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892A -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 Google Patents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892A
KR20220019892A KR1020200100011A KR20200100011A KR20220019892A KR 20220019892 A KR20220019892 A KR 20220019892A KR 1020200100011 A KR1020200100011 A KR 1020200100011A KR 20200100011 A KR20200100011 A KR 20200100011A KR 20220019892 A KR20220019892 A KR 20220019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tooth extraction
drug
extraction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385B1 (ko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김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석 filed Critical 김인석
Priority to KR102020010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3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61F13/000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2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made of natural material, e.g. cellulose-, protein-, collagen-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50Prepa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root treatment
    • A61K6/54Filling; S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98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to be resorbable inside the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2Dextra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4Alg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61L2300/604Biodegrad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치와(tooth extraction socket)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치 후 염증이 발생한 발치와에 사용하기 위한 충전재 및 충전재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Filling material for tooth extraction socket filling and tooth extraction socket filling kit}
본 발명은 발치와(tooth extraction socket)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치 후 염증이 발생한 발치와에 사용하기 위한 충전재 및 충전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치를 하게 되면 뼈 안에 빈 공간이 발생하며, 이를 발치와(tooth extraction socket)라 한다.
특히, 사랑니를 발치하면 상대적으로 큰 발치와가 형성되며, 발치와에서 출혈이 발생한다. 발치된 부위가 아물 수 있도록 잇몸을 실로 봉합하여 이 공간에 피딱지, 즉 혈병이 형성되도록 하고 혈병이 육아조직으로 대체되며 창상치유 과정을 거친다. 발치와에 신생골과 점막이 새롭게 형성되어 골조개가 완성되면 발치된 부위가 완전히 치유된다.
그러나 침을 뱉어내거나, 흡연 및 빨대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구강 내 음압이 형성되는 경우 물컹물컹한 상태의 혈병이 빠지게 되고, 치조골 표면 및 치아를 뺀 공간 자체가 입안에 노출되면서 음식물이나 세균 등에 감염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치조골 표면에 염증이 생기게 되며, 뼈가 감염이 되면 건성발치와(Dry Socket)이라 하는 굉장히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되며 회복도 느려지게 된다.
이러한 드라이 소켓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폰지 형태의 구조체를 발치와에 삽입하는 제품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미 드라이 소켓이 발생한 경우는 항생제 등의 약물 투약과 발치 부위를 반복적으로 세척하여 자연적으로 나을 때까지 기다리는 방법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
그러나 약물을 주사 등으로 투입하거나 짜서 쓰는 약물을 적용하는 경우, 일회성으로 약효가 일정시간 지속되어 유지되지 않는다. 또한, 발치와의 빈 공간으로 음식물이 여전히 들어갈 수 있으므로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513239호(2009.04.02)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발치와의 혈병이 빠져서 발치된 공간이 노출되어 염증이 발생(드라이 소켓)한 경우에 감염된 발치와에 직접적으로 약물을 적용하여 감염상태를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으며, 일회성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약효를 발휘하도록 하는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약물을 담지한 제1구조체와, 음식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고, 제1구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발치와를 밀봉하는 제2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밀착됨으로써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발치와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제1구조체의 밀도가 제2구조체의 밀도 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1구조체가 체액에 의해 용해 또는 겔화되어 제1구조체 내에 담지된 약물이 감염된 부위에 빠르고, 고르게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제2구조체가 제1구조체에 비하여 서서히 용해 또는 겔화되어 음식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고, 발치와 공간을 유지시키며, 치주조직의 재생을 유도하여 회복이 되도록 하는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른 발치와의 크기에 적용가능하도록 크기 및 부피 조절이 용이하며, 필요한 약물의 함량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발치와(tooth extraction socket)에 충전되는 충전재로써,
