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348B1 - 폴링에 의한 통신접속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폴링에 의한 통신접속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348B1
KR101228348B1 KR20110007763A KR20110007763A KR101228348B1 KR 101228348 B1 KR101228348 B1 KR 101228348B1 KR 20110007763 A KR20110007763 A KR 20110007763A KR 20110007763 A KR20110007763 A KR 20110007763A KR 101228348 B1 KR101228348 B1 KR 10122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erminal
connection
user terminal
p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0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9408A (ko
Inventor
?지 스가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Publication of KR2012008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과제)
단말간의 통신에 있어서, 유저측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한 접속요구가 아니라, 서버 주도형으로 푸시형의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접속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접속 서버(100)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폴링 서버(50)를 설치하여 정기적으로 접속 서버(100)에 폴링을 한다. 폴링 서버(50)는, 접속 서버(100)가 서포트 단말(150)로부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에는, 되어 있지 않은 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유저 단말(10)로 송신한다. 유저 단말(10)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유저의 입력에 관계없이 폴링 서버(50)와 접속 서버(100)를 통하여 서포트 단말(150)에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접속을 한다.

Description

폴링에 의한 통신접속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THE TELECOMMUNICATION CONNECTING SYSTEM BY POLLING, THE METHOD AND THE PROGRAM OF IT}
본 발명은, 공중 회선망(公重回線網)을 통하여 접속된 유저 단말(user端末)이나 서버(server)를 폴링(polling)에 의하여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접속 시스템(通信接續 system), 방법 및 프로그램(program)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유저 단말과 서버간 또는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단말간의 접속을 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PC나 전기제품의 기기를 조작하는 초보자에 대하여, 공중 회선망 등의 네트워크를 경유한 리모트 서포트(remote support)를 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PC나 전기제품에 대해서 직접 그 PC나 전기제품에 억세스 하여 트러블 등의 상황을 서포트측이 파악하여 트러블에 대한 대응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1 참조).
이러한 리모트 서포트 사비스(remote support service)에 있어서, 서포트를 받는 유저 단말과 서포트를 하는 서포트 단말의 통신을 접속하는 방식은, 글로벌 어드레스(global address)를 구비하는 장치간에서의 통신에 의하여 통신이 확립된다. 즉 서포트 단말과 유저 단말은, 각각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이하, 「LAN」)내의 프라이비트 어드레스(private address) 밖에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통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는 접속 서버(接續server)나 라우터(router)가 중개(仲介)로서 필요하다. 예를 들면 서포트 단말이 접속 서버와 LAN에 의하여 접속되고, 유저 단말이 라우터와 접속되고, 접속 서버와 라우터가 공중 회선망에 의하여 접속되지만, 각각 고유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함으로써 통신을 확립한다.
여기에서 서포트 단말과 유저 단말이 접속 서버와 라우터를 통하여 통신을 하는 때에는, 서포트를 받는 유저 단말로부터 서포트 단말에 억세스를 요구함으로써 통신이 시작된다.
: 동일본전신전화주식회사, "리모트 서포트 서비스", [online], [평성21년7월22일 검색], 인터넷<URL:http://flets.com/osa/remote/s_outline.html>
이러한 통신방법의 일례를 들면, 최초에 서포트 단말로부터 접속 서버로 억세스 번호가 송신되고, 접속 서버가 이 억세스 번호를 기억한다. 그리고 접속 서버는, 라우터를 통하여 유저 단말에 억세스 번호를 송신한다. 유저 단말은 수신한 억세스 번호를 표시하고, 그 억세스 번호가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됨으로써 유저 단말이 라우터를 통하여 접속 서버에 그 억세스 번호를 통지하고, 접속 서버가, 그 억세스 번호로부터 서포트 단말을 특정하여 서포트 단말과 유저 단말을 접속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통신의 확립이 유저 단말의 입력조작이 기점(起點)이 되는 유저 단말 주도형의 통신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가 유저 단말로부터 떨어져 있지만 리모트 서포트를 받고 싶은 경우 등에, 서포트측의 주도에 의하여 리모트 서포트를 하여도 유저의 지시를 기다려야만 하는 상황이 되어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통신을 시작하는 계기가 클라이언트 주도형이기 때문에 관리를 하는 서포트측의 주도하에서 행동을 시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간의 통신에 있어서, 유저측으로부터의 접속요구가 아니라, 서버 주도형으로 푸시형의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접속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해결수단을 제공한다.
