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274B1 -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274B1
KR101227274B1 KR1020107013279A KR20107013279A KR101227274B1 KR 101227274 B1 KR101227274 B1 KR 101227274B1 KR 1020107013279 A KR1020107013279 A KR 1020107013279A KR 20107013279 A KR20107013279 A KR 20107013279A KR 101227274 B1 KR101227274 B1 KR 10122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less
phase
stainless steel
work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699A (ko
Inventor
마사하루 하따노
아끼히꼬 다까하시
에이이찌로오 이시마루
켄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9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이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질량%로, C : 0.1% 이하, Cr : 17 내지 25%, Si : 1% 이하, Mn : 3.7% 이하, Ni : 0.6 내지 3%, Cu : 0.1 내지 3% 및 N : 0.06% 이상, 0.15% 미만을 함유하고, 잔량부로서 철과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고,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갖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 15 내지 70%이고, 판 두께 중심의 판면(ND)에 있어서, ND//{11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과 ND//{10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이 합계 10면적% 이상 존재한다.

Description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FERRITE-AUSTENITE STAINLESS STEEL SHEET EXCELLENT IN RIDGING RESISTANCE AND WORKAB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8년 2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5112호 및 2008년 12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330428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SUS304로 대표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으로, 주방 기기, 가전 제품, 전자 기기 등 폭넓은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희소성이 있고 고가인 Ni를 다량으로 함유하므로, 장래에 걸친 보급성과 경제성에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정련 기술의 향상에 의해 극저탄소ㆍ질소화가 가능해지고, Ti나 Nb 등의 안정화 원소의 첨가에 의해, 내식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광범위한 분야로 적용되고 있다. 그 큰 요인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다량의 Ni를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도 경제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비교하여 가공성, 특히 재료의 연신률, 균일 연신률이라는 점에서 크게 뒤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와 페라이트계의 중간에 위치하는 오스테나이트ㆍ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종래, SUS329J4L로 대표되는
오스테나이트ㆍ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5%를 초과하는 Ni를 함유하고, 또한 Ni보다 희소성이 있고 고가인 Mo를 수% 함유하므로, 보급성과 경제성의 점에서 여전히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Mo를 선택 첨가 원소로 하고, Ni량이, 0.1% 초과 1% 미만(특허 문헌 1) 또는 0.5% 이상 1.7% 이하(특허 문헌 2)로 제약된 오스테나이트ㆍ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 문헌 1, 2의 실시예에 개시된 강은, 저Ni화를 지향하기 위해, 0.1%를 초과하는 N을 함유하고, 또한 Mn량을 3.7% 초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3과 특허 문헌 4에는 전체 연신률이나 딥드로잉성의 향상을 의도하여, 실질적으로 Ni량을 3% 이하로 제약하고, 오스테나이트상 중의 (C+N)량이나 성분 밸런스를 조정한 오스테나이트ㆍ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허 문헌 5의 실시예에는, N량을 0.06% 미만으로 하고, 페라이트상을 모상으로 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20% 미만 포함하는 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6과 특허 문헌 7에는 특허 문헌 3 및 특허 문헌 4와 유사한 오스테나이트ㆍ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내간극부 부식성 및 내입계 부식성의 개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의 실시예에 개시된 강은, Mn량을 2% 미만으로 제약하여, 0.5% 초과의 Ni량을 첨가한 경우에 0.3%를 초과하는 N량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7의 실시예에 개시된 강은 Mn량을 2% 초과 4% 미만으로 하여 Ni량이 0.6% 미만인 경우에 N량을 0.15% 미만으로 한 강이다.
종래, 오스테나이트계와 페라이트계의 중간에 위치하는 오스테나이트ㆍ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SUS329J4L로 대표되는 2상강에서는, 인장 가공했을 때에 압연 방향을 따라서 발생하는 두렁 형상의 기복, 소위 리징이라고 불리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이 비특허 문헌 1에 있어서 지적되어 있다. 이들 리징의 발생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마찬가지로 페라이트상의 집합 조직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비특허 문헌 2 및 비특허 문헌 3은 SUS329J4L의 집합 조직을 조사ㆍ연구한 것이다.
