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132B1 - 전동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6132B1 KR101216132B1 KR1020110108787A KR20110108787A KR101216132B1 KR 101216132 B1 KR101216132 B1 KR 101216132B1 KR 1020110108787 A KR1020110108787 A KR 1020110108787A KR 20110108787 A KR20110108787 A KR 20110108787A KR 101216132 B1 KR101216132 B1 KR 1012161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xed
- pedestal
- pulley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전동 사다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는 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총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프레임을 제1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복수의 고정 도르레 및 와이어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있는 장소로부터 고정된 장소, 또는 고정된 장소로부터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있는 장소로의 물품 적재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있는 장소로부터 고정된 장소, 또는 고정된 장소로부터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있는 장소로의 물품 적재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사다리는 일정한 길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다단계의 발판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작업 사다리는 아래의 특허문헌인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5614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체 사다리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기도 한다.
한편, 종래에는 어획작업을 통해 잡은 어패류 등을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해상의 선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지상으로 어패류 등을 던지거나 지상에 있는 또 다른 작업자가 이러한 어패류를 받아서 이동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어패류의 하역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용 사다리를 지상의 적재차량과 선박 사이에 설치한 후 작업자가 발판을 딛으면서 어패류를 하역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조수간만의 차 및 파랑으로 인한 선박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작업용 사다리의 설치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하역 작업도 쉽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있는 장소로부터 고정된 장소, 또는 고정된 장소로부터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있는 장소로의 물품 적재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 사다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물품을 이송하고자 하는 장소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사다리 장치의 전체 길이 또한 변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 가능한 사다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는 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총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는 전동 사다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도르레;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레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총 길이 변화에 무관하게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레의 회전에 의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레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도르레; 상기 제1 고정 도르레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 고정 도르레; 상기 제2 고정 도르레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3 고정 도르레; 상기 제3 고정 도르레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4 고정 도르레; 및 상기 제1 고정 도르레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5 고정 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도르레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5 고정 도르레를 경유한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3 고정 도르레로부터 상기 제4 고정 도르레를 경유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는 상기 받침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각각 채널 형상의 제1 및 제2 측면 채널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채널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복수의 이동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제2 프레임을 제1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복수의 고정 도르레 및 와이어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있는 장소로부터 고정된 장소, 또는 고정된 장소로부터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있는 장소로의 물품 적재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물품을 이송하고자 하는 장소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사다리 장치의 전체 길이 또한 변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물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제1 프레임에 대해 제2 프레임이 상하 이동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이동 대상물품이 안치되는 받침대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구동모터에 의한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인력 낭비를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적재 및 하역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에서 받침대와 제1 및 제2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에서 고정 도르레와 와이어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예로 선박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2 프레임이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과 받침대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에서 받침대와 제1 및 제2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에서 고정 도르레와 와이어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예로 선박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2 프레임이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과 받침대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는, 외력,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운반 대상물을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100),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200),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300) 및 받침대(300)를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전동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프레임(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의 주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 상의 양측에는 각각 채널 형상의 제1 측면 채널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2 프레임(200)은 그 양측이 제1 측면 채널부(110) 내에 배치된 상태로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가 선박에 적재된 운반 대상물을 지상의 적재차량(활어차) 등으로 운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된 경우, 해상의 선박은 조수간만의 차 및 파랑으로 인해 항상 움직이게 된다. 