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244B1 -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244B1
KR101213244B1 KR1020110063156A KR20110063156A KR101213244B1 KR 101213244 B1 KR101213244 B1 KR 101213244B1 KR 1020110063156 A KR1020110063156 A KR 1020110063156A KR 20110063156 A KR20110063156 A KR 20110063156A KR 101213244 B1 KR101213244 B1 KR 101213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graft material
bone graft
membrane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75Bone morphogenic factor;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inducing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17Bone stimulation by chemical reactions or by osteogenic or biological products for enhancing ossification, e.g. by bone morphogenetic or morphogenic proteins [BMP] or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ardiology (AREA)
  • Dent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골 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은, 폭이 좁은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형성되는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 및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로부터 상기 골이식재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를 덮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에 대해 상기 골이식재를 채운 뒤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골이식재가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를 향한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판재형상의 제1 덮개부; 및 상기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식립되는 픽스츄어의 상단부를 덮기 위해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 연결되는 판재형상의 제2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COMBINATION OF BONE GRAFT MATERIAL AND A BARRIER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 결손부의 재생을 위한 골유도재생술 시 골 결손부에 채워지는 골이식재의 분산을 방지하고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안면 영역에서 치주염, 치아 상실, 악골 기형 등으로 골 결손부가 발생하는 경우, 골 결손부 재건을 위해 오랫동안 골유도재생술식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골유도재생술을 위해서는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를 채우고, 차폐막을 덮어서 연조직 개입을 막고 골조직 유입을 유도한다.
즉, 차폐막은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를 채운 후 단순히 이를 덮는 방법에 따라 연조직의 개입을 막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골이식재는 가루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출혈이나 흡입에 의해 골 결손부에서 흩어지기 쉽고, 연조직 판막 조작이나 봉합과정 등에서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골이식재의 분산은 골 결손부의 재생 능력을 떨어뜨려 골치유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차폐막의 적용을 위해서는 골 결손부와 골이식재의 범위에 따라 형태와 크기에 맞도록 재단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수술 시간이 지연되고 조작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차폐막은 적절히 고정되지 못한 경우, 치유과정 중에도 골이식재의 변위나 움직임에 의해 골치유가 저해되고, 원하는 양의 골재생을 도모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치조골 결손부의 재생에 따른 골유도재생술 시 골 결손부에 채워지는 골이식재의 분산을 방지하면서도 골유도재생술의 단순화를 통해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차폐막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치조골 결손부의 재생을 위한 골유도재생술 시 결손부에 채워지는 골이식재의 분산을 방지하고 시술의 편의성를 도모할 수 있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폭이 좁은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형성되는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 및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로부터 상기 골이식재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를 덮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에 대해 상기 골이식재를 채운 뒤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골이식재가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를 향한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판재형상의 제1 덮개부; 및 상기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식립되는 픽스츄어의 상단부를 덮기 위해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 연결되는 판재형상의 제2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 덮개부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2 덮개부를 라인(Line) 형태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좌?우측 치아 사이에 삽입될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부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치아를 발치한 후, 한쪽 발치와 벽이 무너진 형태의 골 결손부가 형성되는 경우,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 및 상기 골 결손부로부터 상기 골이식재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골 결손부를 덮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골이식재와 함께 상기 골 결손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골이식재가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골이식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재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골 결손부의 개구부를 덮기 위해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판재형상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골이식재는, 상기 골 결손부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뿔형상 또는 총알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시 근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구멍 형상의 천공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 및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로부터 상기 골이식재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를 덮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에 대해 상기 골이식재를 채운 뒤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골이식재가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를 향한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멤브레인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를 미리 결정된 두께 및 면적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골이식재가 도포된 상기 멤브레인을 동결 건조시켜 스폰지 형태의 멤브레인의 미세공에 상기 골이식재가 부분적으로 흡입되면서 상기 골이식재가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골 결손부의 재생을 위해 시술되는 골유도재생술의 수단으로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을 제공함으로써, 골의 재생이 필요한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를 채우고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골이식재가 골 결손부로부터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골의 재생에 따른 시술의 단순화를 통해 골유도재생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시술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시술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시술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시술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시술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시술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110)와, 열개형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1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열개형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멤브레인(120)을 포함한다.
이때, 열개형 골 결손부(Dehiscence type bone defect)는, 폭이 좁은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형성되는 것이며, 주로 치조제의 폭이 얇거나 협측 골의 흡수가 자주 발생한 부위에 흔히 발생하는 형태의 결손부이다.