이들 문헌에 있어서, 페라이트상은 열연판 어닐링이나 냉간 압연과 어닐링을 반복해도 압연 집합 조직을 계승하여, 재결정 집합 조직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여기서, 압연 집합 조직이라 함은, {001} 방위 및 {112} 방위로의 집적이 강한 것을 의미하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이와 같은 방위로의 집적이 강하면 리징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2상강에서 발생하는 리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마찬가지로 압연 집합 조직으로의 집적이 강해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이 부족한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술한 특허 문헌 1 내지 7에는 상기에 지적한 리징의 발생 및 집합 조직에 대해 전혀 시사하는 기술이 없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3 내지 7에 개시된 오스테나이트ㆍ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양호한 성형성을 갖지만, 가공에 의한 리징의 발생 및 그 대책에 대해서는 명백하게 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071643호 공보 WO/02/2705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6962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8312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21940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0003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33308호 공보
일본스테인레스 기보 21(1986), p12 재료와 프로세스 18(1995), p708 재료와 프로세스 17(2004), p408
본 발명은 강판의 페라이트상의 집합 조직 및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의 상 밸런스를 규정하여, 강의 성분이나 열간 압연 조건을 컨트롤함으로써,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Ni, Mo 저감의 저합금을 지향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리징성과 가공성을 양립하는 집합 조직과 상 밸런스의 관계 및 그것을 실현하는 강의 성분과 제조 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리징 높이의 저감에는 페라이트상의 {111} + {101} 면적률[ND//{11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결정립(결정 방위 입자)과 ND//{10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결정립(결정 방위 입자)의 합계의 면적률]을 늘리는 것이 유효하고, 페라이트상의 {111} + {101} 면적률을 늘리기 위해서는, 고합금형의 2상강과 비교하여, 저합금형의 2상강의 쪽이 우위인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γ상률%)이 15 내지 70%의 범위에 있어서, 균일 연신률은 목표로 하는 30% 이상으로 되고, 균일 연신률은 γ상의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내리징성과 가공성의 지배 인자는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111} + {101} 면적률)와 γ상률인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는 성분의 영향에 추가하여, 열간 압연 조건의 영향도 받아,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을 촉진시켜 {111} + {101} 면적률을 늘리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상을 갖고 페라이트상의 생성량이 많은 고온 영역에서 조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γ상률은 냉간 압연 후의 마무리 어닐링 온도의 영향을 받아, 균일 연신률을 극대화하는 γ상률로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마무리 어닐링 온도가 900 내지 1200℃인 범위가 바람직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지식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질량%로, C : 0.1% 이하, Cr : 17 내지 25%, Si : 1% 이하, Mn : 3.7% 이하, N : 0.06% 이상, 0.15% 미만을 함유하고,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갖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 15 내지 70%이고, 판 두께 중심의 판면(ND)에 있어서, ND//{11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과 ND//{10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이 합계 10면적%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2) 질량%로, C : 0.1% 이하, Cr : 17 내지 25%, Si : 1% 이하, Mn : 3.7% 이하, Ni : 0.6 내지 3%, Cu : 0.1 내지 3% 및 N : 0.06% 이상, 0.15% 미만을 함유하고, 잔량부로서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고,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갖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 15 내지 70%이고, 판 두께 중심의 판면(ND)에 있어서, ND//{11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과 ND//{10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이 합계 10면적%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3) 상기 강이, 질량%로, Al : 0.2% 이하, Mo : 1% 이하, Ti : 0.5% 이하, Nb : 0.5% 이하, B : 0.01% 이하, Ca : 0.01% 이하, Mg : 0.01% 이하 및 희토류 원소 : 0.5% 이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4)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균일 연신률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5)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 성분을 갖는 스테인리스강 슬래브를 1150 내지 1300℃로 가열하는 공정과, 열간 조압연과 상기 열간 조압연 후의 열간 마무리 압연을 갖는 열간 압연을 상기 가열된 스테인리스강 슬래브에 실시하여 열연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열연판을 어닐링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열간 조압연에서는, 압연 개시 온도를 1150℃ 이상, 압연 종료 온도를 1050℃ 이상으로 하고, 또한 각 패스의 간격이 2초 이상, 60초 이하인 다패스 압연을 행하고,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갖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 15 내지 70%이고, 판 두께 중심의 판면(ND)에 있어서, ND//{11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과 ND//{10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이 합계 10면적% 이상 존재하는 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6) 상기 열간 조압연에 있어서, 압하율 20% 이상의 패스가 총 패스의 1/2 이상을 차지하고, 압하율이 가장 큰 1패스의 압하율이 50% 이상으로 되거나, 혹은 압하율이 큰 2패스의 압하율의 합계가 50% 이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7) 상기 열간 마무리 압연의 종료 온도를 90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8) 상기 어닐링한 열연판에, 1회의 냉간 압연을 50% 이상의 압하율로 행하거나, 또는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두는 2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합계 압하율이 50% 이상인 조건으로 행하여, 냉연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냉연판에 900 내지 1200℃로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이하, 상기 (1) 내지 (4)의 강에 관한 발명 및 (5) 내지 (8)의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을 각각 본 발명이라고 한다. 또한, (1) 내지 (8)의 발명을 합하여, 본 발명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 및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을 규정하여, 성분 혹은 제조 방법을 적시 컨트롤함으로써, SUS304 정도의 내리징성과, SUS304에 가깝거나 혹은 동등한 가공성이 우수하고, 특히 가공성의 지표로 되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균일 연신률이 30% 이상인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리징과 집합 조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균일 연신률과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γ상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완성시키는 것에 이른 대표적인 실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표 1의 강번호 1과 강번호 2에 성분을 나타내는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진공 용해하고, 열간 압연하여 5㎜ 두께의 열연판을 제조하였다. 열연판 어닐링을 1000℃로 행하고, 산세하고 냉간 압연하여 1㎜ 두께의 냉연판을 제작하였다. 냉연판 어닐링을 900 내지 1200℃로 실시하고, 그 후, 강제 풍냉에 의해 2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35 내지 40℃/초의 범위로 하여 냉각하였다. 냉연 어닐링판에 대해, 판 두께 중심의 판면에서의 집합 조직,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하, γ상률이라고 표기함), 리징 높이 및 균일 연신률을 측정하였다. 비교재로서, 강번호 3에 나타내는 통상의 SUS329J4L 제품을 사용하여 집합 조직과 리징 높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강의 집합 조직이나 γ상의 체적률은 열간 압연 조건과 900 내지 1200℃의 범위에서 실시한 냉연판 어닐링 온도에 의해 변화시켰다.
