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310B1 - 정보 처리 단말기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310B1
KR101211310B1 KR1020070116865A KR20070116865A KR101211310B1 KR 101211310 B1 KR101211310 B1 KR 101211310B1 KR 1020070116865 A KR1020070116865 A KR 1020070116865A KR 20070116865 A KR20070116865 A KR 20070116865A KR 101211310 B1 KR101211310 B1 KR 10121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terminal
button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787A (ko
Inventor
마미 구로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18Indic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4Profile on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4Repetitive strain injury [RSI]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손가락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조작성이 향상되는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가 제공된다. 셀룰러 전화기의 하우징(18)은 15-키 키패드(32)를 갖는다. 15-키 키패드(32)의 버튼들 중, 각각의 로우의 양단에 배치된 버튼들은 구부러진 릿지를 갖는다. 각각의 버튼의 조작면은 릿지로부터 상향(커서 키(24)를 향하여) 및 하향으로(하우징(18)의 바닥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기울어진 영역들을 갖는다.
셀룰러 전화기, 하우징, 디스플레이, 릿지, 정보 처리 단말기

Description

정보 처리 단말기{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본 정규 출원은 2006년 11월 16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6-310454호에 기초하며,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기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조작을 허용하는 조작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기들 및 다른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들에는 10-키 키패드 및 12-키 키패드와 같은, 키보드 형태에서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 세트가 제공된다. 그러한 무선 통신 단말기들은 휴대형으로 되기 위하여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그러한 무선 통신 단말기들의 사용자는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고 동일한 손의 엄지 손가락만으로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만으로 입력 조작을 수행하면, 입력 조작은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제2001-312944호는 조작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보다 적은 일체적 구성의 다방향 커서 키를 갖는 셀룰러 전화기를 개시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312944호에 개시된 셀룰러 전화기는 중앙 입력 스위치(3) 및 주위의 방향 지시 스위치들(4 내지 7) 상에 설치된 일체형 (single-piece) 버튼 키(5 방향 커서 키)(13)를 가지며 중앙의 한 방향 및 주위의 4 방향을 포함하는 5 방향에 대한 방향 커맨드들을 입력할 수 있는 키 제어 장치를 갖는다. 키 제어 장치는 스위치(3)에 대응하는 그 중앙 영역의 중앙 볼록부(central convex part, 20) 및 스위치들(4 내지 7)에 대응하는 주변 영역의 볼록 환형부(convex annular part, 21)를 갖는다. 단면이 실질적으로 V 형상인 오목부(23)가 상기 두 영역들의 경계에 형성되어 중앙 영역과 주변 영역을 서로 분리시킨다. 키 제어 장치의 꼭대기부의 돌출부들 및 오목부는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각에만 기초하여 의도된 방향을 입력하기 위한 키를 찾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조작 버튼들이 파형 조작면(wavy manipulating surface)을 갖는 셀룰러 전화기가 제안되었다(2006년 K-tai Watch 편집실, K-tai Watch 웹사이트, "K-tai Watch, Wavy keys characteristic of W41CA", http://k-tai.impress.co.jp/cda/parts/image_for_link/113381-27904-12-1.html 참조).
그러나, 조작 버튼들이 파형 조작면을 갖는 셀룰러 전화기의 경우, 사용자에게 더 가까운 버튼들은 누르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그 파형 형상에도 불구하고 버튼들이 엄지 손가락에 가깝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일련의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하여 셀룰러 전화기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단말의 버튼을 연속하여 누르면, 누르는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에 긴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고통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성이 향상된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요컨대,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정보 처리 단말기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복수의 조작부들을 포함한다.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조작부들의 일 단부에 배치된 조작부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 상에, 일련의 돌출부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릿지를 갖는다. 릿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방식으로 복수의 조작부들의 다른 단부로부터 상기 일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릿지는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릿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처리 단말기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릿지는 상기 다른 단부로부터 상기 일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구부러진다.
바람직하게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에서, 릿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은 단면이 구부러지거나 또는 평평하다. 바람직하게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에서, 릿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은 단면이 점차 가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릿지의 일 단부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 중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 측부 에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릿지의 일 단부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 중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 측부 에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릿지의 일 단부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 중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 측부 에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조작부들의 로우들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일 단부에 배열된 복수의 조작부들의 조작면의 기울기는 조작부들 사이에서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조작부들의 상기 다른 단부에 배치된 조작부의 조작면 상에, 일련의 돌출부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른 릿지가 형성된다. 다른 릿지는 가상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방식으로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다른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릿지는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릿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처리 단말기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릿지는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다른 단부로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에서, 다른 릿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은 단면이 구부러지거나 평평하다.
