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132B1 -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132B1
KR101210132B1 KR1020087003500A KR20087003500A KR101210132B1 KR 101210132 B1 KR101210132 B1 KR 101210132B1 KR 1020087003500 A KR1020087003500 A KR 1020087003500A KR 20087003500 A KR20087003500 A KR 20087003500A KR 101210132 B1 KR101210132 B1 KR 10121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ovable component
axis
nozzl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984A (ko
Inventor
세바스티안 그로스만
디에트리히 클링그레르
Original Assignee
베헤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헤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베헤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3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와 이를 갖는 환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출방향이 조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및 노즐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노즐의 유출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가동장치를 포함하고, 가동장치는, 기하학적인 제1축(X)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제1가동구성요소와, 기하학적인 제2축(Y)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유출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2가동구성요소, 및 제1가동구성요소 및 제2가동구성요소를 운영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구동장치는 구동장치를 제1운영방향으로 운영시킴에 의하여 제1가동구성요소가 움직이고 구동장치를 제2운영방향으로 운영시킴에 의하여 제2가동구성요소가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1가동구성요소 및 제2가동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VENTILATING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져 있고 승객실을 환풍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승용차 또는 트럭 내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승용차를 참조로 설명되나, 제시된 것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트럭, 보트, 모터사이클, 철도(rail vehicle) 또는 이와 유사한 차량들에 사용될 수 있다.
선행기술에서,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이러한 장치들은 노즐을 가지며, 노즐을 통하여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을 통하여 통과하는 공기의 유출방향이 다양하다는 것은 노즐 설계와 관련하여 알려진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선회가능한 박막(lamellae)에 의하여 또는 노즐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노즐에 대하여 선회가능한 덕트(duct)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설명에 참조의 방법에 의하여 포함되는 DE 103 39 339 A1은 자동차(motor vehicle)용 노즐을 개시한다. 자동차용 노즐은 두개의 플로우 덕트(flow ducts)를 구비하며, 그 중 하나는 이의 유출방향(outflow direction)이 조정가능하다.
선행기술에서, 상술한 박막 또는 덕트를 조정하기 위하여, 가동유닛(actuating unit)들이 제공된다. 여기서, 생성된 공기의 수평 및 수직 조정을 위하여 개개의 가동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선행기술에서 필수적이다. 유출방향의 정밀한 위치설정을 위하여, 각각의 경우에 2개의 가동유닛이 가동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 가동유닛들은 각각 노즐의 공기 출구 개구부의 측면으로 아래에 배치된 마디지어진(knurled) 바퀴(wheel)들이다.
또한, 노즐의 그릴(grille)에, 즉 노즐 내에 배치된 가동유닛들은 알려진 장치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지 하나의 가동장치를 가지고 수평 및 또한 수직방향 양자로 유출방향의 조정을 정의할 수 있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기초한다. 노즐의 작동은 이에 의하여 단순화되어야 한다.
이는 청구항1에서 청구된 장치와 청구항19에서 청구된 가동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이로운 실시예 및 개량들은 종속항들의 하부 대상이다.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유출방향이 조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노즐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장치는 노즐의 유출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공되다. 가동장치는 기하학적인 제1축(first geometric axis)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제1가동구성요소(first actuating element)와 기하학적인 제2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유출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2가동구성요소를 갖는다. 가동장치는 또한 두 개의 가동구성요소들을 운영하기 위한 구동장치(operating device)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장치는 제1운영방향으로 구동장치를 운영시킴에 의하여 제1가동구성요소가 움직이고, 구동장치를 제2운영방향으로 운영시킴에 의하여 제2가동구성요소가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가동구성요소 및 상기 제2가동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
유출방향은 노즐로부터 나타나는 공기가 노즐에 대하여 나타나는 미리 정의된 비율 또는 나타나는 공기의 주된 흐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노즐의 외측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구성요소는 특히 노즐의 하우징 외측 또는 노즐 외측의 주변방향으로 배치된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가동장치는 바람직하게 노즐의 상부 또는 아래 또는 측면에 배치된다.
