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064B1 -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064B1
KR101227064B1 KR1020120103434A KR20120103434A KR101227064B1 KR 101227064 B1 KR101227064 B1 KR 101227064B1 KR 1020120103434 A KR1020120103434 A KR 1020120103434A KR 20120103434 A KR20120103434 A KR 20120103434A KR 101227064 B1 KR101227064 B1 KR 10122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chain
main body
trolle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길
Original Assignee
(유) 삼각에프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삼각에프엠씨 filed Critical (유) 삼각에프엠씨
Priority to KR102012010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053Preserving by heating by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heating gases 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 carriers which are 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7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load on the lower run or on both upper and lower runs of the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는 대차(300)와, 대차를 이송가능하게 가이드하며 증삼기 본체 내부의 높낮이에 따라 대차의 높낮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증삼기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입구 리프터(400)와 출구 리프터(500), 및 입구 리프터에 의해 상승된 후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송시키고 출구 리프터 쪽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이송수단(600)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증삼기 본체의 외부에 있던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이송하거나 또는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있던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외부로 이송함에 있어서 리프터(lifter)를 이용해 그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함과 더불어,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대차를 이송시킴에 있어서는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CART TRANSFER EQUIPMENT USED GINSENG MANUFACTURING DEVICES}
이 발명은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삼기 본체의 외부에 있던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이송하거나 또는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있던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외부로 이송함에 있어서 리프터(lifter)를 이용해 그 높낮이를 조절함과 더불어,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대차를 이송시킴에 있어서는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홍삼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9, 10월에 수확한 수삼을 깨끗이 씻은 후, 선별하여 증기로 찌게 되는데 이를 증숙이라고 한다. 이때에 조직중의 전분입자가 호화(糊化)되어 건조 후에 조직이 견고해진다. 또한, 증숙공정을 거치는 동안 각종 효소들이 불활성화되어 자가소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품질 안정성이 우수하고 장기보관해도 내용성분의 변화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증숙 과정에서 수삼의 동체균열, 백피, 내공, 내백 등이 발생하게 되면 홍삼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어 낮은 등급을 받을 수 있으므로, 홍삼의 제조 과정에서 증숙은 대단히 중요하며, 주의가 필요한 공정이라 할 수 있으며, 홍삼의 품질의 균일도를 위해서는 증삼기 본체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홍삼제품의 경우는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어 남녀노소 모두가 복용하므로 급격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자동화된 대량 생산 설비가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증삼 및 건조 설비는, 증삼과 건조를 하기 위해 수삼을 담은 채반을 대차에 차곡차곡 소정 간격으로 쌓아 넣고, 대차를 증삼기 본체나 건조기 본체에 넣어 증삼 또는 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증삼실과 건조실을 별도로 시설 운전함에 따라, 대차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생산성도 떨어지고 설비비 또한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해, 증삼기능과 건조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증삼 건조설비들에 대한 기술들이 출원 공개되어 있다.
한편, 대차를 챔버에 넣는 방법은 수동식 또는 반자동식으로 작업자가 직접 밀어 넣거나, 챔버의 외부 상단의 레일에 장착된 체인 후크에 대차를 걸고 체인을 구동하는 트롤리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작업 방식은 증삼기의 문을 열고 증삼기 본체(챔버)의 내부에 있던 앵글 구조로 제작된 레일을 작업자의 손으로 내려서 지면과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연결하는 경사로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경사로 레일 위로 대차를 작업자가 밀어 올린 후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밀어 넣은 방식이다. 그런데, 이 방식은 경사로를 따라 작업자가 대차를 밀어 올리거나 내리기 때문에 대차의 무게로 인해 그 작업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대차가 경사로에서 미끄러짐에 따른 위험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서의 증삼작업이 완료된 후 증삼기 밖으로 대차를 옮기기 위해서는 뜨거운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 대차를 빼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화상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트롤리 방식은 챔버의 외부 상단의 레일에 장착된 체인 후크에 대차를 걸고 체인을 구동시켜 대차를 운반하거나, 도 2의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19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차(220)가 적재되는 챔버(210)의 위쪽으로 컨베이어(230)와 레일(240)을 설치해 레일(240)을 따라 대차(220)를 운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트롤리 방식은 대차를 매달거나 내리는 과정에 인력이 필요하고, 무거운 대차가 매달려 이송되므로 이송 중에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롤리 방식은 설치 가능한 챔버의 높이가 대차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레일을 설치하지 않았을 때의 높이와 비교하여 그 만큼이 낮아지게 되며, 당연히 챔버에 적재되는 대차의 높이도 낮아지게 되어 한 번에 증삼건조할 수 있는 인삼의 량이 줄어들어 홍삼의 생산량도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삼기 본체의 외부에 있던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이송하거나 또는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있던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외부로 이송함에 있어서 리프터(lifter)를 이용해 그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함과 더불어,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대차를 이송시킴에 있어서는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대차와, 상기 대차를 이송가능하게 가이드하며 증삼기 본체 내부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대차의 높낮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증삼기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입구 리프터와 출구 리프터, 및 상기 입구 리프터에 의해 상승된 후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송시키고 출구 리프터 쪽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대차는 인삼을 담은 채반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다수개의 받침대와,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바퀴, 및 하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차 이송수단의 일측에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접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대차 이송수단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축과, 상기 축에 고정된 스프로켓(sprocket)과, 상기 스프로켓에 맞물려 증삼기 본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대차의 접촉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동력 