毛皮的生产制备方法
CN105729898A (zh) 一种复合非织造物及其制造装置
JP5656315B2 (ja) 経編み起毛布帛
JP2010138529A (ja) 不織布の製造方法
KR20010083507A (ko) 수축성 직물을 이용한 누비이불 제조방법
KR200337190Y1 (ko) 주름직물 가공원단
CN101429844B (zh) 一种易于折叠的窗帘
KR101946558B1 (ko) 엠보디자인 주름원단 제조방법
KR101448288B1 (ko) 인조모발 크림핑 방법
EP2127548A1 (en) Threadless quilt
US2022017019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penetration-preventing double-layer fabric and double-layer fabric
JP3166050U (ja) 伸縮性円筒形枕カバー布帛
WO2006112336A2 (ja) 部分形状記憶繊維、部分形状記憶繊維製編織物製品、および部分形状記憶繊維の製造方法
JP7149576B2 (ja) パイル織物およびパイル織物の製造方法
US2919484A (en) Ornamentation of fabrics
JP6001967B2 (ja) 熱セット生地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7217112A (zh) 一种皮革压花辊及具有其的压花机
KR101657426B1 (ko) 부직포의 열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