즉, 선박은 롤링, 피칭 및 상하 방향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선박의 움직임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하단부가 선박의 갑판 등에 접촉된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효율적으로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2 프레임(200)의 이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00)은, 전술한 제1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의 주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 상의 양측에는 각각 채널 형상의 제2 측면 채널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2 프레임(200)은 제2 측면 채널부(210)가 제1 측면 채널부(110)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프레임(100)에 대한 제2 프레임(200)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제1 측면 채널부(110)를 구성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내벽 사이의 거리는, 어느 하나의 제2 측면 채널부(210)를 구성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외벽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일정이상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300)는 운반 대상물을 실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받침대(300)에는 제1 및 제2 측면 채널부(110,2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복수의 이동롤러(310)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이동롤러(310)는, 받침대(300)의 좌우 방향(도면상 X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한 쌍의 제1 측면 채널부(11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과 한 쌍의 제2 측면 채널부(21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제1 이동롤러(311), 받침대(300)의 상하 방향(도면상 Z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한 쌍의 제1 측면 채널부(110)의 채널 내벽과 한 쌍의 제2 측면 채널부(210)의 채널 내벽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제2 이동롤러(3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대(300)가 제2 측면 채널부(210)가 아닌 제1 측면 채널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복수의 제2 이동롤러(312)와 제1 측면 채널부(110)의 채널 내벽과는 일정 이상의 이격 거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측면 채널부(110,210)가 각각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제2 이동롤러(312)가 채널홈 내측에 각각 위치하므로, 제1 및 제2 프레임(100,200)으로부터 받침대(3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부(400)는 받침대(300)를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가 거치되는 장소, 즉 일 예로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제2 프레임(200)이 제1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여 전체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전동부(400)가 받침대(30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전동부(400)는, 제1 프레임(100)의 후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410),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도르레(420), 복수의 고정 도르레(420)에 연결되는 와이어(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모터(410)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서보 모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동부(400)는 작업자가 구동모터(410)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440)를 더 포함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도르레(420)는, 구동모터(41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도르레(421), 제1 고정 도르레(421)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30)가 권취되도록 제1 프레임(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 고정 도르레(422), 제2 고정 도르레(422)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30)가 권취되도록 제2 프레임(2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3 고정 도르레(423), 제3 고정 도르레(423)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30)가 권취되도록 제2 프레임(2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4 고정 도르레(424) 및 제1 고정 도르레(421)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30)가 권취되도록 제1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5 고정 도르레(425,426)를 포함한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 도르레(421)로부터 한 쌍의 제5 고정 도르레(425,426)를 경유한 와이어(430)의 단부는 받침대(300)의 상측 후면부에 고정되며, 제3 고정 도르레(423)로부터 제4 고정 도르레(424)를 경유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430)는 받침대(300)의 하측 후면부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430)는 제1 내지 제5 고정 도르레(421,422,423,424,425,426)에 모두 권취되도록 하나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5 고정 도르레(425,426)가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이유는, 제2 프레임(200)이 제1 프레임(100)을 따라 최고로 상승 이동한 경우, 그 상단부가 한 쌍의 제5 고정 도르레(425,426) 사이로 진입 가능하도록 여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제2 프레임(200)의 상승 이동 가능한 구간을 보다 증가시켜 선박의 상하 흔들림의 크기 정도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선박의 상하 흔들림, 즉 제1 프레임(100)에 대한 제2 프레임(200)의 상하 이동에 관계없이 받침대(300)를 제1 및 제2 프레임(100,200)을 따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받침대(300)가 제1 및 제2 프레임(100,200)의 특정 영역에 정지한 상태에서 제2 프레임(200)이 제1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제2 프레임(200)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모터(410)를 구동하여 받침대(300)를 상하 이동시킬 때 회전하는 고정 도르레와, 반대로 받침대(300)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200)이 제1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 이동할 때 회전하는 고정 도르레가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前者)의 경우에 해당되는 고정 도르레는, 제1 내지 제5 고정 도르레(421,422,423,424,425,426)가 모두 해당된다.
반대로, 후자(後者)의 경우에 해당되는 고정 도르레는, 제3 및 제4 고정 도르레(423,424)가 해당된다. 즉, 받침대(300)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200)이 상하 이동하는 경우, 제2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되는 제3 및 제4 고정 도르레(423,424)만이 회전하게 된다.
덧붙이자면, 본 실시예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총 길이가,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에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하 설명에 앞서, 제1 프레임(100)의 상단은 지상의 적재차량 등에 고정되고, 제2 프레임(200)의 하단은 해상의 선박 등에 접촉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고정 및 접촉 상태 시, 파랑에 의해 선박의 상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제2 프레임(200)은 제3 및 제4 고정 도르레(423,424)의 회전에 의한 와이어(430) 풀림 및 권취 작용에 의해 제1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00)이 제1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구동모터(410)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라면 받침대(300)는 현재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즉, 적재차량 등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100)의 상단부와 받침대(300) 사이의 거리(L)는 제2 프레임(200)의 상하 이동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일 예로, 제1 프레임(100)의 상단부를 지상의 적재차량에 고정시키고, 제2 프레임(200)의 하단부를 해상의 선박 갑판 상에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스위치(440)를 작동하여 구동모터(4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받침대(300)를 제2 프레임(200)의 하부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선박 상에 있는 작업자는 선박에 있는 이동 대상물 즉, 잡은 어류 등을 담은 바구니를 받침대(300) 상에 올려놓는 작업을 한다. 여기서, 선박에 있는 작업자가 스위치(440)를 작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작업자는 스위치(440)를 작동하여 구동모터(4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받침대(300)를 제1 프레임(100)의 상부 영역으로까지 이동시킨다. 이후, 지상의 적재차량 근방에 있는 작업자는 어류가 담긴 바구니를 적재차량으로 이동시켜 적재하게 된다.
