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560B1 - 화상 형성 장치 및 인쇄물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560B1
KR101228560B1 KR1020090085250A KR20090085250A KR101228560B1 KR 101228560 B1 KR101228560 B1 KR 101228560B1 KR 1020090085250 A KR1020090085250 A KR 1020090085250A KR 20090085250 A KR20090085250 A KR 20090085250A KR 101228560 B1 KR101228560 B1 KR 10122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toner image
image form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614A (ko
Inventor
소이치로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03G9/0926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21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parame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55Poly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5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properties, e.g. acidity, molecular weight, sensitivity to reacta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7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viscosity, solubility, melting temperature, softening temperatur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매체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1 토너상 형성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토너상 위에 배치되는 제2 토너상 형성 수단과,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1 토너상과, 상기 기록 매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토너상 위에 존재하는 제2 토너상을 포함하는 인쇄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토너 또는 상기 제1 토너상의 탈묵성(脫墨性)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1은, 상기 제2 토너 또는 상기 제2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2보다도 작다.
탈묵성 수용액, 접촉각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인쇄물{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RINTED ITEM}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지구 전체의 자연 환경을 보호하는 관점에서, 삼림 자원을 보호하는 중요성이 인식되어, 자원의 이용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 과제가 되고 있다. 자원의 이용 삭감의 일환으로서, 복사기, 프린터 등에서 사용된 용지를 재이용하는 것이 추진되고 있다. 재이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사진 장치에 의해 토너가 정착된 인쇄물을, 섬유에 고해(叩解)하여 토너를 제거한 후, 다시 용지로서 초지(抄紙)하는 방법(탈묵(脫墨) 처리)을 들 수 있다.
상기 탈묵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알칼리 분해성이 높은 결착 수지를 사용한 토너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생분해성을 갖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결착 수지로서 사용한 토너(일본 특개2002-327047호),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지는 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토너(일본 특개2002-55491호), 생분해성을 갖는 젖산계 수지를 결착 수지로서 함유하는 토너(일본 특개평7-120975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오프셋에 의한 정착 부재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물에 대한 접촉 각을 105 내지 130°각으로 규정한 토너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개2000-47428호).
본 발명의 어느 태양은, <1> 제1 토너상 형성 수단과, 제2 토너상 형성 수단과,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제1 토너상 형성 수단이,
제1 정전잠상 유지체,
그 제1 정전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제1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제1 정전잠상 형성 수단,
제1 토너를 함유하는 제1 현상제에 의해 그 제1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그 제1 토너상을 형성하는 제1 현상 수단, 및
그 제1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그 기록 매체 표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전사하는 제1 전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토너상 형성 수단이,
제2 정전잠상 유지체,
그 제2 정전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제2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제2 정전잠상 형성 수단,
제2 토너를 함유하는 제2 현상제에 의해 그 제2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그 제2 토너상을 형성하는 제2 현상 수단, 및
그 제2 토너상을 상기 제1 토너상을 거쳐 상기 기록 매체 표면에 배치되도록 그 기록 매체 표면에 전사하는 제2 전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착 수단이,
상기 기록 매체 표면에 전사된 상기 제1 토너상 및 상기 제2 토너상을 그 기록 매체에 정착하는 정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1은, 상기 제2 토너의 상기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2보다도 작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2>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인,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3> 상기 제1 토너는, 상기 제2 토너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1> 또는 <2>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4> 상기 제1 토너는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토너(비착색 토너)인 <1>∼<3> 중 어느 한 항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5> 각각 상기 제2 토너로서 착색 토너를 사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제2 토너상 형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착색 토너의 상기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어느 착색 토너의 상기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은 <4>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6> 상기 제1 토너는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을 중합성 단량체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2 토너는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을 중합성 단량체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1>∼<5> 중 어느 한 항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7>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각각 5000∼200000인 <6>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8>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70000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6>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9>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된 제1 토너상과, 그 제1 토너상을 거쳐 그 기록 매체 표면에 형성된 하나의 제2 토너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1은, 상기 제2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2보다도 작은,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0>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인, <9>의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1> 상기 제1 토너상은, 상기 제2 토너상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9> 또는 <10>의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2> 상기 제1 토너는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토너(비착색 토너)인 <9>∼<11> 중 어느 한 항의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3>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착색 토너상인 상기 제2 토너상을 포함하고, 상기 비착색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어느 착색 토너상의 상기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은 <12>의 인쇄물을 제공한 다.
본 발명은 또한, <14> 상기 제1 토너상은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을, 상기 제2 토너상은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을 각각 중합성 단량체 구성 성분으로서 중합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9>∼<13> 중 어느 한 항의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5>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200000인 <14>의 인쇄물을 제공한다.
<1>에 의하면,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탈묵성이 뛰어난 화상이 형성되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화상부의 보이드(void) 및 비화상부의 포깅(fogging))가 억제된다.
<2>에 의하면, θ21의 값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탈묵성이 더욱 뛰어난 화상이 형성되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화상부의 보이드 및 비화상부의 포깅)가 억제된다.
<3>에 의하면, 토너의 L*값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coloration)이 억제되는 화상이 형성된다.
<4>에 의하면, 제1 토너가 비착색 토너 이외인 경우에 비해,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을 억제할 수 있다.
<5>에 의하면, 상기 접촉각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탈묵성이 뛰어난 화상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 될 수 있다.
<6>에 의하면, 상기 제1 토너 및/또는 제2 토너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형성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인쇄물에 비해, 탈묵제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제어와 대전 안정성을 보다 용이하게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7>에 의하면, 제1 토너가 상기 Mw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저온 정착성, 내(耐)핫오프셋성 및 도큐먼트 보존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8>에 의하면, 저온 정착성, 내핫오프셋성 및 도큐먼트 보존성을 보다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9>에 의하면,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탈묵성이 뛰어나고, 또한,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의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화상부의 보이드 및 비화상부의 포깅)가 억제된다.
<10>에 의하면, θ21의 값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보다 탈묵성이 뛰어나고, 또한,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의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화상부의 보이드 및 비화상부의 포깅)가 억제된다.
<11>에 의하면, 토너상의 L*값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이 억제된다.
<12>에 의하면, 제1 토너가 비착색 토너가 아닌 경우에 비해,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을 억제할 수 있다.
<13>에 의하면, 상기 특정의 접촉각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탈묵성이 뛰어난 화상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14>에 의하면, 상기 제1 토너 및/또는 제2 토너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형성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요구되는 화상 강도와 탈묵성을 보다 용이하게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15>에 의하면, 저온 정착성, 내핫오프셋성 및 도큐먼트 보존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전 도면을 통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련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는, 기록 매체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 토너상(제1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이하,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로서,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토너(이하, 「비착색 토너(colorless toner)」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사용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1)는, 색분해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블랙(K), 마젠타(M), 시안(C), 옐로우(Y)의 각 색의 화상을 출력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제1∼제4 화상 형성 유닛(이하, 단순히 「유닛」이라 한다) (10K, 10M, 10C, 10Y)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상기 착색된 화상의 색미(色味)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착색의 화상을, 화상 영역 전체에 형성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제5 유닛(10S)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지(P) 표면의 화상이 존재하는 영역에는 모두, 제5 유닛(10S)에 의해 형성되는 비착색의 토너 화상(이하, 「비착색 토너상」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형성된다. 따라서, 어떠한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비착색 토너상이, 기록지(P)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 토너상이다.
한편, 제1∼제4 유닛(10K, 10M, 10C, 10Y)에 의해 형성되는 블랙, 마젠타, 시안, 옐로우의 토너 화상(이하, 각각「블랙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시안 토너상」, 「옐로우 토너상」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어느 것도, 기록지(P) 표면에 있어서, 상기 비착색 토너상이 존재하는 개소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블랙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시안 토너상, 및 옐로우 토너상은, 상기 접촉 토너상을 거쳐 기록지(P) 표면에 형성되는 비접촉 토너상(제2 토너상)이다.
이들 유닛(10K, 10M, 10C, 10Y, 10S)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병설되어 있다. 또, 이들 유닛(10K, 10M, 10C, 10Y, 10S)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탈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어도 좋다.
각 유닛(10K, 10M, 10C, 10Y, 10S)의 도면에서의 상방에는, 각 유닛을 통해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20)가 연설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20)는, 도면에서의 좌로부터 우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 구동 롤러(22) 및 중간 전사 벨트(20) 내면에 접하는 지지 롤러(24)에 권회(卷回)되어 마련되어, 제1 유닛(10K)∼제4 유닛(10Y)을 향하는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 롤러(24)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 등에 의해 구동 롤러(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付勢)되어 있어, 양자에 권회된 중간 전사 벨트(20)에 장력이 주어져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0)의 측면에는, 구동 롤러(22)와 대향시켜 중간 전사체 클리닝 장치(30)가 구비되어 있다.
각 유닛(10K, 10M, 10C, 10Y)의 현상 장치(현상 수단)(4K, 4M, 4C, 4Y)의 각각에는, 토너 카트리지(8K, 8M, 8C, 8Y)에 수용된 블랙, 마젠타, 시안, 옐로우의 4색의 토너(이하, 「블랙 토너」, 「마젠타 토너」, 「시안 토너」, 「옐로우 토너」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가 공급된다.
유닛(10S)의 현상 장치(4S)에는, 토너 카트리지(8S)에 수용된,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토너(이하, 「비착색 토너」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가 공급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닛(10S)의 현상 장치(4S)에 공급되는 비착색 토너가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이다. 또한, 유닛(10K, 10M, 10C, 10Y)의 현상 장치(4K, 4M, 4C, 4Y)의 각각에 공급되는 블랙 토너, 마젠타 토너, 시안 토너, 옐로우 토너가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하는 토너(비착색 토너, 옐로우 토너, 시안 토너, 마젠타 토너, 및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중, 비착색 토너의 탈 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가장 작다.
즉, 비착색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11(°), 옐로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21(°), 시안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22(°), 마젠타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23(°),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24(°)라 하면, θ1121, θ1122, θ1123, 및 θ1124의 모두가 성립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θ21∼θ24의 어느 값보다도 θ11이 작은 값이면 좋고, θ21∼θ24가 상대적으로 어떠한 대소 관계이어도 좋다.
제1∼제5 유닛(10K, 10M, 10C, 10Y, 10S)은, 동등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이들 유닛의 대표로서, 중간 전사 벨트 주행 방향의 상류측에 배설된 블랙 화상을 형성하는 제1 유닛(10K)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유닛(10K)과 동등한 부분에, 블랙(K) 대신에, 마젠타(M), 시안(C), 옐로우(Y), 비착색(S)을 붙인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제2∼제5 유닛(10M, 10C, 10Y, 10S)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유닛(10K)은, 상유지체로서 작용하는 감광체(1K)(정전잠상 유지체)를 갖고 있다. 감광체(1K)의 주위에는, 감광체(1K)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2K)(대전 수단(charging unit)), 대전된 감광체(1K)의 표면을 색분해된 화상 신호에 의거한 레이저 광선(3K)에 의해 노광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3)(정전잠상 형성 수단(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ing unit)), 현상제에 함 유되는 대전한 토너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4K)(현상 수단(developing unit)), 현상 장치(4K)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형성된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20) 위에 전사(1차 전사)하는 1차 전사 롤러(5K)(전사 수단(transferring unit)), 및 1차 전사 후에 감광체(1K)의 표면에 잔존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감광체 클리닝 장치(6K)가 순서대로 배설되어 있다.
1차 전사 롤러(5K)는, 중간 전사 벨트(20)의 내측에 배치되고, 감광체(1K)에 대향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1차 전사 롤러(5K, 5M, 5C, 5Y, 5S)에는, 1차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바이어스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바이어스 전원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의해, 각 1차 전사 롤러에 인가하는 전사 바이어스를 가변한다.
이하, 제1 유닛(10K)에 있어서 블랙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동작에 앞서, 대전 롤러(2K)에 의해 감광체(1K)의 표면이 -600V∼-800V 정도의 전위로 대전된다(대전 공정).
감광체(1K)는, 도전성(20℃에서의 체적 저항률 : 1×10-6Ωcm 이하)의 기체(基體) 위에 감광층을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감광층은, 통상은 고저항(일반적인 수지 정도의 저항)이지만, 레이저 광선(3K)이 조사되면, 레이저 광선이 조사된 부분의 비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래서, 대전한 감광체(1K)의 표면에,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로부터 보내오는 블랙용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노광 장치(3)를 거쳐 레이저 광선(3K)을 출력한다. 레이저 광선(3K)은, 감광체(1K)의 표면의 감광층에 조사되고, 그에 의해, 블랙 인자 패턴의 정전잠상이 감광체(1K)의 표면에 형성된다(정전잠상 형성 공정).
정전잠상이란, 대전에 의해 감광체(1K)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이다. 정전잠상은, 레이저 광선(3K)에 의해, 감광층의 피조사 부분의 비저항이 저하하여, 감광체(1K)의 표면의 대전한 전하가 흐르고, 한편, 레이저 광선(3K)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전하가 잔류함으로써 형성되는, 이른바 네가티브 잠상이다.
