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927B1 -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927B1
KR101212927B1 KR1020087002769A KR20087002769A KR101212927B1 KR 101212927 B1 KR101212927 B1 KR 101212927B1 KR 1020087002769 A KR1020087002769 A KR 1020087002769A KR 20087002769 A KR20087002769 A KR 20087002769A KR 101212927 B1 KR101212927 B1 KR 10121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ectrode
gas discharge
feed
discharg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365A (ko
Inventor
데이비드 더블유. 바르맨
존 제임스 로드
웨슬리 제이. 바흐만
나단 피. 스티엔
Original Assignee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3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2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4Igniting arrangements, e.g. promoting ionisation for star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2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main light-emitting filling of easily vaporisable metal vapour, e.g. mercu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ischarge Lamp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각 필라멘트와 연계된 급전 코일(14) 및 가열 코일(16)을 양자 모두 포함하는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10). 가열 코일은 급전 코일을 통해 시동 전압이 인가되기 이전에 필라멘트가 예열될 수 있게 한다. 유도 급전 코일 및 유도 가열기 코일은 램프 인베로프 내에 수납되어 램프가 전체적으로 밀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램프를 밝기조절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램프는 더 낮은 전압 조건하에서의 소등을 방지하도록, 급전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가열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밝기조절된다.
Figure R1020087002769
예열, 가열 코일, 급전 코일, 밀봉, 램프, 필라멘트

Description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INDUCTIVELY POWERED GAS DISCHARGE LAMP}
가스 방전 램프는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매우 대중화되어 있다. 예로서, 이들은 사무실, 가성, 공장, 강당 및 여객기에 사용된다.
가스 방전 램프의 가장 편리한 유형들 중 하나는 발명의 명칭이 "유도 급전식 램프 조립체(Inductively Powered Lamp Assembly)"인 미국 특허 제6,731,07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도 급전된다. 이 램프는 각 필라멘트 또는 전극에 급전하기 위해 램프 외피 내에 코일을 포함한다. 각 코일은 설비 내의 전원에 유도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램프 필라멘트는 램프 시동 이전에 필라멘트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 회로를 구비한다. 이 회로는 필라멘트에 예열 전류를 제공하도록 닫혀져 있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램프 필라멘트가 충분히 가열된 이후,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전압을 제공하도록 스위치가 개방된다.
유도 급전되지 않는(즉, 램프 외피로부터 연장하는 통상의 접촉 핀을 포함하는) 램프에서, 램프 필라멘트의 가열은 일반적이다. 필라멘트의 가열은 램프를 점등하고 램프의 조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을 감소시킨다. 부가적으로, 램프 필라멘트의 가열은 램프의 밝기조절기능의 증가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형광 램프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것을 필요로 한 다. 그러나, 램프에 인가된 전압의 감소는 램프의 필라멘트를 통과하는 전류를 감소시키고, 그에 의해, 램프 필라멘트의 온도를 변화시킨다. 필라멘트 온도가 너무 낮게 강하되는 경우, 필라멘트 사이의 아크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램프가 소등된다. 따라서, 램프로의 전압이 감소될 때 필라멘트를 통한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형광 램프를 밝기조절하기 위해 안정기 회로가 개발되어 왔다. 이들 회로는 램프가 더 큰 범위에 걸쳐 밝기조절될 수 있게 한다. 불행하게, 유도 급전식 램프에는 이 접근법이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
필라멘트 가열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가 필요하다.
상술한 문제점은 램프를 급전하는 급전 유도 코일과, 램프 필라멘트 또는 전극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에 의해 극복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급전 코일은 종래의 형태로 램프의 제1 및 제2 필라멘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 가열기 코일은 급전 코일을 통해 필라멘트에 점등 전압이 인가되기 이전에 필라멘트가 예열될 수 있게 하도록 제1 및 제2 전극에 예열 전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급전 코일 및 가열 코일은 밝기조절을 제공하도록 조화된 형태로 제어된다. 급전 코일을 통해 전극에 인가된 전압은 가열 코일을 통해 전극에 인가되는 전류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램프는 유도 급전식이며, 밝기조절가능하다.