제1특징에 관한 발명은, 접속 서버 및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서포트 단말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유저 단말 및 폴링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접속 서버는,
상기 서포트 단말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특정 데이터 수신수단과,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되는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인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접속요구 접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폴링 서버는,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접속 서버에 폴링을 하는 폴링 수단과,
상기 폴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로 송신하는 접속요구 데이터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폴링 서버와 상기 접속 서버를 통하여, 상기 서포트 단말에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접속을 하는 접속실행수단을 구비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특징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접속 서버 및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서포트 단말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유저 단말 및 폴링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시스템으로서, 접속 서버는, 서포트 단말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서포트 단말로부터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되는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인 접속요구 데이터를 서포트 단말로부터 접수한다. 그리고 폴링 서버는, 접속 서버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접속 서버에 폴링을 하고, 접속 서버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유저 단말로 송신한다. 또한 유저 단말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폴링 서버와 접속 서버를 통하여, 서포트 단말에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접속을 한다.
따라서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지 않는 유저 단말, 서포트 단말간의 통신에 있어서, 유저 단말 주도형이 아니라 서버 주도형으로, 푸시형의 통신을 확립하여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제1특징에 관한 발명은, 발명의 카테고리에 있어서 시스템 뿐만 아니라 방법,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특징에 관한 발명은, 제1특징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는, 전화번호, IP어드레스, 메일 어드레스, 쿠키 정보 또는 유저ID 중의 어느 하나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3특징에 관한 발명은, 제1특징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상기 유저 단말에 서포트를 하는 애플리케이션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4특징에 관한 발명은, 제1특징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포트 단말과 상기 유저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5특징에 관한 발명은, 접속 서버 및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유저 단말 및 폴링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접속 서버는,
상기 서버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특정 데이터 수신수단과,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인 접속요구 데이터를 접수하는 접속요구 접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폴링 서버는,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접속 서버에 폴링을 하는 폴링 수단과,
상기 폴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로 송신하는 접속요구 데이터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폴링 서버와 상기 접속 서버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소정의 통신방법 또는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접속을 하는 접속실행수단을 구비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5특징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접속 서버 및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유저 단말 및 폴링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 서버는, 서버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인 접속요구 데이터를 접수한다. 그리고 폴링 서버가, 접속 서버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접속 서버에 폴링을 하고, 서버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유저 단말로 송신한다. 또한 유저 단말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폴링 서버와 접속 서버를 통하여, 서버에 소정의 통신방법 또는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접속을 한다.
따라서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지 않는 유저 단말, 서버간의 통신에 있어서, 유저 단말 주도형이 아니라 서버 주도형으로 푸시형의 통신을 확립하여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제5특징에 관한 발명은, 발명의 카테고리에 있어서 시스템 뿐만 아니라 방법,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특징에 관한 발명은, 제5특징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통신방법은,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이용한 통신방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과의 통신에 있어서, 서버 주도형으로 푸시형의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한 통신접속 시스템(1)의 구성도다.
도2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한 서포트 단말(150), 접속 서버(100),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의 기능 블럭도다.