상기 충전재는 발치와의 치조골에 직접 접촉되며, 약물을 함침시키기 위하여 다공구조를 갖는 제1구조체; 및 상기 제1구조체의 상부에서 발치와를 메우고 제1구조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제2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기공이 형성된 다공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구조체의 밀도가 제2구조체의 밀도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즉, 제1구조체의 밀도가 낮아 발치와에 삽입 후 체액에 의해 용해 또는 겔화되어 감염된 부위를 감싸게 되며, 상기 제1구조체에 비하여 밀도가 높은 제2구조체가 발치와를 밀봉하게 되어 음식물이 발치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체액에 의해 변형이 덜 되어 형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발포체, 스펀지, 섬유, 직물 및 부직포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 스펀지, 섬유, 직물 및 부직포는 접거나 말아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고깔 모양 또는 원통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는 젤라틴, 콜라겐, 알지네이트,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덱스트란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약물은 항염증제 및 항생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서로 일체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발치와에 직접 접촉되며, 약물을 담지하기 위한 제1구조체;와 상기 제1구조체의 상부에서 발치와를 메우고 제1구조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제2구조체; 및 약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기공이 형성된 다공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구조체의 밀도가 제2구조체의 밀도 보다 작은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는 드라이 소켓 현상이 이미 발생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충전재로써, 감염된 부위에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약물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약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발치와를 밀봉하여 음식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감염된 부위가 빠르게 회복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약물을 담지하고 있는 제1구조체의 밀도가 제2구조체에 비하여 더욱 낮음으로써, 즉, 더욱 다공성을 가지므로 약물이 담지된 제1구조체를 먼저 발치와에 삽입한 후, 제2구조체로 밀봉함으로써 제1구조체가 체액과 만나 빠르게 용해 또는 겔화되어 감염된 부위에 빠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장시간 동안 약물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므로 체액과 만나 서서히 용해 또는 겔화되며 혈병이 생성되는데 도움을 주며, 인체에 흡수되면서 치주조직의 재생을 유도하여 회복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로 이루어진 충전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충전재를 발치와에 삽입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충전재 키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와(tooth extraction socket)에 충전되는 충전재로써, 상기 충전재는 발치와의 치조골에 직접 접촉되며, 약물을 함침시키기 위하여 다공구조를 갖는 제1구조체(10); 및 상기 제1구조체의 상부에서 발치와를 메우고 제1구조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제2구조체(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조체(10) 및 제2구조체(20)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서로 분리된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서로 일체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발치와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가 가능한 그물망 구조의 섬유 등에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를 넣고 발치와에 한 번에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젤라틴 등의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를 방사하여 제조된 섬유 또는 그물망 형태의 시트에 약물을 함침시킨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를 적층시키고, 상기 섬유 또는 그물망 형태의 시트로 감싼 상태에서 발치와에 한 번에 주입함으로써 주입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치와의 공간이 커서 여러 개의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를 사용해야 할 때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제1구조체(10) 및 제2구조체(20)는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유연성이 있으며, 인체에서 서서히 흡수되는 재료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발치와에 삽입 후 체액에 의해 서서히 용해 또는 겔화되면서 체내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의 예로는 젤라틴, 콜라겐, 알지네이트,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덱스트란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생분해성이면서 체내에서 서서히 흡수 가능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서로 동일한 재료의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서로 간에 잘 밀착이 될 수 있으며, 제1구조체가 용해 또는 겔화되어 형태가 사라지더라도 제2구조체가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밀착될 수 있어서 더욱 좋다.
일 양태로, 상기 제1구조체는 약물을 함침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관점 및 체액에 빠르게 용해 또는 겔화되도록 하기 위한 관점에서 다공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구조체는 발치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공구조를 갖지 않아도 되지만, 체액과 만나서 서서히 용해 또는 겔화가 가능하며, 기공 속으로 치주 및 골조직 세포와 혈관이 유입되면서 치주조직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관점에서 상기 제2구조체 역시 다공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로, 상기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가 모두 다공구조를 갖는 경우, 밀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게는 상기 제1구조체의 밀도가 제2구조체의 밀도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도가 작다는 의미는 다공성을 증가시켜 기공이 차지하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증가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구조체의 밀도를 제2구조체 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1구조체에 약물을 담지 및 함침하기가 더욱 용이하고, 발치와에 삽입 후 더욱 빨리 용해 또는 겔화되어 감염된 부위에 약물이 빠르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구조체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 더욱 