제1가동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30도 정도의 각도와 같은 적어도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하학적인 제1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2가동구성요소는 제2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여기서 이 경우에, 제2가동구성요소는 제2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예를 들어 제2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방향들의 조합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두 개의 가동구성요소는 노즐의 유출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기능 한다. 구동장치는 특히 승용차의 운영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및 노즐의 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운영자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구동장치의 운영은 특히,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은, 회전, 이동, 가압 행동과 같은 가동(actuation)의 어떤 형태 또는 상기 가동들(actuations)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운영방향은 제2운영방향과 다른 운영방향이다. 서로 다른 운영방향에 대한 예들은 서로 다른 축에 대한 구(sphere)의 회전,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방향들 내에서 가동구성요소의 이동, 한 손으로(on the one hand) 가압 행동 또는 다른 손으로 가동구성요소의 회전 또는 슬라이딩,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이다.
제1운영방향에서 구동장치의 운영은 바람직하게 제1가동구성요소만의 이동을 야기하고, 반면에 제2운영방향에서 만의 구동장치의 운영은 제2가동구성요소만의 이동을 야기한다. 제1운영방향 내의 부품(component)과 제2운영방향 내의 부품 양자를 갖는 구동장치의 이동은 결과적으로 가동구성요소들 양자의 이동을 초래한다.
제1가동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 제1이동전달장치에 의하여 노즐에 결합되고, 제2가동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 제2이동전달장치에 의하여 노즐에 결합된다. 여기서, 이동전달장치들은, 예를 들어, 노즐의 출구 개구부에 마련된 박막(lamellae)에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노즐 내에 위치하는 상기 노즐의 덕트(duct)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가동구성요소들 중 하나만이 이동전달장치에 결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동전달장치는 한 본체의 이동을 다른 본체의 이동으로 전환하기에 적합한어떤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 좁은 관점으로, 상기 이동전달장치들은 이동을 직접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계적인 장치들이다. 더 넓은 관점으로, 상기 이동전달장치들은 본체의 이동에 의하여 기동되고 다른 본체를 움직이게 하는 모터들(motors), 자석들(magnets)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회전가능 또는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가동구성요소들 주위의 기하학적인 축들의 최단 간격(shortest spacing)은 제1축의 끝단들 사이의 제1지점으로부터 제2축의 끝단들 사이의 제2지점으로 연장한다. 이는 두 개의 기하학적인 축들이, 예를 들어, 같은 평면상에 또는 두 개의 축에 의하여 연결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돌출된 구동핀 내에 있을 수 있고, 서로 교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개의 축들은 서로에 대하여 평행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가동구성요소가 축에 대하여 회전되고 동일한 축 또는 상기 축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이동된다면 가능하다.
제1축과 제2축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가동구성요소는 제2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축과 제2축은 교차되는 공통지점을 가지고, 즉 이들은 공통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디자인에 의하여, 두 개의 가동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반구 또는 미리 정의된 구형 부분 상에 위치한 모든 지점들이 균일한 형태로 도달되는 것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노즐은 제1회전축에 대하여 선회가능한(pivotable) 제1플로우 덕트(first flow duct)를 갖는다. 상기 플로우 덕트는, 다각형 단면들과 같은 다른 단면들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제2회전축과 제1회전축이 특별히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우에, 제1플로우 덕트는 바람직하게 또한 제2회전축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다. 이는 제1플로우 덕트가 예를 들어 수직 및 수평과 같은 두 개의 수직한 방향들로 선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방법으로, 노즐로부터 나타나는(emerging) 공기의 유출방향은 수직방향으로 및 또한 수평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제1플로우 덕트는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가능한 적어도 2개의 부분들(sections)로 구성될 수 있고, 부분들은 서로에 대하여 수직인 축들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하게 선회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플로우 덕트는 바람직하게 제2플로우 덕트 내에서 실질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노즐은 특히 바람직하게 이동할 수 없는 제2플로우 덕트를 갖는다. 이는 제1, 내부 플로우 덕트 및 제1플로우 덕트의 주변 가장자리와 외부의 제2플로우 덕트의 주변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 양자를 공기가 관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 정확하게, 제2플로우 덕트는 상기 영역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 또는 내부, 플로우 덕트에 흐르는 공기는 바람직하게, 외부, 또는 제2, 플로우 덕트에 흐르는 공기가 소용돌이치는 동안, 내부 플로우 덕트 주위의 특히 나선형의 방식으로 가이드된(guided) 외부 공기 흐름으로 향하게 된다. 소용돌이 행동 때문에, 확산된 공기 흐름이 출구에서 발생된다.