이들 및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로 더 완전하게 이해하고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유도 결합 가스 방전 램프이다.
도2는 가스 방전 램프의 유도 커넥터 섹션을 도시한다.
도3은 가스 방전 램프 및 램프 설비의 전기적 개략도를 보여 준다.
도4는 가스 방전 램프를 위한 설비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5는 가스 방전 램프의 단부도를 도시한다.
도6은 가스 방전 램프를 위한 코일의 부가적 구조를 도시한다.
도7은 가스 방전 램프의 정렬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한다.
도8은 유도 결합 가스 방전 램프를 급전하기 위한 회로를 도시한다.
도9는 유도 결합 가스 방전 램프를 급전하기 위한 제2 회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가스 방전 램프가 도면에 예시되어 있으며,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0)는 외피(15) 상에 한 쌍의 유도 커넥터 섹션(11, 12)을 갖는다. 유도 커넥터 섹션(12)은 급전 코일(14)과 가열기 코일(16)을 구비한다. 유도 커넥터 섹션(11)은 유도 커넥터 섹션(12)과 유사하다. 전도성 스트립(18)이 유도 커넥터 섹션(11)을 유도 커넥터 섹션(12)에 연결한다. 비록, 램프(10)의 예시된 물리적 실시예가 선형 튜브이지만, 램프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물리적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램프(10)의 내부 상에 전도체(18)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도체(18)는 램프(10) 내부에 인가된 전도성 페인트의 스트립이다. 다른 실시예에 다라서, 전도체(18)는 접착제로 램프(10) 내부에 부착된 금속성 스트립이다. 그후, 전도체(18) 위에 절연 재료의 층이 도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도체(18)는 램프(10)의 내부 상에 또는 램프(10)의 외부를 따라 유도 커넥터 섹션(11)으로부터 유도 커넥터 섹션(12)으로 연장하는 전도성 와이어일 수 있다.
유도 커넥터 섹션들(11, 12)이 전체적으로 램프(10) 내에 형성될 때, 이때, 램프(10)는 완전히 밀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도 커넥터 섹션(11, 12)은 종래의 가스 방전 램프의 단부 커넥터를 위해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램프 튜브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 커넥터 섹션(12)이 도2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급전 코일(14)은 커패시터(20)에 의해 가열기 코일(16)에 연결된다. 가열기 코일(16)은 램프 필라멘트(22)에 연결된다.
도3은 램프 설비 내의 램프(10)를 위한 전기적 개략도를 도시한다. 램프 필라멘트(22, 24)는 가열기 코일(16, 28)과 직렬로 연결된다. 급전 코일(14, 32)은 커패시터(20, 36)를 거쳐 필라멘트(22, 24)에 연결된다. 급전 코일(14, 32)은 전도체(18)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안정기 가열기 코일(38, 40)은 가열기 코일(16, 28)에 유도식으로 전력을 제공하고, 안정기 급전 코일(42, 44)은 급전 코일(14, 32)에 유도식으로 전력을 제공한다. 안정기 급전 코일(42, 44) 및 안정기 가열기 코일(38, 40)은 인버터(46)에 연결되고, 인버터(46)는 급전부(48)에 연결된다. 인버터(46) 및 급전부(48)는 가스 방전 램프의 임의의 공지된 인버터 및 급전부일 수 있다. 예로서, 인버터(46)는 2 트랜지스터 하프-브리지 인버터일 수 있다.
동작시, 인버터(46)는 먼저 필라멘트(22, 24)를 예열하도록 안정기 가열기 코일(38, 40)에 급전한다. 사전결정된 시간 기간 이후, 인버터(46)는 안정기 가열기 코일(38, 40)로의 전력을 감소시키고, 안정기 급전 코일(42, 44)을 통전시켜 필라멘트(22, 24) 사이에 아크를 유발한다. 점등 이후, 인버터(46)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은 램프(10)의 안정 상태 동작을 위해 감소된다.