이와 같이 하여 감광체(1K) 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감광체(1K)의 주행에 따라 현상 위치까지 회전된다. 그리고, 이 현상 위치에서, 감광체(1K) 위의 정전잠상이, 현상 장치(4K)에 의해 가시상화(현상)된다(현상 공정).
현상 장치(4K) 내에는, 블랙 토너가 수용되어 있다. 블랙 토너는, 현상 장치(4K)의 내부에서 교반됨으로써 마찰 대전하고, 감광체(1K) 위에 대전한 대전하와 같은 극성(부(-)극성)의 전하를 갖고 현상제 롤(현상제 유지체) 위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체(1K)의 표면이 현상 장치(4K)를 통과해감으로써, 감광체(1K) 표면상의 제전된 잠상부에 블랙 토너가 정전적으로 부착하여, 잠상이 블랙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블랙의 토너상이 형성된 감광체(1K)는, 이어서 주행되어, 감광체(1K) 위에 현상된 토너상이 1차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감광체(1K) 위의 블랙 토너상이 1차 전사로 반송되면, 1차 전사 롤러(5K)에 1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감광체(1K)로부터 1차 전사 롤러(5K)를 향하는 정전기력이 토너상에 작용되어, 감광체(1K) 위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20) 위에 전사된다. 이 때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는, 토너의 극성(-)과 역극성의 (+)극성 이며, 예를 들면 제4 유닛(10K)에서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10μA 정도로 제어되어 있다.
한편, 감광체(1K) 위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닝 장치(6K)로 제거되어 회수된다.
또한, 제2 유닛(10M) 이후의 1차 전사 롤러(5M, 5C, 5Y, 5S)에 인가되는 1차 전사 바이어스도, 제1 유닛에 준하여 제어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유닛(10K)에서 블랙 토너상이 전사된 중간 전사 벨트(20)는, 제2∼제5 유닛(10M, 10C, 10Y, 10S)을 통해 순차 반송되고, 각 색의 토너상이 중첩되어 다중 전사된다.
즉, 모든 토너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 위에 전사된 토너상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블랙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시안 토너상, 옐로우 토너상, 비착색 토너상이 이와 같은 순으로 중첩되어 있다.
제1∼제5 유닛을 통해 4색의 토너상 및 비착색 토너상이 다중 전사된 중간 전사 벨트(20)는, 중간 전사 벨트(20)와 중간 전사 벨트(20) 내면에 접하는 지지 롤러(24)와 중간 전사 벨트(20)의 상유지면측에 배치된 2차 전사 롤러(26)(전사 수단)로 구성된 2차 전사부에 이른다. 한편, 기록지(P)(기록 매체)가 공급 기구를 거쳐 2차 전사 롤러(26)와 중간 전사 벨트(20)가 압접(壓接)되어 있는 간극에 급지되고,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지지 롤러(24)에 인가된다. 이 때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는, 토너의 극성(-)과 같은 극성의 (-)극성이며, 중간 전사 벨트(20)로부터 기 록지(P)를 향하는 정전기력이 토너상에 작용되어, 중간 전사 벨트(20) 위의 토너상이 기록지(P) 위에 전사된다(전사 공정). 또, 이 때의 2차 전사 바이어스는 2차 전사부의 저항을 검출하는 저항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 저항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전압 제어되어 있다.
기록지(P) 위에 전사된 토너상에서는, 기록지(P)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비착색 토너상, 옐로우 토너상,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블랙 토너상의 순으로 중첩되어 있다. 즉, 비착색 토너상이, 기록지(P)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 토너상이며, 옐로우 토너상,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및 블랙 토너상이, 접촉 토너상을 거쳐 기록지(P) 위에 형성된 비접촉 토너상이다.
이 후, 기록지(P)는 정착 장치(28)(정착 수단(fixing unit))로 송입되고 토너상이 가열되어, 색중첩한 토너상이 용융(fuse)되어, 기록지(P) 위에 정착된다(정착 공정). 컬러 화상의 정착이 완료한 기록지(P)는, 배출부를 향해 반출되어, 일련의 컬러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인 비착색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인 블랙 토너, 마젠타 토너, 시안 토너, 및 옐로우 토너의 어느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탈묵성이 뛰어난 화상이 형성되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화상부의 보이드 및 비화상부의 포깅)가 억제된다.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명확하지는 없지만,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기록 매체인 종이를 재생하는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되는 토너는, 정착에 의해 종이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여, 종이의 섬유와 얽힌 상태의 「헤어리 토너(hairy toner)」이다. 종이에 정착된 토너상 중, 종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는, 니딩 등의 기계적 처리에 의해 충분히 해리하는 경우가 많지만, 종이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정착된 토너는 상기 헤어리 토너가 되는 경우가 많다.
복수의 토너상을 순서대로 중첩하여 종이에 전사하고 정착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경우, 종이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정착되는 토너상, 즉, 종이에 접촉하여 정착하는 토너상(접촉 토너상)의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작게 함으로써,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에 대한 탈묵성 수용액의 침투성이 향상한다. 그 결과, 탈묵 공정에서, 탈묵제에 의한 종이 섬유로부터의 토너 박리 작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탈묵성이 개선된다고 추측된다.
한편,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너무 작아지면, 토너의 친수성이 높아짐으로써 토너의 흡습성이 올라간다. 그 때문에, 특히 고습도 환경 하에서 토너가 물을 흡수하여 대전 저하를 발생시키고, 그에 의해 화질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토너상 이외의 토너상, 즉, 모든 비접촉 토너상에 사용하는 토너(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크다. 그 때문에,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친수성이 너무 높아지지 않아,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된다고 추측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θ2111의 값, θ2211의 값, θ2311의 값, 및 θ2411의 값이 어느 것도 2.5°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 장치(101)가 상기 구성임으로써, 탈묵성이 더욱 뛰어난 화상이 형성되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인 비착색 토너의 L*값이,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인 블랙 토너, 마젠타 토너, 시안 토너, 및 옐로우 토너의 L*값에 비해 큰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하는 모든 토너 중, 가장 L*값이 큰 토너를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 장치(101)가 상기 구성임으로써, 설령 탈묵 처리 후에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가 잔류했다고 해도, 잔류한 토너(잔류 토너)의 L*값이 크기 때문에,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서 비착색 토너를 사용하고 있고, 비착색 토너는 다른 착색 토너의 색미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화상의 색재현성이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사용하는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이 상기와 같지만, 비착색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밖의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은 것이라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서 비착색 토너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옐로우, 시안, 마젠타, 또는 블랙으로 착색된 토너를 사용해도 좋고, 그 밖의 색으로 착색된 토너를 사용해도 좋다. 비착색 토너 대신에 사용 가능한 구체적인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서는, 예를 들면, 4색 중 가장 색미에 영향을 주기 어려운 옐로우 토너나, 기록지(P)의 색에 가까운 색으로 착색한 토너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가 유닛(10K, 10M, 10C, 10Y, 10S)으로 반송될 때, 상기 순으로 반송되는 구성을 갖지만, 유닛(10S)이 마지막이라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그 밖의 유닛(10K, 10M, 10C, 10Y)의 순서가 교체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를 거쳐 토너상을 기록지(P)에 전사하는 구성을 갖지만,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광체로부터 직접 토너상이 기록지에 전사되는 구조이어도 좋다. 감광체로부터 직접 토너상이 기록지에 전사되는 구조의 경우에 있어서도, 기록지(P)에 직접 접하는 토너상이 상기 접촉 토너상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 위에 적층된 모든 토너상을 2차 전사 롤러(26)에 의해 기록지(P)에 전사하는 구성을 갖지만, 토너상의 전사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각의 토너상이 개별로 기록지(P)에 전사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는, 5련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 치이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로터리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이어도 좋다.
인쇄물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제조되는 인쇄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인쇄물(110)은, 비착색 토너, 옐로우 토너, 시안 토너, 마젠타 토너, 및 블랙 토너의 모든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인쇄물(110)은, 구체적으로는, 기록지(P)(기록 매체)와, 기록지(P)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된 비착색 토너상(114S)(접촉 토너상)과, 비착색 토너상(114S)을 거쳐 기록지(P)에 형성된 옐로우 토너상(114Y), 시안 토너상(114C), 마젠타 토너상(114M), 및 블랙 토너상(114K)(비접촉 토너상)을 갖는다.
즉, 기록지(P)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비착색 토너상(114S), 옐로우 토너상(114Y), 시안 토너상(114C), 마젠타 토너상(114M), 블랙 토너상(114K)의 순으로 토너상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비착색 토너상(114S)이 상기 접촉 토너상이며, 옐로우 토너상(114Y), 시안 토너상(114C), 마젠타 토너상(114M), 및 블랙 토너상(114K)이 상기 비접촉 토너상이다.
기록지(P)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토너상은, 상기 대응하는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기록지(P) 위에 형성되는 토너상이다. 토너상의 형성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동작에 관한 상기 설명에 따른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110)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를 사용하여 화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든 토너상(비착색 토너상(114S), 옐로우 토너상(114Y), 시안 토너상(114C), 마젠타 토너상(114M), 및 블랙 토너상(114K))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중, 비착색 토너상(114S)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가장 작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110)은, 접촉 토너상인 비착색 토너상(114S)에 대한 탈묵성 수용액의 침투성이 높기 때문에 탈묵성이 양호하며, 비접촉 토너상 형성시에 있어서의 토너의 대전 저하가 억제되기 때문에 화질이 양호하다(화상부의 보이드 및 비화상부의 포깅이 적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차(θ2111, θ2211, θ2311, 및 θ2411의 값)에 대해서도, 상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차와 같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110)은, 탈묵성 및 화질이 보다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너상의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에 대해서도, 상기 토너의 L*값과 같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110)에서는,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이 억제된다.
인쇄물(110)은, 상기와 같이, 모든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된 것이지만,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제조되는 인쇄물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화상의 색에 따라, 사용되는 토너가 선택된다. 단, 어떠한 색의 화상을 형성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비착색 토너상(114S)은 기록지(P)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어, 비착색 토너상(114S)을 거쳐 기록지(P) 위에, 그 밖의 착색된 토너상이 단독으로 또는 복수 적층되어 형성된다. 비착색 토너상(114S)이 화상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하지(下地)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탈묵성 및 화상 열화 억제의 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비착색 토너상(114S)이 화상의 색미에 영향을 주지 않아, 색재현성이 좋은 화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이 상기와 같지만, 비착색 토너상(114S)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밖의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은 것이면,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토너상으로서 비착색 토너상(114S)을 사용하고 있지만, 접촉 토너상은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접촉 토너상으로서, 비착색 토너상(114S) 대신에 옐로우의 토너상을 사용해도 좋고, 비착색 토너상(114S) 대신에 기록지(P)의 색에 가까운 색으로 착색한 토너상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인쇄물(110)에서는, 토너상이 상기 배치순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기록지(P)에 직접 접촉하여 비착색 토너상(114S)이 형성되어 있으면 토너상의 배치순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블랙 토너상(114K), 마젠타 토너상(114M), 시안 토너상(114C), 및 옐로우 토너상(114Y)의 순서가 교체된 것이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련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2)는, 비착색 토너를 사용하지 않고, 옐로우 토너를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서 사용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2)는, 제1∼제4 유닛(10K, 10M, 10C, 10Y)을 구비하고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101)에 있었던 제5 유닛(10S)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유닛(10Y)에 의해 형성되는 옐로우 토너상이 접촉 토너상이며, 기록지(P) 표면의 화상이 존재하는 영역에는 모두, 옐로우 토너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어떠한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옐로우 토너상이, 기록지(P)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 토너상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하는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중, 옐로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가장 작다.
즉, 옐로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12(°), 시안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22(°), 마젠타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23(°),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24(°)라 하면, θ1222, θ1223, 및 θ1224의 모두가 성립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토너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20)의 표면상에 전사된 토너상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블랙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시안 토너상, 옐로우 토너상의 순으로 중첩되어 있다.
또한 기록지(P) 위에 전사된 토너상에서는, 기록지(P)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옐로우 토너상,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블랙 토너상의 순으로 중첩되어 있다.
즉, 옐로우 토너상이, 기록지(P)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 토너상이며,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및 블랙 토너상이, 옐로우 토너상(접촉 토너상)을 거쳐 기록지(P) 위에 형성된 비접촉 토너상이다.
이들 차이 이외는, 화상 형성 장치(102)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1)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2)에서는, 상기와 같이,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인 옐로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인 블랙 토너, 마젠타 토너, 및 시안 토너의 어느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다. 따라서, 탈묵성이 뛰어난 화상이 형성되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2)에서는, θ2212의 값, θ2312의 값, 및 θ2412의 값이 어느 것도 2.5°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 장치(102)가 상기 구성임으로써, 탈묵성이 더욱 뛰어난 화상이 형성되고, 또 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2)에서는, 사용하는 모든 토너 중, 가장 L*값이 큰 토너를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 장치(102)가 상기 구성임으로써,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이 억제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2)에서는, 사용하는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이 상기와 같지만, 옐로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밖의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낮다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2)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가 유닛(10K, 10M, 10C, 10Y)으로 반송될 때, 상기 순으로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유닛(10Y)이 마지막이라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그 밖의 유닛(10K, 10M, 10C)의 순서가 교체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다른 모든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다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유닛(10K, 10M, 10C, 10Y)의 순서가 교체되어도 좋고, 유닛의 종류를 증감시켜도 좋다.
