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556B1 - 화상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556B1
KR101216556B1 KR1020090082538A KR20090082538A KR101216556B1 KR 101216556 B1 KR101216556 B1 KR 101216556B1 KR 1020090082538 A KR1020090082538 A KR 1020090082538A KR 20090082538 A KR20090082538 A KR 20090082538A KR 101216556 B1 KR101216556 B1 KR 101216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original
glass
reinforcing member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313A (ko
Inventor
양문석
석기우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3Using a dedicated sheet guide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2Arrangements for positioning heads, e.g. with respect to other elements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6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scanning elements and the picture-bearing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8Addition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or optimising scanning resolution or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Abstract

덮개부가 원고대를 덮는 닫힌 상태에서, 원고 반송부는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되고, 또한 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가 판독부의 원고대, 또는 그 주위에 맞추어, 원고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원고 높이 규제 부재는 보강 부재에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수평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또한 제 2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가 원고대에 맞추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판독부, 덮개부, 부착부, 골격부, 보강 부재, 원고 반송부, 규제 부재

Description

화상 판독 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판독 장치(화상 판독 장치부)는 원고 반송 유닛의 원고 트레이 상의 복수매의 원고를, 1매씩 분리하여 플래튼 글라스(platen glass)(원고대) 상의 원고 판독 영역(판독 위치)에 자동적으로 반송하여 판독한 후, 원고를 원고 반송 유닛의 배출 트레이 상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10-142851호 공보에는, 원고 반송 유닛이 베이스 프레임(골격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화상 판독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거기에서, 화상 판독 장치에서는, 원고 판독 영역에서의 원고의 반송 속도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고려하고, 규제부가 골격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와 비교하여, 원고 판독 영역에서의 원고의 반송 속도의 변동이 억제되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상면부에 원고대(原稿臺)가 설치되고, 원고대 상의 원고 판독 영역에 반송되어 통과하는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원고대를 덮는 덮개부와, 덮개부와 판독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원고 반송 방향에 따른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덮개부를, 원고대가 노출되는 열린 상태와 원고대를 덮는 닫힌 상태로 개폐하는 부착부와, 덮개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부착부가 부착되고,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원고 판독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된 골격부와, 골격부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원고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횡단하고, 부착부로부터 응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보강 부재와, 덮개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골격부 상에 배치되고,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원고를 원고대 상의 원고 판독 영역에 반송하여 통과시키는 원고 반송부와, 원고 반송부를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와, 원고 반송부에 설치되고,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판독부의 상면부에서의 원고대 또는 원고대의 주위에 맞추어서, 원고대를 기준으로 하여 원고 반송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1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와, 보강 부재의 하방 측에 배치되고, 또한 원고대의 원고 판독 영역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원고 판독 영역을 반송시키는 원고에 맞추어 반송 높이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규제 부재를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2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와, 규제 부재에 설치되고,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판독부의 상면부에서의 원고대 또는 원고대의 주위에 맞추어, 원고대를 기준으로 하여 규제 부재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2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원고 반송부와 규제부가 각각 원고대를 기준으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원고 반송부에 대하여 규제부가 원고대를 기준으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므로, 규제부가 골격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와 비교하여, 원고의 반송 저항의 변동이 억제되고, 그 결과, 원고 판독 영역에서의 원고의 반송 속도의 변동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규제 부재와 보강 부재가 평면으로 보아 겹치도록 배치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규제 부재와 보강 부재가 평면으로 보아 겹치지 않고 있을 경우와 비교하여, 원고 판독 영역에서의 원고 반송 경로가 원고대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부착부는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덮개부가 