필라멘트의 예열은 필라멘트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그에 의해,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예열 전류는 통상적으로 필라멘트가 받는 최대 전류값이다. 예열 이후, 전체 동작 전압이 램프에 인가되는 경우, 예열 전류는 거의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가열기 코일(16, 28)이 필라멘트(22, 24)를 가로질러 결합되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가열은 램프 내에 아크의 유지를 위해 필라멘트에 공급되는 전력과는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들을 위하여 필라멘트의 가열을 조정하기 위해 제어 회로(미도시)가 사용된다. 제어 회로의 구조 및 프로그래밍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는 램프의 밝기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필라멘트들 사이의 전압과, 필라멘트의 온도 양자 모두가 램프 내에 아크를 유지할 수 없는 레벨로 강하하는 경우 가스 방전 램프가 소등된다. 필라멘 트를 가열함으로써, 두 필라멘트 사이의 전위가 감소되는 경우에도 가스 방전 램프 내의 아크를 유지할 수 있다.
램프의 밝기조절 동안, 공진 회로는 램프 양단의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진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램프 전압을 감소시키면서 필라멘트 가열 전류를 유지 또는 증가시킴으로써, 매우 낮은 밝기조절 레벨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램프 유형으로 인해 부가적인 안정성 및 밝기조절 범위가 필요한 경우, 램프 전압이 감소될 때 예열이 증가되어 안정한, 깜박거림없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안정 상태 동작 동안의 필라멘트의 가열은 램프의 사용기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램프의 유효 수명을 증가시킨다. 램프 사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필라멘트는 스퍼터링(sputtering)되어 램프 벽에 부착(deplate)된다. 이 램프 벽 상의 물질은 수은을 흡수하며, 오염을 유발한다. 수은이 감소되거나 램프 내부 가스가 오염될 때, 램프는 시동이 곤란해지며, 일반적 동작 전압에서의 램프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램프 동작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제어 시스템은 램프 임피던스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 예로서, 시스템은 램프가 시동이 곤란하거나 동작 모드에서 불안정한 것으로 판정될 때 예열 기간 또는 예열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램프를 위한 가열 프로파일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열 시간 또는 예열 전류의 증가는 시스템 불안정성에 대한 조절을 돕는다.
안정기 급전 코일(44) 및 안정기 가열기 코일(38)은 설비 커넥터(50) 내에 수납된다. 유사하게, 안정기 급전 코일(42) 및 안정기 가열기 코일(40)은 설비 커 넥터(52) 내에 수납된다.
설비 커넥터(52)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설비 커넥터(52)는 안정기 급전 코일(42)과 동축인 안정기 가열기 코일(40)로 구성된다. 안정기 가열기 코일(40) 및 안정기 급전 코일(42)은 동축이다. 따라서, 설비 커넥터(52)는 유도 커넥터(12) 위로 미끄러지고, 따라서, 급전 코일(32) 부근에 안정기 급전 코일(42)을 배치하고, 가열기 코일(28) 부근에 안정기 가열기 코일(40)을 배치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 코일(14)은 외피(15)의 외부벽의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급전 코일(14)은 외피(15)의 외부 또는 외피(15)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가열기 코일(16)은 외피(15)로부터 연장하는 고원부(17) 내에 또는 고원부 없이 배치된다. 고원부(1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외피(15)의 외부벽 부분(19)과 동축이다. 안정기 가열기 코일(38)과 안정기 급전 코일(42)의 동축 배열과 다른 구조가 만족스러울 수 있다. 일 예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5는 급전 코일(14') 및 가열기 코일(16')이 동일 평면 상에 있으면서, 외피(15)의 상단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램프의 대안 실시예(10')의 단부도를 보여 준다. 유사하게, 설비 커넥터를 위한 설비는 동일 평면식 안정기 급전 코일 및 동일 평면식 안정기 가열기 코일을 구비한다.
