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80Y1 -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80Y1
KR200477680Y1 KR2020130009419U KR20130009419U KR200477680Y1 KR 200477680 Y1 KR200477680 Y1 KR 200477680Y1 KR 2020130009419 U KR2020130009419 U KR 2020130009419U KR 20130009419 U KR20130009419 U KR 20130009419U KR 200477680 Y1 KR200477680 Y1 KR 200477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rive
connection
gear mechanism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967U (ko
Inventor
송병철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8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0Modula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9Driving means for the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부품이동기구가 구비되는 구동 컨베이어와, 구동 컨베이어에 연결되고,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부품이동기구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컨베이어와, 구동부의 동력을 제1부품이동기구를 통해 연결 컨베이어의 제2부품이동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 부품의 차종 변경에 따라 공정수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되는 공정에 맞는 작업 공정을 셀 형태로 구성되는 연결 컨베이어와 구동 컨베이어를 추가하거나 빼냄으로써 컨베이어 장치의 변경을 쉽게 할 수 있어 설비의 재활용성과 설비 변경에 따른 투자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CONVEYER DEVICE}
본 고안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트림의 조립라인에서 다수의 조립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컨베이어에서 각 조립 공정별로 컨베이어가 셀 형태로 구성하여 공정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공장 내에서의 부품의 운반, 반제품의 이동, 광산 및 항만등에서의 석탄, 광석, 화물의 운반, 건설현장에서의 흙과 모래의 운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컨베이어는 단순한 운반 장치로만이 아니고 작업자과 결합시켜 움직이는 작업대로도 사용되어 공장 내에서 대량생산 방식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고무, 질물, 철망,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순환시켜서 그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연속으로 운반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벨트 컨베이어, 원통형 또는 단면의 아래쪽 반이 반원형인 물통 모양의 외관 속에 나사를 넣고, 이 나사를 회전시켜서 물건을 나사의 날개에 따라 이동시키는 나사 컨베이어, 쇠사슬이나 벨트에 버킷(Bucket)을 여러 개 달고 회전시켜서 버킷에 재료를 담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석탄, 모래, 자갈, 곡물과 같은 것을 운반하는 버킷 컨베이어 등의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들이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1989-0015940 (특허문헌1: 1989. 11. 27),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03851(특허문헌2: 2006.01.11),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3-0039322(특허문헌3: 2013.04.19)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 특허문헌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베이어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벨트 지지롤러, 벨트 지지롤러에 감겨 회전되는 벨트, 한 쌍의 벨트 지지롤러 중 하나의 지지롤러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컨베이어는 일정길이를 갖는 벨트가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후에 회전되면서 물건을 벨트 위에 실어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는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 지지 프레임, 배관 등이 길게 구성되어 있어 작업 공정의 변화로 인하여 벨트, 지지프레임, 배관 등의 수정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정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1989-0015940 (1989.11.27)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03851(2006.01.11)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39322(2013.04.19)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셀 단위의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하나의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추가 되더라도 추가 작업공정에 해당되는 컨베이어를 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부품이동기구가 구비되는 구동 컨베이어와, 구동 컨베이어에 연결되고,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부품이동기구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컨베이어와, 구동부의 동력을 제1부품이동기구를 통해 연결 컨베이어의 제2부품이동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기구를 포함하고,동력전달기구는, 구동 컨베이어의 구동측 종동기어기구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용 구동기어, 동력전달용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동력전달용 연결기어, 연결 컨베이어의 구동측 구동기어기구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용 종동기어, 동력전달용 종동기어를 이동시켜서 동력전달용 연결기어와 동력전달용 종동기어가 치합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를 포함하며, 조절기구는, 동력전달용 종동기어가 구비되는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연결 컨베이어에 구비되되,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와 이동부재에 관통하여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 컨베이어나 연결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작업전의 부품을 공급하거나 작업이 완료된 부품을 회수하기 위한 리프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부품이동기구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측 구동기어기구와, 체인용 제1기어기구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는 구동측 종동기어기구와, 구동측 구동기어기구와 구동측 종동기어기구를 연결하여 구동측 구동기어기구의 회전력을 구동측 종동기어기구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부품이동기구는 연결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구동 컨베이어의 제1부품이동기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와,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에서 이격되는 구비되는 연결측 종동기어기구와,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와 연결측 종동기어기구 사이에 연결되어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의 회전력을 연결측 종동기어기구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 부품의 차종 변경에 따라 공정수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되는 공정에 맞는 작업 공정을 셀 형태로 구성되는 연결 컨베이어와 구동 컨베이어를 추가하거나 빼냄으로써 컨베이어 장치의 변경을 쉽게 할 수 있어 설비의 재활용성과 설비 변경에 따른 투자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단위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단위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구동 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C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D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단위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연결 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E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A부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단위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단위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구동 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C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D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단위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연결 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E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A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20)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컨베이어(200), 구동 컨베이어(20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컨베이어(300), 구동 컨베이어(200)과 연결 컨베이어(300)에 구비되어 구동부(220)의 동력을 연결 컨베이어(300)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기구(400), 리프트 유닛(500)을 포함한다.