도3은 도3은, 서포트 단말(150), 접속 서버(100),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이 실행하는 제1통신접속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4는,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서포트 단말(150)에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서버(300), 접속 서버(100),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이 실행하는 제2통신접속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통신접속 시스템의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인 통신접속 시스템(1)의 구성도다. 통신접속 시스템(1)은, 유저 단말(10a∼10c)(이하, 간단하게 「10」으로 한다), 폴링 서버(50), 공중 회선망(3)(인터넷망이나 제3세대, 제4세대 통신망, 고정회선 등), 접속 서버(100), 서포트 단말(150)로 구성된다. 유저 단말(10)은, 공중 회선망(3)을 통하여 접속 서버(100) 및 서포트 단말(150)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링 서버(50)가 유저 단말(10)의 게이트웨이(gateway)로서 기능하고, LAN(Local Area Network)에 접속되어 구성되더라도 좋지만, 폴링 서버(50)가 유저 단말(10)과 동일한 LAN에 접속되지 않고 공중 회선망(3)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다(후자의 경우에는 릴레이 서버(relay server)라고도 부른다). 이 경우에는, 유저 단말(10)이 존재하는 LAN내의 게이트웨이가 폴링 서버(5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은 유선, 무선을 묻지 않는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포트 단말(150)은 접속 서버(100)와 동일한 LAN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고, 동일한 LAN에 접속되지 않고 공중 회선망(3)을 통하여 서포트 단말(150)과 접속 서버(100)가 통신 가능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서포트 단말(150)이 존재하는 LAN내의 게이트웨이가 접속 서버(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여기에서는, 접속 서버(100)와 폴링 서버(50)가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여 공중 회선망(3)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접속 서버(100)와 폴링 서버(50)가 글로벌 어드레스를 가지지 않아도, 각 장치의 LAN내의 게이트웨이(라우터 기능을 구비한다)에 의하여 각각이 통신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유저 단말(10)과 서포트 단말(150)은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유저 단말(10)과 서포트 단말(150)이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고 있어도, 그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폴링 서버(50)를 이용한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유저 단말(10)은, OS(Operating System)을 구비하는 컴퓨터 단말이면 좋고, 후술하는 기능을 갖추는 정보기기나 전기제품이다. 유저 단말(10)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 스마트폰(smart phone)(10b), 복합형 프린터, 텔레비전(10a),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 등의 네트워크 기기, 컴퓨터(10c)에 더하여 냉장고, 세탁기 등의 백색가전이더라도 좋고, 전화기, 넷북 단말, 슬레이트 단말(slate 端末), 전자서적 단말, 전자사전 단말,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휴대형 컨텐츠 재생·녹화 플레이어 등의 일반적인 정보가전이어도 좋다.
[각 기능의 설명]
도2는, 서포트 단말(150), 접속 서버(100),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의 기능 블록과 각 기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 단말(10) 및 서포트 단말(150)은, 제어부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하고, 통신부로서 IEEE 802.11에 준거한 WiFi(Wireless Fidelity) 대응 디바이스 또는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등의 IMT-2000 규격에 준거한 무선 디바이스 등을 구비한다(유선이더라도 좋다). 또한 출력·입력부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데이터나 화상을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등을 구비하고 또한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이나 키보드(keyboard) 등을 구비한다.
유저 단말(10)에 있어서 제어부 및 통신부가 협동하여 접속실행수단(11)을 구현한다. 서포트 단말(150)에 있어서, 제어부 및 통신부가 협동하여 접속실행수단(157), 접속요구수단(155)을 구현한다. 각 수단의 기능과 관계에 대해서는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접속 서버(100), 폴링 서버(50)는, 제어부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하고, 통신부로서 IEEE 802.11에 준거한 WiFi(Wireless Fidelity) 대응 디바이스를 구비한다(유선이더라도 좋다).
폴링 서버(50)는, 관리하에 있는 유저 단말(10)의 프라이비트 어드레스(private address)를 기억하고 있다.
접속 서버(100)의 제어부는, 통신부와 협동하여 접속요구 접수수단(102), 단말특정 데이터 수신수단(101), 접속실행 중개수단(103)을 구현한다.
폴링 서버(50)의 제어부는, 통신부와 협동하여 폴링 수단(53), 접속요구 데이터 송신수단(55), 접속실행 중개수단(57)을 실현시킨다. 각 수단의 기능과 관계에 대해서는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외부 서버(200)는, 접속 서버(100)와 공중 회선망(3) 혹은 LAN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외부 서버(200)는 후술하는 단말특정 데이터를 접속 서버(100)로 송신하고, 접속 서버(100)의 단말특정 데이터 수신수단(101)이 이것을 수신한다.