도6은 다수의 가열기 코일을 포함하는 램프의 다른 대안 실시예(10")의 단부도를 보여 준다. 급전 코일(14")은 램프(10)의 단부의 외주 둘레에 배치된다. 가열기 코일(16a", 16b", 16c", 16d")이 급전 코일(14") 내에 배치된다. 급전 코일(14") 및 가열기 코일(16a", 16b", 16c", 16d")은 동일 평면에 있다. 이 구조에 서, 가열기 코일(16a", 16b", 16c", 16d")은 램프 필라멘트와 병렬로 연결된다.
도7은 안정기 급전 코일, 안정기 가열기 코일, 가열기 코일 및 급전 코일을 정렬 상태로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보여준다. 설비 커넥터(80, 82)는 자성 재료(84, 86)를 포함한다. 유도 커넥터 섹션(11, 12)은 자성 재료(92, 94)를 포함한다. 자성 재료(84, 86, 92, 94)는 정렬을 유발하기 위해 자석과 다른 자석 재료의 조합이다.
자석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자석에 부가적으로, 유도 커넥터 섹션 및 설비 커넥터는 상호로킹 키이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비 커넥터(80, 82)는 설비 커넥터(80, 82)에 대하여 제 위치에 램프(10)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또는 기타 탄성 기구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숙련자는 안정기 급전 코일(42, 44)이 각각 급전 코일(32, 14)에 인접하고, 안정기 및 안정기 가열기 코일(40, 38)이 각각 가열기 코일(28, 16)에 인접하도록 설비 커넥터(80, 82)에 대해 제 위치에 램프(10)를 보유하기 위해 다수의 다른 기계적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8은 유도 결합 가스 방전 램프에 급전하기 위한 대안적 회로 구조를 보여 준다. 이 구조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100)가 두 개의 드라이버 회로(102, 104)에 결합되어 이를 제어한다. 드라이버 회로(102)는 급전 코일(42, 44) 전용이며, 드라이버 회로(104)는 가열기 코일(38, 40) 전용이다. 드라이버 회로(102)에 의해 급전 코일(42, 44)에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될 때, 드라이버 회로(104)는 가열기 코일(38, 40)로의 전력을 증가시켜 전극에 추가적 가열을 제공한다.
도9는 유도 결합 가스 방전 램프를 급전하기 위한 다른 대안적 회로를 보여준다. 마이크로콘트롤러(110)는 드라이버 회로(112) 및 스위치(116)에 결합되어 이를 제어한다. 스위치(116)는 드라이버 회로(112)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을 급전 코일(42, 44) 및 가열기 코일(38, 40)에 결합시킨다. 급전 코일(42, 44) 또는 가열기 코일(38, 40)에 제공되는 전력의 양은 마이크로콘트롤러(110)에 의해 제어된다. 급전 코일(42, 44)에 제공되는 전력의 양이 감소될 때, 가열기 코일(38, 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증가된다. 가열기 코일(118)로의 증가된 전력은 램프 전극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현용의 실시예들이다. 균등법을 포함하는 특허법의 원리에 따라 해석되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 및 넓은 양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대안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단어 "일" 또는 "상기"를 사용하는 단수형의 요소를 청구하는 기재는 이 요소를 하나 뿐인 것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8)

  1. 방전 가스를 수납하는 외피와,
    외피 내의 제1 전극과,
    외피 내의 제2 전극과,
    제1 전극에 급전하기 위한 유도 급전부로부터 전력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전극과 결합된 제1 유도 급전 코일과,
    제1 전극에 가열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면서 유도 급전부로부터 전력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유도 가열기 코일을 포함하고,
    제1 유도 가열기 코일 및 제1 유도 급전 코일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가스 방전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유도 급전 코일과 직렬인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전극에 연결되며, 유도 급전부로부터 전력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유도 급전 코일을 더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전극에 연결되며, 유도 급전부로부터 전력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유도 가열기 코일을 더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유도 급전 코일에 결합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제1 유도 급전 코일과 커패시터는 공진 회로를 형성하는 가스 방전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공진 회로는 직렬 공진 회로와 병렬 공진 회로 중 하나인 가스 방전 램프.
