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077B1 -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 Google Patents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077B1
KR101213077B1 KR1020120100290A KR20120100290A KR101213077B1 KR 101213077 B1 KR101213077 B1 KR 101213077B1 KR 1020120100290 A KR1020120100290 A KR 1020120100290A KR 20120100290 A KR20120100290 A KR 20120100290A KR 101213077 B1 KR101213077 B1 KR 101213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arrier
refractive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710A (ko
Inventor
김경주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로드키네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키네마틱스 filed Critical (주)로드키네마틱스
Priority to KR102012010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07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를 굴절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포장 손상 없이 지면에 안치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돌 초기에는 연결된 단위 배리어들이 굴절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부위에서 굴절하면서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 대한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는 굴절연결수단과 함께 굴절각도제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연결된 단위 배리어의 굴절이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지게 되고, 설정 각도만큼 굴절된 후에는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 전체가 충격력에 대한 대항 요소로서 작용하여 충돌 차량을 원래의 주행 도로로 복귀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리어 몸체의 좌우측부에 충돌 차량의 충돌점 높이가 차량의 바퀴 중심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게 하는 언더컷부를 구비함으로써 충돌 차량이 배리어 몸체를 타고 넘어 가지 않게 되어 주행 도로를 벗어남에 따른 2차 충돌에 의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Bending joint type low profile movable barrier}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나 노측, 자전거 전용도로, 공사구간, 교통류의 합류 및 분기점 등에 배치되는 배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안전하게 방향을 선회하여 주행차로로 복귀시키면서도 충돌 초기에는 서로 연결된 배리어 몸체의 연결부위가 굴절되면서 밀리게 되어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 전달되는 충격력이 감소되어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 대한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리어의 높이가 낮지만 충돌 차량의 충돌점이 차량의 바퀴 중심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충돌 차량이 배리어를 타고 넘어가서 다른 도로, 즉 반대쪽 차도, 노측, 자전거 도로, 작업구간 또는 인도 등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돌 차량이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나 자전거 및 탑승자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나 공사구간 작업자에 대한 2차 충돌에 의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의 중앙분리대나 노측 혹은 종류가 다른 도로(인도와 차도, 차도와 자전거 도로 등) 사이 등의 도로 경계부에는 차선을 이탈한 차량이 도로 경계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을 원래의 주행로로 복귀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배리어가 설치된다.
통상의 배리어는 설치 상태에 따라서 고정형 배리어와 이동형 배리어로 분류된다.
고정형 배리어는 도로 지반에 고정 설치한 것으로 도로 포장면을 천공하여 지주를 매입하는 형태로 도로 포장면을 손상하게 되어 유수의 유입으로 인한 동결융해 작용으로 포장이 회손 될 수 있으며, 이동형 배리어는 도로 지면에 안치하여 도로 포장면의 손상을 주지 않고 이동 설치가 가능하며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의 것을 말한다.
고정형 배리어는 주로 중앙분리대나 노측에 설치하는 것이며, 이동형 배리어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장소에 설치가능하며 필요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콘크리트 고정형 배리어는 이동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제약과 함께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형 배리어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동형 배리어는 단위 길이(예컨대 1000mm 내지 4000mm)를 가지는 단위 배리어를 중앙분리대나 노측, 차도와 자전거 도로 사이 또는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 전체에 따라 연이어서 설치하거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리어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다.