전달부재, 및 상기 대차의 다수개의 바퀴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체인의 양측에 증삼기 본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체인이 접촉하지 않고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체인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체인이 상기 접촉부재의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재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차는 하부 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보강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접촉하는 접촉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체인이 수평면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체인의 상부쪽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양측으로만 돌출되도록 상기 체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구 리프터 및 상기 출구 리프터는 상기 대차의 다수개의 바퀴를 가이드하도록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증삼기 본체의 외부에 있던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이송하거나 또는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있던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외부로 이송함에 있어서 리프터(lifter)를 이용해 그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함과 더불어,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대차를 이송시킴에 있어서는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이 발명은 거의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밀어넣거나 증삼기 본체 내부의 대차를 밖으로 끌어낼 필요가 없다. 그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작업자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또한 대차의 손쉬운 적재가 가능하며, 더 나아가 작업자가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어져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대차를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송하도록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적재할 수 있는 대차의 높이를 증가시켜 홍삼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작업 방식으로 대차를 이송시키는 개념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트롤리 방식으로 대차를 이송시키는 개념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대차의 구성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프터의 구성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대차 이송수단의 구성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대차 이송수단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대차가 도 7에 도시된 대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원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대차와 대차 이송수단 간의 이송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는 대차(300)와, 대차(300)를 이송가능하게 가이드하며 증삼기 본체 내부의 높낮이에 따라 대차(300)의 높낮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증삼기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입구 리프터(400)와 출구 리프터(500), 및 입구 리프터(400)에 의해 상승된 후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대차(300)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송시키고 출구 리프터(500) 쪽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이송수단(600)으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대차의 구성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대차(300)는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로, 하단에 다수개의 바퀴(310)가 설치되어 쉽게 밀거나 끌 수 있으며, 인삼을 담은 채반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받침대(3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에는 하부 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대(33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보강대(330)의 단부에는 대차 이송수단(600)에 접촉된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접촉부재(3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부재(331)는 대차 이송수단(600)의 일부분이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대차(300)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으로, 체인은 접촉하지 않으면서 대차 이송수단(600)의 일부분만이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즉, 접촉부재(331)는 체인이 접촉하지 않고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접촉부재(331)는 대차 이송수단(600)의 일부분이 끼워짐에 따라 보다 완벽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접촉홈(331a)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프터의 구성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입구 리프터(400) 및 출구 리프터(500)는 증삼기 본체의 외부에 있던 대차(300)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이송하거나 또는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있던 대차(300)를 증삼기 본체의 외부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증삼기 본체 내부의 높낮이에 따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입구 리프터(400)는 증삼기의 입구 쪽에 설치되고, 출구 리프터(500)는 증삼기의 출구 쪽에 설치된다.
한편, 입구 리프터(400)는 지면에 있거나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있던 대차(300)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 또는 지면으로 상하강시킬 수 있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대(410)와, 지지대(410)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420)와, 받침대(420)를 지지대(410)에 대해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도시안됨), 및 받침대(4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대차(300)의 다수개의 바퀴(3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의 역할을 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430)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는 일반적인 제어원리를 통해 대차(300)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 또는 지면과 동일선상에 대차(300)가 위치하도록 상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출구 리프터(5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입구 리프터(400)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대차 이송수단의 구성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대차 이송수단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대차가 도 7에 도시된 대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원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대차와 대차 이송수단 간의 이송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대차 이송수단(600)은 입구 리프터에 의해 상승된 대차(300)를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송시키고 출구 리프터(500)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대차 이송수단(600)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610)와, 구동모터(610)에 연결된 축(620)과, 축(620)에 고정된 스프로켓(sprocket ; 630)과, 스프로켓(630)에 맞물려 증삼기 본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체인(640)과, 체인(6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대차(300)의 접촉부재(331)에 접촉된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동력 전달부재(650), 및 대차(300)의 다수개의 바퀴(3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의 역할을 하도록 체인(640)의 양측에 증삼기 본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660)로 구성된다.