  7. 제4항에 있어서, 제1 유도 급전 코일과, 제2 유도 급전 코일과, 제1 유도 가열기 코일과, 제2 유도 가열기 코일과, 커패시터는 외피가 관통되지 않도록 외피 내에 수납되는 가스 방전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유도 가열기 코일은 제1 유도 급전 코일의 외주 내에 수납되는 가스 방전 램프.
  9. 제4항에 있어서, 제1 유도 가열기 코일은 제1 유도 급전 코일의 외주 내에 수납되고, 제2 유도 가열기 코일은 제2 유도 급전 코일의 외주 내에 수납되는 가스 방전 램프.
  10. 제3항에 있어서, 제1 유도 급전 코일을 제2 유도 급전 코일에 연결하는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전도체는 외피 내에 있는 가스 방전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전도체는 외피에 부착된 전도성 재료의 필름인 가스 방전 램프.
  13. 삭제
  14. 방전 가스를 수납하는 밀봉된 외피와,
    외피 내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각각 결합되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급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급전 코일 및 제2 급전 코일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각각 결합되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가열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열 코일 및 제2 가열 코일을 포함하고,
    제1 가열기 코일 및 제1 급전 코일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가스 방전 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전극보다 제1 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자성 재료 및 제1 전극보다 제2 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자성 재료를 더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급전 코일을 제2 급전 코일에 연결시키는 전도성 재료를 더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는 외피에 고정되는 가스 방전 램프.
  18. 제14항에 있어서, 제1 급전 코일은 외피의 외부벽 상에 존재하는 가스 방전 램프.
  19. 제18항에 있어서, 가스 방전 램프는 고원부를 가지고, 고원부는 외피의 외부벽과 동축이며, 제1 전극을 가열하기 위한 제1 가열기 코일은 고원부 내에 배치되는 가스 방전 램프.
  20. 밝기조절가능한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동작 방법이며,
    방전 가스를 수납하는 외피를 구비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제1 전극과 결합된 제1 급전 코일과, 제2 전극과 결합된 제2 급전 코일과, 제1 전극과 결합된 제1 가열기 코일과, 제2 전극과 결합된 제2 가열기 코일을 더 구비하는 가스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력을 제1 및 제2 급전 코일에 제공하는 단계와,
    램프를 밝기조절하도록 제1 및 제2 급전 코일에 대한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한 전류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제1 및 제2 전극의 온도를 증가시키도록 제1 및 제2 가열기 코일에 대한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가열기 코일 및 제1 급전 코일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밝기조절가능한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동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전력은 램프의 급전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가열 사이에서 절환되는 밝기조절가능한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동작 방법.
  22. 가스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는 방법이며,
    방전 가스를 수납하는 외피를 구비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제1 전극과 연결된 제1 급전 코일과, 제2 전극과 연결된 제2 급전 코일과, 제1 전극을 가열하기 위한 제1 가열기 코일과, 제2 전극을 가열하기 위한 제2 가열기 코일을 더 구비하는 가스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전극에 가열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제1 및 제2 가열기 코일에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와,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전압을 제공하도록 제1 및 제2 급전 코일에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서 아크가 개시되는 점등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램프의 후속 시동에 사용하기 위해 점등 전압의 함수로서 가열 프로파일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동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측정된 점등 전압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동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이전 측정된 점등 전압과 현재 측정된 점등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스 방전 램프 동작 방법.
  25. 제1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를 위한 설비이며,
    램프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가스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1 전극에 급전하도록 구성된 제1 급전 일차 코일과 제1 전극을 가열하기 위해 제1 전극에 급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열 일차 코일을 구비하는 제1 설비 부분과,
    램프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가스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2 전극에 급전하도록 구성된 제2 급전 일차 코일과 제2 전극을 가열하기 위해 제2 전극에 급전하도록 구성된 제2 가열 일차 코일을 구비하는 제2 설비 부분을 포함하며,
    제1 가열 일차 코일과 제1 급전 일차 코일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를 위한 설비.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 급전 일차 코일은 제1 부분의 외주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를 위한 설비.