인쇄물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2)에 의해, 옐로우 토너, 시안 토너, 마젠타 토너, 및 블랙 토너의 모든 토너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인쇄물은, 기록 지(P)(기록 매체)와, 기록지(P)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된 옐로우 토너상(접촉 토너상)과, 옐로우 토너상(접촉 토너상)을 거쳐 기록지(P)에 형성된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및 블랙 토너상(비접촉 토너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은, 화상 형성 장치(102)를 사용하여 화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든 토너상(옐로우 토너상,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및 블랙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중, 옐로우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가장 작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은, 탈묵성이 뛰어나고, 또한, 화질이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차(θ2212, θ2312, 및 θ2412의 값)에 대해서도, 상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차와 같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은, 보다 탈묵성 및 화질이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너상의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에 대해서도, 상기 토너의 L*값과 같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에서는,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이 억제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에서는,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이 상기와 같지만, 옐로우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밖의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은 것이면,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에서는, 토너상이 상기 순서로 형성되어 있지만, 기록지(P)에 직접 접촉하여 옐로우 토너상이 형성되어 있으면 이것에 한하지 않고, 블랙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및 시안 토너상의 순서가 교체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지(P)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는 접촉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밖의 모든 비접촉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다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토너상의 순서가 교체되어도 좋고, 토너상의 종류가 증감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노크롬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4)는,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다른 동색의 블랙 토너를 2종류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작은 쪽의 블랙 토너(제2 블랙 토너)를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서 사용하고,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큰 쪽의 블랙 토너(제1 블랙 토너)를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서 사용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4)의 구체적 구성은, 화상 영역 전체에 블랙의 화상을 형성하는 제1 유닛(10K)과 제2 유닛(10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유닛(1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블랙 토너상이 접 촉 토너상이다. 또한 제1 유닛(10K)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블랙 토너상이 비접촉 토너상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블랙 토너상을 형성에 사용하는 제2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제1 블랙 토너상을 형성에 사용하는 제1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다. 즉, 제2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13(°), 제1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θ24(°)라 하면, θ1324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의 표면상에 전사된 토너상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0)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제1 블랙 토너상, 제2 블랙 토너상의 순으로 중첩되어 있다.
또한 기록지(P) 위에 전사된 토너상에서는, 기록지(P)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제2 블랙 토너상, 제1 블랙 토너상의 순으로 중첩되어 있다.
이들 차이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1)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4)에서는, 상기와 같이,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인 제2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인 제1 블랙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다. 따라서, 탈묵성이 뛰어난 화상이 형성되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4)에서는, θ2413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 장치(104)가 상기 구성임으로써, 탈묵성이 더욱 뛰어난 화상이 형성되고, 또한,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4)에서는, 상기와 같이, 동색(블랙)의 토너를 2종류 사용하고 있지만, 토너의 색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형성하는 화상의 색에 따라 토너의 색을 선택해도 좋다. 또한, 2종류의 토너의 색이 달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서 비착색 토너를 사용하고,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로서 블랙 토너를 사용하는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인쇄물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4)에 의해 제조되는 인쇄물은, 기록지(P)(기록 매체)와, 기록지(P)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된 제2 블랙 토너상(접촉 토너상)과, 제2 블랙 토너상(접촉 토너상)을 거쳐 기록지(P)에 형성된 제1 블랙 토너상(비접촉 토너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4)를 사용하여 화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촉 토너상인 제2 블랙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비접촉 토너상인 제1 블랙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은, 탈묵성 및 화질이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차(θ 2413의 값)가 2.5° 이상 10° 이하이다. 그 때문에, 보다 탈묵성 및 화질이 양호하다.
본 실시 형태의 인쇄물에서는, 접촉 토너상 및 비접촉 토너상이 어느 것도 블랙 토너상이지만, 접촉 토너상 및 비접촉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상기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면, 이것에 한하지 않고, 형성하는 화상의 색에 따라 토너상의 색을 선택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접촉 토너상 및 비접촉 토너상이 어느 것도 시안 토너상이어도 좋고, 접촉 토너상이 비착색 토너상이며 비접촉 토너상이 블랙 토너상이어도 좋다.
토너
상기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토너는, 적어도 결착 수지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착색제, 이형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결착 수지
결착 수지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스티렌, 파라클로로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류;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비닐기를 갖는 에스테르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니트릴류;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비닐이소프로페닐케톤 등의 비닐케톤류;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폴리올레핀류 등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조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 또한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등, 비(非)비닐 축합 수지, 또는, 이들과 상기 비닐 수지의 혼합물이나, 이들의 공존 하에서 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그래프트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 수지, (메타)아크릴 수지, 스티렌-(메타)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예를 들면, 하기의 스티렌계 단량체 및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스티렌계 단량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이나,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에틸스티렌, 3-에틸스티렌, 4-에틸스티렌 등의 알킬쇄를 갖는 알킬 치환 스티렌, 2-클로로스티렌, 3-클로로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등의 할로겐 치환 스티렌, 4-플루오로스티렌, 2,5-디플루오로스티렌 등의 불소 치환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n-메틸, (메타)아크릴산n-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n-펜틸, (메타)아크릴산n-헥실, (메타)아크릴산n-헵틸, (메타)아크릴산n-옥틸, (메타)아크릴산n-데실, (메타)아크릴산n-도데실, (메타)아크릴산n-라우릴, (메타)아크릴산n-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산n-헥사데실, (메타)아크릴산n-옥타데실, (메타)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t- 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펜틸, (메타)아크릴산아밀, (메타)아크릴산네오펜틸, (메타)아크릴산이소헥실, (메타)아크릴산이소헵틸,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페닐, (메타)아크릴산비페닐, (메타)아크릴산디페닐에틸, (메타)아크릴산t-부틸페닐, (메타)아크릴산터페닐,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t-부틸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β카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 수지, (메타)아크릴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 수지를 결착 수지로서 사용하는 경우,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20,000 이상 100,000 이하, 수평균 분자량 Mn이 2,000 이상 30,000 이하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결착 수지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5,000 이상 40,000 이하, 수평균 분자량 Mn이 2,000 이상 10,000 이하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 수지, (메타)아크릴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이상 8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내열 블로킹성 및 최저 정착 온도가 유지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되고, 다가 카르복시산 성분과 다가 알코올 성분으로 합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 고, 합성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여기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있어서, 계단상의 흡열량 변화가 아니라, 명확한 흡열 피크를 갖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DSC에 있어서 계단상의 흡열량 변화가 인정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다가 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1,9-노난디카르복시산, 1,10-데칸디카르복시산, 1,12-도데칸디카르복시산, 1,14-테트라데칸디카르복시산, 1,18-옥타데칸디카르복시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말론산, 메사콘산 등의 2염기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등의 지환식 카르복시산류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의 무수물이나 이들의 저급 알킬에스테르도 들 수 있다.
3가 이상의 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1,2,4-벤젠트리카르복시산, 1,2,5-벤젠트리카르복시산, 1,2,4-나프탈렌트리카르복시산 등, 및 이들의 무수물이나 이들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이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이외에, 2중 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2중 결합을 갖는 디카르복시산은, 2중 결합을 거쳐, 라디칼적으로 가교 결합시킬 수 있는 점에서 정착시의 핫오프셋을 막기 때문에 호적(好適)하게 사용된다. 당해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산, 푸마르산, 3-헥센디오산, 3-옥텐디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저급 에스테르, 산무수물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용의 점에서, 푸마르산,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지방족 디올류; 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수첨(hydrogenated) 비스페놀A 등의 지환식 디올류; 비스페놀A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비스페놀A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방향족 디올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다가 알코올의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해도 좋다.
또,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는, 이들 다가 알코올 중, 방향족 디올류, 지환식 디올류가 바람직하고, 또한 방향족 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는, 지방족 디올이 바람직하고, 주쇄 부분의 탄소수가 7∼20인 직쇄형 지방족 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디올이 분기형의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성이 저하하여, 융해 온도가 강하하기 때문에, 양호한 토너 블로킹 내성, 화상 보존성, 및 저온 정착성(예를 들면 110℃ 이하에서 정착)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탄소수가 7 미만이면,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축중합시키는 경우, 융해 온도가 높아져, 저온 정착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 한편, 20을 초과하면 실용상의 재료의 입수가 곤란하게 되기 쉽다. 상기 탄소수로서는 1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에 호적하게 사용되는 지방족 디올로 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1,11-운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1,13-트리데칸디올, 1,14-테트라데칸디올, 1,18-옥타데칸디올, 1,14-에이코산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입수 용이성을 고려하면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이 바람직하다.
3가 이상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가 알코올 성분 중, 상기 지방족 디올 성분의 함유량이 8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호적하게는, 90몰% 이상이다. 상기 지방족 디올 성분의 함유량이 80몰% 미만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성이 저하하여, 융해 온도가 강하하기 때문에, 양호한 토너 블로킹 내성, 화상 보존성 및 저온 정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산가나 수산기가의 조정 등의 목적에서, 아세트산, 벤조산 등의 1가의 산이나, 시클로헥산올, 벤질알코올 등의 1가의 알코올을 사용해도 좋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르복시산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다가 알코올 및 다가 카르복시산에, 필요에 따라 촉매를 넣고, 온도계, 교반기, 유하식 콘덴서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배합하고,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등)의 존재 하, 150℃∼250℃로 가열 하여, 부생(副生)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연속적으로 반응계 외로 제거하고, 목적의 산가에 달한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시켜, 냉각하여, 목적으로 하는 반응물을 취득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에 사용하는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등의 유기 금속이나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등의 금속 알콕시드 등의 에스테르화 촉매를 들 수 있다. 상기 촉매의 첨가량은, 원재료의 총량에 대해 0.01질량%∼1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에 사용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은, 테트라히드로푸란(THF) 가용분의 상기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한 분자량 측정에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2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호적하게는 7000∼100000의 범위이며, 수평균 분자량(Mn)은 2000∼1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 분포 Mw/Mn은 1.5∼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호적하게는 2∼10의 범위이다.
또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해서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7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호적하게는 15000∼50000의 범위이며, 수평균 분자량(Mn)은 2000∼2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 분포 Mw/Mn은 1.5∼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호적하게는 2.0∼4.0의 범위이다.
중량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저온 정착성에는 효과적이기는 한 반면, 내(耐)핫오프셋성이 현저하게 나빠질 뿐만 아니라, 토너의 유리 전이 온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토너의 블로킹 등 보존성에도 악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 분자량이 큰 경우에는, 내핫오프셋성은 충분히 부여되지만, 저온 정착성은 저하하는 이외에, 토너 중에 존재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상의 염출(染出)을 저해하기 때문에, 도큐먼트 보존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술의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저온 정착성, 내핫오프셋성 및 도큐먼트 보존성을 양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및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이하의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하기 조건으로 행했다. GPC는 「HLC-8120GPC, SC-8020(도소(주)사제) 장치」를 사용하고, 칼럼은 「TSKgel, SuperHM-H(도소(주)사제 6.0mmID×15cm)」를 2개 사용하고, 용리액으로서 THF(테트라히드로푸란)를 사용했다. 실험 조건으로서는, 시료 농도 0.5%, 유속 0.6ml/min., 샘플 주입량 10μL, 측정 온도 40℃, IR 검출기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했다. 또한, 검량선은 도소사제「polystylene 표준 시료 TSK standard」:「A-500」, 「F-1」, 「F-10」, 「F-80」, 「F-380」, 「A-2500」, 「F-4」, 「F-40」, 「F-128」, 「F-700」의 10샘플로부터 제작하여 행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수지 1g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KOH의 mg수)는, 상기 호적한 분자량 분포를 얻기 쉬운 것이나, 유화 분산법에 의한 토너 입자의 조립성(造粒性)을 확보하기 쉬운 것이나, 얻어지는 토너의 환경 안정성(온도·습도가 변화했을 때의 대전성의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유지하기 쉬운 것 등에서, 1∼30mgKOH/g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는, 원료의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배합비와 반응률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의 말단의 카르복시기를 제어함으로써 조정된다. 혹은 다가 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 무수트리멜리트산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의 주쇄 중에 카르복시기를 갖는 것이 얻어진다.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35∼1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장 안정성과 토너의 정착성의 밸런스의 점에서, 50∼80℃인 것이 보다 호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35℃ 미만이면, 토너가 저장 중 또는 현상기 중에서 블로킹(토너의 입자가 응집하여 덩어리가 되는 현상)을 일으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 한편, 유리 전이 온도가 100℃를 초과하면, 토너의 정착 온도가 높아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해 온도는, 60∼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00℃의 범위인 것이 보다 호적하다.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해 온도가 60℃ 미만이면, 분체의 응집이 일어나기 쉬워지거나, 정착 화상의 보존성이 나빠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120℃를 초과하면, 화상 거침을 일으켜 저온 정착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해 온도는, 상기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얻어진 흡열 피크의 피크 온도로서 구했다.