서서히 용해 또는 겔화되므로, 제1구조체의 약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발치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 좋게는 상기 제1구조체에 약물을 함침시켜 발치와에 삽입 후 1일 이내, 더욱 좋게는 2시간 이내에 완전히 용해 또는 겔화되어 발치와의 감염된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일 내지 한달 동안 서서히 인체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구조체는 7일 내지 한달 동안 서서히 용해 또는 겔화되어 발치와가 밀봉되도록 하여 음식물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발치와가 재생되어 치료됨과 동시에 서서히 인체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로, 상기 기공이 형성된 다공구조를 갖는 구조체는 예를 들면, 발포체, 스펀지, 섬유, 직물 및 부직포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체 및 스펀지 등의 구조체인 경우, 그 형태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트형태, 고깔모양 및 원통형 등의 구조형태인 것일 수 있다. 시트형태인 경우는 접거나 말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섬유, 직물 및 부직포 등의 형태인 경우, 접거나 말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발치와를 메울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각각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젤라틴 스폰지 등의 구조체인 것일 수 있다. 또는 젤라틴을 용융방사 또는 전기방사하여 제조한 섬유 또는 부직포 등인 것일 수 있다. 또한, 그 크기는 발치와에 충전하기 적합한 크기라면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0.1 내지 20 mm, 더욱 좋게는 1 내지 15 mm인 것일 수 있다. 모양은 정육면체, 원뿔형 또는 원통형 등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섬유 및 부직포 등의 시트 형태인 경우는 이를 말아서 원통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구조체 제조 시 약물을 담지시킨 상태에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발포체, 스폰지, 섬유 등을 제조할 때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와 약물을 함께 혼합한 상태에서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발포체, 스폰지, 섬유, 부직포 등으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좋게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보관을 달리하거나, 사람에 따라 약물의 종류 및 투입량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관점에서 약물을 제1구조체 내에 담지된 상태로 제조하는 것보다는 제1구조체와 약물을 별도로 구비 후, 발치와에 삽입 직전에 제1구조체에 약물을 함침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구조체에 약물이 더욱 잘 함침되기 위한 관점에서, 상기 약물은 액상 또는 겔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약물은 항염증제 및 항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물의 종류 및 투입량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발치에 의해 발생한 염증 또는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제는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Ibuprofen), 페노프로펜(Fenoprofen),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카르프로펜(Carprofen), 디클로페낙(Diclofenac), 펜부펜(Fenbufen), 펜클로즈산((Fenclozic Acid), 플루페남산(Flufenamic Acid),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인도프로펜(Indo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로나졸락(Lonazolac), 록소프로펜(Loxoprofen), 메클로페남산(Meclofenamic Acid), 메페남산(Mefenamic Acid), 나프록신(Naproxen), 프로프리온산(Proprionic Acids), 살리실산(Salicilic Acid), 설린닥(Sulindac), 톨메틴(Tolmetin), 멜록시캄(Meloxicam), 옥시캄(Oxicams), 피록시캄(Piroxicam), 테녹시캠(Tenoxicam), 에토돌락(Etodolac) 및 옥사프로진(Oxaprozin)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생제는 예를 들어, 클로로헥시딘(chlorohexidine),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독시싸이클린(doxycycline),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오플록사신(ofloxa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티니다졸(tinidazole) 및 케토나졸(Ketonazole)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구조체에 약물이 담지되는 일 양태를 설명하였으나, 제2구조체에도 약물이 담지 가능하며, 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좋게는 제2구조체에 약물이 담지되는 경우는 제1구조체와 면접하는 부위에 약물이 담지 또는 함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재를 이용하여 발치와를 충전하는 일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조체(10) 및 제2구조체(20)가 적층된 상태로 발치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구조체(10)는 다공성의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약물이 함침된 것이고, 제2구조체(20)는 다공성의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제1구조체(10)에 비하여 밀도가 높아 서서히 용해 또는 겔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와에 삽입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제1구조체(10)가 용해 또는 겔화되어 발치와의 감염된 부위를 감싸고, 제2구조체(20)는 발치와를 밀봉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일 양태로 제1구조체(10) 및 제2구조체(20)가 적층된 상태에서 주입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구조체(10)를 먼저 주입한 후에, 제2구조체(20)를 별도로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앞서 설명한 제1구조체, 제2구조체 및 약물을 구비한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치와에 직접 접촉되며, 약물을 담지하기 위한 제1구조체;와 상기 제1구조체의 상부에서 발치와를 메우고 제1구조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제2구조체; 및 약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기공이 형성된 다공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구조체의 밀도가 제2구조체의 밀도 보다 작은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를 제공한다.
