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436B1 - 가변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가변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436B1
KR100468436B1 KR10-2003-0007702A KR20030007702A KR100468436B1 KR 100468436 B1 KR100468436 B1 KR 100468436B1 KR 20030007702 A KR20030007702 A KR 20030007702A KR 100468436 B1 KR100468436 B1 KR 10046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central
separator
central separato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8452A (ko
Inventor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신촌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촌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신촌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03-000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4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6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다리, 통행 차량이 많은 도로, 검문소 등의 도로에 설치하여 소통이 원활히 되도록 차선변경이 편리한 가변 중앙 분리대를 건설하기 위한 것인 바, 도로면에 시공하되 그 상부면에 미끄럼방지 미세 요홈이 형성하고 중앙에 레일홀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부에 반사판이 부착된 안전판이 구성된 이동이 가능한 중앙분리대 중심부재를 시공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돌출날개에 결합되어 힌지 결합되도록 돌출날개가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끼워 연결 결합되도록 숫돌기가 형성하고, 저면에는 이동이 되도록 바퀴가 장착된 주부 가변중앙분리대와; 상기 주부 가변중앙부리대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는 암돌기와 다른 일측면에는 숫돌기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바퀴를 구성함으로서, 교통량의 수시 변동과 사고로 인한 교통체증이 발생시에 차선변경이 쉽고, 변경 후에도 도로지면에 고정 설치되므로 차량충돌로 인한 중앙분리대의 분해방지와 충돌시 차량이 반대차선으로 쉽게 침범하지 못하므로 운전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도로건설산업상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 중앙분리대{.}
본 발명은 가변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 유통량이 심한 도로, 검문소 등의 도로에 설치하여 원활한 소통이 되도록 이동이 편리하며,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중앙분리대의 분리를 최소화시킨 가변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중앙분리대는 운전자의 생명선이기도 하지만 반대 차변에서 차량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도로 구조물이다.
이러한 중앙분리대 및 난간 등은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금속재 포스트를 등간격의 위치 지면에 직립되도록 설치하고 이들이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하여 중앙분리대, 또는 도로변의 난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금속재 포스트(2)(4)(6)를 등간격의 위치 지면에 직립되도록 설치하고, 다수 포스트(2)(4)(6) 사이('2'와 '4')('2'와 '6')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레일부재(8)(10) 각각의 양단부를 포스트('2'와 '4')('2'와 '6')에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상기 다수의 금속재 포스트(2)(4)(6)는, 그 하부가 부분적으로 지면에 매립됨으로써 직립상태로 고정 유지될 수 있게 설치되며, 특히 그 매립단부 외면에 복수개의 가로봉을 접합하여 포스트(2)(4)(6)들의 직립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아드레일은, 다수 포스트가 대개 고정적인 형태로 형성되어지므로, 차량 충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다분한 반면,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시킬 수가 없고 아울러 파손된 포스트의 제거작업이 어려우므로, 교체 작업에 따르는 비용이 높아지게 되고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충돌 등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었을 때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시킬 수 있음은 물론 파손된 포스트만의 제거 작업이 용이하여 교체 작업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도록 다수의 금속재 포스트를 등간격의 위치 지면에 직립되도록 설치하고, 다수 포스트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레일부재 각각의 양단부를 포스트에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는 도로용 가아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비교적 그 상측 외면으로 상기 레일부재 각각의 양단부가 결합되고 그 하단 양측으로 세로 방향의 장공한 쌍이 뚫린 중공체의 파이프부재; 상기 파이프부재의 하단이 삽탈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부분 매립되도록 구비되되, 그 외면에 복수의 가로봉이 접합되고, 그 상단에 상기 파이프부재의 장공들과 상응하는 위치로 브라켓 한 쌍이 연장 형성된 매립부재; 상기 파이프부재의 장공들을 관통하게 된 상태하에서 상기한 매립부재의 브라켓에 그 양단부가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된 힌지부재를 부착한 구현한 공지의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시예는 도로의 지면에 기초면을 형성한 후에 가로봉을 매립하고 고정되므로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 구조물로 형성되어 충돌로 인한 운전자들이 심한 사고를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대차선의 차량불빛을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 통행량에 따라 수시로 이동이 