착색제
착색제로서는, 공지의 착색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퍼네이스 블랙, 채널 블랙, 아세틸렌 블랙, 써멀 블랙 등의 카본 블랙, 벵갈라, 감청, 산화티탄 등의 무기 안료, 패스트 옐로우, 디스아조 옐로우, 피라졸론 레드, 킬레 이트 레드, 브릴리언트 카민, 파라 브라운 등의 아조 안료; 구리프탈로시아닌,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안료; 플라밴트론 옐로우, 디브로모안트론 오렌지, 페릴렌 레드, 퀴나크리돈 레드, 디옥사진 바이올렛 등의 축합 다환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롬 옐로우, 한자 옐로우, 벤지딘 옐로우, 트렌 옐로우, 퀴놀린 옐로우, 퍼머넌트 오렌지GTR, 피라졸론 오렌지, 불칸 오렌지, 왓청 레드, 퍼머넌트 레드, 듀퐁 오일 레드, 리톨 레드, 로다민B레이크, 레이크 레드C, 로즈벵갈, 아닐린 블루, 울트라마린 블루, 칼코오일 블루, 메틸렌 블루 클로라이드,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말라카이트 그린 옥살레이트, C.I. 피그먼트·레드48:1, C.I. 피그먼트·레드122, C.I. 피그먼트·57:1, C.I. 피그먼트·옐로우12, C.I. 피그먼트·옐로우97, C.I. 피그먼트·옐로우17, C.I. 피그먼트·블루15:1, C.I. 피그먼트·블루15:3 등의 여러가지 안료 등이 예시되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아울러 사용된다.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으로서는, 결착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3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표면 처리된 착색제를 사용하거나, 안료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상기 착색제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옐로우 토너, 마젠타 토너, 시안 토너, 블랙 토너 등이 얻어진다.
단, 비착색 토너는, 상기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토너이다.
이형제
이형제로서는, 공지의 이형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카나 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칸델릴라 왁스 등의 천연 왁스;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사졸(Sasol)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피셔-트롭쉬 왁스, 파라핀 왁스, 몬탄 왁스 등의 합성 혹은 광물·석유계 왁스; 지방산 에스테르, 몬탄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계 왁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의 이형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해도 좋다.
이형제의 융해 온도는, 보존성의 관점에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내오프셋성의 관점에서,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형제의 함유량은, 결착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2∼3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2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형제의 함유량이 2질량부 미만이면 이형제 첨가의 효과가 없고, 고온(예를 들면 190℃)에서의 핫오프셋(토너 전체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응집력이 저하함으로써, 가열면에 토너가 부착하는 현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30질량부를 초과하면, 대전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음과 함께, 토너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현상기 내에서의 스트레스로 파괴되기 쉬워져, 캐리어 오염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그 밖의 성분
토너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또한 필요에 따라 내첨제, 대전 제어제, 무기 분체(무기 입자), 유기 입자 등의 여러가지 성분을 첨가해도 좋다.
내첨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 환원철, 코발트, 니켈, 망간 등의 금속, 합금, 또는 이들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 등의 자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등을 함유시켜 자성 토너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들 자성체는 평균 입자가 2㎛ 이하가 바람직하고, 0.1∼0.5㎛ 정도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토너 중에 함유시키는 양으로서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20∼2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40∼150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10KOe(에르스텟) 인가에서의 자기 특성이 보자력(Hc) 20∼300Oe(에르스텟), 포화자화(σs) 50∼200emu/g, 잔류자화(σr) 2∼20emu/g의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제어제로서는, 예를 들면 4급 암모늄염 화합물, 니그로신계 화합물, 알루미늄, 철, 크롬 등의 착체로부터 구성되는 염료, 트리페닐메탄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분체는 주로 토너의 점탄성 조정을 목적으로 하고 첨가되고,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인산칼슘, 산화세륨 등의 하기에 상세하게 열거하는, 통상 토너 표면의 외첨제로서 사용되는 모든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토너 표면에 외첨되는 무기 입자나 유기 입자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티탄, 티탄산바륨,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칼슘, 티탄산스트론튬, 산화아연, 규사, 클레이, 운모, 규회 석, 규조토, 염화세륨, 벵갈라, 산화크롬, 산화세륨, 삼산화안티몬,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탄화규소, 질화규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카 입자나 산화티탄 입자가 바람직하고, 소수화 처리된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는, 일반적으로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사용된다. 상기 무기 입자의 1차 입자경으로서는, 1∼200n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그 첨가량으로서는, 토너 100질량부에 대해, 0.01∼2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유기 입자는, 일반적으로 클리닝성이나 전사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 분말,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지방산 금속염,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토너의 제조 방법
토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혼련 분쇄법이나 습식 조립법을 들 수 있지만, 습식 조립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 조립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용융 현탁법, 유화 응집법, 용해 현탁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유화 응집법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상기 유화 응집법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착색제 등의 각 원료를 수계 분산매에 분산시키는 유화 공정, 각 분산액을 혼합하여 얻은 원료 분산액으로부터 응집 입자를 제작하는 응집 공정, 및 그 응집 입자를 가열하여 융합시켜 토너를 얻는 융합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응집 입자의 표면을 결착 수지와 동종 또는 다른 수지 입자로 피복하는 피복 공정(쉘층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화 공정
유화 응집법에서는, 원료 분산액으로서, 결착 수지나 착색제는 각각의 유화 입자로서 혼합되기 때문에, 그 유화 공정은, 상기 원료의 유화 분산액을 제작하는 공정이다. 따라서 우선, 결착 수지는 원료 분산액 중에 미리 수지 입자로서 분산시켜 둘 필요가 있다.
상기 유화 수지 입자의 체적평균 입경은, 호적하게는 0.01∼1㎛이며, 보다 호적하게는 0.03∼0.8㎛이며, 더욱 호적하게는 0.03∼0.6㎛이다. 상기 평균 입경이 1㎛를 초과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정전잠상 현상용 토너의 입경 분포가 넓어지거나, 유리(遊離) 입자의 발생이 생겨, 성능이나 신뢰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 한편, 상기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결점이 없는데다, 토너 입자간의 조성 편재가 감소하여, 토너 중의 분산이 양호하게 되고, 성능이나 신뢰성의 편차가 작아지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 상기 체적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콜터카운터법, 광자 상관법, 레이저 회절·산란법, 백색광 편광법 등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상기 분산액에 있어서의 분산매로서는, 수계 매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계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증류수, 이온교환수 등의 물,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수계 매체에 계면활성제를 첨가 혼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황산에스테르염계, 설폰산염계, 인산에스테르계, 비누계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아민염형, 4급 암모늄염형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알킬페놀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계, 다가 알코올계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와 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도데실황산나트륨,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디알킬설포숙신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알킬벤젠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착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화에 의해 음이온형이 될 수 있는 관능기를 함유한, 자기 수분산성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형이 될 수 있는 관능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염기로 중화됨으로써, 수성 매체의 작용 하에서 안정한 수분산체가 형성된다.
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중화에 의해 음이온형이 될 수 있는 관능기로서는, 카르복시기나 설폰기 등의 산성기를 들 수 있고,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암모니아 등의 무기 염기나,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등의 유기 염기를 들 수 있다.
또한, 결착 수지로서, 그 자체 물에 분산하지 않는, 즉 자기 수분산성을 갖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용액 및/또는 그것과 혼합하는 수성 매체에, 이온성 계면활성제, 고분자산, 고분자 염기 등의 고분자 전해질을 첨가하여 분산하고, 융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강한 전단력이 인가되는 호모지나이저나 압력 토출형 분산기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용이하게 0.5㎛ 이하의 입자로 분산된다. 상기 이온성 계면활성제나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수성 매체 중에 있어서의 농도는, 0.5∼5질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후술하는 이형제도 이것에 준한다.
또한, 다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전상(轉相) 유화법을 들 수 있다. 전상 유화법이란, 분산하고자 하는 수지를, 그 수지가 가용한 소수성 유기 용제 중에 용해시키고, 유기 연속상(O상)에 염기를 가하여, 중화한 후, 수매체(W상)를 투입함으로써, W/O에서 O/W로의, 수지의 변환(이른바 전상)이 행해져 불연속상화하고, 수지를, 수매체 중에 입자상으로 분산 안정화하는 방법이다.
이 전상 유화에 사용되는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n-아밀알코올, 이소아밀알코올, sec-아밀알코올, tert-아밀알코올, 1-에틸-1-프로판올, 2-메틸-1-부탄올, n-헥산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틸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sec-부틸, 아세트산-3-메톡시부틸,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부틸, 옥살산디메틸, 옥살산디에틸, 숙신산디메틸, 숙신산디에틸, 탄산디에틸, 탄산디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유도체, 또한, 3-메톡시-3-메틸부탄올, 3-메톡시부탄올,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아세톤알코올, 아세토아세트산에틸 등이 예시된다. 이들의 용제는 단일이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전상 유화에 있어서, 결착 수지의 수중에의 분산시에, 필요에 따라 수지 중의 카르복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화제에 의해 중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 암모니아, 모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 리에틸아민, 모노-n-프로필아민, 디메틸-n-프로필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N-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N-디메틸프로판올아민 등의 아민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에서 선택되는 것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들 중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유화시 pH를 중성으로 조절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의 가수 분해가 억제된다.
또한, 이 전상 유화시에도 분산 입자의 안정화나 수계 매체의 증점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분산제를 첨가해도 좋다. 그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메타크릴산나트륨의 등의 수용성 고분자,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옥타데실황산나트륨, 올레산나트륨, 라우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아민아세테이트, 스테아릴아민아세테이트,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의 양성 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인산3칼슘, 수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탄산칼슘, 탄산바륨 등의 무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산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분산제는, 결착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01∼20질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상 유화시의 유화 온도는, 유기 용제의 비점 이하이고 또한, 이형제의 융 해 온도(혹은 전이점)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온도가 이형제의 융해 온도 혹은 전이점 이상이 아니면, 이형제를 함유하는 입자 분산액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유기 용제의 비점 이상에서 유화하는 경우는, 가압 밀폐된 장치로 유화를 행하면 좋다.
원료 분산액으로서, 유화 분산되는 착색제로서는, 기술한 착색제가 사용된다.
상기 착색제의 분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회전 전단형 호모지나이저나, 미디어를 갖는 볼 밀, 샌드 밀, 다이노 밀 등의 일반적인 분산 방법이 사용되고, 하등 제한되는 것은 없다.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이들 착색제의 수분산액을 제조하거나, 분산제를 사용하여 이들 착색제의 유기 용제 분산액을 제조하거나 해도 좋다. 이하, 이러한 착색제의 분산액의 것을, 「착색 입자 분산액」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분산에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나 분산제로서는, 상기 결착 수지를 분산시킬 때에 사용할 수 있는 분산제에 준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착색제의 첨가량은, 상기 수지의 총량에 대해 1∼20질량%가 바람직하고, 1∼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2∼7질량%가 특히 바람직하지만, 정착 후에 있어서의 화상 표면이 거칠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함유량을 많게 하면, 동(同) 정도의 농도의 화상을 얻을 때, 화상의 두께가 얇아져, 오프셋의 방지의 점에서 유리하다.
또, 이들 착색제는, 그 밖의 입자 성분과 함께 혼합 용매 중에 한번에 첨가해도 좋고, 분할하여 다단계로 첨가해도 좋다.
상기 원료 분산액으로서 유화 분산되는 이형제로서는, 기술한 이형제가 사용된다.
이형제는, 자기 수분산성을 갖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유화 분산하는 경우에 준하여, 수중에 이온성 계면활성제 등과 함께 분산하고, 융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강한 전단력이 인가되는 호모지나이저나 압력 토출형 분산기를 사용하여, 1㎛ 이하의 분산 입자경으로 조정된다. 이형제 분산액에 있어서의 분산매로서는, 결착 수지의 분산매에 준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결착 수지나 착색제를 수성 매체와 혼합하여, 유화 분산시키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호모믹서(도쿠슈기카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슬래셔(미쓰이고산가부시키가이샤), 캐비트론(가부시키가이샤유로테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미즈호고교가부시키가이샤), 맨톤·가우린 호모지나이저(가우린사), 나노마이저(나노마이저가부시키가이샤), 스태틱 믹서(노리타케컴퍼니) 등의 연속식 유화 분산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 공정에서의 결착 수지 분산액(수지 입자 분산액)에 함유되는 수지 입자의 함유량, 및, 착색제 분산액(착색 입자 분산액)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 및, 이형제 분산액(이형제 입자 분산액)에 있어서의 이형제의 함유량은, 5∼50질량%가 호적하며, 보다 호적하게는 10∼40질량%이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범위 외이면, 입도 분포가 넓어, 특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목적에 따라, 상기 결착 수지 분산액에 기술한 내첨제, 대전 제어제, 무기 분체 등의 그 밖의 성분을 분산시켜 두어도 좋다.
