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774A -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 Google Patents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774A
KR20120035774A KR1020100097499A KR20100097499A KR20120035774A KR 20120035774 A KR20120035774 A KR 20120035774A KR 1020100097499 A KR1020100097499 A KR 1020100097499A KR 20100097499 A KR20100097499 A KR 20100097499A KR 20120035774 A KR20120035774 A KR 20120035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height
section
cross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성
김경주
Original Assignee
(주)로드키네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키네마틱스 filed Critical (주)로드키네마틱스
Priority to KR102010009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774A/ko
Publication of KR2012003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배리어 몸체의 좌우측부에 구비되어 충돌 차량의 바퀴의 충돌점의 높이가 상기 바퀴의 중심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좌우측면의 상단 높이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언더컷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충돌 차량이 배리어를 승월하지 못하게 되므로 충돌 차량이 배리어를 승월하여 다른 도로, 즉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로 침범하여 다른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나 자전거 및 보행자와 2차 충돌을 일으킴에 따른 심각한 대형 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으며, 좌우측부에 언더컷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올려서 운반하는 경우 배리어의 양측면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하는 과정에서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자전거 도로에 적용하였을 때 자전거 탑승자가 배리어 몸체의 상면에 발을 딛을 수 있어 자전거 탑승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몸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공사구간 등에 설치하였을 경우 눈 높이가 낮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보행자, 자전거 또는 공사구간의 작업자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Low profile movable barrier having section for preventing overriding}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나 노측, 자전거 도로, 공사구간, 교통류가 합류 및 분리되는 지점등에 배치되는 배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배리어를 승월하여 다른 도로, 측 반대쪽 차도,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 등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돌 차량이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를 주행하는 차량이나 자전거 및 탑승자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에 대한 2차 충돌에 의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운반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의 중앙분리대나 노측 또는 종류가 다른 도로(인도와 차도, 차도와 자건거 도로 등) 사이 등의 도로 경계부에는 차량이 도로 경계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을 원래의 주행 도로로 복귀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배리어가 설치된다.
통상의 배리어는 설치 상태에 따라서 고정형 배리어와 이동형 배리어로 분류된다.
고정형 배리어는 도로 지반에 고정 설치한 것으로 도로 포장면을 천공하여 지주를 매입하는 형태로 도로 포장면을 손상하게 되어 유수의 유입으로 인한 동결융해 작용으로 포장이 회손 될 수 있으며, 이동형 배리어는 도로 지면에 안치하여 도로 포장면의 손상을 주지 않고 이동 설치가 가능하며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의 것을 말한다.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차도의 중앙분리대나 노측용 배리어로 주로 사용되며, 교통류가 합류되거나 분리되는 구간(지하차도 진출입구나, 교차로 등), 공사구간 등에 이동형으로 설치하여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이 다른 도로, 즉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며 운전자나 자전거 탑승자 및 보행자 등의 시야확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 이동형 배리어는 차량의 충돌시 충격력에 대한 저항 요소인 도로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바닥 면적이 넓은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연장부(120)로 구성 이동형 배리어(100)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변(210)이 넓고 윗변(220)이 좁은 사다리꼴형 단면을 가지는 이동형 배리어(200)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종래의 이동형 배리어는 차량의 바퀴(1)가 충돌하였을 때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충돌점(Pc)의 높이(Hc)가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되기 때문에 바퀴(1)가 배리어(100)(200)를 승월하게 되며, 이 경우 차량이 도로의 경계를 벗어나서 다른 도로, 즉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로 무단 침범하게 되어 다른 도로를 주행 중이던 차량이나 자전거 또는 보행자와 2차 충돌을 일으키게 되어 심각한 대형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통상적으로 이동형 배리어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올려서 운반하는 바, 종래의 이동형 배리어(100)(200)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리어(100)(200)의 양측면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견고하게 잡히지 않아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변(310)과 윗변(320)이 동일한 정사각형 단면의 이동형 배리어(300)를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충돌점(Pc)의 높이(Hc)가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가 같기 때문에 상술한 도 9 내지 도 12에서 예시한 이동형 배리어(100)(200)에 비해서는 덜할 수는 있으나 바퀴(1)가 배리어(300)를 승월하게 되는 문제점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올려서 운반하는 경우 양측면이 평행한 수직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리어(300)의 양측면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견고하게 잡히지 않아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배리어를 승월하여 다른 도로, 측 반대쪽 차도,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 등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돌 차량이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를 주행하는 차량이나 자전거 및 탑승자와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에 대한 2차 충돌에 의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월을 방지하는 저형고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 과정에서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리어 몸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자전거 도로에 적용하였을 때 자전거 탑승자가 발을 딛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리어 몸체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공사구간 등에 설치하였을 경우 눈 높이가 낮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보행자, 자전거 또는 공사구간의 작업자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사고를 방지할 있도록 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면(11)(12)과 상하면(13)(14) 및 좌우측면(15)(16)을 가지는 배리어 몸체(1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부에 구비되어 충돌 차량의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상기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고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높이(Ht)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언더컷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를 제공한다.