이동형 배리어를 구성하는 단위 배리어를 서로 연결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차량이 충돌한 단위 배리어의 중량에 따른 저항력으로 충돌력에 저항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하나 또는 두 개의 단위 배리어에 충돌하였다고 할 경우, 충돌 각도에 따라서는 단위 배리어가 쉽게 밀려나게 되어 충돌 차량을 원래의 주행 도로로 복귀시키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충돌 차량이 단위 배리어를 타고 넘어가게 되고, 이 경우 충돌 차량이 반대쪽 차도나 노측으로 이탈하거나 자전거 도로를 주행하던 자전거 및 탑승자 또는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와 2차 충돌하게 되어 심각한 대형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를 연결 고정한 고정연결식 이동형 배리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형 배리어는 콘크리트 제품과 플라스틱을 성형한 통에 물이나 모래를 넣어 사용하는 제품이 있으며, 콘크리트 배리어의 경우 연결부가 취약하여 차량충돌시 연결부가 절단되어 위험성이 높으며 중량이 무거워 설치나 이동이 어렵다. 플라스틱 배리어의 경우 차량충돌시 파손이 쉬워 물이나 모래가 유출되어 방호기능을 상실하게되며,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최종적으로는 충돌 차량을 원래의 주행 도로로 복귀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충돌 초기에는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켜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 대한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도로 포장면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된 단위 배리어의 굴절각도를 설정 각도만큼 굴절된 후에는 더 이상 굴절되지 않고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들 전체가 충격력에 대한 대항 요소로 작용하게 되어 충돌 차량을 원래의 주행 도로로 복귀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방식 및 체결방법에 따라 차량충돌로 인한 충격력감소와 변형을 조절할 수 있어 배리어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배리어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리어의 높이가 낮아 기존 콘크리트 배리어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시공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단위 배리어의 길이를 길게 제작할 수 있어 연결부 시공을 줄임으로써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우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돌 차량의 충돌점 높이가 차량의 바퀴 중심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충돌 차량이 배리어를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하여 충돌 차량이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에서 차량 또는 자전거 및 탑승자, 그리고 인도에서 보행자와 2차 충돌을 일으킴에 따른 2차 충돌에 의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 도로에 적용하였을 때 자전거 탑승자가 상기 배리어 몸체의 상면에 발을 딛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리어 몸체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공사구간 등에 설치하였을 경우 눈 높이가 낮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보행자, 자전거 또는 공사구간의 작업자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면(11)(12)과 상하면(13)(14) 및 좌우측면(15)(16)을 가지는 배리어 몸체(10);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리어 몸체(10)를 수평방향으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를 가지는 굴절연결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기 배리어 몸체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굴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굴절각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부에 구비되어 충돌 차량의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상기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고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높이(Ht)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언더컷부(U)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를 굴절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으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돌 초기에는 연결된 단위 배리어들이 굴절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부위에서 굴절하면서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 대한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는 굴절연결수단과 함께 굴절각도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연결된 단위 배리어의 굴절이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지게 되고, 설정 각도만큼 굴절된 후에는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 전체가 충격력에 대한 대항 요소로서 작용하여 충돌 차량을 원래의 주행 도로로 복귀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리어 몸체의 좌우측부에 충돌 차량의 충돌점 높이가 차량의 바퀴 중심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게 하는 언더컷부를 구비한 것이므로 충돌 차량이 배리어를 타고 넘어가지 않게 되어 충돌 차량이 반대차도나 노측,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 등으로 무단 침범하여 반대차도를 주행하던 차량이나 자전거 도로를 주행하던 자전거 또는 탑승자, 그리고 인도를 주행하던 보행자에 2차 충돌을 일으킴에 따른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자전거 도로에 적용하였을 때 자전거 탑승자가 배리어 몸체의 상면에 발을 딛을 수 있어 자전거 탑승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배리어 몸체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공사구간 등에 설치하였을 경우 눈 높이가 낮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보행자, 자전거 또는 공사구간의 작업자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인명 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단위 배리어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2는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제 1 굴절연결부재와 제 2 굴절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설치구역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배리어의 사시도,
도 6은 배리어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횡단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연결된 배리어가 굴절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횡단 평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연결조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단위 배리어의 정면 분해 사시도 및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0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단위 배리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설치구역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배리어의 사시도,
도 15는 배리어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B-B선 단면도,
도 17은 연결된 단위 배리어가 굴절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도 18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8은 단위 배리어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19는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22는 설치구역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배리어의 사시도,