닫히는 힘에 반발하는 힘을 발생시켜 열린 상태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을 때의 응력을 보강부가 받으므로, 개구부를 횡단하도록 보강 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있는 구조와 비교하여, 골격부의 변형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가, 보강 부재의 일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쪽의 핀과, 보강 부재의 타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른 쪽의 핀과, 원고 반송부로부터 돌출하고, 한쪽의 핀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쪽의 돌출부와, 원고 반송부로부터 돌출하고, 다른 쪽의 핀이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쪽의 돌출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제 1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는 원고 반송부 하면부에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는 복수의 각부(脚部)를 갖고, 복수의 각부에 대응하는 골격부의 부위에 각부용 오목부 또는 각부용 구멍이 형성되고, 각부용 오목부 또는 각부용 구멍에 삽입되는 복수의 각부가 원고대에 맞추어 원고 반송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제 2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는, 규제 부재의 원고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연직 방향 상방을 향해서 설치된 축부와, 보강 부재(230)의 양단부에서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제 2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가 규제 부재의 원고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연직 방향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리브를 갖고, 리브가 원고대에 맞추어 규제 부재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규제부가 골격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와 비교하여, 원고 판독 영역에서의 원고의 반송 속도의 변동이 억제되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 도 1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판독 장치(화상 판독 장치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판독 장치(화상 판독 장치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판독 장치(화상 판독 장치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부(12)의 상부에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판독 장치부(50)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상 판독 장치부(50)는 원고(P)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신호를 화상 형성부(12)에 출력한다. 화상 형성부(12)는 화상 판독 장치부(5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기록 용지나 OHP 시트 등의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기록 매체에 화상 형성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기록 방식, 열 전사 방식 등 어떠한 방식이어도 좋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정면에는, 조작 패널(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 패널(16) 측이 정면으로 하고, 반대 측을 깊이 측으로 한다. 또한, 도 1과 도 2에서의 파선(K)이 후술하는 화상 판독 장치부(50)의 커버부(200)의 원고 반송부(250)(도 4, 도 5 참조, 상세한 것은 후술함)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P)의 반송 경로(K)이다. 즉, 원고(P)의 반송 경로(반송 방향)(K)와 직교하는 방향이 정면 측 및 깊이 측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판독 장치부(50)는 원고(P)를 놓는 것이 가능한 투명한 플래튼 글라스(120)가 상면부(110)에 설치된 판독부(100)와, 플래튼 글라스(120)를 덮는 커버부(200)(도 2 참조)를 갖고 있다. 또한, 판독부(100)와 커버부(200)는 카운터밸런스(counterbalance)(70A, 70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카운터밸런스(70A, 70B)는 회전축(72A, 72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커버부(200)를, 플래튼 글라스(120)가 노출되는 열린 상태(도 3 참조)와, 커버부(200)가 플래튼 글라스(120)를 덮는 닫힌 상태(도 2 참조)로 개폐하는 기능(힌지(hinge))을 갖고 있다. 또한, 카운터밸런스(70A, 70B)는 커버부(200)가 열린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커버부(200)가 닫히도록 하는 힘에 반발하는 힘을 스프링 등으로 발생시켜, 열린 상태(도 3을 참조)에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카운터밸런스(70A, 70B)는 종래와 동일한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을 설명하는 경우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커버부(200)가 플래튼 글라스(120)를 덮는 닫힌 상태(도 2 참조)로 한다.
다음에, 판독부(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판독부(100)는 종래와 동일한 일반적인 구조이다. 따라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판독부(100)의 구조는 일례이며 다른 구조여도 좋다.
판독부(100)의 상면부(110)에는, 상면에 원고(P)를 놓는 것이 가능한 투명한 플래튼 글라스(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래튼 글라스(120)의 원고 반송 경로(K) 방향의 단부가 원고 판독 영역(122)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고 판독 영역(122) 상에 반송되어 통과하는 원고(P)의 화상이 판독된다.
플래튼 글라스(120)의 원고 판독 영역(122)의 하측에는, 원고 판독 영역(122) 위를 반송되어 통과하는 원고(P)에 대하여 조명광을 조사하는 형광 램프나 LED 등으로 구성된 광원(130)이 설치되어 있다. 광원(130)은 원고 반송 방향(K)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광원(130)의 광은 플래튼 글라스(120)를 투과하고, 플래튼 글라스(120)의 원고 판독 영역(122)을 통과하는 원고(P)에 조사된다. 원고(P)에 조사된 광은 원고(P)의 표면(화상 형성면)에서 반사되고, 반사광이 플래튼 글라스(120)를 투과한다. 반사광은 판독부(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반사 미러(132), 제 2 반사 미러(134) 및 제 3 반사 미러(136)로 반사된다.
제 3 반사 미러(136)로 반사된 반사광은 판독부(100)의 내부에 설치된 렌 즈(140)에 의해, CCS 등의 광 검출부(142)에 결상(結像)된다. 그리고, 광 검출부(142)에 결상됨으로써, 원고(P)의 화상이 판독된다.