골이식재(110)는,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골이식재(110)는 후술하는 멤브레인(120)에 마련된 판재형상의 제1 덮개부(122)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하도록 채워지는 골이식재(110)의 재료는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 등의 골이식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동종골은, 사체나 생존해 있는 다른 공여자에게 얻는 것으로서 이식재를 동결시키거나 동결건조, 탈회동결건조, 그리고 방사선 조사를 가한 형태로 항원성을 제거하여 사용하게 되며, 골형성에 필요한 기간이 길고 새로 생성되는 골량도 적지만 필요한 양을 아무 때나 사용할 수 있고 부가적 수술부위를 만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동종골의 종류로는 동결건조골 중 비탈회형태(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 allografts, DFDBA), 탈회형태(Freeze dried bone allografts, FDBA) 그리고 방사선 조사 해면골 형태(Irradiated cancellous bone, ICB)가 있다.
이종골은, 소나 돼지 등의 동물에서 골을 채취한 수 여러 과정을 거쳐 면역반을을 떨어뜨려 골전도 능력을 기대하는 이식재이며, 추가적인 수술부위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장점과 원하는 양만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되고 치환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관계로 골유도 보다는 골전도의 기전으로 이해되는 것이 현재의 흐름이다. 이러한 이종골의 종류로는 Bio-Oss, ABM/P-15 및 BioCeraTM 등이 있다.
합성골은, 실제 뼈가 아니라 인공적으로 합성해서 만든 뼈이기 때문에 다른 뼈이식재에 비해서 가장 질이 떨어지고 골형성에 필요한 기간이 길지만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 non-porous hydroxyapatite(HA), hydroxyapatite cement, porous hydroxyapatite, beta tricalcium phosphate, polymethlymethacrylate(PMMA)와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polymer, 그리고 bioactive glass 등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HA 그리고 PMMA와 HEMA polymer는 비흡수성이며, tricalcium phosphate와 bioactive는 흡수성이다. 이러한 합성골의 종류는 제3 인산칼슘, 경조직 개체 중합체 및 생활성 유리질 세라막 등이 있다.
멤브레인(120)은, 열개형 골 결손부를 덮는 구성이며, 제1 덮개부(122)와, 제1 덮개부(122)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 덮개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멤브레인은, 콜라겐 및 Polyactic acid poilglycolic acid copoltmer(PLGA)와 같은 흡수성 멤브레인과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F)와 같은 비흡수성 멤브레인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열개형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의 다양한 골 결손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미리 결정된 두께 및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덮개부(122)는, 골이식재(110)가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제1 덮개부(122)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골이식재(110)가 열개형 골 결손부를 향한 제1 덮개부(122)의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덮개부(122)는 골이식재(110)가 일체로 결합되는 패치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골이식재(110)가 열개형 골 결손부에 채워진 뒤 열개형 골 결손부 전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열개형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1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골의 재생에 따른 시술의 단순화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2 덮개부(124)는, 제1 덮개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판재형상의 구성이며, 제1 덮개부(122)의 일단부에 판재형상의 연결부(125)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125)는 제2 덮개부(124) 가 제1 덮개부(122)에 대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제1 덮개부(122) 및 제2 덮개부(124)를 라인 형태로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덮개부(124)는 열개형 골 결손부를 덮도록 마련된 제1 덮개부(122)에 대해 절곡되어 임플란트의 시술을 위해 식립되는 픽스츄어(130)의 상단부를 덮게 되며 이에 픽스츄어(130)의 상단부에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 덮개부(124)는, 픽스츄어(130)의 좌?우측 치아 사이에 삽입될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덮개부(124)는 단순히 치아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라 임플란트의 시술을 위해 식립되는 픽스츄어(130)의 상단부만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픽스츄어(13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픽스츄어(13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시술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부에 형성되는 열개형 골 결손부에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픽스츄어(130)가 식립된 상태에서 골의 재생을 위한 골유도재생술을 시술하기 위하여,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110)가 채워지도록 멤브레인(120)에 마련된 제1 덮개부(122)로 덮는다.