또한, 대전 제어제로서는, 응집 공정이나 융합 공정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이온 강도의 제어와 폐수 오염 감소의 점에서, 물에 용해하기 어려운 소재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 밖의 성분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5㎛인 것이 보다 호적하다. 상기 평균경이 1㎛를 초과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토너의 입경 분포가 넓어지거나, 유리 입자의 발생이 생겨, 성능이나 신뢰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 한편, 상기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결점이 없는데다, 토너 입자간의 조성 편재가 감소하여, 토너 중의 분산이 양호하게 되어 성능이나 신뢰성의 편차가 작아진다.
응집 공정
응집 공정에서는, 유화 공정에서 얻어진 수지 입자, 착색제 등의 각 분산액을 혼합하여(이 혼합액을 「원료 분산액」이라 한다), 예를 들면 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각각의 분산 입자를 응집시킨 응집 입자를 형성한다.
또한, 응집 공정을 행하기 전에, 유화 공정에 의해 얻어진 수지 입자 분산액(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에, 고(高)산가 분산제를 첨가제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산가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기를 갖는 공중합 수지, 및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고산가 분산제를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화 입자 표면에 흡착시킴으로써, 유화 입자의 표면은 정전 반발력이 충분히 작용하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응집 공정에서의 급격한 입자 성장이 억제된다. 또한, 후술의 융합 공정에서도 이들 음이온성 해리기에 유래하는 정전 반발 효과가 작용하기 때문에, 응집 입자끼리의 부착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조립 제어된다. 또한, 고산가 분산제를 응집 완료 후에 첨가하는 방법도, 융착 공정에서의 응집 입자끼리의 부착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조립 제어된다.
응집 입자의 형성은, 원료 분산액의 pH를 산성으로 한 후, 회전 전단형 호모지나이저로 교반 하, 실온(20∼25℃, 이하도 이것에 준한다)에서 응집제를 첨가하고, 초기 응집에 의해 증점한 원료 분산액 중에 응집제를 분산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당해 pH으로서는, 2∼6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6의 범위가 보다 호적하다.
상기와 같이, 응집 입자의 형성에는 산성 pH역이 적합하지만, 예를 들면, 상기 전상 유화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지 입자 분산액은 pH가 7∼8의 범위이기 때문에, pH가 3∼5인 착색제 분산액이나 이형제 분산액을 혼합하거나, 응집을 위해서 상기 pH로 조정하고자 하면, 극성의 밸런스가 붕괴되어, 완(緩)응집이 생겨 버린다. 그래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지 입자 분산액의 pH가 알칼리 측인 경우에는, 미리 실온에서 계면활성제나 고산가 분산제를 첨가하여 수지 입자 표면에 계면활성제, 분산제를 융화시킨 후, 착색제, 이형제를 혼합하여 pH 조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 공정에 사용되는 응집제로서는, 상기 분산액을 제작할 때에 사용한 계면활성제 등과 역극성의 계면활성제, 무기 금속염 외에, 2가 이상의 금속 착체가 호적하게 사용된다. 특히, 금속 착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저감되어, 대전 특성이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무기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칼슘, 질산칼슘, 염화바륨, 염화 마그네슘,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등의 금속염, 및, 폴리염화알루미늄, 폴리수산화알루미늄, 다황화칼슘 등의 무기 금속염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알루미늄염 및 그 중합체가 호적하다. 보다 좁은 입도 분포를 얻기 위해서는, 무기 금속염의 가수가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1가보다 2가, 2가보다 3가, 3가보다 4가 쪽이, 또한, 동일한 가수이어도 중합 타입의 무기 금속염 중합체 쪽이, 보다 적합하다.
또한, 응집 공정에서는, 가열에 의한 급(急)응집을 억제하기 위해서, 실온에서 교반 혼합하여 있는 단계에서 pH 조정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 분산 안정제를 첨가해도 좋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토너에 있어서, 대전성 및 분체 유동성을 더욱 개선하는 목적에서, 이 응집 공정 후에 피복 공정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복 공정은, 상술의 응집 입자 표면에, 결착 수지와 동일한, 또는 다른 수지 입자를 부착시켜 부착 입자를 형성하고, 피복층을 형성하는(즉, 코어-쉘 구조의 토너로 하는) 것이다. 그 형성은, 응집 공정에서 응집 입자를 형성한 분산액 중에, 결착 수지 혹은 그 밖의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을 추첨가(追添加)함으로써 행해지고,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도 동시에 추첨가해도 좋다. 또, 피복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결착 수지(수지 입자)로서는, 상술의 결착 수지(즉, 코어층용 결착 수지)에 준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피복 공정에서도, 사용하는 수지에 따라 응집 공정에 준하여 pH나 계면활성제를 선택하여, 응집 입자 표면에 불균일한 상태로 부착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피복 응집 입자를 얻는다. 또한, 이 피복 공정은, 응집 공정에 서 응집 입자에 취입(取入)되지 않았던 원료 입자를 응집으로 유도하는 것에 있어서도 유효하다.
융합 공정
융합 공정에서는, 응집 공정에 준한 교반 하에서, 응집 입자(또는 부착 입자)의 현탁액의 pH를 6.0∼7.5의 범위로 함으로써, 응집의 진행을 멈춘 후, 결착 수지의 융해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을 행함으로써 응집 입자(또는 부착 입자)를 융합시킨다. 또, 응집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원료 분산액)의 액성에도 의존하지만, 응집을 정지하는 pH가 적정하지 않으면, 융합시키기 위한 승온 과정에서, 응집 입자가 불균일해져 수율이 나빠지거나, 반대로 응집이 정지하지 않고, 입도 성장이 더욱 진행하여, 대(大)입경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융합시의 가열의 온도로서는, 응집 입자 중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유되는 경우는 그 융해 온도 이상, 함유되지 않는 경우는 비결정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이면 문제없다. 상기 가열 시간으로서는, 원하는 융합이 이루어지는 정도 행하면 좋고, 0.5∼3시간 정도 행하면 좋다. 그 이상의 시간 가열하면, 응집 입자에 함유되는 이형제가 토너 표면에 노출하기 쉬워져버린다. 따라서, 정착성에는 효과적이지만, 토너의 보존 안정성에 대해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장시간 가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융합 공정에서는, 상기 결착 수지가 융해 온도 또는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있을 때에, 혹은 융합이 종료한 후에, 가교 반응을 행해도 좋다. 또한, 융합과 동시에 가교 반응을 행해도 좋다. 가교 반응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 를 들면, 결착 수지로서 2중 결합 성분을 공중합시킨, 불포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고, 이 수지에 라디칼 반응을 일으켜, 가교 구조를 도입한다. 이 때, 이하에 나타내는 중합 개시제를 호적하게 사용한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쿠밀퍼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라우레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옥타노일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1,4-비스(t-부틸퍼옥시카르보닐)시클로헥산, 2,2-비스(t-부틸퍼옥시)옥탄,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2,2-비스(t-부틸퍼옥시)부탄,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디-t-부틸디퍼옥시이소프탈레이트,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디-t-부틸퍼옥시α-메틸숙시네이트, 디-t-부틸퍼옥시디메틸글루타레이트, 디-t-부틸퍼옥시헥사히드로테레프탈레이트, 디-t-부틸퍼옥시아젤레이트,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디에틸렌글리콜-비스(t-부틸퍼옥시카보네이트), 디-t-부틸퍼옥시트리메틸아디페이트, 트리스(t-부틸퍼옥시)트리아진, 비닐트리스(t-부틸퍼옥시)실란,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 4,4'-아조비스(4-시아노왈레릭애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중합 개시제의 양이나 종류는, 결착 수지 중의 불포화 부위량, 공존하는 착색제의 종류나 양에 따라 선택된다.
중합 개시제는, 유화 공정 전에 미리 결착 수지에 혼합해 두어도 좋고, 응집 공정에서 응집 입자에 취입시켜도 좋다. 또한, 융합 공정, 혹은 융합 공정 후에 도입해도 좋다. 응집 공정 중, 피복 공정 중, 융합 공정 중, 혹은 융합 공정 후에 도입하는 경우는, 중합 개시제를 용해 또는 유화한 액을, 수지 입자 분산액 등에 가한다. 이들 중합 개시제에는, 중합도를 제어하는 목적에서, 공지의 가교제, 연쇄 이동제, 중합 금지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융합하여 얻은 융합 입자는, 여과 등의 고액 분리 공정이나, 필요에 따라 세정 공정, 건조 공정을 거쳐 토너의 입자가 된다. 이 경우, 토너로서 충분한 대전 특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세정 공정에서 충분한 세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에서는, 통상의 진동형 유동 건조법, 스프레이 드라이법, 동결 건조법, 플래쉬젯법 등의 방법이 채용된다.
건조 후의 토너 입자는, 28℃/85%RH의 환경 하에 3일간 방치한 후에 있어서의 함수율이 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수율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고습도 조건 하에서 토너의 대전량이 저하하지 않고, 습도 변화에 의한 토너의 대전 특성이 안정화된다.
또, 토너 함수율의 측정은, 토너 2g을 28℃, 습도 85%RH의 환경 하에 24시간 방치한 후, 할로겐 모이스쳐 애널라이저(메틀러·톨레도사제)를 사용하여 가열 온도 150℃에서의 수분 증발량을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상술과 같이 건조 공정을 거쳐 조립된 토너 입자에는, 그 밖의 성분으로서, 목적에 따라, 기술한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등의 공지의 각종 외첨제를 첨가해도 좋다.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1(°)은,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2(°)보다도 작다.
여기서,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한 토너를, 아세톤으로 표면을 세정한 알루미늄판에 도포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여 토너의 박막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제작한 박막에 대해, DAT(dynamic absorption tester, 상품명 : fabro 1100DAT, 파이브로제)를 사용하여 탈묵성 수용액의 물방울을 적하하고, 적하하고 나서 1초 경과 후에 있어서의 탈묵성 수용액의 접촉각을 측정한다.
또, 실제의 측정에 있어서는, 측정값으로서 다른 8점의 값을 평균한 값을 사용하고, 탈묵성 수용액으로서 리프톨 S2800(라이온사제)의 0.1wt% 수용액을 사용했 다. 또한, 이들의 측정은 모두 실온 23℃ 또한 습도 55%의 환경 하에서 행했다.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은, 토너의 박막 대신에 인쇄물의 토너상을 사용하는 이외는, 상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측정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이하, 예시의 목적에서, 탈묵성 수용액으로서 상기 리프톨 S2800의 0.1wt%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인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1(°)로서는, 85° 이상 90° 이하가 바람직하고, 87° 이상 9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θ1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접촉 토너상의 탈묵성 향상과 화질 저하의 억제가 양립된다. 즉, θ1이 상기 범위이면, θ1이 상기 범위보다도 큰 경우에 비해, 접촉 토너상에 대한 탈묵성 수용액의 침투성이 높기 때문에, 탈묵성이 양호하다. 또한, θ1이 상기 범위보다도 작은 경우에 비해,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친수성이 낮기 때문에, 접촉 토너상 형성시에 있어서의 토너의 대전 저하에 의한 화질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2(°)로서는, 92.5° 이상 95° 이하가 바람직하고, 93.5° 이상 9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θ2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비접촉 토너상의 탈묵성 및 화질이 어느 것도 양 호하게 된다.
또한 θ1 및 θ2는, 상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θ12라는 관계를 만족시킨다. θ1 및 θ2가 상기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탈묵성 및 화질이 어느 것도 양호하게 된다. 즉, 헤어리 토너가 되기 쉬운 접촉 토너상에 대한 탈묵성 수용액의 침투성을 높게 함으로써, 형성된 화상 전체의 탈묵성이 향상하고, 또한,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흡습성을 억제하여 대전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형성된 화질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θ1과 θ2의 차, 즉 θ21의 값은, 상기와 같이 2.5°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이상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이상 7°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θ21의 값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형성된 화상의 탈묵성 및 화질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 리프톨 S2800의 0.1wt% 수용액 이외의 고급 알코올 유도체 탈묵성 수용액(다른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토너의 접촉각에 대해서는, 절대값이 상기 θ1 또는 θ2의 값과 다른 경우는 있지만, 측정 환경 온도·습도가 바뀌지 않으면 크게 값이 다른 것은 없다. 즉, 다른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토너의 접촉각의 바람직한 범위가, 상기 범위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경우는 없다.