또한, 커버부(200)는 플래튼 글라스(120)의 상면에 덮여짐으로써, 플래튼 글라스(120) 및 원고(P)에 조사되는 외광을 차단한다(도 2의 닫힌 상태를 참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200)는 원고(P)가 겹쳐서 놓이는 원고 트레이(252)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트레이(252)에 놓인 원고(P)는 원고 급지 롤 쌍(對)(259)에 의해, 1매씩 속출(繰出)되고, 복수의 반송 롤 쌍(도시 생략)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커버부(200)의 하면에서의 원고 판독 영역(122)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 개구부(210)(도 3 참조)로부터 일단 나와서, 판독부(100)의 플래튼 글라스(120)의 원고 판독 영역(122)(도 3 참조)으로 반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고 판독 영역(122)(플래튼 글라스(12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원고(P)의 화상을 판독부(100)가 판독한다. 원고(P)는 화상이 판독된 후, 원고 반송 방향에 따른 종단면이 대략 삼각형 상(像)의 점프대(150)(도 3 참조)에 의해 다시 커버부(200)에 들어가고, 배출 롤러 쌍에 의해, 배지부(排紙部)(254)에 배출된다.
또한, 플래튼 글라스(120)의 원고 판독 영역(122)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원고(P)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의 규제부(310)의 하면(310A)과 플래튼 글라스(120)의 간격(T)의 사이를 통과한다. 바꾸어 말하면, 원고(P)는 규제부(310)의 하면(310A)에 가이드되어 반송된다.
다음에, 화상 판독 장치부(50)를 구성하는 커버부(200)에 대해서, 도 4 ~ 도 11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커버부(200)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202)과 원고 반송부(원고 반송 유닛)(250)를 도시하는 깊이 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버부(200)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202)과 원고 반송부(250)를 도시하는 정면 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버부(200)를 구성하는 원고 반송부(250)를 경사지게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부(200)를 구성하는 원고 반송부(250)를 경사지게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버부(200)를 구성하는 원고 반송부(2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커버부(200)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202)과 원고 반송부(250)의 깊이 측의 설치 부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b)는 정면 측의 설치 부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화상 판독 장치부(50)의 요부에서의 원고 반송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200)는 베이스 프레임(202)과, 이 베이스 프레임(202)의 상에 설치되는 원고(P)를 원고 반송 경로(K)(도 1 참조)를 향해서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원고 반송 유닛)(250)(도 6 참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원고 반송부(원고 반송 유닛)(250)는 베이스 프레임(202)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 반송부(250)(도 6 참조)는 커버 어셈블리(262), 프레임 어셈블리 피드(264), 용지 반송로 어셈블리 레지스터(266), 용지 반송로 어셈블리 아웃(268), 용지 반송로 어셈블리 리타드(270), 용지 반송로 어셈블리 인 버드(272), 원고 트레이(25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 어셈블리(262) 및 용지 반송로 어셈블리 리타드(270)는 나사로 체결되어 있지 않고, 커버부(200)(베이스 프레임(202))로부터 원고 반송부(250)를 제거하면 분해가능하게 되어 있다.
용지 반송로 어셈블리 레지스터(266) 및 용지 반송로 인 버드(272)는 나사로 2군데 프레임 어셈블리 피드(264)에 고정되어 있고, 커버부(200)(베이스 프레임(202))로부터 원고 반송부(250)를 제거하고, 나사 체결을 해제하면, 분해가능하게 되어 있다.