먼저, 구동 컨베이어(200)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구동측 지지프레임(210),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20), 구동측 지지프레임(210)에 설치되며 구동부(22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품이 올려지는 부품안착부재(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부품이동기구(230)를 포함한다.
구동측 지지프레임(210)은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일정길이로 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이 나란히 배치되고, 한 쌍의 수평프레임 사이가 복수의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된 후에, 복수의 수직프레임이 한 쌍의 수평프레임의 하측에서 지면을 향해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220)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이 모터는 별도의 배선된 전선(미도시)에 의해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구동부(220)는 구동측 지지프레임(210)의 일단부 측면에 설치된다.
제1부품이동기구는 후술하는 리프트 유닛(500)을 통해 공급되는 부품(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2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측 구동기어기구(230), 구동측 구동기어기구(230)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는 구동측 종동기어기구(240), 구동측 구동기어기구(230)와 구동측 종동기어기구(240)를 연결하여 구동측 구동기어기구(230)의 회전력을 구동측 종동기어기구(240)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250)를 포함한다.
구동측 구동기어기구(230)는 구동측 지지프레임(210)에서 한 쌍의 수평프레임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측 구동샤프트(231), 구동측 구동샤프트(231)에 결합되며 구동부(22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측 구동기어(미도시)를 구성된다.
구동측 종동기어기구(240)는 구동측 지지프레임(210)에서 한 쌍의 수평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구동측 종동샤프트(241), 구동측 종동샤프트(241)에 결합되며 회전력 전달부재를 통해 회전되는 구동측 종동기어(미도시)를 포함한다.
회전력 전달부재(250)는 구동측 구동기어와 구동측 종동기어 사이를 둘러싸서 결합되며 구동측 구동기어가 회전될 때 구동측 구동기어를 따라 이동되면서 구동측 종동기어로 구동측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구동측 구동기어와 구동측 종동기어는 스프로켓으로 구성되고, 회전력 전달부재(250)는 체인으로 구성된다.
즉, 제1부품이동기구(230)는 회전력 전달부재(250)에 부품이 안착되는 부품안착부재(120)가 올려진 상태에서 회전력 전달부재(250)가 구동측 구동기어에서 구동측 종동기어로 이동되는 회전을 할 때 부품을 구동 컨베이어(200)에서 연결 컨베이어(300)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연결 컨베이어(300)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연결측 지지프레임(310), 연결측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 컨베이어(200)에서 이송되는 부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2부품이동기구를 포함한다.
연결측 지지프레임(310)은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일정길이로 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이 나란히 배치되고, 한 쌍의 수평프레임 사이가 복수의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된 후에, 복수의 수직프레임이 한 쌍의 수평프레임의 하측에서 지면을 향해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제2부품이동기구는 연결측 지지프레임(310)에서 부품을 올려진 부품안착부재(120)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 컨베이어(30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구동 컨베이어(200)의 제1부품이동기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결측 구동기어기구(320), 연결측 구동기어기구(320)에서 이격되는 구비되는 연결측 종동기어기구(330), 연결측 구동기어기구(320)와 연결측 종동기어기구(330) 사이에 연결되어 연결측 구동기어기구(320)의 회전력을 연결측 종동기어기구(330)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340)를 포함한다.
연결측 구동기어기구(320)는 연결측 지지프레임(310)의 일단부에서 수평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측 구동샤프트(321), 연결측 구동샤프트(321)에 결합되며 구동 컨베이어(2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측 구동기어를 포함한다.
연결측 종동기어기구(330)는 연결측 지지프레임(310)의 타단부에서 수평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측 종동샤프트(331), 연결측 종동샤프트(331)에 결합되며 연결측 구동기어가 회전될 때 회전력 전달부재(340)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측 종동기어를 포함한다.
회전력 전달부재(340)는 연결측 구동기어와 연결측 종동기어 사이를 둘러싸서 결합되며 연결측 구동기어가 회전될 때 연결측 종동기어로 연결측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연결측 구동기어와 연결측 종동기어는 스프로켓으로 구성되고, 회전력 전달부재(340)는 체인으로 구성된다.