한편,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는 대차(300)가 통상 2열 이상으로 적재되되, 1열에 다수개의 대차(300)가 적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 열에 적재되는 대차(300)들을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체인(640)을 이용하되, 체인(64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해당 체인(640)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 및 폭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651)로 구성된 동력 전달부재(650)가 대차(300)의 접촉부재(331)에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대차(300)를 밀면서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원하는 지점에 각각 적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동력 전달부재(650)는 체인(64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체인(640)이 접촉부재(331)의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접촉부재(331)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돌출부(651)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돌출부(651)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체인(64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되, 체인(640)이 수평면 상태에 있을 때에 체인(640)의 상부쪽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양측으로만 돌출되어 대차(300)의 접촉부재(331)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를 이용해 인삼이 적재된 대차를 운반 이송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입구 리프터(400)의 한 쌍의 가이드홈(430)을 지면과 동일 높낮이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인삼이 적재된 대차(300)의 다수개의 바퀴(310)를 한 쌍의 가이드홈(430)을 따라 밀어 대차(300)를 입구 리프터(400)의 상부에 배치시킨다. 그런 다음, 입구 리프터(400)의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입구 리프터(400)의 한 쌍의 가이드홈(430)을 대차 이송수단(600)의 한 쌍의 가이드레일(660)과 동일한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대차(300)에 약간의 힘을 가해 대차(300)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대차 이송수단(600)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대차(300)는 그 바퀴(310)가 입구 리프터(400)의 한 쌍의 가이드홈(43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로 증삼기 본체의 내부까지 이송된다. 따라서, 입구 리프터(400)는 대차(300)의 이송방향 좌우로의 흔들림이 적어지고 탈선이나 전복을 방지하는 안정된 상태로, 인삼을 실은 대차(300)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가 있다.
그러면, 구동모터(610)가 작동하고, 그 회전력은 축(620)에 의해 스프로켓(63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스프로켓(630)에 맞물려 있는 체인(640)이 회전 구동하고, 체인(6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체인(6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동력 전달부재(650) 또한 체인(640)과 함께 회전 구동하게 된다. 이렇게 체인(640)이 회전하다가 동력 전달부재(650)의 한 쌍의 돌출부(651)가 대차(300)의 접촉부재(331)에 접촉되어 동력이 전달되면, 그 힘에 의해 대차(300)의 다수개의 바퀴(310)가 대차 이송수단(600)의 한 쌍의 가이드레일(660)을 따라 굴러가게 된다. 이렇듯, 대차(300)는 동력 전달부재(650)가 접촉부재(331)에 가해지는 동력에 의해 바퀴(310)가 대차 이송수단(600)의 가이드레일(66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로 이송된다. 따라서, 대차 이송수단(600)은 대차(300)의 이송방향 좌우로의 흔들림이 적어지고 탈선이나 전복을 방지하는 안정된 상태로, 인삼을 실은 대차(300)를 증삼기의 내부를 따라 원하는 지점까지 인력의 도움 없이도 안전하게 이송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증삼기의 내부에 인삼이 적재된 대차(300)가 모든 적재되면, 일반적인 증삼 및 건조방식으로 홍삼을 제조하고, 이러한 홍삼 제조절차가 완료되면 입구 리프터(400)와 동일 원리로 출구 리프터(500)를 통해 홍삼이 적재된 대차(300)를 증삼기의 외부로 이송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은 거의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밀어넣거나 증삼기 본체 내부의 대차를 밖으로 끌어낼 필요가 없다. 그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작업자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또한 대차의 손쉬운 적재가 가능하며, 더 나아가 작업자가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어져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대차를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송하도록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증삼기 본체의 내부에 적재할 수 있는 대차의 높이를 증가시켜 홍삼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300 : 대차 310 : 바퀴
320 : 받침대 330 : 보강대
331 : 접촉부재 331a : 접촉홈
400 : 입구 리프터 410 : 지지대
420 : 받침대 430 : 가이드홈
500 : 출구 리프터 600 : 대차 이송수단
610 : 구동모터 620 : 축
630 : 스프로켓 640 : 체인
650 : 동력 전달부재 651 : 돌출부
660 : 가이드레일

Claims (5)

  1. 대차와,
    상기 대차를 이송가능하게 가이드하며 증삼기 본체 내부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대차의 높낮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증삼기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입구 리프터와 출구 리프터, 및