바람직하게는, 누름 조작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에서, 다른 릿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은 단면이 점차 가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다른 릿지의 일 단부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 중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 측부 에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다른 릿지의 다른 단부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 중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 측부 에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다른 릿지의 다른 단부는,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 중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부 에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릿지 및 다른 릿지는 U 형상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조작부들은 숫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조작부들은 문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처리 단말기는 복수의 버튼들의 조작에 의한 문자 입력에 기초하여 문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에디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처리 단말기는 복수의 조작부들 중 어느 것에서든지의 누름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는 돌출부를 갖는다. 돌출부의 위치는 조작면 상에 형성된 릿지의 위치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는 릿지들이 형성되는 조작면을 가지므로, 단말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조작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조작면을 누르는 손가락에 가해지는 긴장은 손가락의 일 부분에 집중되지 않으므로, 손가락 피로감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이전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양태들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들과 연계된 본 발명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조작성이 향상되는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기술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표시되며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들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10)가 설명될 것이다. 셀룰러 전화기(10)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단말기 장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보 처리 단말기는 양손으로 잡고 왼손 및 오른손으로 따로따로 조작하는 게임 컨트롤러와 같은 단말기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셀룰러 전화기(1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셀룰러 전화기(10)는 하우징들(12 및 18), 하우징(12)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4), 및 하우징들(12 및 18)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16)를 포함한다. 하우징(18)은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의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키 버튼들(20, 22, 28 및 30), 디스플레이(14) 상에서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명령어의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커서 키(24), 및 디스플레이(14) 상의 항목을 확인하는 명령어의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입력 버튼(26), 및 매트릭스로 배열된 15개의 버튼들로 이루어지는 15-키 키패드(32)를 구비한다.
15-키 키패드(32)의 각각의 로우 내의 세 버튼들 중, 셀룰러 전화기(10)의 일 측(예를 들면, 좌측)에 가장 가까운 버튼(34)은 일련의 돌출부들로 형성되는 릿지(ridge)를 갖는다. 릿지는 상기 로우에 평행인 가상선(즉, 세 버튼들의 배열의 선)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셀룰러 전화기(10)의 타측(예를 들면, 우측)으로부터 상기 일 측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상기 타측(예를 들면, 우측)에 가장 가까운 버튼은, 일련의 돌출부들로 형성되는 릿지를 갖는다. 그 릿지 또한 상기 일 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의 가상선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연장한다.
버튼(36) 또한, 일련의 돌출부들로 형성된 릿지를 갖는다. 이 릿지는 실질 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셀룰러 전화기(10)의 정면으로부터 관찰하면, 버튼들(34, 35 및 36) 상의 릿지들은 U 형상처럼 보인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10) 상의 위치들이 정의될 것이다. 하우징(12)의 꼭대기부(13)는 셀룰러 전화기(10)의 꼭대기로 정의된다. 셀룰러 전화기(10)의 하우징들 내의 위치들은 종방향(100) 및 횡방향(110)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종방향(100)으로 연장하는 셀룰러 전화기(10)의 측부 에지들은 측부 에지들(120 및 130)로 정의된다.
도 1에서는 셀룰러 전화기(10)가 폴더형 셀룰러 전화기로 도시되지만, 셀룰러 전화기(10)가 폴더형 셀룰러 전화기가 아닌 경우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들이 정의될 수 있다.
횡방향(110)을 제1 방향으로 하면, 횡방향(110)에 직교하는 종방향(100)은 제2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셀룰러 전화기가 수평 방향으로 긴 조작부를 갖는다면, 셀룰러 전화기의 종방향이 제1 방향으로 정의되고, 횡방향은 제2 방향으로 정의된다.
15-키 키패드(32)는 각각의 로우 내의 3개 버튼들 및 각각의 컬럼 내의 5개 버튼들을 포함한다. 15-키 키패드(32)는 숫자 "0" 내지 "9"가 할당되는 소위 10-키 버튼들 및 기호 또는 문자가 각각에 할당되는 다른 버튼들을 포함한다.
셀룰러 전화기(10)가 문서 생성 기능(document creation function)을 가지면, 10-키 버튼들의 각각은 문자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문서 생성 기능은, 예를 들면, 이메일 메시지 또는 다른 문서들을 생성 및 편집하는 기능이다. 숫자 "1"이 할당되는 버튼이 "A 컬럼"(일본어의 "아(あ)행")에 할당된다. A 컬럼 내의 어느 문자가 선택되는 지는 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른다. 예를 들어, 버튼이 1회 눌러지면, 히라가나 문자 "아, 이, 우, 에, 오(あ,い,う,え,お) 중 "아(あ)"가 나타난다. 버튼이 2회 눌러지면, 히라가나 문자 "이(い)"가 나타난다. 유사하게 버튼이 5회 눌러지면, 히라가나 문자 "오(お)"가 나타난다. 버튼이 6회 이상 눌러지면, "A 컬럼"의 히라가나 문자 "아(あ)" 및 후속하는 히라가나 문자들이 다시 나타난다. 다른 문자들에 관하여는(예를 들면, "KA 컬럼"("가"행) 및 "SA 컬럼"("사"행)), 동일한 방식으로 문자들이 입력된다.
입력될 수 있는 문자들은 히라가나 문자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본어의 가타가나 문자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될 수 있는 문자들은 일본 문자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알파벳 문자들 또는 다른 유럽 또는 아시아 문자들 등이 입력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복수의 문자들이 각각의 버튼과 연관되며, 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그 복수의 문자들 중 하나가 입력된다.