즉, 제2부품이동기구는 회전력 전달부재(340)에 부품이 안착되는 부품안착부재(120)가 올려진 상태에서 회전력 전달부재(340)가 연결측 구동기어에서 연결측 종동기어로 이동되는 회전을 할 때 부품을 연결 컨베이어(300)에서 다른 연결 컨베이어(300)나 리프트 유닛(500)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동력전달기구(400)는 구동 컨베이어(200)와 연결 컨베이어(300) 사이 및 연결 컨베이어(300)와 연결 컨베이어(300)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컨베이어(200)의 구동부(220)에서 발생한 동력을 제1부품이동기구를 통해 연결 컨베이어(300)의 제2부품이송기구로 전달하거나 하나의 연결 컨베이어(300)의 제2부품이송기구에서 다른 연결 컨베이어(300)의 제2부품이송기구로 전달하는 것으로, 동력전달용 구동기어(410), 동력전달용 연결기어(420), 동력전달용 종동기어(43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용 구동기어(410)는 구동 컨베이어(200)의 구동측 종동기어가 결합되는 구동측 종동샤프트(241)와 연결 컨베이어(300)의 연결측 종동기어가 결합되는 연결측 종동샤프트(321)에 각각 결합되며, 체인에 의해 구동부(220)의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측 종동기어와 연결측 종동기어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동력전달용 구동기어(410)는 구동 컨베이어(200)에 구비되어 구동 컨베이어(200)에서 연결 컨베이어(300)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연결 컨베이어(300)에 구비되어 구동 컨베이어(20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 받아서 다른 연결 컨베이어(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동력전달용 연결기어(420)는 구동 컨베이어(200)의 동력전달용 구동기어(410)와 연결 컨베이어(300)의 동력전달용 구동기어(410)에 치합되도록 구동 컨베이어(200)의 구동측 지지프레임(210)과 연결 컨베이어(300)의 연결측 지지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동력전달용 종동기어(430)는 연결 컨베이어(300)의 연결측 구동기어가 결합되는 연결측 구동샤프트(321)에 결합되되, 구동 컨베이어(200)와 연결 컨베이어(300)를 연결하거나 하나의 연결 컨베이어(300)와 다른 연결 컨베이어(300)를 연결할 때, 동력전달용 연결기어(420)에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동력전달기구(400)는 연결측 지지프레임(310)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용 연결기어(420)에 치합되는 동력전달용 종동기어(430)가 결합되는 연결측 종동샤프트(331)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동력전달용 연결기어(420)와 동력전달용 종동기어(430)가 치합되는 것을 조절함으로써, 동력전달용 연결기어(420)와 동력전달용 종동기어(430)의 물림 오류에 의한 파손, 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기구(440)를 더 포함한다.
조절기구(440)는 동력전달용 종동기어가 결합되는 연결측 구동샤프트(321)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441), 연결측 지지프레임(310)에 구비되되 이동부재(44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가이드부재(442), 가이드부재(442)와 이동부재(441)에 관통하여 결합되며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부재(441)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4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절기구(440)는 구동측 지지프레임(210)에 구비하여 구동측 종동기어가 결합되는 구동측 종동샤프트(24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기구(440)는 구동측 지지프레임(210)과 연결측 지지프레임(310)에 구비하여 구동측 종동기어가 결합되는 구동측 종동샤프트(241)와 연결측 구동기어가 결합되는 연결측 구동샤프트(321)를 모두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리프트 유닛(500)은 컨베이어 장치(100)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어 부품을 공급하거나 작업이 완료된 부품이 부품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구동 컨베이어(200)와 연결 컨베이어(3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셀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는 리프트 유닛(500), 구동 컨베이어(200), 연결 컨베이어(300)를 다양하게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장치(100)를 리프트 유닛(500), 구동 컨베이어(200), 연결 컨베이어(300), 연결 컨베이어(300), 리프트 유닛(500)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공정이 많을 경우에 컨베이어 장치(100)를 리프트 유닛(500), 구동 컨베이어(200), 연결 컨베이어(300), 연결 컨베이어(300), 연결 컨베이어(300), 구동 컨베이어(200), 연결 컨베이어(300), 리프트 유닛(500)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작업 공정이 많게 되면 구동 컨베이어(200)의 구동부(220) 동력으로 모든 컨베이어를 작동시킬 수 없으므로, 구동 컨베이어(200)를 2개 이상을 중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100)는 작업 공정에 따라 구동 컨베이어(200)나 연결 컨베이어(300)에 작업 공정에 따른 구성품들을 구성한 후에 연결 컨베이어(300)나 구동 컨베이어(200)를 연결 컨베이어(300)와 구동 컨베이어(200) 사이나 연결 컨베이어(300)와 연결 컨베이어(300) 사이에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부품의 차종 변경에 따라 공정수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되는 공정에 맞는 작업 공정을 셀 형태로 구성되는 연결 컨베이어(300)와 구동 컨베이어(200)를 추가하거나 빼냄으로써 컨베이어 장치(100)의 변경을 쉽게 할 수 있어 설비의 재활용성과 설비 변경에 따른 투자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컨베이어 장치
200 : 구동 컨베이어 210 : 구동측 지지프레임
220 : 구동부 230 : 구동측 구동기어기구
231 : 구동측 구동샤프트
240 : 구동측 종동기어기구 241 : 구동측 종동샤프트
250 : 회전력 전달부재
300 : 연결 컨베이어 310 : 연결측 지지프레임
320 : 연결측 구동기어기구 321 : 연결측 구동샤프트
330 : 연결측 종동기어기구 331 : 연결측 종동샤프트
400 : 동력 전달기구