도 23은 배리어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횡단 평면도,
도 24는 도 24의 C-C선 단면도,
도 25는 연결된 단위 배리어가 굴절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횡단 평면도이고,
도 26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26은 단위 배리어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27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28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29는 단위 배리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0은 설치구역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배리어의 사시도,
도 31은 배리어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2는 도 32의 D-D선 단면도,
도 33은 연결된 단위 배리어가 굴절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도 34 내지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5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34는 단위 배리어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35는 단위 배리어를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36은 단위 배리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7은 제 1 및 제 2 굴절연결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8은 설치구역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배리어의 사시도,
도 39는 배리어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횡단 평면도,
도 40은 배리어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측면도,
도 41은 연결된 단위 배리어가 굴절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횡단 평면도이고,
도 42 내지 도 45는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차량 충돌시 접촉점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6 및 도 47은 종래 배리어의 차량의 충돌시 접촉점을 비교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실시 예 1]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리어 몸체(1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를 수평방향으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굴절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리어 몸체(10)는 일정한 중량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며, 일정 높이가 폭 및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리어 몸체(10)는 전후면(11)(12)과 상하면(13)(14) 및 좌우측면(15)(16)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11)측과 후면(12)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리어 몸체(10)를 서로 굴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11)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핀부(21)와, 상기 핀부(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매설됨과 아울러 일부가 상기 전면에서 노출되는 매설편(22)을 구비하는 제 1 굴절연결부재(2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12)에 매설되며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의 핀부(21)에 대응하는 핀삽입홈(31)과,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의 매설편(22)의 노출부에 대응하는 트임부(32)를 구비하는 제 2 굴절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트임부(32)의 좌우측으로는 날개편(33)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후면(12)측에 매설되며, 상기 날개편(33)의 표면은 상기 후면(12)에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제 2 굴절연결부재(30)의 핀삽입홈(31)에 대응하여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12)과 상하면(13)(14)에 걸쳐서 형성되는 핀삽입공(34)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의 핀부(21)와 제 2 굴절연결부재(20)의 핀삽입홈(31)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1)과,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의 매설편(22)의 노출부와 상기 제 2 굴절연결부재(30)의 트임부(32)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2)을 포함한다.
상기 유격(C1)은 상기 핀부(21)의 외경과 상기 핀삽입홈(31)의 내경 사이의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유격(C2)은 상기 매설편(22)의 좌우방향 두께와 상기 트임부(32)의 좌우방향 폭 사이의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20)(30)에 의해 연결된 상기 배리어 몸체(1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굴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20)(30) 사이에 구비되는 굴절각도제한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굴절각도제한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수단(20)(30)에 의해 연결된 배리어 몸체(10)들에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배리어 몸체(10)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20)(30)에 의한 연결 부분에서 굴절하게 되는 데 이때, 배리어 몸체(10)들의 굴절이 설계 각도 범위 내에서만 굴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굴절각도제한수단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11)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상기 후면(12)을 향하여 후퇴각을 가지는 후퇴경사면(11a)과,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12)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상기 전면(11)을 향하여 후퇴각을 가지지는 후퇴경사면(12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퇴경사면(11a)(12a)의 사이, 즉 전면(11)의 좌우방향 중간부에는 직각면(11b)(12b)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좌측에 배치될 제 1 단위 배리어(B1)를 도로 경계부 지면에 안착시킨 다음, 우측에 배치될 제 2 단위 배리어(B2)를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우측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 2 단위 배리어(B2)를 하강시키면서 제 2 단위 배리어(B2)의 후면(12)에 구비된 제 2 굴절연결부재(30)를 구성하는 핀삽입홈(31)을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전면(11)에 구비된 제 1 굴절연결부재(20)를 구성하는 핀부(21)에 일치시키면, 상기 핀부(21)와 핀삽입홈(31)이 끼워 맞춰져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단위 배리어(B1)(B2)가 서로 연결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의 핀부(21)와 제 2 굴절연결부재(30)의 핀삽입홈(31)의 사이에는 유격(C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의 매설편(22)의 노출부와 상기 제 2 굴절연결부재(30)의 트임부(32) 사이에는 유격(C2)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20)(30) 사이에 굴절각도제한수단이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치 구역에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들을 배치하고 서로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이 제 1 단위 배리어(B1) 및/또는 제 2 단위 배리어(B2)에 충돌하게 되면, 충돌 초기에는 차량이 충돌한 제 1 단위 배리어(B1) 및/또는 제 2 단위 배리어(B2)에만 충격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단위 배리어(B1) 및/또는 제 2 단위 배리어(B2)가 충격력에 의해 밀리게 된다.