즉, 제1 덮개부(122)는 골이식재(110)가 일체로 결합되는 패치형으로 마련됨에 따라 한 번의 조작에 의해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110)를 채운 뒤 열개형 골 결손부 전체를 덮게 되며 이에 따라 열개형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1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이 방지하면서도 골의 재생에 따른 시술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제1 덮개부(122)에 의해 열개형 골 결손부가 완전히 덮여지면, 제1 덮개부(122)의 일단부에 연결부(125)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마련된 제2 덮개부(124)로 픽스츄어(130)의 상단부를 덮게 되며 이에 따라 열개형 골 결손부 주변의 연조직이 픽스츄어(130)의 상단부로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덮개부(124)에 의해 픽스츄어(130)가 덮여지면, 골유도재생술을 위해 절개된 부위를 봉합함으로써 열개형 골 결손부에 대한 골유도재생술을 종결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100)은,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를 채운 뒤 골이식재의 이식범위에 따라 멤브레인을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여 열개형 골 결손부를 덮는 종래기술과 달리, 패치형 구조에 따라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110)를 채우고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1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골의 재생에 따른 시술의 단순화를 통해 골유도재생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100)은, 제1 덮개부(122)의 일단부에 제2 덮개부(124)를 구비함으로써, 열개형 골 결손부에 임플란트의 시술을 위한 픽스츄어(130)가 식립되는 경우 제2 덮개부(124)에 의해 픽스츄어(130)의 상단부를 덮음으로써 열개형 골 결손부 주변의 연조직이 픽스츄어(130)의 상단부로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110)와, 열개형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1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열개형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덮개부(122) 및 제2 덮개부(124)가 마련되는 멤브레인(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골이식재(110) 및 멤브레인(120) 등의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이하에서의 설명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멤브레인(120)에 마련된 제2 덮개부(124)에는, 픽스츄어(13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공(124A)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공(124A)은, 제2 덮개부(124)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걸림공(124A)은 픽스츄어(13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걸림공(124A)은 제2 덮개부(124)를 픽스츄어(130)의 상단부에 걸림하여 멤브레인(120)의 유동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100)은, 열개형 골 결손부에 대한 골유도재생술 시 픽스츄어(130)의 상단부에 제2 덮개부(124)를 걸림하여 멤브레인(120)의 유동을 고정함으로써 연조직 판막 조작, 봉합 및 골치유 과정에서 멤브레인(120)의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를 발치한 후, 한쪽 발치와 벽이 무너진 형태의 골 결손부가 형성되는 경우,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210)와,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2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멤브레인(220)을 포함한다.
이때, 골 결손부는, 치아를 발치한 후, 한쪽 발치와 벽이 무너진 형태로 형성되는 골 결손부이다. 즉, 발치를 하게 되면 치아 주변을 감싸고 있는 치조골이 함께 뽑히거나 뽑힌 치아 주변의 치조골 벽이 훼손됨에 따라 골 결손부가 형성된다.
골이식재(210)는,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골이식재(210)는 후술하는 멤브레인(220)에 마련된 판재형상의 결합부(222)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골이식재(210)는 원뿔형상 또는 총알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골 결손부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하도록 채워지는 골이식재(210)의 재료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골이식재와 동일하다.
멤브레인(220)은, 골이식재(21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22)와 골 결손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224)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멤브레인(22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대표적으로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생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결합부(222)는, 골이식재(210)가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결합부(222)는 골이식재(210)와 대응되는 원뿔형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골이식재(210)가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222)는 발치에 따라 형성되는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210)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골이식재(21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덮개부(224)는, 골 결손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골 결손부의 개구부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222)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덮개부(224)는 골 결손부 내부로 골이식재(210) 및 결합부(222)의 삽입 후 결합부(222)에 대해 절곡되어 골 결손부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게 되며 이에 골 결손부의 개구부에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에 의한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하도록 골이식재(210)를 삽입하여 채운 뒤 덮개부(224)에 의해 골 결손부의 개구부를 덮도록 함으로써 골 결손부에 대한 시술의 단순화를 통해 골유도재생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골 결손부의 개구부에 연조직의 개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310)와, 천공형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3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천공형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멤브레인(320)을 포함한다.
이때, 천공형 골 결손부는, 임플란트 식립 시 근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구멍 형상의 골 결손부이다.
골이식재(3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것이므로 이하에서의 설명의 생략하기로 한다.