410 : 동력전달용 구동기어
420 : 동력전달용 연결기어
430 : 동력전달용 종동기어
440 : 조절기구 441 : 이동부재
442 : 가이드부재 443 : 작동부재
500 : 리프트 유닛

Claims (7)

  1.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부품이동기구가 구비되는 구동 컨베이어;
    구동 컨베이어에 연결되고,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부품이동기구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컨베이어;
    구동부의 동력을 제1부품이동기구를 통해 연결 컨베이어의 제2부품이동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기구를 포함하고,
    동력전달기구는, 구동 컨베이어의 구동측 종동기어기구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용 구동기어;
    동력전달용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동력전달용 연결기어;
    연결 컨베이어의 구동측 구동기어기구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용 종동기어;
    동력전달용 종동기어를 이동시켜서 동력전달용 연결기어와 동력전달용 종동기어가 치합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를 포함하며,
    조절기구는, 동력전달용 종동기어가 구비되는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연결 컨베이어에 구비되되,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와 이동부재에 관통하여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 컨베이어나 연결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작업전의 부품을 공급하거나 작업이 완료된 부품을 회수하기 위한 리프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부품이동기구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측 구동기어기구;
    체인용 제1기어기구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는 구동측 종동기어기구;
    구동측 구동기어기구와 구동측 종동기어기구를 연결하여 구동측 구동기어기구의 회전력을 구동측 종동기어기구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부품이동기구는
    연결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구동 컨베이어의 제1부품이동기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결측 구동기어기구;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에서 이격되는 구비되는 연결측 종동기어기구;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와 연결측 종동기어기구 사이에 연결되어 연결측 구동기어기구의 회전력을 연결측 종동기어기구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30009419U 2013-11-15 2013-11-15 컨베이어 장치 KR200477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19U KR200477680Y1 (ko) 2013-11-15 2013-11-15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19U KR200477680Y1 (ko) 2013-11-15 2013-11-15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67U KR20150001967U (ko) 2015-05-26
KR200477680Y1 true KR200477680Y1 (ko) 2015-07-10

Family

ID=5351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419U KR200477680Y1 (ko) 2013-11-15 2013-11-15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8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337A (ja) * 2004-03-16 2005-09-29 Ishikame Kogyo:Kk 反転式の搬送コンベヤ
KR101111620B1 (ko) * 2011-07-12 2012-03-13 김연서 물품 운반용 접이식 컨베이어 장치
KR101227064B1 (ko) * 2012-09-18 2013-01-28 (유) 삼각에프엠씨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337A (ja) * 2004-03-16 2005-09-29 Ishikame Kogyo:Kk 反転式の搬送コンベヤ
KR101111620B1 (ko) * 2011-07-12 2012-03-13 김연서 물품 운반용 접이식 컨베이어 장치
KR101227064B1 (ko) * 2012-09-18 2013-01-28 (유) 삼각에프엠씨 증삼기용 대차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67U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821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lerating conveyed articles
US10124960B2 (en) Chain conveyor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shafts
CN202098844U (zh) 一种带式分拣装置
CN104925503B (zh) 传送机构
US1425556A (en) Controller for intersecting conveyers
KR100922610B1 (ko) 회전식 컨베이어 장치
CN106586377A (zh) 一种可调输送设备
KR200477680Y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495490B1 (ko) 케이블 풀링장치
CN102673948A (zh) 一种输送装置
KR101130962B1 (ko) 박스포장장치
KR10067329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EP3212511B1 (en) Method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articles through a processing section of a packaging machine
CN205293987U (zh) 一种可调节瓦楞纸箱包装输送限位机构
CN103737690A (zh) 薄皮单板自动铡皮分级一体机
CN102499505A (zh) 一种布料整理传送装置
CN102785898A (zh) 一种双向传输装置
CN204211010U (zh) 产品传送装置
KR20150001428U (ko) 회송 이단 스크루 컨베이어
CN204689164U (zh) 连续转斗式装车机
CN106049234A (zh) 一种链条式驱动皮带输送机
CN202186689U (zh) 冶金炉的输送带连动装置
CN107324018B (zh) 一种作用于双直线式带传输上的调换装置
KR20090027548A (ko) 볼트 결합형 파이프 컨베이어
CN207434347U (zh) 同步输送带的辅助同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