Figure 112010038701532-pct00001
판 두께 중심의 판면(이하, ND라고 약기함)에서의 집합 조직은, EBSP법에 의해 fcc(γ상)와 bcc(페라이트상)의 결정 구조를 동정하여,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를 측정하였다. 측정 배율은 ×100으로 하였다. 결정 방위의 측정 결과로부터, ND//{111}±10°에 배향하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결정 방위 입자)과 ND//{101}±10°에 배향하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결정 방위 입자)의 합계의 면적률을 구하였다.
여기서, ND//{111}±10°라 함은, 판면(ND)에 대해, {111}이 -10°∼+10°의 범위에 배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ND//{101} ±10°라 함은, 판면(ND)에 대해, {101}이 -10°∼+10°의 범위에 배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의 면적률은 판면 전체에 대한 면적률이다.
γ상의 체적분율(γ상률)은 판 단면을 수지에 매립하여 연마한 후, 적혈염 용액(상표명 : 무라카미 시약)으로 에칭하여 광학 현미경 관찰에 의해 구하였다. 적혈염 용액으로 에칭하면, 페라이트상은 회색, 오스테나이트상은 백색으로 판별할 수 있다.
리징 높이는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JIS5호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16% 인장 후의 표면 기복을 조도계로 측정하여 구하였다.
균일 연신률은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JIS13B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인장 속도 10㎜/분(JIS Z 2241에서 규정하는 인장 속도의 범위)으로 잘록부가 발생할 때까지의 연신률을 구하였다.
(a) 도 1에는 상술한 ND//{111}±10°와 ND//{101}±10°에 배향하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의 합계의 면적률(이하, {111} + {101} 면적률이라고 기재함)과 리징 높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로부터, {111} + {101} 면적률이 10% 이상인 경우, 리징 높이는 목표로 하는 5㎛ 이하로 되고, SUS304로 대표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마찬가지로 육안으로 표면 기복은 보이지 않게 된다. 리징 높이의 저감에는 페라이트상의 {111} + {101} 면적률을 늘리는 것이 유효하다.
(b) 페라이트상의 {111} + {101} 면적률을 늘리기 위해서는, 고합금형의 2상강(강번호 3)과 비교하여, 저Ni, Mo를 저감한 저합금형의 2상강(강번호 1, 2)의 쪽이 우위이다. 또한, 저합금형의 2상강에 있어서도 Ni량과 N량이 낮은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강번호 1의 쪽이 보다 바람직함).
이 이유는, 열간 압연 시나 그 후의 어닐링에 의한 페라이트상의 재결정 상태에 관계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즉, 저합금화를 지향함으로써,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이 촉진되어, 열연판 어닐링 후의 냉간 압연 소재에 있어서 페라이트상의 재 결정 방위인 {111}이 발달한다.
(c) 도 2에는 상술한 γ상률과 균일 연신률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로부터, γ상률이 15 내지 70%인 범위에 있어서, 균일 연신률은 목표로 하는 30% 이상으로 되어, 공지의 Ti나 Nb 등의 안정화 원소의 첨가에 의해, 내식성과 가공성을 높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훨씬 초과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와 손색이 없을 정도까지 도달한다.
(d) 균일 연신률은 γ상의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해 상승한다. 도 2의 실험 결과로부터, 균일 연신률은 γ상률의 증가와 함께 단조로이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범위의 γ상률에 있어서 극대치를 취한다.
이 이유는, 동일한 성분의 강에 있어서도, γ상률에 따라 γ상 자체의 성분이 다르고, 그것에 수반하여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생성량이 변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로 인해, 가공성의 지표로 하는 균일 연신률 30% 이상을 얻는다고 하는 시점으로부터, γ상률의 상하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e) 내리징성과 가공성의 지배 인자는 상술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111} + {101} 면적률)와 γ상률인 것을 발견하였다.
(f)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는 상기 (b)에서 서술한 성분의 영향에 추가하여, 열간 압연 조건의 영향도 받는다.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을 촉진시켜 {111} + {101} 면적률을 늘리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상을 갖고 페라이트상의 생성량이 많은 고온 영역에서 조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조압연에 있어서 연질의 페라이트상으로 변형이 집중되어,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한편, 오스테나이트상의 생성량이 많은 비교적 저온 영역에서 조압연하면, 연질의 페라이트상으로의 극도의 변형 집중에 의해 균열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조압연에서는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을 촉진시키기 위해, 압연 시의 패스간 시간을 취하는, 압하율을 크게 하여 변형을 축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압연에 이어지는 마무리 압연에 있어서, 압연 시의 균열을 회피하는 시점으로부터, 압연 종료 온도를 낮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g) γ상률은 냉간 압연 후의 마무리 어닐링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균일 연신률을 극대화하는 γ상률로 컨트롤하기 위해, 마무리 어닐링 온도는 900 내지 12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1) 내지 (8)의 본 발명은, 상기 (a) 내지 (g)의 지식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요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원소의 함유량의 「%」 표시는 「질량%」를 의미한다.