마침표, 쉼표 및 다른 기호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특히, 입력될 복수의 기호들은 어느 한 버튼에 할당된다. 각각의 기호는 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선택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셀룰러 전화기(10)가 문서 생성의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 셀룰러 전화기(10)의 사용자는 버튼의 누름 횟수를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버튼만을 이용하여 복수의 문자들, 기호들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당업자는 셀룰러 전화기(10)의 문서 생성 기능 및 다른 문자 입력 기능들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기능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도 2는 하우징(1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하우징(18)에 설치된 15-키 키패드(32)의 각각의 버튼은 릿지된 조작면(ridged manipulating surface)을 갖는다. 용어 "조작면"은 숫자 등이 프린트되고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는 표면을 의미한다.
버튼들의 로우에서, 가장 좌측에 설치된 버튼은 버튼의 우측 에지로부터 직교하여 연장하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버튼의 우측 에지로부터 좌측 에지로 연장하는 릿지를 갖는다. 로우에 배열된 버튼들의 릿지들은 U 형상을 구성한다. 릿지들의 꼭대기는 모서리가 깎여있다(chamfered). 모서리를 깎는 것은 버튼을 누르는 손가락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킨다. 또한, 복수의 문자들 또는 기호들을 입력하기 위하여 여러 버튼들이 눌러지는 경우, 모서리를 깎는 것은 손가락이 15-키 키패드(32)의 조작면 상에서 부드럽게 이동하게 해준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셀룰러 전화기(10)의 버튼들의 구조가 더 설명될 것이다. 도 3a는 하우징(18)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18) 상의 15-키 키패드(32)의 버튼들 중 하나인 버튼(48)에 관하여는, 버튼(48) 상의 릿지가 버튼(48)의 좌측 에지(42)에 도달한다. 릿지는 버튼(48)의 우측 에지(41)로부터 좌측 에지(42)로 연장하면서 구부러진다. 특히, 릿지는 커서 키(24)를 향하여 구부러진다. 즉, 릿지는 버튼(48)을 포함하는 이 로우 내의 버튼들의 배열의 선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구부러진다.
본 실시예에서, 용어 "우측" 및 "좌측"은 셀룰러 전화기(10)가 그 정면으로 부터 관찰될 때의 "우측" 및 "좌측"을 의미한다.
릿지는 이 방식으로 구부러지므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셀룰러 전화기(10)를 잡고 있을 때, 커서 키(24)로부터 버튼(48)으로 이동하는 손가락이 버튼(48)에서 멈추는 것을 확실히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우발적으로 다른 버튼(예를 들면, 버튼(49))을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버튼(48)을 포함하는 로우의 가장 우측에는 버튼(38)이 설치된다. 버튼(38)은, 조작면 상에, 버튼(38)의 좌측 에지로부터 우측 에지로 연장하면서 구부러지는 리지를 갖는다. 특히, 릿지는 커서 키(24)로부터 과도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커서 키(24) 주위에서 구부러진다. 즉, 릿지는 버튼(48)을 포함하는 이 로우 내의 버튼들의 배열의 선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구부러진다.
릿지가 이 방식으로 구부러지므로, 사용자가 왼손으로 셀룰러 전화기(10)를 잡고 있을 때, 커서 키(24)로부터 버튼(38)으로 이동하는 손가락이 버튼(38)에서 멈추어지는 것을 확실히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우발적으로 다른 버튼(예를 들면, 버튼(39))을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셀룰러 전화기(10)를 조작하고 있을 때, 엄지 손가락은 버튼(38)의 구부러진 릿지에서 멈추어 진다. 엄지 손가락은 버튼(38)을 넘어서 이동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신속하게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릿지의 형상은 도 3a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된 버튼들(48 및 38)의 구부러진 형상 대신, 릿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릿지가 버튼(48)의 좌측 에지(42)로 연장하면서, 릿지의 종료점은 이 버튼(48)의 좌측 에지 상에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료점은 버튼(48)의 코너(40)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릿지는 버튼(48)의 좌측 에지(42)에 가까운 상측 에지(43)에서 종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측(upper)"은 셀룰러 전화기(10)가 그 정면으로부터 관찰되는 경우의 상측을 의미한다. 즉, 용어 "상측"은 셀룰러 전화기(10)를 수직 자세로 잡고 있을 때의 셀룰러 전화기(10)의 꼭대기를 의미한다.
15-키 키패드(32)의 다른 버튼들은 유사하게 구성된다. 15-키 키패드(32)의 가장 우측에 설치된 버튼들은 구조가 좌우 반전된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15-키 키패드(32)의 5개 로우들의 버튼들의 구부러진 릿지들은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구부러진 릿지들의 형상은 로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48)을 포함하는 로우 내의 버튼들의 구부러진 릿지들의 굴곡도(degree of curvature)는 버튼(50)을 포함하는 로우(즉, 하우징(18) 상에서 사용자에 가장 가까운 로우) 내의 버튼들의 구부러진 릿지들의 경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사용자가 셀룰러 전화기(10)를 잡을 때,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은 버튼(48)에 간신히 도달하여 누를 수 있는 한편, 사용자는 로우의 가장 좌측에 위치된 버튼(46) 또는 버튼(50)을 누르기 위해서는 엄지 손가락을 구부려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에 가장 가까운 버튼들의 구부러진 릿지들은 보다 급격히 구부러지므로, 15-키 키패드(32)의 연속적인 누름으로 인한 엄지 손가락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구부러진 릿지의 형상은, 예를 들면, 15-키 키패드(32)의 각각의 버튼의 사이즈에 의하여 결정된다. 어구 "버튼의 사이즈"는 버튼이 직사각형인 경우 버튼의 수직 길이 및 수평 길이를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어구는 누름 방향에서 관찰된 버튼의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형상은 셀룰러 전화기(10)의 잠재적인 사용자들의 평균 엄지 손가락 사이즈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엄지 손가락 사이즈는 사용자들의 세대들 간에 상이할 수 있으므로(예를 들면, 아이들과 어른 사이), 그러한 차이점은 구부러진 릿지의 형상에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셀룰러 전화기(10)의 의도된 사용자가 젊은이라면, 굴곡도는 어른을 위한 셀룰러 전화기(10)의 경우보다 더 높을 수 있다.