노즐은 또한 복수부분(multi-part)으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두 부분 설계(design), 서로에 대응하도록 디자인된 두 개의 노즐 부분을 갖는, 각각의 경우에 제1 및 제2플로우 덕트를 갖는,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제1플로우 덕트는 이동가능하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복수의 노즐들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노즐은 선회가능한 박막(lamelle)을 갖는다. 상기 박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노즐의 출구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전달장치는 바람직하게 제1플로우 덕트에 연결된다. 이는 제1플로우 덕트가 가동장치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축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이동전달장치는 바람직하게 제1플로우 덕트에 연결된다. 이런 방법으로, 플로우 덕트는 가동장치로 양 축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이 달성된다. 그러나 이동전달장치를 박막에 연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이런 방법으로 제1플로우 덕트의 및 박막의 이동의 조합에 의하여 공기 출구 방향을 변화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가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구성요소가 관절로(articulatedly) 연결된 프레임을 갖는다.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가동구성요소들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에 대하여 90도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전달장치는 특별한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동구성요소에 연결된다. 가동구성요소들의 이동이 노즐 내에서 플로우 덕트의 또는 박막의 이동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이동전달장치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가동구성요소에 연결되며, 특히 바람직하게 관절연결에 의하여 연결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가동구성요소들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구성요소들(guide elements)을 가지며, 가이드 구성요소들은 특히 슬롯(slot)의 형태의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추가의 이동구성요소들은 상기 가이드 구성요소들 안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바람직하게 구동핀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 가이드 구성요소들 내에서 운영되는 구동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핀은, 예를 들어, 두 개의 가동장치들의 가이드 레일들(guide rails) 또는 가이드 간격들(guide gaps) 내에서 운영되는 핀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일 수 있다.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구동장치는 실질적으로 구형의 디자인을 갖는다.
양자택일적으로, 제어 레버(control lever)는 또한 두 개의 서로 다른 또는 임의의 방향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앞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장치를 위한, 가동장치를 지향하며, 가동장치는 기하학적인 제1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제1가동구성요소와, 기하학적인 제2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제2가동구성요소, 및 두 개의 가동구성요소들을 운영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장치는 구동장치를 제1운영방향으로 운영시킴에 의하여 제1가동구성요소가 움직이고 상기 구동장치를 제2운영방향으로 운영시킴에 의하여 제2가동구성요소가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가동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있다.
제1이동전달장치와 제2이동전달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관절에 의하여 노즐의 구성요소들 및 가동구성요소에 연결된 막대들(rods)이다. 그러나 이동을 전달하는 기어휠(gearwheel), 구동고무휠(driving rubber wheel)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동의 전달은 벨트,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터는 이동전달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런 모터들은 가동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제어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제어되어 이동을 노즐의 구성요소들로 전달한다.
발명은 또한 앞에서 상술한 형태의 장치를 갖는 차량용 환풍 시스템을 지향한다. 환풍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복수의 장치들, 즉 제어부들과 연관된 노즐들을 갖는다. 하나의 가동장치에 의하여 동시에 두 개의 노즐들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은 또한 앞에서 상술한 형태의 환풍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mortor vehicle)를 지향한다.
추가적인 장점들과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동장치를 나타내고;
도2는 도1에 따르는 가동장치의 확대도를 나타내며;
도3은 도1에 따르는 가동장치의 세부도면을 나타내는 추가 도면이고;
도4는 도1에 따르는 가동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동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6은 도1에 따르는 가동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7은 도1에 따르는 가동장치의 추가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8은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도면을 나타내며;
도9는 두개의 노즐을 갖는 환풍 시스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1은 발명에 따르는 가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가동장치는 축(X)(점선으로 도시됨)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거나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가동구성요소(23)를 갖는다. 제2가동구성요소(24)는 축(Y)(점선으로 도시됨)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거나 선회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두 개의 가동구성요소들(23, 24)은 구동핀(41)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핀(41)은, 아래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축(X)과 축(Y)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장치(26)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26)는 차량 내부 공간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다.