(A) 금속 조직에 관한 한정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을 겸비시키기 위해, 그 지배 인자인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111} + {101} 면적률)와 γ상률을 규정한 것이다.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는 EBSP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EBSP법은, 예를 들어 현미경 ; 스즈키 세이이치, Vol.39, No.2, 121 내지 12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상(fcc)과 페라이트상(bcc)의 결정 구조를 동정하여,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를 가시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정 방위 해석 시스템을 사용하면, 내리징성의 지배 인자인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 즉 ND//{111}±10°와 ND//{101}±10°에 배향하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의 합계의 면적률({111} + {101} 면적률)을 구할 수 있다.
{111}이나 {101}의 수치 표기는 상술한 EBSP법의 해석 시스템에서 나타내는 역극점도의 표기를 따른다. 시료는 강판의 판 두께 중심 부근의 판면(ND), 측정 배율은 100으로 하였다. {}는 결정면을 나타내는 밀러 지수의 표기를 의미한다. 즉, -를 마이너스의 부호로 하여, (-1-1-1), (-111), (1-11), (11-1), (-1-11), (1-1-1) 등의 등가의 결정면은 {}를 사용하여 {111}로 대표한다.
{111} + {101} 면적률은,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내리징성을 얻기 위해 10% 이상으로 한다. 도 1의 실험 결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으로 한다.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가공성(γ상률) 및 제조성의 균형으로부터, 50%를 초과하는 {111} + {101} 면적률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그로 인해, 상한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γ상률은 광학 현미경 관찰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강판 단면을 수지에 매립하여 연마한 후,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을 판별할 수 있는 에칭 처리를 실시한다. 즉, 적혈염 용액(상표명 : 무라카미 시약)으로 에칭하면, 페라이트상은 회색, 오스테나이트상은 백색으로 판별할 수 있다. γ상률은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시야를 화상 해석 장치에 도입하여, 2치화 처리를 실시하여 계측할 수 있다.
광학 현미경 관찰은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의 2치화 처리를 할 수 있는 배율(예를 들어 400배, 배율이 낮으면 상 경계가 불명료해 2치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음)로 하고, 특정 시야로의 치우침을 없애기 위해 화상 처리에 제공하는 관찰 면적을 1㎟ 이상으로 하였다.
γ상률은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15 내지 70%의 범위로 한다. γ상률이 15% 미만 혹은 70% 초과인 경우,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저합금형의 2상강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균일 연신률 30% 이상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γ상률의 바람직한 범위는 도 2의 실험 결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30 내지 60%로 한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40 내지 60%이다.
본 발명의 금속 조직을 갖는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리징 높이가 5㎛ 이하이고, 가공성의 지표로 되는 균일 연신률이 30% 이상으로 되고, SUS304 정도의 내리징성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보다 대폭으로 높은 SUS304에 가깝거나 혹은 동등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리징 높이는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JIS5호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16% 인장 후의 표면 기복을 조도계로 측정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B) 성분에 관한 한정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A)항에 서술한 금속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성분의 영향을 받는다. 성분은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는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하, γ상률이라고 표기함)을 높이는 동시에, 오스테나이트상 중에 농화되어,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도를 높이는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를 초과하면, C를 고용시키기 위한 열처리 온도가 현저하게 높아지는 동시에, 탄화물의 입계 석출에 의한 예민화를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로 인해, 0.1%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Cr은 내식성을 확보하는 필수 원소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한을 17%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25%를 초과하면, 인성의 저하, 연신률의 저하가 발생하는 동시에, 강 중에 오스테나이트상을 생성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로 인해, 25% 이하로 한다. 내식성과 가공성 및 제조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한 범위는 19 내지 23%이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0 내지 22%이다.
Si는 탈산 원소로서 첨가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i는 1%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필수 원소인 N의 고용도를 내리고, 질화물 석출에 의한 예민화를 유발하여 내식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가공성을 확보하는 것도 곤란해진다. 그로 인해, 1% 이하로 한다. 과도한 첨가는 정련 비용의 증가로도 연결된다. 가공성과 제조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한 범위는 0.02 내지 0.6%이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5 내지 0.2%이다.
Mn은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을 높이는 동시에, 오스테나이트상 중에 농화되어, 오스테나이트상 자체의 성분을 조정하여 가공성의 발현에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오스테나이트상으로의 N의 고용도를 높이는 시점으로부터도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탈산제로서도 효과적인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5%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3.7%를 초과하면, 내식성의 저하로도 연결된다. 그로 인해, 3.7% 이하로 한다. 가공성이나 내식성 및 제조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한 범위는 2 내지 3.5%이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5 내지 3.3%이다.
Ni는 Mn과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을 높이는 동시에, 오스테나이트상 중에 농화되어, 오스테나이트상 자체의 성분을 조정하여 가공성의 발현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6% 이상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3%를 초과하면, 원료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것 외에, 조압연에서의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이 불충분해져,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의 저하로 연결될 우려도 있다. 그로 인해, 3%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 및 경제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한 범위는 0.7 내지 2%이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9 내지 1.7%이다.
Cu는 Mn 및 Ni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로, 가공성의 발현에 대해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또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3%를 초과하면, 원료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것 외에, Ni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의 저하로 연결될 우려도 있다. 그로 인해, 3%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 및 경제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한 범위는 0.3 내지 1%이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4 내지 0.6%이다.
N은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로, 가공성의 발현에 대해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오스테나이트상에 고용되어 내식성을 높이는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6% 이상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0.15% 이상으로 되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의 저하로 연결될 우려도 있다. 그로 인해, 0.15% 미만으로 한다. 또한, N의 첨가는 용해 시의 블로우 홀 발생이나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 및 제조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한 범위는 0.07 내지 0.14%이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8 내지 0.12%이다.