15-키 키패드(32)의 각각의 로우의 3개 버튼들 중(예를 들면, 숫자 "1" 내지 "3"이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들), 가장 좌측의 버튼(예를 들면, 숫자 "1"이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들) 및 가장 우측의 버튼(예를 들면, 숫자 "3"이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은 전술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릿지들을 갖는다.
그러나, 그들 사이의 버튼(예를 들면, 숫자 "2"가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은 구부러진 릿지 또는 곧은 릿지를 가질 수 있다. 릿지가 구부러져 있다면, 릿지는, 예를 들면, 셀룰러 전화기(10)의 종축 중심선 상의 한 점에 중심을 둔 호(arc)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버튼 상의 릿지는 버튼의 조작면을 균등하게 분할하도록 위 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릿지로부터 버튼의 상측 에지(커서 키(24)에 더 가까운 에지)까지의 거리는 릿지로부터 버튼의 하측 에지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라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의 측면으로 셀룰러 전화기(10) 상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도, 엄지 손가락의 측면과 릿지 위의 버튼의 조작면의 영역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셀룰러 전화기(10) 상의 버튼이 신뢰성 있게 눌러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로우 내의 3개 버튼들의 릿지들은 하나의 가상점에 중심을 둔 호의 부분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좌측 및 우측 버튼들은 하우징(18)의 코너들과 형상이 유사한 구부러진 릿지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18)의 코너들은 셀룰러 전화기(10)를 잡고있는 사용자에 더 가까이 있는 코너들이다. 이런 경우라면, 버튼들의 조작성의 향상 및 사용자 손가락의 부담 감소 이외에, 셀룰러 전화기(10)는 버튼들의 조작면들의 형상과 하우징(18)의 코너들의 형상 사이의 조화로 인해 독특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15-키 키패드(32)의 각각의 로우의 버튼들의 릿지의 굴곡도는 다른 로우들의 굴곡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른 로우들의 굴곡도와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버튼들(48, 49 및 46)의 굴곡도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릿지의 굴곡도가 로우들마다 상이한 경우, 예를 들면, 커서 키(24)에 더 가까이 설치된 버튼(48) 상의 릿지의 굴곡도(소위 R-치수(dimension))는 커서 키(24)로부터 가장 멀리 설치되어 있는 버튼(46)의 릿지(44)의 굴곡도 보다 더 클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손가락(엄지)이 버튼(48)과 접촉하게 되거나 버튼(48)에 서 멈추는 것이 확실하게 되어, 버튼(48)은 약한 누름 조작의 경우에도 신뢰성 있게 눌러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굴곡도들은 반대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굴곡도에 의존하는 버튼들의 기울어진 면의 기울기 정도는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릿지 위의 버튼(48)의 상측 영역의 기울기는 릿지 위의 버튼(46)의 상측 영역의 기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하우징(18)의 바닥 단부(사용자에 가까운 단부)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48)은 하나의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3b는 A-B 선을 따라 취해진 하우징(18)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15-키 키패드(32)의 각각의 버튼의 꼭대기(apex)는 셀룰러 전화기(10)의 하우징(18)의 표면 상에서 연장하는 가상선(300)으로부터 우묵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셀룰러 전화기(10)가 폴더형이거나 또는 하우징(18)의 조작면을 보호하기 위한 슬라이드 커버를 갖는 경우, 15-키 키패드(32)는 다른 하우징이나 커버로 하우징(18)의 조작면을 덮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런 구성에서, 도 3a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버튼들의 각각의 로우의 가장 좌측 및 가장 우측에 있는 버튼들은 하우징(18)에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릿지된 단부를 갖는다. 그 결과, 버튼들은 셀룰러 전화기(10)의 사용자의 손가락(특히, 엄지 손가락)과 접촉하기가 더 쉽게 되어, 하우징(18) 상의 15-키 키패드(32)가 오목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도 15-키 키패드(32)의 버튼들 사이의 갭들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버튼의 조작면이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숫자 "4"가 프린 트되어 있는 버튼(47)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특히, 정면으로부터 관찰될 때, 버튼(47)의 조작면(480)은 직사각형이다. 조작면(480)은 측부 에지들(410, 420, 430 및 440)을 갖는다. 측부 에지들(410 및 420)은 셀룰러 전화기(10)의 종축 방향(100)으로 연장한다. 측부 에지들(430 및 440)은 셀룰러 전화기(10)의 횡방향(110)으로 연장한다. 조작면(48)은 볼록면이며, 조작면(48) 상의 일련의 돌출부들은 릿지(470)를 형성한다. 릿지(470)는 단부(450)와 단부(460) 사이에서 연장한다. 단부(450)는 측부 에지(410) 상에 위치된다. 단부(460)는 측부 에지(420) 상에 위치된다. 릿지(470)는 횡방향(110)으로 연장하는 가상선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단부(460)로부터 단부(450)로 연장한다.