상기 언더컷부(20)는 상기 좌우측면(15)(16)을 W1 > W2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W1은 좌우측면의 상단 사이의 폭이고, W2는 좌우측면의 하단 사이의 폭이다.
상기 좌우측면(15)(16)의 하단부에는 돌출부(15a)(16a)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5a)(16a) 사이의 폭(W4)이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사이의 폭(W3)과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언더컷부(20)는 상기 좌우측면(15)(16)을 그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면(15b)(16b)과 상기 돌출면(15b)(16b)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면(15c)(16c)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언더컷부(20)는 상기 좌우측면(15)(16)을 그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면(15d)(16d)과 상기 돌출면(15d)(16d)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15e)(16e)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이동형 배리어는 배리어 몸체의 좌우측부에 구비되어 충돌 차량의 바퀴의 충돌점의 높이가 상기 바퀴의 중심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좌우측면의 상단 높이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언더컷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충돌 차량이 배리어를 승월하지 못하게 되므로 충돌 차량이 배리어를 승월하여 다른 도로, 즉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로 침범하여 다른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나 자전거 및 보행자와 2차 충돌을 일으킴에 따른 심각한 대형 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좌우측부에 언더컷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올려서 운반하는 경우 배리어의 양측면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하는 과정에서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자전거 도로에 적용하였을 때 자전거 탑승자가 배리어 몸체의 상면에 발을 딛을 수 있어 자전거 탑승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배리어 몸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공사구간 등에 설치하였을 경우 눈 높이가 낮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보행자, 자전거 또는 공사구간의 작업자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충돌 차량의 바퀴의 중심 높이와 충돌점의 높이를 비교해서 보인 종단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사시도,
도 4는 충돌 차량의 바퀴의 중심 높이와 충돌점의 높이를 비교해서 보인 종단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사시도,
도 6은 충돌 차량의 바퀴의 중심 높이와 충돌점의 높이를 비교해서 보인 종단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사시도,
도 8은 충돌 차량의 바퀴 중심 높이와 충돌점의 높이를 비교해서 보인 종단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종래 이동형 배리어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사시도,
도 10은 충돌 차량의 바퀴의 중심 높이와 충돌점의 높이를 비교해서 보인 종단정면도,
도 11 및 도 12는 종래 이동형 배리어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1은 사시도,
도 12는 충돌 차량의 바퀴의 심 높이와 충돌점의 높이를 비교해서 보인 종단정면도,
도 13 및 도 14는 종래 이동형 배리어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3은 사시도,
도 14는 충돌 차량의 바퀴의 중심 높이와 충돌점의 높이를 비교해서 보인 종단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실시 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배리어 몸체(1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부에 구비되는 언더컷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리어 몸체(10)는 전후면(11)(12)과 상하면(13)(14) 및 좌우측면(15)(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리어 몸체(10)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배리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지도록 일정한 길이와 높이 및 폭으로 구성한다.