[제1통신접속처리의 플로우차트]
도3은, 서포트 단말(150), 접속 서버(100),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이 실행하는 제1통신접속처리의 플로우차트다.
본 처리의 전제로서, 폴링 서버(50)의 폴링 수단(53)은 항상 접속 서버(100)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폴링을 실행하고 있다(스텝S07). 폴링은 몇 초 간격 등 정기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폴링 서버(50)의 폴링 수단(53)은, 서포트 단말(150)로부터 유저 단말(10)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는가 아닌가를 접속요구 데이터의 수신에 의하여 판단하고 있다. 유저 단말(10)에 대한 접속요구가 없는 한(스텝S08 : 「NO」), 스텝S07의 처리를 반복한다.
먼저, 접속 서버(100)의 단말특정 데이터 수신수단(101)이 단말특정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스텝S01).
단말특정 데이터는 유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도4의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착신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쿠키 정보, 유저ID 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저가, 접속 서버와의 접속을 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였을 경우는, 그 소정의 전화번호가 착신전화번호가 된다.
즉 유저 단말(10)을 조작하는 유저가, 유저 단말(10)에 대해서 서포트가 필요하다고 가정한다. 서포트를 받기 위하여, 유저는 소정의 서포트 전화번호에 전화를 건다. 이 때에, 외부 서버(200)는, 유저별로 일률적으로 정해진 소정의 전화번호를 유저 단말(10)에 서포트 센터의 전화번호로서 표시한다. 이 유저 단말(10)에 표시된 특정의 서포트 전화번호에 대하여 유저가 발신을 하면, 교환기나 외부 서버(200)가 이를 받아드린다(착호(着呼; call in)). 이 착호된 특정의 서포트 전화번호가 착신전화번호가 되어, 교환기나 외부 서버(200)로부터 접속 서버(100)에 단말특정 데이터로서 송신된다.
또, 착신전화번호는 유저 단말(10) 등으로부터 발신된 발신전화번호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4의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미리 발신전화번호가 폴링 서버IP, 유저 단말IP 등과 관련지어져 있고, 교환기나 외부 서버(200)가 착호했을 때의 발신전화번호를 접속 서버(100)에 단말특정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또한 단말특정 데이터가 메일 어드레스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외부 서버(200)가 메일 서버의 기능을 구비하고,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미리 유저가 송신하는 송신처의 메일 어드레스가, 폴링 서버IP, 유저 단말IP 등과 관련지어져 있고, 외부 서버(200)가 송신처의 메일 어드레스를 접속 서버(100)에 단말특정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또한 단말특정 데이터가, 억세스 되는 웹브라우저를 특정하는 쿠키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미리 유저 단말(10)에서 기동되는 웹브라우저의 쿠키 정보가 폴링 서버IP, 유저 단말IP 등과 관련지어져 있고, 외부 서버(200)인 웹서버가, 송신된 쿠키 정보를 접속 서버(100)에 단말특정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또한 단말특정 데이터가, 웹브라우저 등에서 인증(認證)을 한 유저ID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미리 유저ID가 폴링 서버IP, 유저 단말IP 등과 관련지어져 있고, 웹브라우저 등에서 인증을 한 유저ID를 인증서버(認證server)로서 기능하는 외부 서버(200)가 접속 서버(100)에 단말특정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또한 단말특정 데이터가 유저 단말(10)별로 정해지는 소정의 암호이더라도 상기의 유저ID와 마찬가지로 처리를 할 수 있다.
다음에 접속 서버(100)는 도4에 나타내는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과 같은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을 특정한다(스텝S02).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을 특정한다고 하는 것은,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의 통신처(IP어드레스)를 특정하는 것이다.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은, 착신전화번호와 폴링 서버IP(폴링 서버의 글로벌 IP어드레스)와 유저 단말IP(유저 단말의 프라이비트 IP어드레스)가 대응되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특정 데이터는, 착신전화번호 대신에 메일 어드레스, 쿠키 정보, 유저ID 등이어도 좋다.