도 5는 도 3b에 도시된 하우징(18)의 단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15-키 키패드(32)의 버튼(50)은 조작면 상에서 꼭대기(56)를 갖는다. 버튼(52)은 유사한 꼭대기를 갖는다. 버튼(50)의 조작면의 코너들(54 및 58)은 모서리가 깎여 있으며 부드럽게 구부러진다(즉, 큰 R을 형성함).
15-키 키패드(32)의 버튼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힘을 받기 위한 패드(60)가 15-키 키패드(32)의 후면에 설치된다. 패드(60)는 예를 들면, 수지(resin)로 만들어진다. 패드(60)는 돌출부들(62 및 64)을 갖는다. 돌출부(62)는 버튼(50)에 가해진 누름 부하를 접촉 감지부(66)에 전달한다. 유사하게, 돌출부(64)는 버튼(52)에 가해진 누름 부하를 접촉 감지부(68)에 전달한다.
접촉 감지부(66 및 68)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들이다. 접촉 감지부(66 또는 68)에 의하여 감지된 누르는 힘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하우징(18)에 설치된 제어 기판(70)에 전달된다.
제어 기판(70)은 누르는 힘에 의하여 결정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처리는 문서의 생성 및 편집일 수 있다. 셀룰러 전화기(10)의 동작 모드가 이메일 생성 모드이면, 특정의 숫자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문자가 입력된다. 즉, 누르는 힘은 누름의 횟수에 따른 문자를 나타내는 신호로 변환되며, 그 신호는 제어 기판(70)에 전달된다. 셀룰러 전화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는 제어 기판(70)에 전달된 신호들에 의하여 표현된 문자들의 입력을 연속적으로 받아들인다.
그러한 구성에서, 버튼(50)의 꼭대기(56)는 적어도 돌출부(62)와 접촉 감지부(66)를 연결하는 가상선 상에 위치된다. 다른 버튼들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한 구성으로, 15-키 키패드(32)의 각각의 버튼은 릿지를 형성하는 기울어진 면을 갖지만, 버튼을 누르는 것이 정확히 감지될 수 있으며 감지의 결과는 신뢰성 있게 제어 기판(70)에 전달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10)에서, 15-키 키패드(32)는 조작면 상에 릿지를 갖는 버튼들을 갖는다. 가장 좌측 컬럼 및 가장 우측 컬럼 내의 버튼들 상의 릿지들이 구부러진다. 따라서, 셀룰러 전화기(10)의 사용자가 연속으로 셀룰러 전화기(10) 상의 버튼들을 누르는 경우에도, 잘못된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오류 동작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구부러진 릿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의 끝(측부 포함)에 보다 용이하게 합치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오랜 시간 동안 버튼들을 누르 는 경우에도, 손가락의 긴장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각의 버튼 상의 릿지의 꼭대기와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15-키 키패드(32)의 조작면을 관찰하지 않고 터치 타이핑에 의하여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셀룰러 전화기(10)의 조작성 또는 사용자 친근성이 향상된다.
<제1 변형예>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1 변형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6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500)의 하우징의 조작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셀룰러 전화기(500)는 15-키 키패드(510)를 가지며, 그 조작면의 구성은 15-키 키패드(32)의 경우와는 상이하다.
특히, 버튼(520) 상의 릿지(530)는 버튼(520)의 하측 에지로부터 버튼(520)의 좌측 에지로 연장된다. 용어 "하측 에지"는 직사각형 조작면을 갖는 버튼(520)을 그 정면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하측 에지를 의미한다.
그러한 구성으로, 릿지(53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10)의 릿지보다 더 짧다. 그러나, 버튼(520)의 좌측을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손가락이 버튼(520)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릿지(530)에 의하여 구분된 버튼(520)의 조작면의 영역들 중, 커서 키(24)에 더 가까운 영역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도 4 참조), 릿지(530)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15-키 키패드(510)의 가장 우측에 설치된 버튼은 전술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전화기(500)의 버튼(520)과 손가락 사 이의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셀룰러 전화기(500)의 사용자의 촉감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변형예>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2 변형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7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600)의 하우징의 조작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셀룰러 전화기(600)는 15-키 키패드(610)를 갖는다. 15-키 키패드(610) 상에서, 하우징의 좌측에 더 가까이 설치된 버튼(620)은 릿지(630)를 갖는다. 다른 버튼들은 유사한 릿지를 갖는다. 릿지(630)는 버튼을 포함하는 로우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부분 및 구부러진 부분 갖는다. 이 경우, 릿지(630)로부터 커서 키(24)를 향하여 연장하는 버튼(620)의 조작면의 한 영역은 기울어진다. 릿지(630)는 버튼들(620)의 꼭대기를 형성한다. 이 방식으로 형상화된 릿지를 갖는 버튼(620)도 셀룰러 전화기(600)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용이하게 합치한다.