특히 θ1과 θ2의 대소 관계는, 다른 탈묵성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바뀌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리프톨 S2800의 0.1wt%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실제의 탈묵 공정에서 다른 고급 알코올 유도체 탈묵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탈묵성이 양호하며, 또한, 상기 화질 저하가 억제된다.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제어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토너에 함유되는 결착 수지의 단량체의 종류나 함유량비를 조정하는 방법, 결착 수지 중에 있어서의 결정성 수지의 함유량을 조정하는 방법, 토너 중의 이형제 함유량을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각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결착 수지의 산가를 크게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결착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시산 성분의 양을 많게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각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결착 수지의 단량체로서 알킬쇄가 긴 단량체를 사용하는 방법, 결착 수지 중에 있어서의 결정성 수지의 함유량을 많게 하는 방법, 토너 중의 이형제 함유량을 많게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인쇄물에 있어서 기록 매체 위에 형성된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1 및 θ2)에 대해서는, 그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그 밖의 토너의 특성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은,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L*값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는,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무색 투명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의 L*값은, 탈묵 처리 후의 잔류 토너에 의한 착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구체적으로는, 85 이상 94 미만이 바람직하고, 90 이상 94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토너의 L*값은, 토너 중에 함유되는 착색제의 종류 및 함유량, 또한 그 분산 상태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토너의 L*값은, 분광 측색계(상품명 : X-Rite939, X-Rite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토너의 체적평균 입경으로서는, 1∼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8㎛의 범위가 보다 호적하다. 또한, 갯수평균 입경으로서는, 1∼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8㎛의 범위가 보다 호적하다.
상기 체적평균 입경 및 갯수평균 입경의 측정은, 콜터멀티사이저Ⅱ형(벡맨-콜터사제)을 사용하고, 50㎛의 어퍼쳐경(aperture diameter)으로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측정은 토너를 전해질 수용액(이소톤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초음파에 의해 30초 이상 분산시킨 후에 행한다.
측정된 입도 분포를, 분할된 입도 범위(채널)에 대해, 체적 또는 갯수에 대 해 소경측으로부터 누적 분포를 그리고, 누적 50%가 되는 입경을 체적평균 입경 또는 갯수평균 입경으로 정의한다.
현상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현상제로서는, 상기 토너를 그대로 사용하는 1성분 현상제, 상기 토너와 캐리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2성분 현상제를 들 수 있다.
2성분 현상제에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캐리어를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산화철, 니켈, 코발트 등의 자성 금속, 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 등의 자성 산화물이나, 이들 심재(芯材) 표면에 수지 피복층을 갖는 수지 코팅 캐리어, 자성 분산형 캐리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매트릭스 수지에 도전 재료 등이 분산된 수지 분산형 캐리어이어도 좋다.
캐리어에 사용되는 피복 수지·매트릭스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비닐케톤,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오르가노실록산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이트 실리콘 수지 또는 그 변성품,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 재료로서는, 금, 은, 구리와 같은 금속이나 카본 블랙, 또한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산바륨, 붕산알루미늄, 티탄산칼륨, 산화주석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캐리어의 심재로서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자성 금속, 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 등의 자성 산화물, 유리 비드 등을 들 수 있지만, 캐리어를 자기 브러쉬법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의 심재의 체적평균 입경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10㎛ 이상 500㎛ 이하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00㎛ 이하의 범위에 있다.
또한 캐리어의 심재의 표면에 수지 피복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복 수지, 및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한 피복층 형성용 용액에 의해 피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하는 피복 수지, 도포 적성 등을 감안하여 선택하면 좋다.
구체적인 수지 피복 방법으로서는, 캐리어의 심재를 피복층 형성용 용액 중에 침지하는 침지법, 피복층 형성용 용액을 캐리어의 심재 표면에 분무하는 스프레이법, 캐리어의 심재를 유동 에어에 의해 부유시킨 상태에서 피복층 형성용 용액을 분무하는 유동상법, 니더 코터 중에서 캐리어의 심재와 피복층 형성 용액을 혼합하여, 용제를 제거하는 니더 코터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성분 현상제에 있어서의 토너와 캐리어의 혼합비(질량비)로서는, 토너:캐리어=1:100 이상 30:100 이하 정도의 범위이며, 3:100 이상 20:100 이하 정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록 매체
상기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기록 매체로서는, 보통지, 일반적인 인쇄 용지 등의, 통상 사용되는 기록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펄프 섬유 (및 필요에 따라 전료(塡料))를 주성분으로 하여 함유하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토너상을 형성하는 면에 펄프의 섬유가 노출하여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펄프 섬유로서는, 화학 펄프, 구체적으로는, 활엽수 블리치드(bleached) 크래프트 펄프, 활엽수 언블리치드(unbleached) 크래프트 펄프, 침엽수 블리치드 크래프트 펄프, 침엽수 언블리치드 크래프트 펄프, 활엽수 블리치드 아황산 펄프, 활엽수 언블리치드 아황산 펄프, 침엽수 블리치드 아황산 펄프, 침엽수 언블리치드 아황산 펄프 등 이외에, 목재 및 면, 마, 인피 등의 섬유 원료를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제작된 펄프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목재나 칩을 기계적으로 펄프화한 그라운드 우드 펄프, 목재나 칩에 약액을 스며들게 한 후에 기계적으로 펄프화한 케미메카니컬 펄프, 및 칩을 조금 부드러워질 때까지 증해(蒸解)한 후에 리파이너(refiner)로 펄프화한 써모메카니컬 펄프, 고수율이 특징인 케미써모메카니컬 펄프 등도 사용된다. 이들은 버진 펄프만으로 사용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 고지(古紙) 펄프를 가해도 좋다.
상기 버진 펄프로서는, 염소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2산화염소를 사용하는 표백 방법(Elementally Chlorine Free : ECF)이나, 염소 화합물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오존/과산화수소 등을 주로 사용하여 표백하는 방법(Total Chlorine Free : TCF)으로 표백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지 펄프의 원료로서는, 제본, 인쇄 공장, 단재소(斷裁所) 등에 있어서 발생하는 재락(裁落), 손지(損紙), 사이드트리밍(side-trimming)한 상백(上白), 특백(特白), 중백(中白), 백손(白損) 등 의 미인쇄 고지; 인쇄나 카피가 실시된 상질지, 상질 코팅지 등의 상질 인쇄 고지; 수성 잉크, 유성 잉크, 연필 등으로 필기된 고지; 인쇄된 상질지, 상질 코팅지, 중질지, 중질 코팅지 등의 전단지를 포함하는 신문 고지; 중질지, 중질 코팅지, 갱지 등의 고지를 들 수 있고, 이들을 목적에 따라 배합해도 좋다.
고지 펄프로서는, 상기한 원료를, 오존 표백 처리 및 과산화수소 표백 처리의 적어도 한쪽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오존 표백 처리에는, 상질지에 통상 함유되어 있는 형광 염료 등을 분해하는 작용이 있고, 과산화수소 표백 처리에는, 탈묵 처리시에 사용되는 알칼리에 의한 황변을 막는 작용이 있다.
보다 백색도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표백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고지 펄프의 배합률을, 기록지에 사용되는 펄프 전량에 대해 50∼10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원의 재이용이라는 관점에서, 상기 고지 펄프의 배합률을, 기록지에 사용되는 펄프 전량에 대해 70∼100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지 펄프는, 오존 표백 처리 또는 과산화수소 표백 처리의 두 처리를 조합시킴으로써, 고지의 탈묵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펄프의 백색도도 보다 향상된다. 또한, 펄프 중의 잔류 염소 화합물을 분해·제거하는 작용도 있기 때문에, 염소 표백된 고지 펄프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함유량 저감에 있어서 다대(多大)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기록지에는, 펄프 섬유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불투명도, 백색도 및 표면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전료를 첨가해도 좋다. 또한, 할로겐 함량을 저감하려는 경우에는, 할로겐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전료로서는,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초크, 카올린, 소성 클레이,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2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합성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세리사이트, 화이트카본, 사포나이트, 칼슘몬모릴로나이트, 나트륨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등의 무기 안료, 및, 아크릴계 플라스틱 피그먼트, 폴리에틸렌, 키토산 입자, 셀룰로오스 입자, 폴리아미노산 입자, 요소 수지 등의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또한, 기록지에 고지 펄프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고지 펄프 원료에 함유되는 회분을 미리 추정하여 첨가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전량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펄프 섬유 100질량부에 대해, 1∼8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5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중에 있어서, 「부」 및 「%」는, 특별히 명시가 없는 한 「질량부」 및 「질량%」를 의미한다.
측정 방법
토너 또는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측정 방법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한 토너를, 아세톤으로 표면을 세정한 알루미늄판에 도포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여 토너의 박막을 작성했다. 다음으로, 제작한 박막에 대해, 파이브로제 DAT(dynamic absorption tester, fabro 1100DAT)를 사용하여 탈묵성 수용액(리프톨 S2800의 0.1wt% 수용액)의 물방울을 적하하고, 적하하고 나서 1초 경과 후에 있어서의 탈묵성 수용액의 접촉각을 측정했다.
다른 8점에 있어서 상기 측정을 행하고 평균하여, 얻어진 값을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라 했다.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은, 토너의 박막 대신에 인쇄물의 토너상을 사용하는 이외는, 상기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의 측정과 같이 하여 측정을 행했다.
유리 전이 온도 및 융해 온도의 측정 방법
유리 전이 온도 및 융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계(상품명 : DSC3110, 열분석 시스템001, 맥사이언스사제)를 사용하여, JIS 7121-1987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이 장치의 검출부의 온도 보정에는 인듐과 아연의 혼합물의 융해 온도를 사용하고, 열량의 보정에는 인듐의 융해열을 사용했다. 시료는 알루미늄제 팬에 넣고, 샘플이 들어간 알루미늄제 팬과 대조용의 빈 알루미늄제 팬을 셋팅하고, 승온 속도 10℃/min으로 측정을 행했다.
측정에 의해 얻어진 DSC 곡선의 흡열 피크 중, 최대의 흡열 피크의 정점의 온도를 융해 온도로 했다.
또한, 측정에 의해 얻어진 DSC 곡선의 흡열부에서의 베이스 라인과 상승 라인의 연장선의 교점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로 했다.
중량평균 분자량(Mw)의 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Mw)(폴리스티렌 환산)은, GPC(상품명 : HLC-8120, 도소(주)제)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칼럼은 TSKgel SuperHM-M(15cm)을 사용하고, THF 용매에 의해 GPC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단분산 폴리스티렌 표준 시료에 의해 작성한 분자량 교정 곡선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을 산출했다.
토너 체적평균 입경의 측정 방법
콜터멀티사이저-Ⅱ형(상품명, 베크먼-콜터사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토너의 체적평균 입경을 측정했다. 전해액으로서는, ISOTON-Ⅱ(상품명, 벡맨-콜터사제)를 사용했다.
분산제로서 계면활성제(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를 5% 함유하는 수용액 2ml 중에, 측정 시료를 0.5mg 가하고, 이것을 상기 전해액 100ml 중에 첨가했다. 이 측정 시료를 현탁시킨 전해액을, 초음파 분산기로 1분간 분산 처리에 제공하고, 콜터멀티사이저-Ⅱ형에 의해, 어퍼쳐경이 100㎛의 어퍼쳐를 사용하여, 입경이 2.0㎛∼60㎛의 범위의 입자의 입도 분포를 측정했다. 측정한 입자수는 50,000이다.
측정된 입도 분포를, 분할된 입도 범위(채널)에 대해, 체적에 대해 소경측으로부터 누적 분포를 그리고, 누적 50%가 되는 입경을 체적평균 입경으로 정의했다.
수지 입자·이형제 입자·안료 입자의 평균 입경의 측정 방법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상품명 : LA-700, 호리바세이사쿠쇼제)를 사용하여, 수지 입자·이형제 입자·안료 입자의 체적평균 입경을 측정했다.
분산액으로 되어 있는 상태의 시료를 고형분으로 2g이 되도록 조정하고, 이 것에 이온교환수를 첨가하고, 40ml로 한다. 이것을 셀에 적당한 농도가 될 때까지 투입하고, 2분 기다려, 셀 내의 농도가 안정하게 된 지점에서 상기 체적평균 입경을 측정했다.
얻어진 채널마다의 체적평균 입경을, 체적평균 입경의 작은 쪽으로부터 누적하여, 누적 50%가 되는 지점을 체적평균 입경으로 했다.
또, 분체를 측정하는 경우는, 계면활성제(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의 5% 수용액 50ml 중에 측정 시료를 2g 가하고, 초음파 분산기(1,000Hz)로 2분간 분산하여, 시료를 제작하고, 상술의 분산액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다.
토너의 제조
시안 토너C1의 제조(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4°)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310부
·테레프탈산 116부
·푸마르산 12부
·도데세닐숙신산 54부
·Ti(OBu)4 0.05부
가열 건조한 3구 플라스크에, 상기 원료를 넣은 후, 감압 조작에 의해 용기 내의 공기를 감압하고, 또한 질소 가스에 의해 불활성 분위기 하로 하고, 기계 교반으로 180℃에서 5시간 환류를 행했다. 그 후, 반응계 내에 생성한 물을 감압 증 류로 유거(留去)하면서, 240℃까지 서서히 승온을 행했다. 또한 240℃에서 2시간 탈수 축합 반응을 계속하여, 점조한 상태로 된 지점에서 GPC로 분자량을 확인하여, 중량평균 분자량 22000이 된 지점에서, 감압 증류를 정지하여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1)를 얻었다.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1)는 비결정성이며, 유리 전이 온도는 60℃, 산가는 14mgKOH/g이었다.