구동장치(26)가 도1과 같이 아래로 회전된다면, 이는 가동구성요소(23)가 위로 이동하는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장치(26)는 가동장치(20)의 링(28)에 의하여 유지되는 컬로트 셀(calotte shell)처럼 구체화될 수 있다.
오른쪽으로 구동장치(26)의 수평이동의 경우에, 구동핀(41)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도면번호 36은 이동전달장치(도1에 미도시)를 관절로 연결하기 위한 베어링(36)과 연관된다. 브래킷(31, 32)은 가동구성요소(23, 24)들을 장착하기 위하여 기능 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가동장치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구동장치(26)는, 중심에서, 핀(46)을 수용하기 위한 소켓(44)를 갖는다. 고정구성요소(43)는 구동장치(26)와 구동핀(41)(도3에 미도시)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가동구성요소(23)는 핀들(미도시)에 의하여 브래킷(31, 32)에 관절로 연결된다. 고정구성요소(32)에서 가동구성요소(24)의 상부단과 하부단의 관 절(articulation)은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발생 된다.
도면번호 33은 고정장치와 관련된다. 고정장치는 고정적으로 가동구성요소(23)에 연결되거나 또는 집합적으로 가동구성요소(23)를 형성한다. 고정장치는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장치(33)는, 아래에 설명된 것처럼, 구동장치(26)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기능 한다. 브래킷(31, 32)은 프레임(29)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동장치(20)의 추가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25는 베어링(35)에 의하여 가동구성요소(23)에 회전가능하도록 관절로 연결된 제1이동전달장치와 관련된다. 이동전달장치 그 자체는 고정된 디자인으로 가동구성요소(23)와 함께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이동전달장치(도3에 미도시)는 또한 가동구성요소(24) 상에 마련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동장치(2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4에 따르면, 구동핀(41)은 이의 중심에 위치한다. 구동핀(41)은 가동구성요소(23) 내에 배치된 수평 슬롯(38)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가동구성요소(24)의 수직 슬롯(39) 내에서 구동핀의 이동도 유사하게 가능하다. 가동구성요소(24)는 또한,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베어링(52)에 의하여 제2이동전달장치(27)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이동전달장치(27)는 관절구성요소(17)와 베어링(9)에 의하여 플로우 덕트(5)(미도시)에 결합할 수 있다. 제1이동전달장치(25)와 제2이동전달장치(27)의 적절한 형상에 의하여, 상기 이동전달장치들은, 두 개의 가동 구성요소들(23, 24)의 각각의 위치에 관계없이, 서로에 대하여 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전달장치(25)는 노즐로부터 나타나는 공기의 흐름방향의 수직 조정을 위하여 기능 하고, 이동전달장치(27)는 나타나는 공기(emerging air)의 수평 조정을 위하여 기능 한다.
도5는 가동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며, 즉 차량 내부 공간에서 운전자에 의하여 보여지는 도면이다. 실례가 되는 목적을 위하여, 그러나, 가동장치(20)와 같은 감춰진 구성요소들은 대쉬보드(dashboard)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형 디자인을 갖는 구동장치(26)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링(28)에 의하여 고정된다. 표지(51, markig)는 구동장치(26)에 부착되고, 표지(51)는 구동장치(26)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표지(51)가 링(28)의 중심에 위치한다면, 노즐의 흐름방향이 똑바로 정렬되거나, 또는 가동구성요소들(23, 24)이 중심위치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커로트 셀(calotte shell)과 같이 여기에 구체화된 구동장치는 투명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장치(26)의 발광을 허용할 수 있다. 구동장치(26)는 또한 발광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레버(lever)는 또한 커로트 셀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구동장치(26)를 회전함에 의하여, 운전자는 가동구성요소들(23, 24)을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노즐로부터 나타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작동할 수 있다.