용지 반송로 어셈블리 아웃(268)은 프레임 어셈블리 피드(264)에 나사로 4군데 체결되어 있고, 커버부(200)(베이스 프레임(202))로부터 원고 반송부(250)를 제거하고, 나사 체결을 해제하면, 분해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류 등을 제거하면, 프레임 어셈블리 피드(264)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 솔레노이드, 인터록 스위치, 및 센서 등(모두 도시 생략)도 용이하게 제거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원고 반송부(원고 반송 유닛)(250)는 커버부(베이스 프레임(202))로부터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되고, 또한 각 부품에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2)은 수지제(樹脂製)의 프레임 본체(220)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 본체(220)의 깊이 측의 반송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전술한 카운트밸런스(70A, 70B)(이 도 5에서는 70B는 생략)가 장착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220)에는 개구부(210)(도 1, 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210)는 커버부(200)가 닫힌 상태(도 2 참조)에서, 원고 판독 영역(122)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220)의 상면부에는, 개구부(210)를 원고 반송 방향(K)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하는 보강 부재(230)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230)는 수지제의 프레임 본체(220)보다도 강성이 높은 판금제로 되어 있다. 또한, 보강 부재(230)는 개구 측이 상방 측으로 하는 단면 コ자형으로 되어 있다.(도 10, 도 11도 참조)
보강 부재(230)의 깊이 측 단부는 카운터밸런스(70A)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부(200)를 개폐할 때의 카운터밸런스(70A)로부터 응력이나 커버부(200)를 열린 상태로 유지할 때의 카운터 밸런스(70A)로부터의 응력이, 보강 부재(230)에 입력된다(응력이 작용함). 바꾸어 말하면, 카운터 밸런스(70A)로부터의 응력을 보강 부재(230)가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2)의 보강 부재(230)에서의 정면 측 단부에는(개구부(210)보다도 정면 측에는), 핀(234)이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2)의 보강 부재(230)에서의 깊이 측 단부에는(개구부(210)보다도 깊이 측에는), 핀(232)이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4와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 반송부(250)의 정면 측에는, 정면 측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271)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271)는 정면 측 방향이 개구 측으로 된 평면으로 보아 대략 U자형의 오목부(273)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와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 반송부(250)의 깊이 측에는, 깊이 측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260)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260)는 연직 방향을 관통 방향으로 하는 관통 구멍(2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a)와,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 반송부(250)의 깊이 측의 돌출부(260)의 관통 구멍(263)을 보강 부재(230)의 깊이 측 단부의 핀(232)에 삽입하고, 원고 반송부(250)의 정면 측의 돌출부(271)의 오목부(273)를 보강 부재(230)의 정면측 단부의 핀(234)에 삽입함으로써, 원고 반송부(250)가 보강 부재(23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원고 반송부(250)의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보강 부재(230)의 정면측 단부의 핀(234)의 상부(234A)에 나사(도시 생략)를 돌리지만, 나사의 머리(도시 생략)와 돌출부(271)의 사이에 간격이 있고, 원고 반송부(25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나사의 머리와 돌출부(271)의 간격의 범위 내에서 원고 반송부(25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원고 반송부(원고 반송 유닛)(250)는 베이스 프레임(202)에 대하여, 탑재되어 있는 구조로만 되고,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원고 반송부(250)는 베이스 프레임(202)에 대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제거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 반송부(250)의 하면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각부(282, 284, 286, 288)가 돌출하고 있다.
도 5,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2)의 프레임 본체(220)에서의 개구부(2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부(282, 286)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부용 오목부(212, 2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2)의 프레임 본체(220)에서의 각부(284, 288)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부용 구멍(214, 21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고 반송부(250)의 각부(282, 284, 286, 288)는 각부용 오목부(212, 216) 및 각부용 구멍(214, 218)에 삽입되고, 커버부(200)(베이스 프레임(202))로부터 각부(282, 284, 286, 288)가 노출한다.
그리고, 커버부(200)가 플래튼 글라스(120)를 덮는 닫힌 상태(도 2 참조)에서, 원고 반송부(250)의 각부(282, 286)는 판독부(100)의 플래튼 글라스(120)(다만, 원고(P)가 반송되는 영역의 외측)에 맞추고, 각부(284, 288)는 플래튼 글라스(120)의 외측(주위)의 영역(110A, 100B)(도 3 참조)에 맞추고, 원고 반송부(250)를 지지한다. 따라서, 원고 반송부(250)는 플래튼 글라스(120)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때, 원고 반송부(250)는 베이스 프레임(20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베이스 프레임(202)으로부터 약간 들뜬 상태가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가 개구부(210)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는 원고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상의 규제부(310)와, 규제부(310)의 길이 방향(원고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연직 방향 상방을 향해서 설치된 축부(322, 324)와, 규제부(310)의 길이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단부에 연직 방향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리브(332, 33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부재(230)의 양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구멍(235)이 형성되고, 이 삽입 구멍(235)에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의 축부(322, 324)가 삽입되어 있다(이들 도면에서는, 축부(324)만 도시). 따라서,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의 규제부(310)는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보강 부재(23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축부(322, 324)에는, 축부(322, 324)의 외경 및 보강 부재(230)의 삽입 구멍(235)보다 큰 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가 삽입 구멍(235)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의 규제부(310)와 보강 부재(230)는 평면으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가 플래튼 글라스(120)를 덮는 닫힌 상태(도 2 참조)에서,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의 규제부(310)의 리브(332, 334)가, 플래튼 글라스(120)(다만, 원고(P)의 반송되는 영역의 외측)에 맞추어,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규제부(310))를 지지한다. 따라서,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의 규제부(310)의 하면(310A)은 플래튼 글라스(1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리브(332, 334)는 상면부(110)에서의 플래튼 글라스(120)의 외측의 영역에 맞추어도 좋다.