이어서, 이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1) 100부와, 아세트산에틸50부와, 이소프로필알코올 25부와, 10질량% 암모니아수 용액 5부를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넣고, 충분히 혼합, 용해한 후, 40℃로 가열 교반하면서, 이온교환수를 송액 펌프를 사용하여 송액 속도 8g/min으로 적하했다. 액이 백탁한 후, 송액 속도 25g/min로 올려 전상시키고, 송액량이 135부이 된 지점에서 적하를 멈췄다. 그 후 감압 하에서 용제 제거를 행하여,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의 체적평균 입경은 132nm,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의 고형분 농도는 38%이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1)
가열 건조한 3구 플라스크에, 1,10-도데칸2산 230부, 1,9-노난디올 160부, 및 촉매로서 디부틸주석옥사이드 0.2부를 넣고, 그 후 감압 조작에 의해, 3구 플라스크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하여 불활성 분위기 하로 하고, 기계 교반에 의해 180℃, 5시간 교반하고, 또한 환류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 중에는, 반응계 내에서 생성한 물을 유거했다. 그 후, 감압 하에서 230℃까지 서서히 승온하고, 2시간 교반하고 점조한 상태로 된 지점에서 GPC로 분자량을 확인하여, 중량평균 분 자량 29000이 된 지점에서, 감압 증류를 정지하여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해 온도는 73℃, 산가는 12mgKOH/g이었다.
이어서, 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부와, 아세트산에틸 35부,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35부를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넣고, 이것을 75℃에서 충분히 혼합, 용해한 후, 10% 암모니아수 용액을 5.5부 적하했다. 가열 온도를 60℃로 내리고, 교반하면서 이온교환수를 송액 펌프를 사용하여 송액 속도 6g/min으로 적하하고, 액이 백탁한 후, 송액 속도 25g/min으로 올리고, 총액량이 400부이 된 지점에서, 이온교환수의 적하를 멈췄다. 그 후, 감압 하에서 용매의 제거를 행하여,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의 체적평균 입경은 136nm,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의 고형분 농도는 11.5%이었다.
착색제 분산액
·시안 안료 100부
(다이니치세이카(주)제, C.I. Pigment Blue15:3, (구리프탈로시아닌))
·음이온 계면활성제(상품명 : 네오겐R,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사제) 15부
·이온교환수 900부
이상을 혼합하고, 용해하여, 고압 충격식 분산기 얼티마이저(상품명 : HJP30006(주), 스기노머신제)를 사용하여 1시간 분산하여 착색제(시안 안료)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착색제 분산액을 제조했다. 착색제 분산액에 있어서의 착색제(시안 안료)의 평균 입경은, 0.13㎛, 착색제 입자 농도는 25%이었다.
이형제 분산액
·에스테르 왁스(상품명 : WEP5, 니뽄유시(주)제) 50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상품명 : 네오겐RK,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주)제) 5부
·이온교환수 200부
이상을 110℃로 가열하여, 호모지나이저(상품명 : ULTRATURRAX T50, IKA사제)를 사용하여 분산한 후, 맨톤가우린 고압 호모지나이저(가우린사)로 분산 처리하여, 평균 입경이 0.24㎛인 이형제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이형제 분산액(이형제 농도 : 23%)을 제조했다.
토너의 제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 302.6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1) 30.0부
·착색제 분산액 48.0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dowfax2A1, 20% 수용액) 11.5부
·이형제 분산액 80.2부
pH미터, 교반 날개, 온도계를 구비한 중합 가마에, 상기 원료 중,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1),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이온교환수 631부를 넣고, 200rpm으로 15분간 교반하면서, 계면활성제를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에 융화시켰다. 계속해서, 이것에 착색제 분산액 및 이형제 분산액을 가하여 혼합한 후, 이 원료 혼합물에 0.3M의 질산 수용액을 가하여, pH를 2.7로 조정했다. 이어서, 울트라터랙스(상품명 : ULTRATURRAX, IKA재팬사제)에 의해 1000rpm으로 전단력을 가하면서, 응집제로 서 황산알루미늄 10% 수용액 100부를 적하했다. 또, 이 응집제 적하 도중에, 원료 혼합물의 점도가 증대하므로, 점도 상승한 시점에서, 적하 속도를 완화하여, 응집제가 한 개소로 편중되지 않도록 주의했다. 응집제의 적하가 종료하면, 회전수 6000rpm으로 더 올려 5분간 교반하여, 응집제와 원료 혼합물을 충분히 혼합했다.
이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을 맨틀 히터로 30℃로 가온하면서 550∼650rpm으로 교반했다. 60분 교반 후, 콜터멀티사이저Ⅱ형(상기와 동일, 어퍼쳐경 : 50㎛)을 사용하여 1차 입자경이 안정하게 형성하는 것을 확인한 후, 응집 입자를 성장시키기 위해서 0.5℃/분으로 45℃까지 승온했다. 응집 입자의 성장은 콜터멀티사이저Ⅱ형을 사용하여 수시 확인하는데, 그 응집 속도에 따라, 응집 온도나 교반의 회전수를 바꿨다.
한편, 응집 입자 피복용으로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 147.4부에, 이온교환수 75.5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상품명 : DOWFAX2A1, 다우케미컬사제 : 20% 수용액) 5.6부를 가하여 혼합하여, 미리 pH2.7로 조정한 피복용 수지 입자 분산액(1)을 제조했다. 상기 응집 공정에서 응집 입자가 입경 5.0㎛로 성장한 지점에서, 상기 피복용 수지 입자 분산액(1)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10분간 유지했다. 그 후, 피복한 응집 입자(부착 입자)의 성장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EDTA 수용액(상품명 : 킬레스트40, 킬레스트사제)을 이온교환수로 12% 농도로 희석한 것) 16.7부와, 1M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순서대로 가하고, 원료 혼합물의 pH를 6.5로 제어했다. 이어서, 응집 입자를 융합시키기 위해서, pH를 6.5로 조정하면서 승온 속도 1℃/min으로 85℃까지 승온했다. 광학 현미경으로 응집 입자가 융합한 것을 확인한 후, 빙수를 주입하여 강온 속도 100℃/분으로 급냉했다.
이어서, 얻어진 입자를, 1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냉각 후의 슬러리의 pH를 9.0로 조정하고, 20분간 교반을 행하여, 20㎛메시로 한번 체가름했다. 그 후, 고형분에 대해 약 10배량의 온수(50℃)를 가하고, 다시 pH를 9.0로 조정하면서 20분 교반하여 온(溫)알칼리 세정을 행하여, 일단 여과를 행했다. 또한 여과지 위에 남은 고형분을 슬러리에 분산하여, 40℃의 온수로 3회 반복 세정을 행하고, 또한 슬러리에 0.3N의 질산 수용액을 가하여 pH4.0으로 하면서 40℃에서 산(酸)세정을 행했다. 이어서 최종적으로, 이온교환수의 온수 40℃에서 교반 세정을 행하고, 건조시켜, 체적평균 입경 6.4㎛의 토너 모입자(A1)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토너 모입자(A1)에, 외첨제로서 실리카 분말(입자경 : 50nm) 및 티타니아 분말(입자경 : 40nm)을, 각각 토너 모입자(A1) 100부에 대해 0.9부 및 0.6부 첨가하고, 헨쉘 믹서로 혼합하여 시안 토너C1을 얻었다.
시안 토너C1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시안 토너C2의 제조(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2.5°)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의 원료 중,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310부 대신에,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150부 및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150부를 사용한 이외는, 시안 토너C1과 같이 하여, 시안 토너C2를 얻었다.
시안 토너C2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마젠타 토너M1의 제조(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3.5°)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시안 안료 대신에, 마젠타 안료(클라리언트제, C.I. Pigment Red122)를 100부 사용한 이외는, 시안 토너C1과 같이 하여, 마젠타 토너M1을 얻었다.
마젠타 토너M1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마젠타 토너M2의 제조(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3°)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시안 안료 대신에, 마젠타 안료(클라리언트제, C.I. Pigment Red122)를 100부 사용한 이외는, 시안 토너C2와 같이 하여, 마젠타 토너M2를 얻었다.
마젠타 토너M2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옐로우 토너Y1의 제조(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5°)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시안 안료 대신에, 옐로우 안료(클라리언트제, C.I. Pigment Yellow74)를 120부 사용한 이외는, 시안 토너C1과 같이 하여, 옐로우 토너Y1을 얻었다.
옐로우 토너Y1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옐로우 토너Y2의 제조>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3°)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시안 안료 대신에, 옐로우 안료(클라리언트제, C.I. Pigment Yellow74)를 120부 사용한 이외는, 시안 토너C2와 같이 하여, 옐로우 토너Y2를 얻었다.
옐로우 토너Y2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옐로우 토너Y3의 제조(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88°)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의 원료 중,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310부 대신에,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300부를 사용하고, 도데세닐숙신산을 첨가량을 30부로 변경하고, 푸마르산의 첨가량을 20부로 변경하고, 또한 토너 제조시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1)을 10부로 변경한 이외는, 옐로우 토너Y1과 같이 하여, 옐로우 토너Y3을 얻었다.
옐로우 토너Y3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블랙 토너K1의 제조>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5°)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시안 안료 대신에, 블랙 안료(캐보트제, 리갈330)를 100부 사용한 이외는, 시안 토너C1과 같이 하여, 블랙 토너K1을 얻었다.
블랙 토너K1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블랙 토너K2의 제조> (비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2.5°)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시안 안료 대신에, 블랙 안료(캐보트제, 리갈330)를 100부 사용한 이외는, 시안 토너C2와 같이 하여, 블랙 토너K2를 얻었다.
블랙 토너K2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블랙 토너K3의 제조>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88°)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옐로우 안료 대신에, 블랙 안료(캐보트제, 리갈330)를 100부 사용한 이외는, 옐로우 토너Y3과 같이 하여, 블랙 토너K3을 얻었다.
블랙 토너K3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비착색 토너S1의 제조> (비교예용 비착색 토너, 접촉각 : 95°)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시안 안료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시안 토너C1과 같이 하여, 비착색 토너S1을 얻었다.
비착색 토너S1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비착색 토너S2의 제조>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88°)
착색제 분산액에 사용한 옐로우 안료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옐로우 토너Y3과 같이 하여, 비착색 토너S2를 얻었다.
비착색 토너S2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비착색 토너S3의 제조>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85°)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의 원료 중,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310부 대신에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300부를 사용하고, 도데세닐숙신산의 첨가량을 15부로 변경하고, 푸마르산의 첨가량을 28부로 변경하고, 토너 제조시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1)의 첨가량을 10부로 변경한 이외는, 비착색 토너S1과 같이 하여, 비착색 토너S3을 얻었다.
비착색 토너S3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비착색 토너S4의 제조> (접촉 토너상 형성용 토너, 접촉각 : 90°)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분산액(1)의 원료 중,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310부 대신에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 300부를 사용하고, 토너 제조시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1)을 10부로 변경한 이외는, 비착색 토너S1과 같이 하여, 비착색 토너S4를 얻었다.
비착색 토너S4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 및 L*값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9055685226-pat00001
현상제의 제조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이소부틸(30/60/10의 질량비)을 공중합한 수지(소켄가가쿠사제, 분자량 : 82000) 15부를 톨루엔 500부에 용해시키고, 페라이트 입자(체적평균 입경 : 35㎛) 100부를 가하고, 니더 중에서 감압 증류하여, 수지 피복 캐리어를 제작했다.
상기 토너 36g과, 상기 캐리어 414g을 2L의 V블렌더에 넣고, 20분간 교반하고, 그 후, 공경(孔徑) 212㎛의 메시로 체가름하여 현상제를 제작했다.
화상 형성
실시예α1∼실시예α4, 및 비교예α1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도 1 참조)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8S, 8Y, 8C, 8M, 및 8K)에, 표 2에 나타내는 토너를 함유하는 현상제를 수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화상 형성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화상 형성 장치를, 실온 28℃, 습도 85%의 환경 하에서, 48시간의 시즈닝(프리컨디셔닝 운전)을 행한다. 다음으로, 75g/m2, 3×3cm2의 기록지(후지제롯쿠스인터파일드사제 C2)의 표면에, 면적당의 각 색 토너 재량(載量)을 4[g/m2](단, K색 토너만 4.8[g/m2])로 하여 2×2cm2의 패치를 적층시키고, 기록지 위에 모든 종류의 토너상이 적층된 미정착 화상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정착 온도 170℃에서, 미정착 화상을 기록지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지 위에 모든 종류의 토너상이 적층되어 정착된 인쇄물을 제작했다.
또, 제작된 인쇄물에 있어서, 접촉 토너상은 토너 카트리지(8S)에 수용된 토너에 의해 형성된 토너상이다.
또한 표 2 중, θ11, θ21, θ22, θ23, 및 θ24는, 각각 대응하는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의미한다.