이러한 적재 및 하역 작업은 반복적으로 실시 가능하며, 또한 지상의 적재 차량에 있는 이동 대상물을 해상의 선박으로 이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적재 및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선박은 파랑에 의해 항상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00)은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박이 파랑에 의해 상승한 경우, 제2 프레임(200) 또한 복수의 고정 도르레의 회전 및 와이어 풀림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제1 프레임(10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하며, 선박이 파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한 경우, 제2 프레임(200)은 자체 자중, 복수의 고정 도르레의 회전 및 와이어 풀림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300)는 제2 프레임(200)의 상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파랑에 의해 제2 프레임(200)이 상하 이동하더라도 구동모터(410)가 회전하지 않는다면 받침대(300)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본 발명은, 전동 사다리 장치의 전체 총 길이가 변동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받침대(30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대상물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사다리 장치가 지상의 적재차량과 해상의 선박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지상의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상이 아닌 기타 유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장소에서 고정된 장소로의 적재 및 하역 작업(그 반대 방향의 적재 및 하역작업도 가능)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100: 제1 프레임 110: 제1 측면 채널부
200: 제2 프레임 210: 제2 측면 채널부
300: 받침대 310: 이동롤러
311: 제1 이동롤러 312: 제2 이동롤러
400: 전동부 410: 구동모터
421: 제1 고정 도르레 422: 제2 고정 도르레
423: 제3 고정 도르레 424: 제4 고정 도르레
425: 제5 고정 도르레 430: 와이어
440: 스위치
200: 제2 프레임 210: 제2 측면 채널부
300: 받침대 310: 이동롤러
311: 제1 이동롤러 312: 제2 이동롤러
400: 전동부 410: 구동모터
421: 제1 고정 도르레 422: 제2 고정 도르레
423: 제3 고정 도르레 424: 제4 고정 도르레
425: 제5 고정 도르레 430: 와이어
440: 스위치
Claims (5)
-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는 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총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며,
상기 전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도르레;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레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레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도르레;
상기 제1 고정 도르레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 고정 도르레;
상기 제2 고정 도르레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3 고정 도르레;
상기 제3 고정 도르레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4 고정 도르레; 및
상기 제1 고정 도르레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5 고정 도르레를 포함하는 전동 사다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총 길이 변화에 무관하게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레의 회전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전동 사다리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도르레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5 고정 도르레를 경유한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3 고정 도르레로부터 상기 제4 고정 도르레를 경유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는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전동 사다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각각 채널 형상의 제1 및 제2 측면 채널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채널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복수의 이동롤러가 구비되는 전동 사다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8787A KR101216132B1 (ko) | 2011-10-24 | 2011-10-24 | 전동 사다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8787A KR101216132B1 (ko) | 2011-10-24 | 2011-10-24 | 전동 사다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6132B1 true KR101216132B1 (ko) | 2012-12-27 |
Family
ID=4790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8787A KR101216132B1 (ko) | 2011-10-24 | 2011-10-24 | 전동 사다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61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42204A (zh) * | 2019-07-17 | 2019-09-17 | 大连连船重工有限公司 | 船用抗浪登塔梯 |
KR102101165B1 (ko) | 2019-10-16 | 2020-04-20 | 정희준 | 사다리와 결합하는 조립용 이송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2382Y1 (ko) * | 2001-05-09 | 2001-10-1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작업용 사다리 |
-
2011
- 2011-10-24 KR KR1020110108787A patent/KR1012161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2382Y1 (ko) * | 2001-05-09 | 2001-10-1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작업용 사다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42204A (zh) * | 2019-07-17 | 2019-09-17 | 大连连船重工有限公司 | 船用抗浪登塔梯 |
KR102101165B1 (ko) | 2019-10-16 | 2020-04-20 | 정희준 | 사다리와 결합하는 조립용 이송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7095261A (ja) | 物品搬送設備 | |
KR101256527B1 (ko) |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 |
KR101216132B1 (ko) | 전동 사다리 장치 | |
KR101310797B1 (ko) | 수상용 펜스 권선장치 | |
JP4753932B2 (ja) | ゴンドラ装置 | |
CN108482610A (zh) | 一种散货船舱壁清洗装置 | |
CN112239153A (zh) | 一种港口大型货物机械搬运设备 | |
KR200463133Y1 (ko) | 랩핑장치 | |
KR20140122488A (ko) |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 |
CN204150734U (zh) | 适用于带多点分料装置的抓斗卸船机 | |
KR102339187B1 (ko) | 전방위로 이동가능한 곤돌라 | |
KR20160086573A (ko) | 크레인 | |
JP4078729B2 (ja) | 垂直揚重搬送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 |
CN103057922A (zh) | 智能运输装置 | |
KR200227769Y1 (ko) | 이동식 호이스트 장치 | |
CN113120677B (zh) | 一种用于仓储中心的搬运升降机构 | |
KR20190130320A (ko) | 선박용 접안장치 | |
JP6756077B2 (ja) | 岸壁クレーン | |
JP2012012195A (ja) | 物品保管設備 | |
KR100841820B1 (ko) | 엘엔지선의 트렁크 데크부용 도장 작업대 | |
KR101416543B1 (ko) | 접이식 대차형 인양장치 | |
KR101310796B1 (ko) | 수상용 펜스 권선장치 | |
JP3035769B2 (ja) | 表面処理装置 | |
CN211998537U (zh) | 一种mg型双梁门式起重装置 | |
CN214879706U (zh) | 一种移动式多功能起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