멤브레인(320)은, 천공형 골 결손부에 대해 골이식재를 채운 뒤 이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멤브레인은(320), 천공형 골 결손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골이식재(310)가 천공형 골 결손부를 향한 멤브레인(320)의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멤브레인(320)은 골이식재(310)의 이식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멤브레인(32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이, 대표적으로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생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멤브레인(320)는 골이식재(310)와 상호 일체로 결합되는 패치형으로 마련됨에 따라 천공형 골 결손부에 대해 골이식재(310)를 채운 뒤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공형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3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골의 재생에 따른 시술의 단순화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형 구조에 따라 천공형 골 결손부에 골이식재(310)를 채우고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골 결손부로부터 골이식재(310)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시술의 단순화를 통해 골유도재생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제조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멤브레인을 마련하는 단계(S100)와,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를 도포하는 단계(S200)와, 골이식재가 도포된 멤브레인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제조방법은, 대표적으로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마련된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를 도포한 뒤 동결 건조시켜서 형성하는 것이다. 골이식재와 멤브레인의 결합방법은 콜라겐을 이용한 방법 이외에도, 생체적합성이 뛰어나면서 점착성이 있는 다른 생체재료에 의해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콜라겐을 이용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제조를 위해,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여기서 콜라겐은 동물의 뼈, 연골, 이, 건(腱), 피부 외에 물고기의 비늘 등을 구성하는 경단백질이며, 콜라겐을 가루 형태로 분쇄한 뒤 일정량의 물을 섞어 걸쭉하게 반죽함으로써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열개형 골 결손부, 발치에 의한 골 결손부 및 천공형 골 결손부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 및 면적을 갖는 규격화된 다양한 형태의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를 미리 결정된 두께 및 면적으로 도포한다.
즉, 골이식재는 열개형 골 결손부, 발치에 따른 골 결손부 및 천공형 골 결손부 등의 조건과 상실된 치조골의 크기를 고려하여 사전에 미리 결정된 두께 및 면적으로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도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골이식재가 도포된 멤브레인을 동결 건조시킨다.
즉, 골이식재가 도포된 멤브레인을 동결 건조시키면 스폰지 형태의 멤브레인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폰지 형태를 갖는 멤브레인의 미세공에 골이식재가 부분적으로 흡입되면서 골이식재가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패치형 차폐막이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골이식재는 열개형 골 결손부, 발치에 의한 골 결손부 및 천공형 골 결손부 등에 골의 재생을 유도하는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 등의 골이식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이식재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제조방법은,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마련된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를 도포한 뒤 동결 건조시켜 골이식재가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골 결손부에 적용할 수 있는 규격화된 제품의 양산이 가능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차폐막 110: 골이식재
120: 멤브레인 122: 제1 덮개부
124: 제2 덮개부 125: 연결부

Claims (10)

  1. 폭이 좁은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형성되는 열개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 및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로부터 상기 골이식재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를 덮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에 대해 상기 골이식재를 채운 뒤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골이식재가 상기 열개형 골 결손부를 향한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판재형상의 제1 덮개부; 및
    상기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식립되는 픽스츄어의 상단부를 덮기 위해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 연결되는 판재형상의 제2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부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2 덮개부를 라인(Line) 형태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좌?우측 치아 사이에 삽입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부에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5. 치아를 발치한 후, 한쪽 발치와 벽이 무너진 형태의 골 결손부가 형성되는 경우,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 및
    상기 골 결손부로부터 상기 골이식재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골 결손부를 덮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골이식재와 함께 상기 골 결손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골이식재가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골이식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재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골 결손부의 개구부를 덮기 위해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판재형상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이식재는,
    상기 골 결손부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뿔형상 또는 총알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7. 임플란트 식립 시 근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구멍 형상의 천공형 골 결손부에 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채워지는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 및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로부터 상기 골이식재가 분산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 내부로 연조직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를 덮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에 대해 상기 골이식재를 채운 뒤 이를 덮는 과정이 한 번의 조작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골이식재가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를 향한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천공형 골 결손부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10. 슬러리 형태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멤브레인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가루 형태의 골이식재를 미리 결정된 두께 및 면적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골이식재가 도포된 상기 멤브레인을 동결 건조시켜 스폰지 형태의 멤브레인의 미세공에 상기 골이식재가 부분적으로 흡입되면서 상기 골이식재가 상기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패치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의 제조방법.