특히 배리어 몸체(10)의 높이는 본 발명에 의한 배리어를 자전거 도로와 차도, 또는 자전거 도로와 인도 사이의 경계부에 설치하였을 때 자전거 라이더(rider)가 자전거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한 쪽 발을 배리어 몸체(10)의 상면(11)에 딛고 휴식을 취하는 데 적합한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규격은 상기 전후면(11)(12) 사이의 길이를 1미터 내지 4.0미터 정도의 길이로 구성하고, 상기 상하면(13)(14) 사이의 높이를 20cm 내지 50cm 정도로 구성하며, 상기 좌우측면(15)(16) 사이의 최대 폭을 20cm 내지 50cm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더컷부(20)는 충돌 차량의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상기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고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높이(Ht)보다 낮게 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언더컷부(20)가 상기 좌우측면(15)(16)을 W1 > W2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W1은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사이의 폭이고, W2는 상기 좌우측면(15)(16)의 하단 사이의 폭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복수개를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여 자전거 도로와 차도 사이 또는 자전거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부에 상기 언더컷부(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로의 경계부를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충돌하게 되면, 상기 배리어 몸체(10)에 대한 차량의 바퀴(1)의 충돌점(Pc)이 상기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은 높이(Hc)에 위치하게 되어 충돌 차량이 상기 배리어 몸체(10)를 승월하여 다른 도로로 무단 침범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배리어와 같이 충돌 차량이 배리어를 승월하여 다른 도로, 즉 반대쪽 차도나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로 무단 침범할 경우 야기되던 심각한 대형사고, 즉 배리어를 승월하여 다른 도로로 무단 침범한 차량이 다른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나 자전거 또는 보행자와 충돌함에 따른 심각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좌우측면(15)(16)의 상단부 사이의 폭(W1)이 하단부 사이의 폭(W2)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올려서 운반하는 경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면(15)(16)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이동형 배리어는 자전거 도로에 적용하였을 때 자전거 탑승자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상면(13)에 발을 딛을 수 있어 자전거 도로를 주행하는 자전거 탑승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배리어 몸체(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도로 합류부 및 분리부와 같이 교통류가 만나거나 분리되는 곳, 특히 합류되는 지점에 설치하였을 경우 눈 높이가 낮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보행자, 자전거 또는 공사구간의 작업자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배리어 몸체(10)의 상부에 차선규제봉이나 텔리네이트를 부착하여 차선 규제 시설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의 좌우측면(15)(16)의 하단부에 돌출면(15a)(16a)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면(15a)(16a) 사이의 폭(W4)이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사이의 폭(W3)과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 비하여 도로면에 대한 하면(1)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킨 것이며, 여타 구성 및 작용 등 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 3]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상기 언더컷부(20)를 상기 좌우측면(15)(16)을 그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면(15b)(16b)과, 상기 돌출면(15b)(16b)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면(15c)(16c)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배리어 몸체(10)에 대한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게 위치인 상측 돌출면(15b) 또는 (16b)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같이 충돌 차량이 배리어 몸체(10)를 승월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충돌 차량이 다른 도로로 무단 침범함에 따른 심각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면(15)(16)을 구성하는 돌출면(15b)(16b)의 상하단 사이의 폭(W5)(W6)을 동일하게 하여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 비하여 도로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넓혀 마찰력을 증대시킨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 몸체(10)는 좌우측면(15)(16)의 상단부에 돌출면(15b)(16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올려서 운반하는 경우 배리어(300)의 양측면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 4]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상기 언더컷부(20)를 상기 좌우측면(15)(16)을 그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면(15d)(16d)과, 상기 돌출면(15d)(16d)의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15e)(16e)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상기 오목면(15e)(16e)은 도시 예와 같이 만곡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다각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배리어 몸체(10)에 대한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게 위치인 상측 돌출면(15d) 또는 (16d)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같이 충돌 차량이 배리어 몸체(10)를 승월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충돌 차량이 다른 도로로 무단 침범함에 따른 심각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면(15)(16)을 구성하는 