가능하고, 차량 충돌로 인한 중앙분리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도로지면에 고정된 가변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설치가 편리하면 충돌로 인한 분리대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가변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한 본 발명은 교통량의 증가에 다른 차선 변경시 도로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중앙분리대의 이동이 편리한 레일의 홀을 삽입 고정하되 홈내 저면에 뿌리봉과 풀림방지와셔와 나비고정너트로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부의 양측면에 돌출날개부를 구성하고, 상부에 반사판이 부착된 안전판이 구성된 이동이 가능한 중앙분리대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돌출날개에 결합되어 힌지 결합되도록 돌출날개가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끼워 연결 결합되도록 숫돌기가 형성하고, 저면에는 이동이 되도록 바퀴가 장착된 주부 가변중앙분리대와; 상기 주부 가변중앙부리대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는 암돌기와 다른일측면에는 숫돌기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바퀴를 구성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달성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중앙분리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가변 중앙분리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를 적용한 도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를 적용시 "S"자형으로 도로에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레일홀 20 : 가이드레일
30 : 뿌리봉 40 : 풀림방지와셔
50 : 나비고정너트 60 : 고정부
70 : 중심축 80,80',90,90' : 돌출날개
100 : 반사판 110 : 중앙분리대 중심부재
120 : 숫돌기 130 : 바퀴
140 : 암돌기 150 : 주부가변중앙분리대
160 : 연결축 200 : 보조가변중앙분리대
280 : 포장층 290 : 기초층
이하, 상기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도로면에 시공하되 그 상부면에 미끄럼방지 미세 요홈이 형성하고 중앙에 레일홀(10)을 갖는 가이드레일(20)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홀(10)에 삽입고정하되 레일홀(10)내 저면에 뿌리봉(30)과 풀림방지와셔(40)와 나비고정너트(50)가 구성된 고정부(60)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70)의 양측면에 돌출날개부(80,80')를 구성하고, 상부에 부착된 반사판(90)이 구성된 이동이 가능한 중앙분리대 중심부재(110)와;
상기 중심부재의 돌출날개(80,80')에 결합되어 힌지 결합되도록 연결축(160과 돌출날개(90,90')가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끼워 연결 결합되도록 숫돌기(120)가 형성하고, 저면에는 이동이 되도록 바퀴(130)가 장착된 주부 가변중앙분리대(150)와; 상기 주부 가변중앙분리대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는 암돌기(140)와 다른 일측면에는 숫돌기(120')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바퀴(130)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또는 다리의 상판에 포장하기 전에 기초 가이드레일(20)을 원하는 길이 또는 방향으로 시공하고 만약 도로에 시공할 때는 삽입될 부분만을 절단하여 시공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도로면에 시공하되 그 상부면에 미끄럼방지 미세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중앙에 레일홀(10)을 갖도록 하여 중앙분리대 중심부재의 중심축(70)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시공하였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분리대 중심부재(110)는 가이드레일의 레일홀(10)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레일홀(10)내 저면에 뿌리봉(30)과 풀림방지와셔(40)와 나비고정너트(50)로 구성된 고정부(60)를 구성하였으며, 이동시에는 나비고정너트를 풀어서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며, 이동 후에는 나비고정너트를 조여 고정하되 쉽게 풀리지 않도록 풀림방지와셔(40)를 삽입하여 진동에 의해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부(60)와 연결된 중심축(70)의 양측면에 돌출날개부(80,80')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 구성하여 끼워 맞출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안전을 위하여 상부에 부착된 반사판(100)을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시야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주부 가변중앙분리대(150)는 중심부재의 돌출날개(80,80')에 결합되어 힌지 결합되도록 연결축(160)으로 연결하도록 돌출날개(90,90')를 형성하여 결합하고 다른 일측에 끼워 연결 결합되도록 숫돌기(120)를 형성하였다. 또한, 본체 저면에 이동시 편리하도록 바퀴(130)를 구성하였다.
상기 보조 가변중앙분리대(200)는 주부 가변중앙분리대(150)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는 암돌기(140)와 다른 일측면에는 숫돌기(120')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바퀴(130)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다.
도로의 통행량이 많은 구간이 시간 또는 기간에 따라 유동성이 있으므로 가변차선제를 이용하면 도로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가변차선제는 운전자들에게는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중앙분리대를 이용하여 차선을 정확히 구분 할 수 있으며 반대차선의 불빛 및 충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되 이동이 편리하도록 도로면에 가이드레일(20)을 시공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고, 이동 후에 지면에 고정되도록 풀림방지너트(40)를 구성하고 나비고정너트로 가이드레일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충격에 의해 쉽게 밀려나지 않도록 작용한다.