다음에 접속 서버(100)는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서포트 단말(150)에 통지하고, 서포트 단말(150)은 단말특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유저 단말(10)로부터 수신한 화면 이미지, 아이콘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한다(스텝S03). 이 때에,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한 것이 통지되는 서포트 단말(150)은, 접속 서버(100)에 접속되는 복수의 서포트 단말(150)로부터 접속 서버(100)에 의하여 선택된 일부의 서포트 단말(150)이어도 좋다.
도5는, 이 단계에서 서포트 단말(150)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5의 예에서는,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되는 유저 단말(10)은 유저 단말 「AN-05」이다. 여기에서 「유저가 서포트를 요구하고 있습니다」(111)를 표시한다. 이것은, 서포트 단말(150)을 조작하는 서포터에 의한 리모트 서포트 접속의 시작지시를 촉구하는 목적으로 표시된다. 유저가 리모트 서포트 접속시작의 아이콘(112)을 누름으로써, 서포트 단말(150)은 유저 단말 「AN-05」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었다고 판단한다.
서포트 단말(150)의 접속요구수단(155)이, 유저 단말(10)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스텝S04 : 「YES」)에는, 접속요구수단(155)은 접속요구 데이터를 접속 서버(100)로 송신한다(스텝S05). 서포트 단말(150)의 접속요구수단(155)이, 유저 단말(10)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었다고 판단하지 않을 경우(스텝S04 : 「NO」)에는, 대기상태가 되어 스텝S04를 루프(loop; 반복)한다.
접속요구 데이터는, 접속 서버(100)가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한 유저 단말(10)에 대하여 서포트 단말(150)과의 접속을 요구하는 데이터로서, 반드시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한 유저 단말(10)의 IP어드레스의 데이터를 포함할 필요는 없지만, 접속요구를 한 서포트 단말(150)의 IP어드레스를 데이터로서 포함한다.
접속 서버(100)의 접속요구 접수수단(102)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S06). 상기한 바와 같이, 폴링 서버(50)는 정기적으로 접속 서버(100)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했는지를 감지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폴링 서버(50)의 폴링 수단(53)이 접속 서버(100)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한다(스텝S07).
폴링 서버(50)의 폴링 수단(53)은, 유저 단말(10)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지만, 접속 서버(100)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함으로써 스텝S09로 처리를 이동한다(스텝S08 : 「YES」). 여기에서 스텝S02에 의하여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폴링 서버(50)의 IP어드레스가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폴링 서버(50)는, 자신이 관리하는 유저 단말(10)에 대한 접속요구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스텝S09에 있어서, 폴링 서버(50)의 접속요구 데이터 송신수단(55)은,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되는 유저 단말(10)에 접속요구 데이터를 송신한다. 유저 단말(10)은, 스텝S02에서 접속 서버(100)에 의하여 프라이비트 어드레스(private address)가 특정되어 있으므로, 폴링 서버(50)는 유저 단말(10)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 유저 단말(10)에 접속요구 데이터를 송신한다.
특정된 유저 단말(10)(도5의 예에서는 「유저 단말 AN-05」)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고(스텝S10), 유저 단말(10)의 접속실행수단(11)이 접속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의하여(유저 단말(10)을 조작하는 유저의 조작의 유무에 관계없이) 접속요구를 한 서포트 단말(150)에 접속을 요구한다(스텝S11).
폴링 서버(50)의 접속실행 중개수단(57)은, 유저 단말(10)로부터의 접속요구를 중개하여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는 접속 서버(100)에 접속을 한다(스텝S12). 이에 따라, 접속 서버(100)의 접속실행 중개수단(103)이, 서포트 단말(150)의 IP어드레스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서포트 단말(150)을 특정하여, 특정된 서포트 단말(150)의 접속실행수단(157)에 접속을 한다(스텝S13).
서포트 단말(150)의 접속실행수단(157)은, 유저 단말(10)에 리모트 서포트의 접속을 확립하고(스텝S14), 서포트 단말(150)로부터 유저 단말(10)에 대한 원격조작이나 서로의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데이터의 공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비스를 시작한다.