<제3 변형예>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3 변형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8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700)의 하우징의 조작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셀룰러 전화기(700)는 15-키 키패드(710)를 갖는다. 15-키 키패드(710) 상에서, 하우징의 좌측에 더 가까이 설치된 버튼(720)은 릿지(730)를 갖는다. 다른 버튼들(숫자들 "1", "4" 및 "7" 및 별표 "*"가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들)은 유사한 릿지를 갖는다.
릿지(730)는 두개의 직선 부분들을 포함한다. 릿지(730)를 형성하는 꼭대기 는 모서리가 깍여진다. 도 8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5-키 키패드(710)의 버튼들 상에 형성된 릿지들은 반전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한편, 15-키 키패드(710)의 가장 우측 컬럼에 설치된 버튼들(그 조작면 상에 "text", "3", "6", "9" 및 "#"이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들)은 셀룰러 전화기(700)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릿지(730)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릿지를 갖는다. 각각의 버튼은 릿지로부터 연장하는 기울어진 면을 갖는다. 예를 들면, 릿지(730)로부터 커서 키(24)를 향하여 연장하는 기울어진 면은 셀룰러 전화기(700)의 커서 키(24)를 통과하는 가상선 상의 한 지점에 중심을 둔 구부러진 표면이다. 따라서, 셀룰러 전화기(700)의 사용자의 손가락과 기울어진 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손가락과 통상의 평평한 조작면 사이의 접촉 면적보다 더 크므로, 손가락의 긴장이 감소된다.
<제4 변형예>
도 9는 본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15-키 키패드의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버튼들은 조작면이 구부러지는 점에서 15-키 키패드(32)의 버튼들과는 상이하다.
특히, 버튼(910)의 조작면(912) 및 버튼(920)의 조작면(922)은 구부러진 면들이며, 그 단면들은 구부러진 선들이다. 그러한 구성으로, 버튼을 누를 때, 손가락의 끝은 보다 쉽게 버튼과 접촉하며, 버튼은 보다 신뢰성 있게 눌러진다.
<제5 변형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15-키 키패드의 단면 도를 도시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버튼들은 조작면들의 기울기가 로우마다 다르다는 점에서 15-키 키패드(32)의 버튼들과는 상이하다.
특히, 버튼(1010)의 조작면(1012)의 기울기는 버튼(1020)의 조작면(1022)의 기울기보다 더 크다. 이 경우, 셀룰러 전화기의 사용자는 기울기 차이에 기초하여 버튼들의 위치들을 쉽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오류 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멀리 설치된 버튼들(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숫자 "1", "2" 및 "3"이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들)의 조작면들의 기울기가 사용자에 가까이 설치된 버튼들(예를 들면, 숫자 "7", "8" 및 "9"가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들)의 조작면들의 기울기보다 더 작은 경우, 조작면들의 돌출 정도(degree of protrusion)의 차이는 사용자가 사용자로부터 멀리 있는 버튼들을 쉽게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거나 사용자로부터 멀리 있는 버튼들에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버튼들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10)의 특정 구성이 기술될 것이다. 도 11은 셀룰러 전화기(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셀룰러 전화기(10)는 안테나(1108), 통신장치(1102), 조작 버튼들(1120), 카메라(1140), 플래시 메모리(1144), RAM(1146), 데이터 ROM(1148), 메모리 카드 구동장치(1180), 산술 처리를 수행하는 CPU(1110), 사운드 신호 처리 회로(1170), 마이크로폰(1172), 스피커(1174), 디스플레이(14), LED(light emitting diode, 1176),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I/F)(1178), 및 바이브레이터(1184)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1182)가 메모리 카드 구동장치(1180)에 장착될 수 있다.
안테나(1108)에서 수신된 신호는 통신장치(1102)를 경유하여 CPU(1110)에 송신된다. CPU(1110)는 신호를 사운드 신호 처리 회로(1170)에 전송한다. 사운드 신호 처리 회로(1170)는 신호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신호를 스피커(1174)에 출력한다. 스피커(1174)는 신호에 기초한 사운드를 출력한다.
마이크로폰(1172)은 셀룰러 전화기(10) 내로의 음성을 수신하고 그 음성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사운드 신호 처리 회로(1170)는 신호에 기초한 변환을 위한 미리 정해진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신호를 CPU(1110)에 송신한다. CPU(1110)는 신호를 송신 신호로 변환하고 송신 신호를 통신 장치(1102)에 송신한다. 통신장치(1102)는 안테나(1108)로부터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셀룰러 전화기(10)의 사용자는 회선의 다른 단에 있는 사람과의 대화로 들어갈 수 있다.
카메라(1140)는 조작 버튼들(1120)의 조작에 응하여 물체의 사진을 찍으며 사진을 찍어서 획득된 신호를 CPU(1110)에 송신한다.
플래시 메모리(1144)는 CPU(11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CPU(1110)는 플래시 메모리(1144)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를 수행한다.