[표 2]
Figure 112009055685226-pat00002
실시예β1∼실시예β2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도 3 참조)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8Y, 8C, 8M, 및 8K)에, 표 3에 나타내는 토너를 함유하는 현상제를 수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화상 형성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화상 형성 장치를, 실온 28℃, 습도 85%의 환경 하에서, 48시간의 시즈닝(프리컨디셔닝 운전)을 행한다. 다음으로, 75g/m2, 3×3cm2의 기록지(후지제롯쿠스인터파일드사제 C2)의 표면에, 면적당의 각 색 토너 재량을 4[g/m2](단, K색 토너만4.8[g/m2])로 하여 2×2cm2의 패치를 적층시키고, 기록지 위에 모든 종류의 토너상이 적층된 미정착 화상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정착 온도 170℃에서 미정착 화상을 기록지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지 위에 모든 종류의 토너상이 적층되어 정착된 인쇄물을 제작했다.
또, 제작된 인쇄물에 있어서, 접촉 토너상은 토너 카트리지(8Y)에 수용된 토너에 의해 형성된 토너상이다.
또한 표 3 중, θ12, θ22, θ23, 및 θ24는, 각각 대응하는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을 의미한다.
[표 3]
Figure 112009055685226-pat00003
평가 방법
상기에서 제작된 인쇄물을 시험지로서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에서 평가용 수초(手抄, hand made) 시트를 작성했다.
해리
이하의 조성의 수분산액을 50℃에서 20분간 비이커 중에서 교반하여 해리한다.
·시험지 5.0%
·NaOH 0.7%
·규산나트륨 3.0%
·H2O2 1.0%
·탈묵제(라이온사제 "리프톨 S2800") 0.2%
희석·탈수· 니더 처리
해리 후의 상기 수분산액에 물을 가하여 5%로 희석한 후, 원심 탈수하고, 또한 펄프(원심 탈수에 의해 얻어진 고형물) 20%, 규산나트륨 3.0%, NaOH 0.5%가 되도록, 펄프, 규산나트륨 등을 가하여 니더로 해리한다(니더 처리).
숙성
상기 니더 처리 후의 니더 해리물을 50℃에서 2시간 숙성한다.
플로테이션(floatation)
상기 숙성 후의 숙성물에 물을 가하여 펄프 농도 1%의 분산액을 제작하고, 분산액 중에 미세한 기포를 7분간 방출하고, 액 중의 토너를 기포에 흡착시켜 수면에 부상시켜, 토너와 물을 분리한다.
세정
탈묵된 펄프를 물 각 1리터로 2회 세정한다.
평가용 수초 시트의 작성
태피 시트 머신(Tappi sheet machine)에 의해 평가용 수초 시트(평량 75g/m2)를 작성한다.
탈묵성의 평가
분광 농도계(상품명 : X-Rite939, X-Rite사제)에 의해 수초 시트의 5점 평균 명도를 측정함으로써 탈묵성의 평가를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시험지의 토너가 놓여 있지 않는 개소의 명도를 L(0), 평가용 수초 시트의 명도를 L(1)과 했을 때, |L(0)-L(1)|의 값을 구하여, 탈묵성의 평가를 행했다. 또한, 시험지의 토너가 놓 여 있지 않는 개소의 색미와 평가용 수초 시트의 색미의 차이를, 육안으로 평가를 행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명도차에 의한 평가 기준
◎ : |L(0)-L(1)|≤2
△ : 2<|L(0)-L(1)|≤4
× : 4<|L(0)-L(1)|
육안에 의한 평가 기준
◎ : 색미의 차가 거의 없음
△ : 색미의 차가 조금 인정되지만, 허용 범위
× : 색미의 차가 큼
고습도 환경 하에서의 화질 평가
상기에서 작성된 인쇄물의 화질(즉, 화상부에서의 결손 및 비화상부에서의 포깅의 유무)에 대해 평가를 행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 : 화질에 문제없음(결함 및 포깅은 관찰되지 않음)
△ : 화상부의 결함 및 비화상부의 포깅이 관찰되지만, 실용상 허용 범위임
× : 화상부의 결함 및 비화상부의 포깅이 관찰되어, 실용상 사용 불가임
[표 4]
Figure 112009055685226-pat00004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에 비해, 탈묵성이 뛰어나고, 또한, 화질이 양호하다.
[도 1]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2]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인쇄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4]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부호의 설명]
1Y, 1M, 1C, 1K, 1S, 1B…감광체(정전잠상 유지체)
2Y, 2M, 2C, 2K, 2S, 2B…대전기(대전 수단)
3Y, 3M, 3C, 3K, 3S, 3B…레이저 광선
3…노광 장치(정전잠상 형성 수단)
4Y, 4M, 4C, 4K, 4S, 4B…현상 장치(현상 수단)
5Y, 5M, 5C, 5K, 5S, 5B…1차 전사 롤러
6Y, 6M, 6C, 6K, 6S, 6B…감광체 클리닝 장치
8Y, 8M, 8C, 8K, 8S, 8B…토너 카트리지
10Y, 10M, 10C, 10K, 10S, 10B…유닛
20…중간 전사 벨트
22…구동 롤러
24…지지 롤러
26…2차 전사 롤러(전사 수단)
28…정착 장치(정착 수단)
30…중간 전사체 클리닝 장치
P…기록지(기록 매체)

Claims (29)

  1. 제1 토너상 형성 수단과, 제2 토너상 형성 수단과,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제1 토너상 형성 수단이,
    제1 정전잠상 유지체,
    그 제1 정전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제1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제1 정전잠상 형성 수단,
    제1 토너를 함유하는 제1 현상제에 의해 그 제1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그 제1 토너상을 형성하는 제1 현상 수단, 및
    그 제1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그 기록 매체 표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전사하는 제1 전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토너상 형성 수단이,
    제2 정전잠상 유지체,
    그 제2 정전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제2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제2 정전잠상 형성 수단,
    제2 토너를 함유하는 제2 현상제에 의해 그 제2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그 제2 토너상을 형성하는 제2 현상 수단, 및
    그 제2 토너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토너상 위에 배치되도록 그 기록 매체 표면에 전사하는 제2 전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착 수단이,
    상기 기록 매체 표면에 전사된 상기 제1 토너상 및 상기 제2 토너상을 그 기록 매체에 정착하는 정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토너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1은, 상기 제2 토너의 상기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2보다도 작은,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인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는, 상기 제2 토너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1 토너는, 상기 제2 토너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는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인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1 토너는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인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는, 상기 제2 토너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크고,
    상기 제1 토너는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1 토너는, 상기 제2 토너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크고,
    상기 제1 토너는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인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는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이며,
    각각 상기 제2 토너로서 착색 토너를 사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제2 토너상 형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착색 토너의 상기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어느 착색 토너의 상기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은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인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는, 상기 제2 토너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화상 형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1 토너는, 상기 제2 토너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는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단량체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2 토너는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단량체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200000인 화상 형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70000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매체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된 제1 토너상과, 상기 기록 매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토너상 위에 존재하는 제2 토너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1은, 상기 제2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θ2보다도 작은, 인쇄물.
  17. 제16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인 인쇄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상은, 상기 제2 토너상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인쇄물.
  19. 제16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1 토너상은, 상기 제2 토너상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인쇄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상은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로 이루어지는 인쇄물.
  21. 제16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1 토너상은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로 이루어지는 인쇄물.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상은, 상기 제2 토너상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크고,
    상기 제1 토너상은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로 이루어지는 인쇄물.
  23. 제16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1 토너상은, 상기 제2 토너상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크고,
    상기 제1 토너상은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로 이루어지는 인쇄물.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상은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토너로 이루어지는 비착색 토너상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착색 토너상인 상기 제2 토너상을 포함하고, 상기 비착색 토너상의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이 그 어느 착색 토너상의 상기 탈묵성 수용액에 대한 접촉각보다도 작은 인쇄물.
  25. 제24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인 인쇄물.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상은, 상기 제2 토너상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인쇄물.
  27. 제24항에 있어서,
    θ21의 값이 2.5°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1 토너상은, 상기 제2 토너상에 비해, CIE1976(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값이 큰 인쇄물.
  28.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너상은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단량체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2 토너상은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단량체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인쇄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200000인 인쇄물.
KR1020090085250A 2009-01-28 2009-09-10 화상 형성 장치 및 인쇄물 KR101228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16379 2009-01-28
JP2009016379A JP2010175691A (ja) 2009-01-28 2009-01-28 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614A KR20100087614A (ko) 2010-08-05
KR101228560B1 true KR101228560B1 (ko) 2013-02-01

Family

ID=4212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250A KR101228560B1 (ko) 2009-01-28 2009-09-10 화상 형성 장치 및 인쇄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9982B2 (ko)
EP (1) EP2214057A1 (ko)
JP (1) JP2010175691A (ko)
KR (1) KR101228560B1 (ko)
CN (1) CN101788777B (ko)
AU (1) AU200921521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7446B2 (ja) * 2009-10-02 2014-11-0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トナー及び画像形成装置
DE112010004875B9 (de) 2009-12-18 2022-05-12 Kao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fotografischem Toner
JP2012078382A (ja) * 2010-09-30 2012-04-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光沢画像形成方法
CN104656385B (zh) * 2015-02-28 2018-10-12 珠海思美亚碳粉有限公司 蓝色磁性工程机用显影剂及其制造方法
JP6711314B2 (ja) * 2016-07-20 2020-06-17 花王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6750871B2 (ja) * 2016-08-25 2020-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
JP2018180239A (ja) 2017-04-12 2018-11-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11215924B2 (en) * 2018-08-31 2022-01-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hotoresist, developer, and method of forming photoresist pattern
CN111979842A (zh) * 2020-08-19 2020-11-24 江苏理文造纸有限公司 一种低克超强箱板纸的制备工艺
CN112264194B (zh) * 2020-11-04 2022-06-07 昆明冶金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硫铁易泥化细粒复杂嵌布铜钼矿高效浮选捕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167B1 (ko) * 1994-11-17 1999-03-30 미따라이 후지오 화상 형성 장치
JP2001117387A (ja) 1996-08-23 2001-04-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記録媒体
JP2008129306A (ja) 2006-11-21 2008-06-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7534A (en) * 1993-08-20 1997-03-04 Ricoh Company, Ltd. Method of recycling support material for image-bearing member
US5667927A (en) 1993-08-30 1997-09-16 Shimadu Corporation Toner for electrophotography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909873B2 (ja) 1993-08-30 1999-06-23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電子写真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72847A (en) * 1995-10-24 1998-06-30 Stone-Consolidated (Us)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pulp from processed recycled fibers
JP3051826B2 (ja) * 1996-06-03 2000-06-12 花王株式会社 脱墨方法
JP3869944B2 (ja) 1998-07-31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
JP4183216B2 (ja) 1999-08-24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及びその現像装置
JP4330790B2 (ja) 2000-06-01 2009-09-16 三井化学株式会社 トナー用バインダー樹脂及び該樹脂を用いた電子写真トナー
JP3501771B2 (ja) 2001-04-27 2004-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を含有するバインダー樹脂、該バインダー樹脂を含むトナー;該トナー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678493B2 (en) * 2001-11-29 2004-01-13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belt module to efficiently accommodate additional image forming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167B1 (ko) * 1994-11-17 1999-03-30 미따라이 후지오 화상 형성 장치
JP2001117387A (ja) 1996-08-23 2001-04-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記録媒体
JP2008129306A (ja) 2006-11-21 2008-06-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15216A1 (en) 2010-08-12
JP2010175691A (ja) 2010-08-12
EP2214057A1 (en) 2010-08-04
KR20100087614A (ko) 2010-08-05
US20100189964A1 (en) 2010-07-29
CN101788777A (zh) 2010-07-28
CN101788777B (zh) 2014-03-12
AU2009215216B2 (en) 2011-03-31
US8139982B2 (en)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56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인쇄물
KR100870452B1 (ko) 정전하 현상용 토너 및 그 제조 방법, 정전하 현상용현상제,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3910338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写真用現像剤、画像形成方法
KR100452777B1 (ko) 전자 사진용 토너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용현상제, 화상 형성 방법
US7955774B2 (en) Electrostatic developing ton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lectrostatic developer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4191927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静電荷像現像剤及び画像形成方法
KR20060050908A (ko)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현상제, 및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의제조 방법
JP2006276074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125747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1017913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46056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静電荷像現像剤及び画像形成方法
JP5262513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電子写真用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19919B2 (ja) 液体現像剤、現像剤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6268040A (ja) 電子写真用トナー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並びに画像形成方法
US10795274B1 (en)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er, and toner cartridge
JP2004287149A (ja) 乳化液、該乳化液を用いた電子写真用トナー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電子写真用トナー、並びに、電子写真用現像剤、画像形成方法
JP2007025288A (ja) 画像形成方法
JP2007033692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67980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静電荷像現像剤、画像形成方法
JP5609198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531697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CN113267969A (zh) 树脂颗粒
JP5298716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8015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物
JP2008268334A (ja) 静電荷現像用トナー、静電荷現像用現像剤、カートリッジ、静電荷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