Al은 강력한 탈산제이고,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2%를 초과하면, 질화물을 형성하여 표면 결함의 발생이나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 저하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첨가하는 경우의 상한은 0.2% 이하로 한다. 첨가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범위는 0.005 내지 0.1%이다.
Mo는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해도 좋다. 첨가하는 경우에는 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를 초과하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의 저하로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첨가하는 경우의 상한은 1% 이하로 한다. 첨가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범위는 0.2 내지 0.8%이다.
Ti와 Nb는 C나 N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예민화를 억제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해도 좋다. 첨가하는 경우에는 각각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 0.5%를 초과하면, 경제성을 손상시키는 것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내리징성이나 가공성을 저해할 우려도 있다. 그로 인해, 첨가하는 경우의 상한은 각각 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범위는 각각 0.03 내지 0.3%이다.
B, Ca, Mg는 열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시 첨가해도 좋다. 첨가하는 경우에는 각각 0.0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 0.01%를 초과하면, 제조성을 현저하게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첨가하는 경우의 상한은 0.01% 이하로 한다. 첨가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범위는 각각 0.0005 내지 0.005%이다.
희토류 원소(Sc, Y 및 란타노이드의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는, B, Ca, Mg와 마찬가지로 열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시 첨가해도 좋다. 첨가하는 경우에는 각각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 0.5%를 초과하면, 제조성 및 경제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첨가하는 경우의 상한은 각각 0.5% 이하로 한다. 첨가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범위는 0.02 내지 0.2%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강은 상기한 성분 이외에, 잔량부로서, 철과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한다.
불가피적 불순물의 일부로서 P, S를 하기의 범위에서 함유해도 좋다. P, S는 열간 가공성이나 내식성에 유해한 원소이다. P는 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S는 0.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이다.
(C) 제조 방법에 관한 한정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A)항에 서술한 금속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B)항의 성분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항의 성분을 갖고, 또한 이하의 제조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는, 성분의 영향에 추가하여, 열간 압연(열간 조압연과 열간 마무리 압연)의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을 촉진시켜 {111} + {101} 면적률을 늘리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상을 갖고 페라이트상의 생성량이 많은 고온 영역에서 조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열간 압연에 앞서 실시하는 슬래브 가열은 1150 내지 13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50℃ 미만인 경우, 오스테나이트상의 생성량이 많아지고, 1300℃ 초과인 경우, 페라이트상의 결정립 직경이 조대화되어 제조성을 저해시키는 경우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80 내지 12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1250℃의 범위로 한다.
조압연은 개시 온도를 1150℃ 이상, 종료 온도를 10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압연은 개시 온도를 1200℃ 이상, 종료 온도를 1100℃ 이상의 범위로 한다.
1150℃ 이상의 개시 온도에서는 연질의 페라이트상으로 변형이 집중되어,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이 촉진된다. 1150℃ 미만의 개시 온도에서는 연질의 페라이트상으로의 극도의 변형 집중에 의해 균열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개시 온도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250℃이고, 이에 의해 집합 조직을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상태로 컨트롤할 수 있다.
1050℃ 이상의 종료 온도에서는, 계속되는 마무리 압연에서의 페라이트상의 균열을 회피할 수 있다. 종료 온도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100℃이고, 이에 의해 집합 조직을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상태로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을 촉진시키는 수단으로서, 각 패스의 간격이 2초 이상, 6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초 이하인 다패스 압연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압하율 20% 이상의 패스를 총 패스의 1/2 이상으로 하고, 압하율이 가장 큰 1패스의 압하율을 50% 이상으로 하거나, 혹은 압하율이 큰 2패스의 압하율의 합계를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간 조압연 후의 열간 마무리 압연의 종료 온도는 압연 시의 균열을 회피하는 시점으로부터 900℃ 이상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으로 한다.
열간 압연 후,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을 촉진시키기 위해 열연판 어닐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온도는 950 내지 11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50℃ 미만인 경우, 페라이트상의 재결정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1150℃ 초과인 경우, 페라이트상의 결정립 직경이 조대화되어, 냉간 압연 시에 페라이트상/오스테나이트상의 상 경계에서 균열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100℃의 범위로 한다.
냉간 압연은 열연판 어닐링을 하여 1회 또는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두는 2회 이상 행해도 좋다. 중간 어닐링 온도는 상기한 열연판 어닐링 온도와 동일해도 좋다. 냉간 압연의 합계 압하율은 냉연판 어닐링에서의 재결정 촉진에 의해 내리징성을 확보하기 위해 50% 이상으로 한다. 50%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내리징성에 도달하지 않을 우려도 있다. 합계 압하율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9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0% 초과인 경우, 냉간 압연 시의 돌출 균열을 유발할 우려도 있다.
γ상률은 냉간 압연 후의 마무리 어닐링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γ상률은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1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범위로 할 필요가 있지만, 균일 연신률을 극대화하는 γ상률로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마무리 어닐링 온도를 900 내지 1200℃의 범위로 하면 좋다. 900℃ 미만인 경우, 냉연판의 어닐링 자체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1200℃ 초과인 경우, 결정립의 조대화와 함께 γ상률의 저하에 의해 목표로 하는 균일 연신률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 내지 1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950 내지 1050℃의 범위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서술한다.