RAM(1146)은 조작 버튼들(1120)의 조작에 기초하여 CPU(1110)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데이터 ROM(1148)은 셀룰러 전화기(10)가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CPU(1110)는 데이터 ROM(1148)으로부터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셀룰러 전화기(10)가 미리 정해진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은 CPU(1110)가 에디터(1112)로서 기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 구동 장치(1180)는 메모리 카드(1182)를 수용한다. 메모리 카드 구동 장치(1180)는 메모리 카드(118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데이터를 CPU(1110)에 송신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 구동 장치(1180)는 CPU(11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1182)의 저장 영역에 기입한다.
사운드 신호 처리 회로(117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대화를 위해 사용된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CPU(1110) 및 사운드 신호 처리 회로(1170)는 함께 통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CPU(11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CPU(1110)가 플래시 메모리(1144)로부터 전화 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판독하면, 디스플레이(14)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전화 번호를 표시한다.
LED(1176)는 CPU(11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광을 방출한다. 예를 들면, LED(1176)가 복수 컬러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면, LED(1176)는 CPU(111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연관된 컬러의 광을 방출한다.
데이터 통신 I/F(1178)는 외부 통신 케이블의 접속을 받아들인다. 데이터 통신 I/F(1178)는 CPU(11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외부로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데이터 통신 I/F는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CPU(1110)에 송신한 다. 바이브레이터(1184)는 CPU(111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진동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CPU(1110)는 데이터 ROM(1148)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에디터(1112)로서 기능한다. 특히, CPU(1110)는 조작 버튼들(112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한 문자 입력을 받아들이고 이메일 메시지 또는 다른 문서들을 생성한다. 조작 버튼들(1120)은 15-키 키패드(32)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15-키 키패드(32)가 릿지들을 가지므로, 문자 입력 동안 사용자의 긴장이 감소될 수 있다. 셀룰러 전화기(10)의 기본 조작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반복하여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들은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기울어진 면들 및 릿지들을 갖는 15-키 키패드를 구비한다. 그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15-키 키패드의 버튼들을 누르는 경우, 손가락의 긴장이 감소된다. 특히,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복수의 버튼들을 눌러 문자들을 입력하는 경우 손가락 피로감이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15-키 키패드의 버튼들은 수지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수지의 종류는 기존의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경화 가능한 수지(curable resin)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15-키 키패드(32)의 각각의 버튼의 형상은 특정 길이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변경될 수 있다. 그 후, 수지에 특유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형상이 변경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라면, 셀룰러 전화기(10)의 버튼들을 누르는 방식에 관한 사용자의 특징이 버튼들의 형상에 반영되므로, 사용자에 대한 셀룰러 전화기(10)의 경화된 버튼들의 이용성(usability)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셀룰러 전화기 또는 다른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를 갖는 정보 처리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세부적으로 설명되고 예시되었지만, 그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한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용어들에 의하여 해석되는 점이 명백히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10)의 정면도.
도 2는 셀룰러 전화기(10)의 하우징(18)의 사시도.
도 3a는 하우징(18)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A-B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는 숫자 "4"가 프린트되어 있는 버튼(47)의 확대도.
도 5는 하우징(18)의 확대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500)의 하우징의 조작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600)의 하우징의 조작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700)의 하우징의 조작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15-키 키패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15-키 키패드의 단면도.
도 11은 셀룰러 전화기(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셀룰러 전화기 12: 하우징(housing)
14: 디스플레이 20: 키 버튼
24: 커서 키 26: 입력 버튼
44: 릿지 62: 돌출부

Claims (25)

  1. 정보 처리 단말기(10)로서,
    하우징(18); 및
    상기 하우징의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복수의 조작부들(32)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조작부들의 일 단부에 배치된 조작부는,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면 상에, 일련의 돌출부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릿지(ridge, 470)를 구비하며,
    상기 릿지의 양 단부는, 모두 상기 릿지가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의 조작면의 에지(410, 420)에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릿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선과 평행하지 않는 구부러진 부분(curved part)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작부들의 다른 단부로부터 상기 일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일 단부에 배치된 조작부의 릿지의 제1 단부(450)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평행한 에지(430 또는 440)와의 거리는, 상기 릿지의 제2 단부(460)와 상기 에지(430 또는 440)와의 거리와는 상이한, 정보 처리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4)를 더 포 함하며,
    상기 릿지는 상기 다른 단부로부터 상기 일 단부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구부러지는 정보 처리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에서, 상기 릿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은 단면이 구부러지거나 평평한 정보 처리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에서 상기 릿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연장하는 영역은 단면이 점차 가늘어지는(tapered) 정보 처리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상기 릿지의 일 단부(450)는,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410, 420, 430, 440) 중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측부 에지(410) 상에 위치되는 정보 처리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상기 릿지의 일 단부(460)는,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의 상기 측부 에지들 중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측부 에지(420) 상에 위치되는 정보 처리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상기 릿지의 일 단부(540)는,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의 상기 측부 에지들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부 에지(550) 상에 위치되는 정보 처리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들의 복수의 로우들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정보 처리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일 단부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조작부들의 상기 조작면의 기울기는 상기 조작부 사이에서 다른 정보 처리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일련의 돌출부들에 의하여 형성된 다른 릿지가 상기 복수의 조작부들의 상기 다른 단부에 배치된 조작부의 조작면에 형성되고, 상기 다른 릿지는 상기 가상선과 평행하지 않는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다른 단부로 연장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릿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단말 기.