이때,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는 제 1 굴절연결부재(20)와 제 2 굴절연결부재(30)로 구성되는 굴절연결수단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연결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굴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 사이의 굴절작용에 의해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 전달되는 충격력이 감소되어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굴절작용은 제 1 단위 배리어(B1)와 그 좌측에 연결된 단위 배리어 사이와 제 2 단위 배리어(B2)와 그 우측에 연결된 단위 배리어 사이에서도 일어나게 된다.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와 제 2 굴절연결부재(30) 사이, 즉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의 핀부(21)와 제 2 굴절연결부재(30)의 핀삽입홈(31) 사이와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20)의 매설편(22)의 노출부와 제 2 굴절연결부재(30)의 트임부(32) 사이에는 유격(C1)(C2)이 있으므로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 사이의 굴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 사이의 굴절은 상기 굴절각도제한수단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의 굴절작용은 상기 굴절각도제한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후면(11)(12)에 형성된 후퇴경사면(11a)(12a)이 서로 맞닿을 때까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굴절각도제한수단에 의한 제한각도는 상기 후퇴경사면(11a)(12a)의 후퇴 경사각에 의해 결정된다.
이후, 상기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굴절되는 과정 또는 그 굴절각도가 설정 각도에 이를 때까지 충격력이 소멸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좌측에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들과 제 2 단위 배리어(B2)의 우측에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배리어들의 중량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충격력에 대항하여 최종적으로는 충돌 차량을 원래의 주행 도로로 복귀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설치구역 단부에 설치하기 위한 단부 배리어(Be)를 보인 것으로, 배리어 몸체(10)의 상면(13)의 일부를 경사면(13a)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절연결수단을 달리한 것이며, 배리어 몸체(10)와 굴절각도제한수단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11)과 상면(13) 사이에 형성된 노치부(41)와, 상기 노치부(41)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11)에 일치하는 면을 가지며 볼트관통공(43)이 천공된 연결편(42)과, 상기 연결편(42)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매설되는 매설편(44)을 구비하는 제 1 굴절연결부재(4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12)과 상면(13) 사이에 형성되는 노치부(51)와, 상기 노치부(51)의 상기 후면(12)에 일치하는 면을 가지며 볼트관통공(53)이 천공된 연결편(52)과, 상기 연결편(52)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매설되는 매설편(54)을 구비하는 제 2 굴절연결부재(50)와;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40)(50)의 볼트관통공(43)(53)에 관통되는 연결볼트(45); 및 상기 연결볼트(45)에 체결되는 너트(5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볼트관통공(43)(53)과 연결볼트(45)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3)과, 상기 연결볼트(45)의 머리부와 제 1 굴절연결부재(40)의 연결편(42)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4) 및, 상기 너트(55)와 제 2 굴절연결부재(50)의 연결편(52)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5)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좌측에 배치될 제 1 단위 배리어(B1)를 도로 경계부 지면에 안착시킨 다음, 우측에 배치될 제 2 단위 배리어(B2)를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우측으로 운반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전면(11)과 제 2 단위 배리어(B2)의 후면(12)이 맞닿고 상기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제 1 굴절연결수단(40)을 구성하는 연결편(42)과 제 2 굴절연결부재(50)를 구성하는 연결편(52)이 맞닿게 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편(42)(5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43)(53)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편(42)(52)의 볼트관통공(43)(53)에 연결볼트(45)를 관통시키고 그 돌출부에 너트(55)를 체결한다.