표 2에 성분을 나타내는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주조편을 용제한 후, 강괴로 하고, 열간 압연을 행하여 판 두께 5.0㎜의 열연 강판으로 하였다. 강번호 1, 2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강번호 3 내지 16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성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강번호 17 내지 22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성분에 해당하고, 미량 원소를 함유하는 것이다. 강번호 23 내지 29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어떤 강도 잔량부로서, 철과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한다.
표 2 중, REM은 희토류 원소를 나타내고, 『-』는 첨가 없음을 의미하고, 밑줄은 청구항에 규정하는 성분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비고란의 A는 청구항 1에 해당하는 성분을 나타내고, B는 청구항 2에 해당하는 성분을 나타내고, C는 청구항 3에 해당하는 성분을 나타내고, D는 청구항 1 내지 3에 해당하지 않는 성분을 나타낸다.
열간 압연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조건에 추가하여, 그 이외의 조건으로도 실시하였다. 이들 열연 강판을 1000℃로 어닐링ㆍ산세한 후, 1회의 냉간 압연으로 1㎜ 두께로 하여, 마무리 어닐링을 실시하는 제조 방법을 기본으로 하고, 그 이외의 조건으로도 실시하였다. 그 이외의 조건이라 함은, 열연 강판의 어닐링ㆍ산세까지 완료된 것(열연 어닐링판) 및 1회의 냉간 압연으로 3㎜ 두께로 하여 마무리 어닐링을 실시한 것이다.
Figure 112010038701532-pct00002
얻어진 열연 어닐링판 및 냉연 어닐링판으로부터, 각종 시험편을 채취하여,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 γ상률, 리징 높이 및 균일 연신률을 평가하였다.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는 EBSP법에 의해, {111} + {101} 면적률을 구하였다. γ상률은 강판 단면을 수지에 매립하여 연마한 후,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을 판별할 수 있는 에칭 처리를 실시하여, 광학 현미경 관찰에 의해 구하였다. 리징 높이는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JIS5호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16% 인장 후의 표면 기복을 조도계로 측정하여 구하였다. 균일 연신률에 대해서도,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JIS13B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인장 속도 10㎜/분(JIS Z 2241에서 규정하는 인장 속도의 범위)으로 잘록부가 발생할 때까지의 연신률을 구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제조 조건을 표 3, 표 4에 나타내고, 마무리 어닐링판의 조직과 특성을 표 5, 표 6에 나타낸다. 비교예로서, 1㎜ 두께의 실기 SUS304 제품의 리징 높이와 균일 연신률을 병기하였다.
표 3, 표 4 중, 『T1』은 조압연 개시 온도를 나타낸다. 『T2』는 조압연 종료 온도를 나타낸다. 『T3』은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를 나타낸다. 『2패스 압하율』은 조압연 중에서 압하율을 높게 설정한 연속하는 2패스의 압하율의 합계를 나타낸다. 『*』는 중간 어닐링을 포함하는 2회의 냉간 압연을 행한 것을 나타낸다. 『M』은 마르텐사이트상이 관찰된 것을 나타낸다. 밑줄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제조 방법이나 목표로 하는 조직ㆍ특성 요건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1015573502-pct00009
Figure 112011015573502-pct00010
Figure 112010038701532-pct00005
Figure 112010038701532-pct00006
시료 번호 6, 7, 9 내지 25, 27, 29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성분과 제조 방법의 양자를 만족시킨 것이다. 이들 본 발명예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직, 즉 {111} + {101} 면적률 10% 이상과 γ상률 15 내지 70%를 만족시키고,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리징 높이 5㎛ 이하와 균일 연신률 30% 이상에 도달한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성분과 제조 방법의 양자를 실시하여 얻어진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SUS304 정도의 내리징성과, SUS304에 가깝거나 혹은 동등한 가공성을 갖고 있다.
시료 번호 8, 26, 28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성분을 갖지만,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이들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직 요건을 만족시키고,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리징 높이와 균일 연신률이 얻어진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성분을 가지면, 제조 방법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시료 번호 1, 4는 본 발명이 규정하는 성분을 갖고,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직 요건을 만족시키고,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리징 높이와 균일 연신률이 얻어진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실시하면, 성분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범위로 한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시료 번호 37 내지 42는 본 발명의 규정하는 바람직한 성분을 갖고,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열간 압연에 관한 제조 방법을 실시하고 있다. 이들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직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리징 높이와 균일 연신률이 얻어진 것이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성분과 열간 압연의 조건을 실시하면, 열간 압연 이후의 냉간 압연에 관한 제조 방법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범위로 한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시료 번호 2, 3, 5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을 갖지만,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이들 비교예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직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아, 그 결과,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특성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다.