일 양태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조체(10), 제2구조체(20) 및 약물(30)을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별도로 보관하고, 일체로 포장한 키트(200)로 제조함으로써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 직전에 포장재를 뜯어 제1구조체에 약물을 함침시키고, 발치와에 삽입 후, 제2구조체로 메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3은 충전재 키트의 일 양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키트는 사용자에 적합한 약물의 종류 및 투입량을 조절하여 제1구조체에 함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구조체에 비하여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서서히 용해 또는 겔화되는 제2구조체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감염된 부위가 입안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음식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감염된 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구조체
20 : 제2구조체
30 : 약물
100 : 충전재
200 : 충전재 키트

Claims (9)

  1. 발치와(tooth extraction socket)에 충전되는 충전재로써,
    상기 충전재는 발치와의 치조골에 직접 접촉되며, 약물을 함침시키기 위하여 다공구조를 갖는 제1구조체; 및 상기 제1구조체의 상부에서 발치와를 메우고 제1구조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제2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기공이 형성된 다공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구조체의 밀도가 제2구조체의 밀도 보다 작은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발포체, 스펀지, 섬유, 직물 및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고깔 모양 또는 원통형인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는 젤라틴, 콜라겐, 알지네이트,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덱스트란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항염증제 및 항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서로 일체화된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8. 발치와에 직접 접촉되며, 약물을 담지하기 위한 제1구조체;와 상기 제1구조체의 상부에서 발치와를 메우고 제1구조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제2구조체; 및 약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기공이 형성된 다공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구조체의 밀도가 제2구조체의 밀도 보다 작은 것인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는 젤라틴, 콜라겐, 알지네이트,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덱스트란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약물은 항염증제 및 항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KR1020200100011A 2020-08-10 2020-08-10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KR102448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11A KR102448385B1 (ko) 2020-08-10 2020-08-10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11A KR102448385B1 (ko) 2020-08-10 2020-08-10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892A true KR20220019892A (ko) 2022-02-18
KR102448385B1 KR102448385B1 (ko) 2022-09-29

Family

ID=8049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011A KR102448385B1 (ko) 2020-08-10 2020-08-10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3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161A (ko) * 2005-10-28 2008-11-14 헴콘, 인크. 친수성 중합체 치과용 스폰지
KR101213244B1 (ko) * 2011-06-28 2012-12-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3779A (ko) * 2014-12-31 2016-07-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방출 조절이 가능한 스캐폴드
KR20170140315A (ko) * 2015-04-23 2017-12-20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이엔씨. 향상된 치유를 위한 이층 장치
KR101938263B1 (ko) * 2018-07-31 2019-01-14 강호창 치과용 이중구조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KR20200022901A (ko) * 2018-08-24 2020-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형상을 갖는 골이식 부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161A (ko) * 2005-10-28 2008-11-14 헴콘, 인크. 친수성 중합체 치과용 스폰지
JP2009513239A (ja) 2005-10-28 2009-04-02 ヘムコ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親水性のポリマー歯科用スポンジ
KR101213244B1 (ko) * 2011-06-28 2012-12-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이식재와 결합된 패치형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3779A (ko) * 2014-12-31 2016-07-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방출 조절이 가능한 스캐폴드
KR20170140315A (ko) * 2015-04-23 2017-12-20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이엔씨. 향상된 치유를 위한 이층 장치
KR101938263B1 (ko) * 2018-07-31 2019-01-14 강호창 치과용 이중구조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KR20200022901A (ko) * 2018-08-24 2020-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형상을 갖는 골이식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385B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76525C2 (ru) Выделяющий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материал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имплантата или перевяз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20200138708A1 (en) Implants and constructs including hollow fibers
HRP20200982T1 (hr) Postupci i uređaji za staničnu transplataciju
JP2019005626A5 (ko)
US11622979B2 (en) Bone derived fibers and oxygenated wound treatments
CN103747814B (zh) 减压治疗与清创系统以及方法
CN107454851A (zh) 止血组合物和止血装置(变体)
US20050130299A1 (en) Closed cell culture system
CN101804218A (zh) 含有云南白药或者云南白药提取物的人体可吸收外伤敷料
JP2008307389A (ja) 生体適合性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MX2010007282A (es) Aposito para el tejido mucoso y metodo de uso.
Huebsch et al. A histopathologic study of extraction wounds in dogs
JPH07500035A (ja) 水性ゲル傷用包帯剤およびパッケージ
CN109125799A (zh) GelMA水凝胶人脱细胞羊膜三维双层辅料的制备方法
CN1455659A (zh) 高压出血的治疗
KR102448385B1 (ko)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및 발치와 충전용 충전재 키트
KR20220044792A (ko) 산화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팽창성 지혈재
CA3138899A1 (en) Tissue derived porous matr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104998343A (zh) 用于子宫的带药缓释装置和植入方法
CN211911977U (zh) 一种牙科术后止血纱布包
CN204864514U (zh) 用于子宫的带药缓释装置
CN102100934A (zh) 脉冲液体封闭负压引流系统
CN201244224Y (zh) 用于治疗体腔中创伤的装置
US11998662B1 (en) Biologic matrix for a wound site and related methods
KR102547502B1 (ko) 의료 보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