[제2통신접속처리의 플로우차트]
도6은, 서버(300), 접속 서버(100),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이 실행하는 제2통신접속처리의 플로우차트다. 제2통신접속처리는, 제1통신접속처리와는 달리 서포트 단말(150)에 의하여 서포트를 하는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서버(300)에 유저 단말(10)로부터 접속하는 통신접속방법을 제공한다.
이 통신접속으로서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에 의한 통신의 확립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본 처리의 전제로서, 폴링 서버(50)의 폴링 수단(53)은 항상 접속 서버(100)가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폴링을 실행하고 있다(스텝S23).
먼저 접속 서버(100)의 단말특정 데이터 수신수단(101)이 단말특정 데이터와 접속요구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스텝S21). 단말특정 데이터는 제1통신접속처리와 같은 단말특정 데이터다. 접속요구 데이터는, 제1통신접속처리와는 달리 착호나 메일 수신에 의하여 유저 단말(10)로부터의 접속의 요구가 있었을 때에 외부 서버(200)가 생성하는 데이터로서, 유저 단말(10)이 서버(300)에 접속하는 요구를 나타내는 데이터다.
다음에 접속 서버(100)는, 도4에 나타내는 단말특정 데이터 관리 테이블과 같은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폴링 서버(50), 유저 단말(10)을 특정한다(스텝S22).
폴링 서버(50)의 폴링 수단(53)은 유저 단말(10)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데, 접속 서버(100)가 접속요구 데이터를 유저 단말(10)로부터 수신한 것을 감지함으로써 스텝S25로 처리를 이동한다(스텝S24 : 「YES」).
스텝S25에 있어서, 폴링 서버(50)의 접속요구 데이터 송신수단(55)은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되는 유저 단말(10)에 접속요구 데이터를 송신한다.
특정된 유저 단말(10)(도5의 예에서는 「유저 단말 AN-05」)은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고(스텝S26), 유저 단말(10)의 접속실행수단(11)이 접속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의하여(유저 단말(10)을 조작하는 유저의 조작의 유무에 관계없이) 접속요구를 한 서버(300)에 접속요구를 한다(스텝S27).
폴링 서버(50)의 접속실행 중개수단(57)은 유저 단말(10)로부터의 접속요구를 중개하여 글로벌 어드레스를 구비하는 접속 서버(100)에 접속을 한다(스텝S28). 이에 따라, 접속 서버(100)의 접속실행 중개수단(103)이 서버(300)의 IP어드레스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서버(300)을 특정하여 접속을 한다(스텝S29).
서버(300)는 유저 단말(10)에 통신접속을 확립한다(스텝S30). 이 때에, VPN의 통신접속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킴으로써 VPN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수단, 기능은, 컴퓨터(CPU, 정보처리장치, 각종 단말을 포함한다)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CD(CD-ROM 등), DVD(DVD-ROM, DVD-RAM 등) 등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 경우에, 컴퓨터는 그 기록매체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읽어내서 내부기억장치 또는 외부지억장치로 전송하고 기억하여 실행한다. 또한 그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장치(기록매체)에 미리 기록해 두고, 그 기억장치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하여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적합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통신접속 시스템, 3 공중 회선망, 10 유저 단말, 50 폴링 서버
100 접속 서버, 150 서포트 단말

Claims (8)

  1. 접속 서버(接續server) 및 글로벌 어드레스(global address)가 할당(割當)되어 있지 않은 서포트 단말(support 端末)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유저 단말(user端末) 및 폴링 서버(polling server)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공중 회선망(公重回線網)을 통하여 접속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접속 서버는,
    상기 서포트 단말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 단말을 특정(特定)하기 위한 단말특정 데이터(端末特定 data)를 수신하는 단말특정 데이터 수신수단(端末特定 data 受信手段)과,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되는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인 접속요구 데이터(接續要求 data)를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접속요구 접수수단(接續要求 接受手段)을
    구비하고,
    상기 폴링 서버는,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접속 서버에 폴링을 하는 폴링 수단(polling手段)과,
    상기 폴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로 송신하는 접속요구 데이터 송신수단((接續要求 data 送信手段)을
    구비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폴링 서버와 상기 접속 서버를 통하여, 상기 서포트 단말에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通信 application)에 의하여 접속을 하는 접속실행수단(接續實行手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는, 전화번호(電話番號), IP어드레스(IP address), 메일 어드레스(mail address), 쿠키 정보(cookie 정보) 또는 유저ID(user ID)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상기 유저 단말에 서포트를 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포트 단말과 상기 유저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접속 서버 및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유저 단말 및 폴링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접속 서버는,