시료 번호 30 내지 36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으로부터 벗어나지만,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비교예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직 요건 및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특성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SUS304 정도의 내리징성과, SUS304에 가깝거나 혹은 동등한 우수한 가공성을 갖고, 특히 균일 연신률이 30% 이상인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질량%로, C : 0.1% 이하, Cr : 17 내지 25%, Si : 1% 이하, Mn : 3.7% 이하, N : 0.06% 이상, 0.15% 미만을 함유하고, 잔량부로서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고,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갖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 15 내지 70%이고,
    판 두께 중심의 판면(ND)에 있어서, ND//{11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과 ND//{10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이 합계 10면적%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2. 질량%로, C : 0.1% 이하, Cr : 17 내지 25%, Si : 1% 이하, Mn : 3.7% 이하, Ni : 0.6 내지 3%, Cu : 0.1 내지 3% 및 N : 0.06% 이상, 0.15% 미만을 함유하고, 잔량부로서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고,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갖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 15 내지 70%이고,
    판 두께 중심의 판면(ND)에 있어서, ND//{11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과 ND//{10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이 합계 10면적%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이, 질량%로, Al : 0.2% 이하, Mo : 1% 이하, Ti : 0.5% 이하, Nb : 0.5% 이하, B : 0.01% 이하, Ca : 0.01% 이하, Mg : 0.01% 이하 및 희토류 원소 : 0.5% 이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균일 연신률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 성분을 갖는 스테인리스강 슬래브를 1150 내지 1300℃로 가열하는 공정과, 열간 조압연과 상기 열간 조압연 후의 열간 마무리 압연을 갖는 열간 압연을 상기 가열된 스테인리스강 슬래브에 실시하여 열연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열연판을 어닐링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열간 조압연에서는 압연 개시 온도를 1150℃ 이상, 압연 종료 온도를 1050℃ 이상으로 하고, 또한 각 패스의 간격이 2초 이상, 60초 이하인 다패스 압연을 행하고,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갖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분율이 15 내지 70%이고, 판 두께 중심의 판면(ND)에 있어서, ND//{11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과 ND//{101}±10°를 만족시키는 결정 방위를 갖는 페라이트상의 결정립이 합계 10면적% 이상 존재하는 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조압연에 있어서, 압하율 20% 이상의 패스가 총 패스의 1/2 이상을 차지하고, 압하율이 가장 큰 1패스의 압하율이 50% 이상으로 되거나, 혹은 압하율이 큰 2패스의 압하율의 합계가 50% 이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마무리 압연의 종료 온도를 90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한 열연판에, 1회의 냉간 압연을 50% 이상의 압하율로 행하거나, 또는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두는 2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합계 압하율이 50% 이상인 조건으로 행하여, 냉연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냉연판에 900 내지 1200℃로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마무리 압연의 종료 온도를 90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한 열연판에, 1회의 냉간 압연을 50% 이상의 압하율로 행하거나, 또는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두는 2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합계 압하율이 50% 이상인 조건으로 행하여, 냉연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냉연판에 900 내지 1200℃로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한 열연판에, 1회의 냉간 압연을 50% 이상의 압하율로 행하거나, 또는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두는 2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합계 압하율이 50% 이상인 조건으로 행하여, 냉연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냉연판에 900 내지 1200℃로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한 열연판에, 1회의 냉간 압연을 50% 이상의 압하율로 행하거나, 또는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두는 2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합계 압하율이 50% 이상인 조건으로 행하여, 냉연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냉연판에 900 내지 1200℃로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07013279A 2008-02-05 2009-01-30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7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5112 2008-02-05
JPJP-P-2008-025112 2008-02-05
JPJP-P-2008-330428 2008-12-25
JP2008330428A JP5337473B2 (ja) 2008-02-05 2008-12-25 耐リジング性と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09/051611 WO2009099010A1 (ja) 2008-02-05 2009-01-30 耐リジング性と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699A KR20100097699A (ko) 2010-09-03
KR101227274B1 true KR101227274B1 (ko) 2013-01-28

Family

ID=4095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279A KR101227274B1 (ko) 2008-02-05 2009-01-30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26780B2 (ko)
EP (1) EP2251449B1 (ko)
JP (1) JP5337473B2 (ko)
KR (1) KR101227274B1 (ko)
CN (1) CN101903554B (ko)
ES (1) ES2655362T3 (ko)
WO (1) WO2009099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8105B2 (ja) * 2009-02-06 2013-08-21 株式会社日本製鋼所 2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56432B2 (ja) * 2010-02-12 2015-01-2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32691A (ko) * 2010-04-29 2012-12-07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높은 성형성을 구비하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 및 사용 방법
JP6056132B2 (ja) * 2010-11-25 2017-01-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二相ステンレス鋼
UA111115C2 (uk) 2012-04-02 2016-03-25 Ейкей Стіл Пропертіс, Інк. Рентабельна феритна нержавіюча сталь
EP2963136B1 (en) * 2013-02-28 2019-04-10 Nisshin Steel Co., Ltd. Austenitic stainless-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high-elastic-limit nonmagnetic steel material therefrom
KR101641796B1 (ko) * 2014-12-26 2016-07-22 주식회사 포스코 드로잉성이 우수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6047A (ko) * 2015-11-12 2017-05-23 주식회사 포스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46404B1 (ko) * 2015-12-23 2017-06-14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JP6307100B2 (ja) * 2016-02-17 2018-04-0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低温での耐破壊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727055B2 (ja) * 2016-07-25 2020-07-22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厚手電磁調理器用二相ステンレス鋼