이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관통공(43)(53)과 연결볼트(45) 사이에 유격(C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트(45)의 머리부와 제 1 굴절연결부재(40)의 연결편(42) 사이에 유격(C4)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55)와 제 2 굴절연결부재(50)의 연결편(52)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5)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연결편(42)(52)과 연결볼트(45) 및 너트(55)로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40)(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볼트관통공(43)(53)과 연결볼트(45) 사이와 상기 연결볼트(45)의 머리부와 연결편(42) 사이 및 상기 너트(55)와 연결편(52) 사이에 유격(C3)(C4)(C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 초기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그 연결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굴절하면서 충돌 초기에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실시 예 3]
도 18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굴절연결수단을 달리한 것이며, 배리어 몸체(10)와 굴절각도제한수단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측면(15)(16)과 전면(11) 사이에 형성된 노치부(61)와, 상기 노치부(61)에 설치되며 볼트관통공(63)이 천공된 연결편(62)과, 상기 연결편(62)과 결합되어 상기 노치부(61)에 설치되는 보강재(64)를 구비하는 제 1 굴절연결부재(6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측면(15)(16)과 후면(12) 사이에 형성되는 노치부(71)와, 상기 노치부(71)에 설치되며 볼트관통공(73)이 천공된 연결편(72)과, 상기 연결편(72)과 결합되어 상기 노치부(71)에 설치되는 보강재(74)를 구비하는 제 2 굴절연결부재(70)와;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60)(70)의 볼트관통공(63)(73)에 관통되는 연결볼트(65); 및 상기 연결볼트(65)에 체결되는 너트(7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볼트관통공(63)(73)과 연결볼트(65)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6)과, 상기 연결볼트(65)의 머리부와 제 1 굴절연결부재(60)의 연결편(62)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7) 및, 상기 너트(75)와 제 2 굴절연결부재(70)의 연결편(72)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8)을 포함한다.
상기 노치부(61)(71)는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처리된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62)(72)은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처리된 삼각형 판재로 구성되어 그 두 빗변 부분이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매설되며, 상기 보강재(64)(74)는 모따기 처리된 속이 빈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그 빗면 부분이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매설된다.
상기 연결편(62)(72)과 보강재(64)(74)는 독립적으로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매설할 수도 있으며,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매설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좌측에 배치될 제 1 단위 배리어(B1)를 도로 경계부 지면에 안착시킨 다음, 우측에 배치될 제 2 단위 배리어(B2)를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우측으로 운반하여 도 20과 같이,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전면(11)과 제 2 단위 배리어(B2)의 후면(12)이 맞닿고, 상기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제 1 굴절연결수단(60)을 구성하는 보강재(64)와 제 2 단위 배리어(B2)의 제 2 굴절연결수단(70)을 구성하는 보강재(74)가 맞닿게 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편(62)(7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63)(73)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편(62)(72)의 볼트관통공(63)(73)에 연결볼트(65)를 관통시키고 그 관통돌출부에 너트(75)를 체결한다.
이때,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관통공(63)(73)과 연결볼트(65) 사이에 유격(C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트(65)의 머리부와 제 1 굴절연결부재(60)의 연결편(62) 사이에 유격(C7)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75)와 제 2 굴절연결부재(70)의 연결편(72) 사이에 유격(C8)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는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연결편(62)(72), 보강대(64)(74), 연결볼트(65)와 너트(75)로 구성되는 굴절연결부재(60)(7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볼트관통공(63)(73)과 연결볼트(65) 사이와 상기 연결볼트(65)의 머리부와 연결편(62) 사이 및 상기 너트(75)와 연결편(72)의 사이에 유격(C6)(C7)(C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 초기에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그 연결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굴절하면서 충돌 초기에 충돌 차량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후 작동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 4]