  15. 제12항에 있어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릿지는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다른 단부로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에서, 상기 다른 릿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은 단면이 구부러지거나 평평한 정보 처리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에서, 상기 다른 릿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은 단면이 점차 가늘어지는 정보 처리 단말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상기 다른 릿지의 일 단부는,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 중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 측부 에지 상에 위치되는 정보 처리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상기 다른 릿지의 다른 단부는 상기 누름 동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의 측부 에지들 중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 측부 에지 상에 위치되는 정보 처리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상기 다른 릿지의 다른 단부는, 상기 누름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기 조작면의 상기 측부 에지들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 측부 에지에 위치되는 정보 처리 단말기.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 및 상기 다른 릿지는 U 형상을 형성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부들(32)은 숫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부들은 문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들의 조작에 의한 문자 입력에 기초하여 문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에디터(1112)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부들 중 어느 것에서든지의 상기 누름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감지부(6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위치는 상기 조작면 상에 형성된 상기 릿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
KR1020070116865A 2006-11-16 2007-11-15 정보 처리 단말기 KR101211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10454 2006-11-16
JP2006310454A JP4931561B2 (ja) 2006-11-16 2006-11-16 情報処理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787A KR20080044787A (ko) 2008-05-21
KR101211310B1 true KR101211310B1 (ko) 2012-12-11

Family

ID=3941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865A KR101211310B1 (ko) 2006-11-16 2007-11-15 정보 처리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19247A1 (ko)
EP (1) EP1950938A1 (ko)
JP (1) JP4931561B2 (ko)
KR (1) KR101211310B1 (ko)
CN (1) CN101272411B (ko)
TW (1) TWI4541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3080A1 (en) * 2008-02-27 2009-08-27 Ke Shen Lin Mobile phone with dialing keys of uneven surface
JP4848535B2 (ja) * 2008-10-01 2011-12-28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力インタフェース用ボタン、入力インタフェース及び携帯端末
US20120103772A1 (en) * 2009-07-10 2012-05-03 Nec Corporation Operation key and terminal device
US8780051B2 (en) * 2010-02-15 2014-07-1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JP5177173B2 (ja) * 2010-03-31 2013-04-03 奥村遊機株式会社 パチンコ機
JP5674407B2 (ja) * 2010-09-30 2015-0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TWI427657B (zh) 2011-05-05 2014-02-2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
CN102778925B (zh) * 2011-05-12 2016-06-2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5360A1 (en) * 2000-05-16 2002-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2269A (ja) * 1997-02-05 1998-08-21 Takashi Tanaka スイッチボタン及びそのスイッチボタンを用いたボタンパネル
TW446616B (en) * 1999-01-27 2001-07-21 Taisei Plastics Co Ltd 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1016977A1 (fr) * 1999-08-27 2001-03-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outon-poussoir et dispositif de commutation
GB2371020B (en) * 2000-12-29 2005-07-27 Nokia Mobile Phones Ltd A mobile telephone
US6947545B2 (en) * 2002-07-30 2005-09-20 John Elias Adams Number keypad corral
JP4155405B2 (ja) * 2004-03-24 2008-09-2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電話装置
US20060062626A1 (en) * 2004-09-22 2006-03-23 Symbol Technologies, Inc. Keypad ergonomics
US7574002B2 (en) * 2005-11-17 2009-08-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Mechanical key l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ATE455356T1 (de) * 2006-10-30 2010-01-15 Research In Motion Ltd Tastatur mit schräge betätigungsflächen aufweisenden tas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5360A1 (en) * 2000-05-16 2002-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31090A (ja) 2008-06-05
CN101272411A (zh) 2008-09-24
EP1950938A1 (en) 2008-07-30
JP4931561B2 (ja) 2012-05-16
CN101272411B (zh) 2012-11-14
TWI454122B (zh) 2014-09-21
TW200838261A (en) 2008-09-16
US20080119247A1 (en) 2008-05-22
KR20080044787A (ko)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310B1 (ko) 정보 처리 단말기
CA2489134C (en)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US9256295B2 (en) Outwardly decreasing height keys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eyboard
JP3708508B2 (ja) 指先触覚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情報端末
TW200529636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H05241705A (ja) キーボード
JP3964154B2 (ja) 携帯端末用の入力装置
EP207350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30011971A1 (en) Keyboard unit
US20090009472A1 (en)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JP4917114B2 (ja) ハンドヘルド無線通信デバイス用トラックボールソケット
US1006139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with keys having a ridged surface profile
KR100689515B1 (ko) 투명 키패드를 이용한 장치
JP2014041651A (ja) 操作キーおよび端末装置
JP2002023928A (ja) 数字及び文字入力装置
EP1538515B1 (en)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KR20070001447A (ko) 배면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WO2024116260A1 (ja) キーボード
WO2021075083A1 (ja) タイピング補助部材およびキーボード
KR100514542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EP2088496A1 (en) Narrow angular keyboard for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95509A1 (en) Narrow angular keyboard for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9139599A (ja) 切り換え機能付きキーボード及び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ー
JP2006079343A (ja) 携帯型情報端末
JP2009105634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520

Effective date: 2012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