    상기 입구 리프터에 의해 상승된 후 증삼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대차를 증삼기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송시키고 출구 리프터 쪽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대차는 인삼을 담은 채반을 끼워 넣을 수 있는 다수개의 받침대와,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바퀴, 및 하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차 이송수단의 일측에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접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대차 이송수단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축과, 상기 축에 고정된 스프로켓(sprocket)과, 상기 스프로켓에 맞물려 증삼기 본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대차의 접촉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동력 전달부재, 및 상기 대차의 다수개의 바퀴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체인의 양측에 증삼기 본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체인이 접촉하지 않고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체인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체인이 상기 접촉부재의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재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하부 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보강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접촉하는 접촉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체인이 수평면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체인의 상부쪽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양측으로만 돌출되도록 상기 체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구 리프터 및 상기 출구 리프터는 상기 대차의 다수개의 바퀴를 가이드하도록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KR1020120103434A 2012-09-18 2012-09-18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KR10122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34A KR101227064B1 (ko) 2012-09-18 2012-09-18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34A KR101227064B1 (ko) 2012-09-18 2012-09-18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064B1 true KR101227064B1 (ko) 2013-01-28

Family

ID=4784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34A KR101227064B1 (ko) 2012-09-18 2012-09-18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0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80Y1 (ko) * 2013-11-15 2015-07-10 한일이화 주식회사 컨베이어 장치
KR102523040B1 (ko) * 2022-09-22 2023-04-18 (주)더푸드랩 숙성 창고 시스템
KR102561021B1 (ko) * 2022-05-02 2023-07-31 고효욱 식품건조용 대차 터널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건조방법
KR102601830B1 (ko) * 2023-03-31 2023-11-14 (유) 삼각에프엠씨 참치 자숙 냉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952U (ja) * 1992-02-24 1993-09-17 村田機械株式会社 荷物の移載装置
KR100522302B1 (ko) 2003-09-08 2005-10-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린더를 이용한 자동취출장치
KR200441999Y1 (ko) 2007-04-13 2008-09-26 보아기계공업 주식회사 홍삼제조용 증삼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952U (ja) * 1992-02-24 1993-09-17 村田機械株式会社 荷物の移載装置
KR100522302B1 (ko) 2003-09-08 2005-10-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린더를 이용한 자동취출장치
KR200441999Y1 (ko) 2007-04-13 2008-09-26 보아기계공업 주식회사 홍삼제조용 증삼건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80Y1 (ko) * 2013-11-15 2015-07-10 한일이화 주식회사 컨베이어 장치
KR102561021B1 (ko) * 2022-05-02 2023-07-31 고효욱 식품건조용 대차 터널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건조방법
KR102523040B1 (ko) * 2022-09-22 2023-04-18 (주)더푸드랩 숙성 창고 시스템
KR102601830B1 (ko) * 2023-03-31 2023-11-14 (유) 삼각에프엠씨 참치 자숙 냉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064B1 (ko)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CN110893978B (zh) 免托盘干燥车承载上下架系统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KR101657452B1 (ko) 장입 리프팅 장치
JP7376258B2 (ja) ベーカリー製品等用の支持板を運搬するためのノリア式装置
CN105936485A (zh) 自动式连续提升机
JP4945824B2 (ja) 商品の自動段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CN204297652U (zh) 一种龙门式升降输送机
CN211495721U (zh) 免托盘干燥车承载上下架系统
CN206345360U (zh) 一种能升降的建筑施工用运输装置
US8662888B2 (en) Loading system for a heat treating furnace
CN112125094A (zh) 一种连续升降机
CN106509013A (zh) 一种台车式自动醒发房
CN213706848U (zh) 一种蛋糕烤盘输送叠放装置
CN214494639U (zh) 一种蔬菜运输装车用移动式输送装置
KR20120006774A (ko) 물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CN203997767U (zh) 一种连续沉浸烘干机中的输送装置
CN210311992U (zh) 一种配网应急物资智能化储备库
CN208863447U (zh) 一种新式隧道炉
CN220012005U (zh) 一种便于转运的升降平台
CN208265278U (zh) 一种自动上料机
CN210259918U (zh) 外翻结构提升机
CN220056171U (zh) 一种晶圆收货上架设备
CN104229388A (zh) 一种连续沉浸烘干机中的输送装置
ITMI950642A1 (it) Dispositivo per il caricamento e scaricamento di materiale da trattare in una struttura a tavolo di cott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