도 26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절연결수단을 달리한 것이며, 배리어 몸체(10)와 굴절각도제한수단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11)에 돌출 설치되는 제 1 훅(81)과, 상기 제 1 훅(81)의 좌측에서 상기 전면(11)에 매설되는 제 1 훅수용체(84)를 구비한 제 1 굴절연결부재(8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12)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제 1 훅수용체(84)에 수용되는 제 2 훅(91)과 상기 제 2 훅(91)의 우측에서 상기 후면(12)에 매설되어 상기 제 1 훅(81)이 수용되는 제 2 훅수용체(94)를 구비한 제 2 굴절연결부재(9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훅(81)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측에 매설되어 그 일부가 돌출되는 훅몸체(82)와 상기 훅몸체(82)의 돌출단부에서 우측으로 절곡되는 제 1 훅부(83)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훅(91)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측에 매설되어 그 일부가 돌출되는 훅몸체(92)와 상기 훅몸체(92)의 돌출단부에서 좌측으로 절곡되는 제 2 훅부(9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훅수용체(84)는 상기 제 2 훅부(93)가 수용되는 훅수용홈(85)과 상기 훅수용홈(85)의 전면측에 개구된 훅진입구(86) 및 상기 훅진입구(86)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훅부(93)가 걸리는 훅걸림턱(87)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훅수용체(94)는 상기 제 1 훅부(83)가 수용되는 훅수용홈(95)과 상기 훅수용홈(95)의 후면측에 개구된 훅진입구(96) 및 상기 훅진입구(96)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훅부(83)가 걸리는 훅걸림턱(9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제 1 훅(81)과 제 2 훅수용체(94)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9)과, 상기 제 2 훅(91)과 제 1 훅수용체(84)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1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훅(81)과 제 1 훅수용체(84), 그리고 제 2 훅(91)과 제 2 훅수용체(94)는 도시 에와 같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된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좌측에 배치될 제 1 단위 배리어(B1)를 도로 경계부 지면에 안착시킨 다음, 우측에 배치될 제 2 단위 배리어(B2)를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우측으로 운반하여 도 28, 도 29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굴절연결부재(80)의 제 1 훅부(83)가 제 2 굴절연결부재(90)의 제 2 훅수용체(94)의 훅집입구(96)를 통해 훅삽입홈(95)에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굴절연결부재(90)의 제 2 훅부(93)가 제 1 굴절연결부재(80)의 제 1 훅수용체(84)의 훅진입구(86)를 통해 훅삽입홈(85)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훅(81)과 제 2 훅수용체(94) 사이와 상기 제 2 훅(91)과 제 1 훅수용체(84) 사이에는 각각 유격(C9)(C10)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제 1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제 1 훅(81)과 제 1 훅수용체(84)를 포함하는 제 1 굴절연결부재(80)와 제 2 훅(91)과 제 2 훅수용체(94)를 포함하는 제 2 굴절연결부재(90)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훅(81)과 제 2 훅수용체(94) 사이와 제 2 훅(91)과 제 1 훅수용체(84) 사이에 유격(C9)(C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 초기에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그 연결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굴절하면서 충돌 초기에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실시 예 5]
도 34 내지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5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절연결수단을 달리한 것이며, 배리어 몸체(10)와 굴절각도제한수단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11)측 상단부에서 연장 돌출된 상측 돌출연결부(101)와 상기 상측 돌출연결부(101)에 수직으로 천공된 핀공(102)을 구비한 제 1 굴절연결부재(10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12)측 하반부에서 연장 돌출된 하측 돌출연결부(111)와 상기 하측 돌출연결부(111)에 수직으로 천공된 핀공(112)을 구비한 제2 굴절연결부재(110)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100)(110)의 핀공(102)(112)에 끼워지는 연결핀(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핀공(102)(112)과 연결핀(120)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11)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 배치될 제 1 단위 배리어(B1)를 도로 경계부 지면에 안착시킨 다음, 우측에 배치될 제 2 단위 배리어(B2)를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우측 상방으로 이동시켜 제 1 단위 배리어(B1)의 제 1 굴절연결부재(100)를 구성하는 제 1 돌출연결부(101) 위에 제 2 단위 배리어(B2)의 제 2 굴절연결부재(110)를 구성하는 제 2 돌출연결부(111)가 얹히게 한다.
상기 제 1 돌출연결부(101)와 제 2 돌출연결부(111)의 핀공(102)(112)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핀공(102)(112)에 연결핀(120)을 끼운다.