    상기 서버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특정 데이터 수신수단과,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인 접속요구 데이터를 접수하는 접속요구 접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폴링 서버는,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접속 서버에 폴링을 하는 폴링 수단과,
    상기 폴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로 송신하는 접속요구 데이터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폴링 서버와 상기 접속 서버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소정의 통신방법 또는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접속을 하는 접속실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방법은,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이용한 통신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접속 서버 및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서포트 단말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유저 단말 및 폴링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시스템이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접속 서버는,
    상기 서포트 단말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되는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인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스텝을
    실행하고,
    상기 폴링 서버는,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접속 서버에 폴링을 하는 스텝과,
    상기 폴링을 하는 스텝에 의하여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로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폴링 서버와 상기 접속 서버를 통하여, 상기 서포트 단말에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접속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접속 서버 및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서포트 단말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글로벌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유저 단말 및 폴링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이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접속된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접속 서버에,
    상기 서포트 단말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특정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되는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인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서포트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접속 서버용 프로그램과,
    상기 폴링 서버에,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접속 서버에 폴링을 하는 스텝과,
    상기 폴링을 하는 스텝에 의하여 상기 접속 서버가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속요구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로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폴링 서버용 프로그램과,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접속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폴링 서버와 상기 접속 서버를 통하여, 상기 서포트 단말에 소정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접속을 시키기 위한 유저 단말용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
KR20110007763A 2010-11-18 2011-01-26 폴링에 의한 통신접속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228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8363 2010-11-18
JP2010258363A JP5876647B2 (ja) 2010-11-18 2010-11-18 ポーリングによる通信接続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408A KR20120089408A (ko) 2012-08-10
KR101228348B1 true KR101228348B1 (ko) 2013-02-01

Family

ID=4607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07763A KR101228348B1 (ko) 2010-11-18 2011-01-26 폴링에 의한 통신접속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76647B2 (ko)
KR (1) KR101228348B1 (ko)
CN (1) CN1024690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1130B2 (ja) * 2012-07-09 2016-03-22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リモート操作を受ける携帯型端末、リモート操作方法、リモート操作用プログラム、オペレータシステム及びオペレータ端末
JP5827199B2 (ja) * 2012-10-10 2015-12-02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リモート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サポート方法
JP5875050B2 (ja) * 2012-10-16 2016-03-02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ユーザ端末、オペレータサーバ、オペレータシステム、リモート操作方法、及びオペレータ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CN104168302B (zh) * 2013-05-20 2017-10-2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设备操控实现方法、系统和代理网关
CN104640213B (zh) * 2013-11-13 2018-05-11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线体域网的连接建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321B1 (ko) 1996-11-16 1999-10-15 정선종 무선호출 데이터 전송 지구국 시스템과 망관리 시스템 간의 접속장치 및 접속제어 방법