  27. 제26항에 있어서, 제2 부분은 상단부를 구비하고, 제1 가열 일차 코일은 상단부 상에 배치되는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를 위한 설비.
  28. 제26항에 있어서, 제1 가열 일차 코일은 제2 부분의 외주 둘레에 배치되는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를 위한 설비.
  29. 외피와,
    외피 내의 제1 전극과,
    제1 전극에 연결되며, 제1 일차측으로부터 전력을 유도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급전 코일과,
    제1 전극에 연결되며, 제2 일차측으로부터 전력을 유도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가열기 코일을 포함하고,
    급전 코일과 가열기 코일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가스 방전 램프.
  30. 제29항에 있어서, 외피는 상단부를 구비하고, 급전 코일은 상단부 내에 배치되는 가스 방전 램프.
  31. 제30항에 있어서, 가열기 코일은 상단부 내에 배치되는 가스 방전 램프.
  32. 제31항에 있어서, 급전 코일은 가열기 코일과 동축인 가스 방전 램프.
  33. 삭제
  34. 제32항에 있어서, 외피는 굴곡된 벽을 구비하고, 급전 코일은 굴곡된 벽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스 방전 램프.
  35. 제29항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부분과 제2 원통형 부분을 구비하고, 제1 원통형 부분은 제2 원통형 부분과 동축이며, 제2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가스 방전 램프.
  36. 제35항에 있어서, 급전 코일은 제1 원통형 부분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스 방전 램프.
  37. 제36항에 있어서, 가열기 코일은 제2 원통형 부분 둘레에 배치되는 가스 방전 램프.
  38. 제37항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부분은 제2 원통형 부분보다 긴 가스 방전 램프.
KR1020087002769A 2005-08-03 2006-08-01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KR101212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501205P 2005-08-03 2005-08-03
US60/705,012 2005-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365A KR20080031365A (ko) 2008-04-08
KR101212927B1 true KR101212927B1 (ko) 2012-12-14

Family

ID=3746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769A KR101212927B1 (ko) 2005-08-03 2006-08-01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622868B2 (ko)
EP (1) EP1913622B1 (ko)
JP (1) JP5400380B2 (ko)
KR (1) KR101212927B1 (ko)
CN (1) CN101238537B (ko)
AT (1) ATE475194T1 (ko)
AU (1) AU2006274598A1 (ko)
CA (1) CA2618406A1 (ko)
DE (1) DE602006015654D1 (ko)
HK (1) HK1121286A1 (ko)
NZ (1) NZ565106A (ko)
PL (1) PL1913622T3 (ko)
RU (1) RU2008107579A (ko)
TW (1) TWI334315B (ko)
WO (1) WO2007015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9100B2 (en) * 2009-01-06 2011-11-29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Metered delivery of wireless power
TWI623963B (zh) * 2010-06-04 2018-05-11 美商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感應耦合介電質屏障放電燈
DE102010064032A1 (de) * 2010-12-23 2012-06-28 Tridonic Gmbh & Co. Kg Geregelte Wendelheizung für Gasentladungslampen
TWI432096B (zh) 2011-12-27 2014-03-21 Ind Tech Res Inst 燈管控制系統、燈管節能系統及其節能方法
CN105895496A (zh) * 2016-06-20 2016-08-24 许昌虹榕节能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节能灯的放电管
CN110199570B (zh) * 2017-01-27 2021-08-13 三菱电机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1731A1 (en) * 1999-06-21 2003-10-30 Baarman David W. Inductively powered lamp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502A (en) * 1973-04-06 1976-01-27 Construction Materials Division General Electric Company Ballast circuit for eliminating flicker in gaseous discharge lamps
GB1570277A (en) * 1975-10-01 1980-06-25 Sonca Ind Ltd Fluorescent lamp arrangement
US4082981A (en) * 1977-02-28 1978-04-0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nergy saving device for a standard fluorescent lamp system
US4560908A (en) * 1982-05-27 1985-12-24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High-frequency oscillator-inverter ballast circuit for discharge lamps
US5264997A (en) * 1992-03-04 1993-11-23 Dominion Automotive Industries Corp. Sealed, inductively powered lamp assembly
JPH06325882A (ja) 1993-05-10 1994-11-25 Touzai Denko Kk けい光灯点灯装置