이때, 상기 핀공(102)(112)과 연결핀(120) 사이에는 유격(C1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제 1 굴절연결부재(100)를 구성하는 제 1 돌출연결부(101)와 제 2 굴절연결부재(110)를 구성하는 제 2 돌출연결부(111) 및 연결핀(1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돌출연결부(101)와 제 2 돌출연결부(111)에 천공된 핀공(102)(112)과 연결핀(120) 사이에 유격(C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 초기에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단위 배리어(B1)와 제 2 단위 배리어(B2)가 그 연결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굴절하면서 충돌 초기에 충돌 차량 및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종래의 이동형 배리어는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변(210)이 넓고 윗변(220)이 좁은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형 배리어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차량의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되어 바퀴(1)가 배리어(200)를 타고 넘어가게 되며, 이 경우 차량이 도로의 경계를 벗어나서 다른 도로로 무단 침범하게 되어 다른 도로를 주행 중이던 차량 또는 보행자와 2차 충돌을 일으키게 되어 심각한 대형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이동형 배리어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 올려서 운반하는 바, 종래의 이동형 배리어(200)(300)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리어(200)(300)의 양측면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견고하게 잡히지 않아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이동형 배리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밑변(310)과 윗변(320)이 동일한 정사각형 단면으로 구성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충돌점(Pc)의 높이(Hc)가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와 같기 때문에 도 47에 도시한 종래의 이동형 배리어(200)에 비해서는 덜할 수는 있으나 바퀴(1)가 배리어(300)를 타고 넘어감에 따른 문제점은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 올려서 운반하는 경우 양측면이 평행한 수직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리어(300)의 양측면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견고하게 잡히지 않아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부에 충돌 차량의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상기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고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높이(Ht)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언더컷부(U)를 포함한다.
상기 언더컷부(U)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면(15)(16)을 W1 > W2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W1은 좌우측면의 상단 사이의 폭이고, W2는 좌우측면의 하단 사이의 폭이다.
또한 상기 언더컷부(U)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면(15)(16)을 상단 사이의 폭(W1)이 넓고 하단 사이의 폭(W2)이 좁게 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면(15)(16)의 하단부에는 돌출부(15a)(16a)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5a)(16a) 사이의 폭(W4)이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사이의 폭(W3)과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더컷부(U)는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면(15)(16)을 그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면(15b)(16b)과 상기 돌출면(15b)(16b)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면(15c)(16c)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더컷부(U)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면(15)(16)을 그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면(15d)(16d)과 상기 돌출면(15d)(16d)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15e)(16e)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부에 언더컷부(U)를 구비한 것이므로 충돌 차량의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어 충돌 차량이 배리어 몸체(10)를 타고 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이동형 배리어에서 충돌 차량이 배리어 몸체를 타고 넘어 도로 경계부를 벗어나서 다른 도로로 무단 침범함에 따른 2차 충돌에 의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좌우측부에 언더컷부(U)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 올려서 운반하는 경우 배리어 몸체(10)의 언더컷부(U)와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임시 배리어 혹은 이동형 배리어(플라스틱 배리어, 콘크리트 배리어)의 경우 높이가 높기 때문에 공사구간, 예를 들어 도심 지하철 공사장에서 횡단보도 및 보행자 통로와 같은 구간에서는 소형차 운전자의 경우 눈 높이가 낮아 보행자나 작업자 특히 어린이에 대한 인지를 방해하여 사고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높이와 폭을 200㎜~500㎜로 하고, 길이는 1000㎜~4000㎜로 함으로써 임시 배리어 혹은 이동식 배리어로서 도심 지하철 공사장 등에 설치할 경우, 눈 높이가 낮은 소형차 운전자도 보행자나 작업자 특히 어린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사고 위험은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배리어 몸체(10)의 상면에 난간(미도시)을 부착하여 자전거 도로용 배리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자전거 도로용 배리어로서 설치하였을 경우 배리어 몸체(10)의 높이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자전거 탑승자가 배리어 몸체(10)에 발을 딛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 합류부 및 분리부와 같이 교통류가 만나거나 분리되는 곳, 특히 합류되는 지점에 임시 배리어와 같은 시설을 설치하거나 차선규제봉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 바, 임시 배리어의 경우 높이가 높기 때문에 운전자들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선규제봉의 경우 차량 방호 능력이 없기 때문에 차선을 침범하여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배리어 몸체(10)의 상부에 차선규제봉이나 델리네이트를 부착하여 차선 규제 시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합류지점이나 분리지점에 설치하였을 경우 시야를 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리어 몸체(10) 자체가 차량 방호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차선 침범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다양한 시설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에 물이나 모래를 채워 사용하는 플라스틱 배리어의 경우 관리상 어려움이 있고, 특히 겨울철 물이나 모래 등이 동결되면 차량 충돌시 플라스틱이 파괴되어 방호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관리상 어려움이 없으며, 겨울철에도 동결되지 않으므로 차량 충돌시 파괴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배리어 몸체 11, 12 : 전후면