또한,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의 리브(332, 334)가 확실하게 플래튼 글라스(120)에 맞도록,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를 하방 측으로 누르는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여기에서,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는 원고 반송부(250)에는 유지되지 않고 있으므로, 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것이 옳지만, 설명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커버부(200)가 플래튼 글라스(120)를 덮는 닫힌 상태(도 2 참조)에서, 원고 반송부(250)는, 보강 부재(230)에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되고, 또한 각부(282, 284, 286, 288)가 판독부(100)의 상면부(110)에서의 플래튼 글라스(120) 또는 그 외측(주위)의 영역(110A, 110B)에 맞추고 플래튼 글라스(120)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원고 반송부(250)가 베이스 프레임(202)에 고정되는 구조와 비교하여, 원고 반송부(250)는 플래튼 글라스(120)를 기준으로 하여, 고밀도(정확)로 위치 결정된다.
한편,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는 보강 부재(230)에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수평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또한 규제부(310)의 리브(332, 334)가 플래튼 글라스(120)에 맞추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원고 높이 규제 부 재(300)(규제부(310))가 베이스 프레임(202)이나 원고 반송부(250)에 고정된 구조와 비교하여, 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의 규제부(310)가 플래튼 글라스(120)에 대하여 고밀도(정확)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규제부(310)(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와 원고 반송부(250)가 각각 플래튼 글라스(120)에 대하여(플래튼 글라스(120)를 기준으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원고 반송부(250)에 대하여 플래튼 글라스(120)를 기준으로 규제부(310)의 위치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바꾸어 말하면, 규제부(310) 및 원고 반송부(250)의 플래튼 글라스(120)에 대한 위치의 격차가 억제되는 동시에, 원고 반송부(250)에 대한 규제부(310)의 위치의 격차가 억제된다. 따라서, 규제부(310)(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가 베이스 프레임(202)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와 비교하여, 원고(P)의 반송 저항의 변동이 억제되고, 그 결과, 원고 판독 영역(122)에서의 원고(P)의 반송 속도의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310)(원고 높이 규제 부재(300))가 베이스 프레임(202)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와 비교하여, 규제부(310)의 하면(310A)과 플래튼 글라스(120)의 간격(T)의 격차가 억제되므로, 간격(T)을 좁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간격(T)의 격차가 억제되어 간격(T)을 좁게 설정함으로써, 원고(P)가 점프대(150)에 맞출 때의 각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원고(P)가 점프대(150)에 맞출 때의, 원고(P)의 반송 저항의 변동이 억제되고, 그 결과, 원고 판독 영역(122)에서의 원고(P)의 반송 속도의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커버부(200)가 플래튼 글라스(120)를 덮는 닫힌 상태(도 2 참조)에서, 원고 반송부(250)의 하중(자체 중량)은 각부(282, 284, 286)가 유지하는 베이스 프레임(202)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02)에 원고 반송부(250)가 고정되어 있는 구성(베이스 프레임(202)이 원고 반송부(250)를 유지하는 구성)과 비교하고, 베이스 프레임(202)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으로부터도 원고 반송 경로(K)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커버부(200)를 개폐할 때나 커버부(200)를 열린 상태로 유지할 때에서의 카운트밸런스(70A)로부터의 응력이 보강 부재(230)에 입력된다. 바꾸어 말하면, 카운트밸런스(70A)로부터의 응력을 보강 부재(230)가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 본체(220), 특히 개구부(210) 주위(근방)의 변형이 보강 부재(230)가 다른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보다도, 방지 또는 억제된다.