US5608292A (en) * 1995-06-15 1997-03-04 Motorola, Inc. Single transistor ballast with filament preheating
JP2000209679A (ja) 1999-01-19 2000-07-28 Fujitsu Ltd ビル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のリプレ―ス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1345195A (ja) * 2000-06-01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
WO2002023589A1 (en) 2000-09-14 2002-03-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uorescent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2184589A (ja) * 2000-10-03 2002-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蛍光ランプおよび電力変換器
JP3528794B2 (ja) 2000-12-20 2004-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蛍光ランプ
JP2002324691A (ja) * 2001-04-24 2002-1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WO2003022013A1 (fr) 2001-08-31 2003-03-13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Appareil d'eclairage a lampe a decharge haute tension, appareil a lampe a decharge haute tension et appareil a lampe de projection
DE10244412A1 (de) * 2001-09-25 2003-05-2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Elektronisches Vorschaltgerät und Leuchte
JP2004178943A (ja) *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
US6952081B1 (en) 2003-07-31 2005-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escent lamp having ultraviolet reflecting layer
US6940232B1 (en) 2004-02-27 2005-09-06 Fujian Juan Kuang Yaming Electric Limited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JP2006286584A (ja) * 2005-03-31 2006-10-19 Aidou:Kk 磁気結合型蛍光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1731A1 (en) * 1999-06-21 2003-10-30 Baarman David W. Inductively powered lam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3622B1 (en) 2010-07-21
HK1121286A1 (en) 2009-04-17
CA2618406A1 (en) 2007-02-08
TWI334315B (en) 2010-12-01
US20070029936A1 (en) 2007-02-08
AU2006274598A1 (en) 2007-02-08
WO2007015212A1 (en) 2007-02-08
JP5400380B2 (ja) 2014-01-29
CN101238537B (zh) 2011-03-30
KR20080031365A (ko) 2008-04-08
NZ565106A (en) 2010-11-26
RU2008107579A (ru) 2009-09-10
US7622868B2 (en) 2009-11-24
JP2009503798A (ja) 2009-01-29
PL1913622T3 (pl) 2010-12-31
ATE475194T1 (de) 2010-08-15
CN101238537A (zh) 2008-08-06
EP1913622A1 (en) 2008-04-23
DE602006015654D1 (de) 2010-09-02
TW200723960A (en) 200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571B2 (en) LED tube and a lighting fixture arrangement having a safety unit
EP0040547B1 (en)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 low pressure arc discharge lamp
US8624509B2 (en) LED tube and lamp arrangement
US8610361B2 (en) LED tube and lighting fixture arrangement
KR101212927B1 (ko) 유도 급전식 가스 방전 램프
JP2651764B2 (ja) ガス放電ランプの明るさを制御する電子切換装置
JPS5945199B2 (ja) 螢光灯の2線式減光バラスト装置
US5309061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having incandescent lamp starting aid
US6661185B2 (en) Dimmable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and discharge lamp operating apparatus
KR970003215B1 (ko) 소형 형광등용 l-c안정화회로
US4508993A (en) Fluorescent lamp without ballast
US7973489B2 (en) Lighting system for illumination using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US20070262734A1 (en) Filament Cutout Circuit
EP0449639B1 (en) Biasing system for reducing ion loss in lamps
US5898274A (en) Integrated starter and regulator for fluorescent tubes
JP2817359B2 (ja) 蛍光ランプ装置
JPH0589975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H0997689A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S59186248A (ja) 螢光ランプ装置
JP2006318741A (ja) 照明装置
JP2006107785A (ja) 電子安定器一体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KR20100098695A (ko) 감광 가능한 광 생성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