JP6811112B2 (ja) * 2017-02-09 2021-01-13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2相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50573A (ja) * 2017-03-10 2018-09-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金属弾性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ダイヤフラム
CN107746938A (zh) * 2017-12-05 2018-03-02 东北大学 一种含稀土超纯高铬铁素体抗皱不锈钢及其制备方法
KR102463485B1 (ko) * 2018-03-30 2022-11-04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부재
WO2019194201A1 (ja) * 2018-04-02 2019-10-10 日本製鉄株式会社 金属板、金属板の製造方法、金属板の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板の成形品
CN111944973A (zh) * 2019-05-17 2020-11-17 南京理工大学 一种异质层状结构双相不锈钢的制备方法
WO2021100211A1 (ja) * 2019-12-20 2021-05-27 日本製鉄株式会社 Niめっき鋼板、及びNi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EP4253587A1 (en) 2020-11-30 2023-10-04 NIPPON STEEL Stainless Steel Corporation Dual phase stainless steel plate and dual phase stainless hot-rolled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phase stainless steel p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6684A (ja) * 1992-10-06 1994-04-26 Sumitomo Metal Ind Ltd 耐食性、相安定性に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鋼
KR960014516B1 (ko) * 1992-04-16 1996-10-16 신니뽄 세이데스 가부시끼가이샤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이레스강 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62057A (ko) * 1999-12-03 2001-07-07 에모토 간지 내리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및 그 제조방법
JP2005015856A (ja) 2003-06-26 2005-01-20 Nippon Steel Corp 伸び特性に優れる安価なステンレス鋼線材及び細線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90592B (ko) * 1993-07-08 1996-11-11 Asahi Seiko Co Ltd
JP3451830B2 (ja) * 1996-03-29 2003-09-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リジング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63500B2 (ja) 1997-02-07 2003-11-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延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65243B1 (fr) * 1997-06-30 1999-07-30 Usinor Acier inoxydable austenoferritique a tres bas nickel et presentant un fort allongement en traction
JP2000200035A (ja) * 1999-01-07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地図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3995822B2 (ja) * 1999-03-05 2007-10-24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高純度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2001181808A (ja) * 1999-12-17 2001-07-03 Nippon Steel Corp リジング特性と深絞り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SE517449C2 (sv) 2000-09-27 2002-06-04 Avesta Polarit Ab Publ Ferrit-austenitiskt rostfritt stål
US8562758B2 (en) * 2004-01-29 2013-10-22 Jfe Steel Corporation Austenitic-ferritic stainless steel
JP4760031B2 (ja) 2004-01-29 2011-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4760032B2 (ja) 2004-01-29 2011-08-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4852857B2 (ja) * 2004-03-16 2012-01-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張り出し成形性と耐隙間部腐食性が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5021901B2 (ja) * 2005-02-28 2012-09-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粒界腐食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EP1867748A1 (fr) * 2006-06-16 2007-12-19 Industeel Creusot Acier inoxydable duplex
JP4815634B2 (ja) 2006-07-18 2011-11-16 五洋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工法用透水性裏込材の製造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516B1 (ko) * 1992-04-16 1996-10-16 신니뽄 세이데스 가부시끼가이샤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이레스강 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H06116684A (ja) * 1992-10-06 1994-04-26 Sumitomo Metal Ind Ltd 耐食性、相安定性に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鋼
KR20010062057A (ko) * 1999-12-03 2001-07-07 에모토 간지 내리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판및 그 제조방법
JP2005015856A (ja) 2003-06-26 2005-01-20 Nippon Steel Corp 伸び特性に優れる安価なステンレス鋼線材及び細線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1449B1 (en) 2017-12-13
EP2251449A4 (en) 2016-07-13
JP2009209448A (ja) 2009-09-17
CN101903554A (zh) 2010-12-01
JP5337473B2 (ja) 2013-11-06
ES2655362T3 (es) 2018-02-19
KR20100097699A (ko) 2010-09-03
WO2009099010A1 (ja) 2009-08-13
CN101903554B (zh) 2012-06-27
EP2251449A1 (en) 2010-11-17
US20110000589A1 (en) 2011-01-06
US8226780B2 (en)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274B1 (ko) 내리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226068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hot-rolled plate, strip or coil made of duplex stainless steel
KR100957664B1 (ko)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
EP2684973B1 (en) Two-phase stainless steel exhibit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in weld
KR101253326B1 (ko)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및 그 제조 방법
EP2410068B1 (en) Duplex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press moldability
KR101424859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3282029B1 (en) Steel sheet for heat treatment
KR101648694B1 (ko) 2상 스테인리스강, 2상 스테인리스강 주조편 및 2상 스테인리스강 강재
EP3026138A1 (en) High-strength steel material for oil well use, and oil well pipe
KR101737255B1 (ko) 후 강판 및 후 강판의 제조 방법
KR20130105721A (ko) 합금 원소 절감형 2상 스테인리스 열연 강재, 클래드재로서 2상 스테인리스강을 구비하는 클래드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5406233B2 (ja) 二相ステンレス鋼を合わせ材とする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47705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線材、及び鋼線、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850231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WO2019082324A1 (ja) 低温用ニッケル含有鋼
JP2011214058A (ja) 高強度ステンレス鋼線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082325A1 (ja) 低温用ニッケル含有鋼
JP5213386B2 (ja) 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140856B1 (ja) 成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6113B2 (ja) 比例限界応力の高い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製造法
JP6673320B2 (ja) 厚鋼板および厚鋼板の製造方法
WO2023053829A1 (ja) 鋼板
CN116529399A (zh) 铁素体系不锈钢钢板以及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