15, 16 : 좌우측면
20, 40, 60, 80, 100 : 제 1 굴절연결부재
30, 50, 70, 90, 110 : 제 2 굴절연결부재

Claims (3)

  1. 전후면(11)(12)과 상하면(13)(14) 및 좌우측면(15)(16)을 가지는 배리어 몸체(10);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리어 몸체(10)를 수평방향으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를 가지는 굴절연결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기 배리어 몸체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굴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연결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굴절각도제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굴절연결수단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11)에 돌출 설치되는 제 1 훅(81)과, 상기 제 1 훅(81)의 좌측에서 상기 전면(11)에 매설되는 제 1 훅수용체(84)를 구비한 제 1 굴절연결부재(8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12)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제 1 훅수용체(84)에 수용되는 제 2 훅(91)과 상기 제 2 훅(91)의 우측에서 상기 후면(12)에 매설되어 상기 제 1 훅(81)이 수용되는 제 2 훅수용체(94)를 구비한 제 2 굴절연결부재(9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훅(81)과 제 2 훅수용체(94)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9`)과, 상기 제 2 훅(91)과 제 1 훅수용체(84)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C1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각도제한수단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후면(11)(12)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후퇴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퇴경사면(11a)(12a)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훅(81)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전면측에 매설되어 그 일부가 돌출되는 훅몸체(82)와 상기 훅몸체(82)의 돌출단부에서 우측으로 절곡되는 제 1 훅부(83)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훅(91)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후면측에 매설되어 그 일부가 돌출되는 훅몸체(92)와 상기 훅몸체(92)의 돌출단부에서 좌측으로 절곡되는 제 2 훅부(9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훅수용체(84)는 상기 제 2 훅부(93)가 수용되는 훅수용홈(85)과 상기 훅수용홈(85)의 전면측에 개구된 훅진입구(86) 및 상기 훅진입구(86)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훅부(93)가 걸리는 훅걸림턱(87)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훅수용체(94)는 상기 제 1 훅부(83)가 수용되는 훅수용홈(95)과 상기 훅수용홈(95)의 후면측에 개구된 훅진입구(96) 및 상기 훅진입구(96)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훅부(83)가 걸리는 훅걸림턱(97)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20120100290A 2012-09-11 2012-09-11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121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90A KR101213077B1 (ko) 2012-09-11 2012-09-11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90A KR101213077B1 (ko) 2012-09-11 2012-09-11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504A Division KR101213075B1 (ko) 2010-10-06 2010-10-06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710A KR20120117710A (ko) 2012-10-24
KR101213077B1 true KR101213077B1 (ko) 2012-12-18

Family

ID=4728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290A KR101213077B1 (ko) 2012-09-11 2012-09-11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0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796Y1 (ko) 2003-07-07 2003-09-22 김정웅 도로경계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796Y1 (ko) 2003-07-07 2003-09-22 김정웅 도로경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710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48633B2 (en) An improved concrete block
EP1735504B1 (en)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JP4618731B2 (ja) 自動車道路高架橋の中央分離帯用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ガードフェンス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11773549B2 (en) Roadway safety barrier
US20060072967A1 (en) Transition structure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US5302047A (en) Pedestrian safety barrier
KR101213077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20120116894A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JPS6012484B2 (ja) 道路保護障壁
CN203947436U (zh) 波形梁双层护栏
DE69836103T2 (de) Geschwindigkeitshemmende schwelle
ES2301730T3 (es) Sistema de retencion de vehiculos.
KR20060035554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548685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0705705B1 (ko) 도로 경계석
KR20120035774A (ko)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200393596Y1 (ko) 도로 경계석
WO2007148110A1 (en) Safety barrier
CN111041971B (zh) 一种优先保障行人通行的窄桥系统及其工作方法
US3363521A (en) Traffic safety deflectors
KR100468436B1 (ko) 가변 중앙분리대
RU2601825C1 (ru) Концевой участок дорожного барьер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KR200252861Y1 (ko) 고속도로의 기둥개폐식의 중앙 분리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