또한, 원고 반송부(250)는 급지로부터 배출까지의 반송 수단이 일체화되어 있다(유닛화 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부재(230)에 대하여, 간단하게 조립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립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불필요하므로, 메인터넌스 작업 후의 조정 및 검사 등이 불필요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앞선 설명은 도면 및 명세서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기재된 정확한 폼(form)에만 본 발명이 규정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수정 및 변동이 본 분야에 능숙한 당업자들에게 이루어짐은 명백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최선으로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어 기재된 것이고, 따라서 본 분야에 능숙한 다른 당업자들이 다양한 실시예를 위해 본 발명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한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규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판독 장치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판독 장치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커버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원고 반송부를 도시하는 깊이 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커버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원고 반송부를 도시하는 정면 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커버부를 구성하는 원고 반송부를 경사지게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은 커버부를 구성하는 원고 반송부를 경사지게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8은 커버부를 구성하는 원고 반송부의 분해 사시도.
도 9의 (a)는 커버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원고 반송부의 깊이 측의 부착 부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의 (b)는 커버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원고 반송부의 정면 측의 부착 부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화상 판독 장치의 요부에서의 원고 반송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부
50 : 화상 판독 장치부(화상 판독 장치)
70A : 카운터밸런스(부착부)
70B : 카운터밸런스(부착부)
72A : 회전축
72B : 회전축
100 : 판독부
110 : 상면부
110A : 외측의 영역(주위)
110B : 외측의 영역(주위)
120 : 플래튼 글라스(원고대)
122 : 원고 판독 영역
200 : 커버부(덮개부)
210 : 개구부
220 : 프레임 본체(골격부)
230 : 보강 부재
232 : 핀(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34 : 핀(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35 : 삽입 구멍(제 2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50 : 원고 반송부
260 : 돌출부(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63 : 관통 구멍(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71 : 돌출부(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73 : 오목부(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82 : 각부(제 1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84 : 각부(제 1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86 : 각부(제 1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
288 : 각부(제 1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
300 : 원고 높이 규제 부재
310 : 규제부(규제 부재)
322 : 축부(제 2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324 : 축부(제 2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
332 : 리브(제 2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
334 : 리브(제 2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
P : 원고
T : 간격

Claims (7)

  1. 상면부에 원고대(原稿臺)가 설치되고, 상기 원고대 상의 원고 판독 영역에 반송되어 통과하는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원고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와 상기 판독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원고 반송 방향에 따른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덮개부를, 상기 원고대가 노출되는 열린 상태와 상기 원고대를 덮는 닫힌 상태로 개폐하는 부착부와,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가 부착되고,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원고 판독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된 골격부와,
    상기 골격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원고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횡단하고, 상기 부착부로부터 응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보강 부재와,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골격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원고를 상기 원고대 상의 상기 원고 판독 영역에 반송하여 통과시키는 원고 반송부와,
    상기 원고 반송부를 상기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원고 반송부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판독부의 상기 상면부에서의 상기 원고대 또는 상기 원고대의 주위에 맞추어서, 상기 원고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원고 반송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1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의 하방 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원고대의 상기 원고 판독 영역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원고 판독 영역을 반송시키는 상기 원고에 맞추어 반송 높이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보강 부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게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2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규제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판독부의 상기 상면부에서의 상기 원고대 또는 상기 원고대의 주위에 맞추어, 상기 원고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규제 부재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2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판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가 평면으로 보아 겹치도록 배치하는 화상 판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덮개부가 열린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가 닫히는 힘에 반발하는 힘을 발생시켜 열린 상태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화상 판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보강 부재의 일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쪽의 핀과,
    상기 보강 부재의 타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른 쪽의 핀과,
    상기 원고 반송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한쪽의 핀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쪽의 돌출부와,
    상기 원고 반송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다른 쪽의 핀이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쪽의 돌출부를 갖는 화상 판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원고 반송부 하면부에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는 복수의 각부(脚部)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각부에 대응하는 상기 골격부의 부위에 각부용 오목부 또는 각부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부용 오목부 또는 상기 각부용 구멍에 삽입되는 상기 복수의 각부가 상기 원고대에 맞추어 상기 원고 반송부를 지지하는 화상 판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 방향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규제 부재의 원고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연직 방향 상 방을 향해서 설치된 축부와,
    상기 보강 부재의 양단부에서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갖는 화상 판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하 방향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규제 부재의 원고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연직 방향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리브를 갖고, 상기 리브가 상기 원고대에 맞추어 상기 규제 부재를 지지하는 화상 판독 장치.