돌출면(15d)(16d)의 상하단 사이의 폭(W7)(W8)을 동일하게 하여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 비하여 도로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넓혀 마찰력을 증대시킨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 몸체(10)는 좌우측면(15)(16)의 상단부에 돌출면(15d)(16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양측면을 집게로 잡아올려서 운반하는 경우 배리어(300)의 양측면과 집게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에 집게를 결합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배리어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도로 합류부 및 분리부와 같이 교통류가 만나거나 분리되는 곳, 특히 합류되는 지점에 임시 배리어와 같은 시설을 설치하거나 차선규제봉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 바, 임시 배리어의 경우 높이가 높기 때문에 운전자들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선규제봉의 경우 차량 방호 능력이 없기 때문에 차선을 침범하여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는 배리어 몸체(10)의 상부에 차선규제봉이나 델리네이트를 부착하여 차선 규제 시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합류지점이나 분리지점에 설치하였을 경우 시야를 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리어 몸체(10) 자체가 차량 방호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차선 침범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는 언더컷부(20)가 좌우측부에 모두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언더컷부(20)를 좌우측부 중 어느 한 쪽에만 구비하고, 다른 쪽, 즉 좌측면 또는 우측면은 전체적으로 수직면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배리어 몸체 15, 16 : 좌우측면
15a,16a,15b,16b,15d,16d : 돌출면 15c, 16c : 수직면
15e, 16e : 오목면 20 : 언더컷부

Claims (5)

  1. 전후면(11)(12)과 상하면(13)(14) 및 좌우측면(15)(16)을 가지는 배리어 몸체(10)와;
    상기 배리어 몸체(10)의 좌우측부에 구비되어 충돌 차량의 바퀴(1)의 충돌점(Pc)의 높이(Hc)가 상기 바퀴(1)의 중심(O)의 높이(Ho)보다 높고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높이(Ht)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언더컷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부(20)는 상기 좌우측면(15)(16)을 W1 > W2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여기서, W1은 좌우측면의 상단 사이의 폭이고, W2는 좌우측면의 하단 사이의 폭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면(15)(16)의 하단부에는 돌출부(15a)(16a)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5a)(16a) 사이의 폭(W4)이 상기 좌우측면(15)(16)의 상단 사이의 폭(W3)과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부(20)는 상기 좌우측면(15)(16)을 그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면(15b)(16b)과 상기 돌출면(15b)(16b)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면(15c)(16c)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부(20)는 상기 좌우측면(15)(16)을 그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면(15d)(16d)과 상기 돌출면(15d)(16d) 사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15e)(16e)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20100097499A 2010-10-06 2010-10-06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20120035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499A KR20120035774A (ko) 2010-10-06 2010-10-06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499A KR20120035774A (ko) 2010-10-06 2010-10-06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774A true KR20120035774A (ko) 2012-04-16

Family

ID=4613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499A KR20120035774A (ko) 2010-10-06 2010-10-06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40A1 (ko) * 2015-06-01 2016-12-08 정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40A1 (ko) * 2015-06-01 2016-12-08 정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0549A (ko) 횡단 보도 안전 장치
US7423552B2 (en) “Warning Bump” traffic safety device
KR20120035774A (ko) 승월을 방지하는 단면을 가지는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CN207079456U (zh) 一种人行过街天桥
KR101787609B1 (ko) 차도경계블럭
KR102246940B1 (ko) 경계석 안전장치
KR100955063B1 (ko) 과속 방지턱 및 이를 갖는 도로 시설물
KR20120116894A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1213077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200245941Y1 (ko)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횡단보도
KR100662543B1 (ko) 버스전용차로
JP4648374B2 (ja) 横断歩道口
RU2601825C1 (ru) Концевой участок дорожного барьер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KR102181472B1 (ko) 트램 혼용차로에서의 도로면 안전장치
KR101130852B1 (ko) 볼록형 버스전용차로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20210000903U (ko) 도로 경계석 보호커버
KR20070081955A (ko) 안전횡단을 위한 횡단보도
KR20220000198U (ko) 편리한 횡단보도
KR200224527Y1 (ko) 충돌 경고 및 충격 완충을 위한 연석
KR200227584Y1 (ko) 횡단보도용 블록
EP2551410A2 (en) Road with an optical kinetic retarder and a method of reducing speed of vehicles passing through
RU160005U1 (ru) Концевой участок дорожного барьер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Shevchuk PEDESTRIAN: PEDESTRIAN SAFETY ON THE R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