도6은 축(X)과 축(Y)에 의하여 연결된 평면에 수직인 축(Z)과 축(X)에 의하 여 도 1에서와 같이 연결된 평면으로의 단면을 나타낸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26)는 구동핀(41)과 구동장치(26) 사이의 고정된 연결을 확고히 하기 위해 핀(46)이 결합되는 소켓(44)을 갖는다.
구동핀(41)과 핀(46)은 바람직하게 회전 본체(42) 상의 상부단과 하부단으로서 통합하여 배치된다.
회전 본체(42)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핀(34)이 돌출되어 관통하는 개구부(48)를 갖는다. 구동장치(26)는 가동구성요소(2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고정장치(33)에 대한 핀(34)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장치가 회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면번호 28은 구동장치(26)를 고정하기 위해 기능하는 링과 연관된다. 구동핀(41)이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슬롯(가동유닛의 일부)은 도면번호 38로 지칭된 영역에 배치된다.
도면번호 35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전달장치(25)가 관절로 연결된 베어링 장치와 관련된다.
도7은 축(Y)과 축(Z)에 의하여 연결된 평면으로의 단면을 나타낸다. 가동구성요소(24)는 브래킷(3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핀(65)에 의하여 장착된다. 도면번호 39는 제2가동구성요소(24)의 수직 슬롯과 관련된다. 상기 슬롯은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운영구성요소에 의하여 각도를 결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면번호 36은 베어링과 관련된다. 베어링은 가동구성요소(24) 상에 배치되고 연결핀(6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반대의 단(end)에서는, 헤드(head)를 갖는 핀(61)이 차례로 베어링(52)에 결합한다. 상기 베어링(52)은 이동전달장치(27)(도7에 미도시)의 구성부분이다.
도8은 후자에 의하여 가동되는 노즐(3)과 가동장치(20)의 전체적인 그림을 나타낸다. 구동장치(26)가 수평방향으로 가동된다면, 후자가 수평방향으로 슬롯 내에서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구성요소(23)는 구동핀(41)에 의하여 가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구동핀(41)은 제2가동구성요소(24)를 가동시키고 도1에 도시된 축(Y)에 대하여 그것을 회전시킨다. 상기의 회전의 결과로, 노즐의 수평조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이동전달장치(27)도 이동된다.
노즐(3)을 향하는 이동전달장치(27)의 단부는 샤프트(7, shaft)의 회전운동을 야기하는 회전판(rotary plate) 상의 베어링 장치(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배치된다. 사프트(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통으로 형성된 제1플로우 덕트(5)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플로우 덕트(5)만이 이동할 수 있고, 반면에 제2플로우 덕트(8)는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플로우 덕트(5)의 회전은 축(B)(점선을 표시됨)에 대하여 발생한다. 샤프트(7)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은 회전가능하도록 관절연결에 의하여 노즐의 하우징(6)에 관절로 연결된다.
구동장치(26)의 수직 운동의 경우에, 가동구성요소(24)는 가동되지 않고, 가동구성요소(24)의 수직슬롯 내에 구동핀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핀(41)은 제1가동구성요소(23) 만의 가동(actuation)을 야기한다. 가동구성요소의 이동은 이동전달장치(25)에 의하여 레버(14)로 전달된다. 레버(14)는 제2이동전달장치(2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핀(13)에 의하여 장착된다. 가동구성요소(23)에 의하여 발휘된 힘은 샤프트(15)를 통하여 제1플로우 덕트(5)에 전달되고, 구동장치(26)의 가동의 경우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플로우 덕트(5)가 이동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구동장치(26)가 이동하는 경우에, 가동구성요소(23)는 위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의 결과로써, 이동전달장치(25)는 또한 위로 이동하고, 차례로 핀(13)과 레버(14)에 의하여 샤프트(15)의 시계방향 회전을 야기한다. 샤프트(15)의 상기 시계방향회전의 결과로써, 샤프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적으로 배치된 갈래진 암(forked arm)도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플로우 덕트(5)는 관절로 연결된 디자인이고, 두 개의 인접한 실질적으로 속이 빈 원통형 부분들(10a, 10b)을 갖는다. 상기 부분들(10a, 10b)은 각각의 경우에 축(A)과 축(B)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다. 축(A)과 축(B)은 노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게(transversely) 배치되어 있다. 축(A)과 축(B)은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두 개의 부분(10a, 10b)이 앞서 언급한 축(B)에 대하여 선회하는 동안, 전방 부분(10b)만이 축(A)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선회 된다.