도 5는 한 차선을 옮긴 상태를 도시하여 차량의 통행이 많을 시에는 중앙분리대 중심부재를 고정한 나비고정너트를 풀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각부재가 서로 일정한 각도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시 파손되는 것을 줄이고 파손시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주부 가변중앙분리대(150)와; 상기 주부 가변중앙분리대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는 암돌기(140)와 다른 일측면에는 숫돌기(120')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바퀴(130)를 구성하여 쉽게 교환 및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분리대 중심부재의 이동위치에 따라 "S"형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공사 또는 사고, 검문소의 도로 등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예컨대,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색상, 재질 등은 얼마든지 치환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 중앙분리대는 교통량이 수시로 변동되고 또한 사고로 인한 교통체증이 발생시에 차선변경이 쉽고, 변경후에도 지면에 고정되므로 충돌로 인한 중앙분리대가 분해되거나 차량이 차선을 쉽게 침범하지 못하므로 운전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도로건설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도로면에 시공하되 그 상부면에 미끄럼방지 미세 요홈이 형성하고 중앙에 레일홀(10)을 갖는 가이드레일(20)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홀(10)에 삽입하여 슬라이드 되도록 고정하되 레일홀(10)내의 저면에 뿌리봉(30)과 풀림방지와셔(40)와 나비고정너트(50)로 구성된 고정부(60)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70)의 양측면에 돌출날개부(80,80')를 구성하고, 상부에 부착된 반사판(100)이 구성된 이동이 가능한 중앙분리대 중심부재(110)와;
    상기 중앙분리대 중심부재의 돌출날개(80,80')에 결합하여 연결축(160)에 힌지 결합되도록 돌출날개(90,90')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끼워 연결 결합되도록 숫돌기(120)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이동이 되도록 바퀴(130)가 장착 구성된 주부 가변중앙분리대(150)와;
    상기 주부 가변중앙분리대와 결합되도록 일측면에는 암돌기(140)와 다른 일측면에는 숫돌기(120')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바퀴(130)를 구성한 보조 가변중앙분리대(2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중앙분리대.
KR10-2003-0007702A 2003-02-07 2003-02-07 가변 중앙분리대 KR10046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02A KR100468436B1 (ko) 2003-02-07 2003-02-07 가변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02A KR100468436B1 (ko) 2003-02-07 2003-02-07 가변 중앙분리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467U Division KR200311369Y1 (ko) 2003-01-25 2003-01-25 가변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452A KR20040068452A (ko) 2004-07-31
KR100468436B1 true KR100468436B1 (ko) 2005-01-31

Family

ID=3735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702A KR100468436B1 (ko) 2003-02-07 2003-02-07 가변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27B1 (ko) 2006-12-28 2008-01-04 신동헌 긴급 비상회차용 중앙 분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77B1 (ko) * 2009-09-14 2010-01-26 주식회사 동방이엔텍 도로 표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27B1 (ko) 2006-12-28 2008-01-04 신동헌 긴급 비상회차용 중앙 분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452A (ko) 200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5504B1 (en)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AU548633B2 (en) An improved concrete block
US20070160420A1 (en) Traffic lane separation unit, component member thereof, and mobile traffic lane separation device
KR101103563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DK2664713T3 (en) Emergency opening for a mobile protective wall
KR20150117041A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0468436B1 (ko) 가변 중앙분리대
KR200311369Y1 (ko) 가변 중앙분리대
US20040079932A1 (en) Shock-absorbing guardrail device
KR100802095B1 (ko)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KR200202334Y1 (ko) 고규격 교량난간 겸용 가드레일
US20050254891A1 (en) Road barrier
ES2301730T3 (es) Sistema de retencion de vehiculos.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200252869Y1 (ko) 고속도로의 비상용 중앙 분리대 구조
CN216305591U (zh) 一种高速公路施工用防护装置
CN215441636U (zh) 一种公路桥梁护栏的伸缩装置
KR100467083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252861Y1 (ko) 고속도로의 기둥개폐식의 중앙 분리대 설치구조
KR101041364B1 (ko) 충격 방호 구조물
KR102062009B1 (ko) 가드레일 부착형 알루미늄 델리네이터
KR200249073Y1 (ko) 탄성봉을 이용한 차도 콘크리트 방호벽의 완충구조
KR20120116894A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1213077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