KR1020110063156A 2011-06-28 2011-06-28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213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156A KR101213244B1 (ko) 2011-06-28 2011-06-28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156A KR101213244B1 (ko) 2011-06-28 2011-06-28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244B1 true KR101213244B1 (ko) 2012-12-18

Family

ID=4790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156A KR101213244B1 (ko) 2011-06-28 2011-06-28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24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43B1 (ko) 2013-02-22 2014-06-05 장재우 골이식용 이식물 및 이를 이용한 골이식 방법
WO2015167050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WO2015186846A1 (ko) * 2014-06-02 2015-12-10 장재우 골이식용 이식물 및 이를 이용한 골이식 방법
KR101636988B1 (ko) * 2016-03-10 2016-07-07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포켓형 멤브레인
KR101686221B1 (ko) * 2016-03-10 2016-12-13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날개형 멤브레인
KR101742594B1 (ko) 2016-01-11 2017-06-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체내 유지 시간이 향상된 치과용 흡수성 차폐막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치과용 흡수성 차폐막
KR101809262B1 (ko) * 2016-07-25 2017-12-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시술 편의성이 향상된 차폐막이 결합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2901A (ko) * 2018-08-24 2020-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형상을 갖는 골이식 부재
KR20220019892A (ko) * 2020-08-10 2022-02-18 김인석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JP7323909B2 (ja) 2019-02-25 2023-08-09 株式会社リメディオ 医療用シ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1486B2 (en) 2001-04-26 2007-07-10 Inion Ltd. Bone grafting materials
US7731756B2 (en) 2002-12-23 2010-06-08 Degradable Solutions Ag Biodegradable biocompatible impl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1486B2 (en) 2001-04-26 2007-07-10 Inion Ltd. Bone grafting materials
US7731756B2 (en) 2002-12-23 2010-06-08 Degradable Solutions Ag Biodegradable biocompatible implant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43B1 (ko) 2013-02-22 2014-06-05 장재우 골이식용 이식물 및 이를 이용한 골이식 방법
CN106232051A (zh) * 2014-04-30 2016-12-14 电子牙科科技株式会社 种植牙用屏障膜
WO2015167050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WO2015186846A1 (ko) * 2014-06-02 2015-12-10 장재우 골이식용 이식물 및 이를 이용한 골이식 방법
KR101742594B1 (ko) 2016-01-11 2017-06-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체내 유지 시간이 향상된 치과용 흡수성 차폐막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치과용 흡수성 차폐막
KR101636988B1 (ko) * 2016-03-10 2016-07-07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포켓형 멤브레인
KR101686221B1 (ko) * 2016-03-10 2016-12-13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날개형 멤브레인
WO2017155163A1 (ko) * 2016-03-10 2017-09-14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포켓형 멤브레인
EP3248565A4 (en) * 2016-03-10 2018-10-10 Pil Ho An Pocket-type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KR101809262B1 (ko) * 2016-07-25 2017-12-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시술 편의성이 향상된 차폐막이 결합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2901A (ko) * 2018-08-24 2020-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형상을 갖는 골이식 부재
KR102147016B1 (ko) * 2018-08-24 2020-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형상을 갖는 골이식 부재
JP7323909B2 (ja) 2019-02-25 2023-08-09 株式会社リメディオ 医療用シート
KR20220019892A (ko) * 2020-08-10 2022-02-18 김인석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KR102448385B1 (ko) 2020-08-10 2022-09-29 김인석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244B1 (ko)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US5919234A (en) Resorbable, macro-porous, non-collapsing and flexible membrane barrier for skeletal repair and regeneration
US10751185B2 (en) Treatment of skeletal voids with implantable substrate hydrated with bone marrow concentrate
CA2327789C (en) Membrane with tissue-guiding surface corrugations
US6280473B1 (en) Resorbable, macro-porous, non-collapsing and flexible membrane barrier for skeletal repair and regeneration
US8353967B2 (en) Self-supporting collagen tunnel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210073543A (ko) 이식 가능한 의료 디바이스용 스캐폴딩 및 그 사용 방법
KR101957543B1 (ko) 뼈 조직의 천공을 충진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의 사용방법
US20230181293A1 (en) Dental devices for extraction site reconstruction
TWI436779B (zh) 齒槽骨修復用之生物可分解性填補物
JP2000501966A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
KR20050058452A (ko) 골조직 또는 골대체재로 보충된 골조직 내에 이식하기 위한임플란트
JP6352183B2 (ja) 骨代替材料で作られた本体および製造方法
KR20070088477A (ko) 히드록시 아파타이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치과재료 및 복합치과재료
Matsumoto et al. Evaluation of guided bone regeneration with poly (lactic acid-co-glycolic acid-co-ε-caprolactone) porous membrane in lateral bone defects of the canine mandible.
CA2955022C (en) Dental ring
US20150320463A1 (en) Devices for treating bone fractures
JP2019535473A (ja) 骨欠損部を治療するためのインプラントおよびキット
JP7212667B2 (ja) 骨増強片および挿入された(歯科)インプラントを有する骨増強片からなるキット
CN103796688A (zh) 生物材料及其实现方法
KR10163698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포켓형 멤브레인
KR20140017368A (ko)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
Daniela Jaw’s Bone Augmentation with New Generation of Bone Composite Substitute Materials
KR101403643B1 (ko) 골이식용 이식물 및 이를 이용한 골이식 방법
KR20220138151A (ko)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