KR1020090082538A 2009-03-17 2009-09-02 화상 판독 장치 KR101216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64726 2009-03-17
JP2009064726A JP4853538B2 (ja) 2009-03-17 2009-03-17 画像読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13A KR20100105313A (ko) 2010-09-29
KR101216556B1 true KR101216556B1 (ko) 2012-12-31

Family

ID=4273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538A KR101216556B1 (ko) 2009-03-17 2009-09-02 화상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4806B2 (ko)
JP (1) JP4853538B2 (ko)
KR (1) KR101216556B1 (ko)
CN (1) CN1018401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1975B2 (ja) * 2009-12-18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642736A4 (en) * 2010-11-15 2014-11-19 Seiko Epson Corp COMBINED DEVICE
JP5663514B2 (ja) 2012-03-14 2015-02-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67193B2 (ja) * 2012-10-31 2015-08-19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54199B2 (ja) 2013-01-28 2016-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WO2017057604A1 (ja) * 2015-09-30 2017-04-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781283B1 (en) * 2016-05-25 2017-10-03 Xerox Corporation Document handler having integrated platen and fully internal CVT path
JP7358092B2 (ja) * 2019-07-05 2023-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025A (ja) 2000-07-24 2002-04-10 Kyocera Mita Corp 自動原稿送り装置
JP2005215433A (ja) 2004-01-30 2005-08-11 Kyocera Mita Corp 原稿カバー支持機構
JP2007068024A (ja) 2005-09-01 2007-03-15 Ricoh Co Ltd 原稿搬送読取ユニット及び複写機
KR100865698B1 (ko) 2006-10-27 2008-10-2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판독 장치 및 복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481B2 (ja) * 1991-09-30 2000-06-12 ミノルタ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JP3388114B2 (ja) * 1996-11-15 2003-03-1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3710636B2 (ja) * 1998-12-17 2005-10-26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送り装置
JP4102956B2 (ja) * 2000-03-01 2008-06-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US6557843B2 (en) * 2000-07-24 2003-05-06 Kyocera Mita Corporation Document feeder with linking mechanism
JP3715919B2 (ja) * 2001-12-21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41084B2 (ja) * 2003-02-24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332443B2 (ja) * 2003-03-07 2009-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42193A (ja) 2004-07-29 2006-02-09 Ricoh Co Ltd 原稿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079052A (ja) * 2005-09-13 2007-03-29 Ricoh Co Ltd 原稿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025A (ja) 2000-07-24 2002-04-10 Kyocera Mita Corp 自動原稿送り装置
JP2005215433A (ja) 2004-01-30 2005-08-11 Kyocera Mita Corp 原稿カバー支持機構
JP2007068024A (ja) 2005-09-01 2007-03-15 Ricoh Co Ltd 原稿搬送読取ユニット及び複写機
KR100865698B1 (ko) 2006-10-27 2008-10-2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판독 장치 및 복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19917A (ja) 2010-09-30
US8164806B2 (en) 2012-04-24
US20100238524A1 (en) 2010-09-23
JP4853538B2 (ja) 2012-01-11
CN101840180B (zh) 2014-03-19
KR20100105313A (ko) 2010-09-29
CN101840180A (zh)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556B1 (ko) 화상 판독 장치
US20070127962A1 (en) Image Scanning Device
EP2138907A2 (en) Fr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frame
JP5609533B2 (ja) 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6033646A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06934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1013252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911828B (zh) 图像形成设备
US20200339172A1 (en) Height adjusting structure for casing, and accessory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EP130672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mountable optical unit
JP606799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5030943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399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member
JP2004151510A (ja) 画像形成装置用フレーム
JP4577295B2 (ja) 画像読取装置
JP5652123B2 (ja) 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
JP5810064B2 (ja) シート受渡装置
US2014034161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531498B2 (en) Support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330124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5482995B2 (ja) 画像形成装置
JP523246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10080981A (ko) 자동화기기의 기록용지 안내장치
JP2004284186A (ja) 電子写真装置
JP5386520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