KR20050086734A (ko) * 2002-11-19 2005-08-30 센비드 인코퍼레이티드 네트워크 기반 디바이스를 위한 액세스 및 제어 시스템
JP2007535190A (ja) 2004-04-20 2007-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2008236719A (ja) 2006-10-13 2008-10-02 Quipa Holdings Ltd プライベー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733B2 (ja) * 2001-09-27 2007-06-13 株式会社東芝 家電機器、家電サーバ装置及び中継装置
JP2004040630A (ja) * 2002-07-05 2004-02-05 Canon Inc 遠隔監視装置及び遠隔監視装置の制御方法及び遠隔監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680878B2 (en) * 2002-09-30 2010-03-16 Panasonic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s for controlling a home terminal
JP4342961B2 (ja) * 2004-01-16 2009-10-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4595438B2 (ja) * 2004-08-16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並びに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センタサーバ、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機器監視制御装置及び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通信方法
JP2006148661A (ja) * 2004-11-22 2006-06-08 Toshiba Corp 情報端末遠隔操作システム、そのリモートアクセス端末、そのゲートウェイサーバ、その情報端末制御装置、情報端末装置、およびその遠隔操作方法
US8006005B2 (en) * 2007-09-21 2011-08-23 Mitel Networks Corporation Centralized polling service
JP5346513B2 (ja) * 2008-07-22 2013-11-20 京楽産業.株式会社 ポーリング通信システム
JP4858524B2 (ja) * 2008-10-06 2012-01-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遠隔制御監視システム
JP4858523B2 (ja) * 2008-10-06 2012-01-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遠隔制御監視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情報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321B1 (ko) 1996-11-16 1999-10-15 정선종 무선호출 데이터 전송 지구국 시스템과 망관리 시스템 간의 접속장치 및 접속제어 방법
KR20050086734A (ko) * 2002-11-19 2005-08-30 센비드 인코퍼레이티드 네트워크 기반 디바이스를 위한 액세스 및 제어 시스템
JP2007535190A (ja) 2004-04-20 2007-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2008236719A (ja) 2006-10-13 2008-10-02 Quipa Holdings Ltd プライベー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9003B (zh) 2014-08-20
JP2012109879A (ja) 2012-06-07
JP5876647B2 (ja) 2016-03-02
KR20120089408A (ko) 2012-08-10
CN102469003A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675B1 (ko) 사용자 단말기, 오퍼레이터 서버, 원격 지원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용 프로그램
US20100027531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228348B1 (ko) 폴링에 의한 통신접속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292022B1 (ko) 단말의 리모트 서포트 시스템, 리모트 서포트 방법
KR101776080B1 (ko) 오퍼레이터 시스템, 오퍼레이터 서버, 원격 지원 방법, 오퍼레이터 서버용 프로그램, 지원 대상 전기 제품, 및 지원 작업 화면 표시 장치
KR101360097B1 (ko) 리모트 서포트를 받는 휴대형 단말, 리모트 서포트 방법, 리모트 서포트용 프로그램, 오퍼레이터 시스템, 오퍼레이터 서버 및 오퍼레이터 단말
US9658817B2 (en) Screen sharing terminal, method of screen sharing, and program for screen sharing terminal
CN101296267A (zh) 电话系统和通信终端
JP4507088B2 (ja) 無線lan対応携帯電話の無線lan設定を支援する宅内通信機器
CN103004186A (zh) 在计算机设备之间配置高清晰度视频电话的装置和方法
US20120131206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y polling
JP5972825B2 (ja) 画面共有端末、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端末用プログラム
JP5827199B2 (ja) リモート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サポート方法
JP5737006B2 (ja) 代理アクセスを許可するサーバ,そのプログラム,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702341B2 (ja) リモートサポートを受ける携帯型端末、リモートサポート方法、リモートサポート用プログラム、オペレータシステム、オペレータサーバ、及びオペレータ端末
KR101545587B1 (ko) 화상 회의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6954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JP5815485B2 (ja) オペレータ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操作方法
KR100727096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콜 발신/수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4068086A (ja) オペレータシステム、リモートサポート方法、及び、オペレータ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JP2022183642A (ja)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接続方法
JP5875050B2 (ja) ユーザ端末、オペレータサーバ、オペレータシステム、リモート操作方法、及びオペレータ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JP5985421B2 (ja) ユーザ端末、オペレータサーバ、リモートサポート方法、及びユーザ端末用プログラム
JP5687253B2 (ja) オペレータシステム及び、オペレータ方法
JP5797674B2 (ja) オペレーション補佐端末、オペレータサーバ、オペレーション補佐方法、及び、オペレーション補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