앞서 언급한 갈래진 암(16, forked arm)의 시계방향회전의 결과로써, 후방 부분(10a)은 위로 선회되고, 이러한 결과를 위하여, 하양의 수직 방향으로 구동장치의 가동은 또한 노즐의 부분(10b)의 -하향의- 선회운동을 야기한다. 반대로, 구동장치의 -상향의- 운동은 플로우 덕트(5)의 부분(10b)의 -상향의- 운동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갈래진 암(16)은 수직방향으로 이동의 전달을 제공한다. 갈래진 암(16)은 선회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법으로 가로지르는 굴 대(18)(transverse axle)를 고정하며, 가로지르는 굴대(18)는 제2부분(10b) 상에 마련된다. 갈래진 암(16)의 회전의 경우에, 상기 가로지르는 굴대(18)는 각각의 경우에 구동된다. 구동 행동(driving action)은 제2부분(10b)이 플로우 덕트(5)의 반대측 상의 관절(19) 및 추가의 관절(미도시) 주위의 제1부분(10a)에 대하여 이동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관절들은 도8의 가로지르는 굴대(18) 뒤에 배치되고, 갈래진 암(16)의 시계방향이동의 경우를 위하여, 부분(10b)은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되고, 이에 따라 관절(19)에 대하여 하향한다.
박막(11)이 유사하게 기울어지도록 이동전달장치(25)에 의하여 박막(11)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 또한 대안적으로 가능하다. 수직 방향으로 운영(run)되고 제2이동전달장치(27)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는 박막이 또한 마련될 수 있다. 나타나는 공기(emerging air)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수직 및 수평 박막의 조합이 고려될 수 있다.
언급된 것처럼, 노즐의 이동가능한 구성요소들의 제어는, 예를 들어 제1플로우 덕트 또는 박막(11)과 같이, 기어휠 제어부(gearwheel controller), 고무 또는 체인 구동(rubber or chain drives), 고무휠(rubber wheels)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가동구성요소(23)는, 그들의 이동에 의하여, 플로우 덕트(5) 또는 박막의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motor)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9는 두 개의 노즐(3)과 두 개의 가동장치(20)를 갖는 차량용 환풍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두 개의 노즐(3)의 제어는 각각의 경우에 연관된 가동장치(20)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동장치(20)와 노즐(3)은 서로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가동장치에 의하여 두 개의 노즐을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두 개의 노즐이 동시에 조정되기 위하여 두 개의 노즐은 적절한 막대(rod) 또는 이동전달장치에 의하여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실시예는, 자동차의 경우에, 공기의 흐름방향이 서로의 운전자와 동승자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9에 도시된 환풍시스템은 예를 들어 승용차 대쉬보드(dashboard)의 중앙영역에 사용될 수 있다. 대응하는 개개의 환풍 장치들은 추가적으로 자동차의 좌측 및 우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모든 특징들은 본 발명에 필수적이고, 이 특징들은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서도 신규하다.

Claims (20)

  1.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유출방향이 조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3); 및
    상기 노즐(3)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3)의 상기 유출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가동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장치(20)는, 기하학적인 제1축(X)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제1가동구성요소(23)와, 기하학적인 제2축(Y)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유출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2가동구성요소(24), 및 상기 제1가동구성요소(23) 및 상기 제2가동구성요소(24)를 운영하기 위한 구동장치(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동구성요소(23)와 제2가동구성요소(24)는 상기 구동장치(26)가 구동하는 방향에 따라 각각 작동하도록 상기 구동장치(2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구성요소(23)는 제1이동전달장치(25)에 의하여 상기 노즐(3)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가동구성요소(25)는 제2이동전달장치(27)에 의하여 상기 노즐(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동구성요소(24)는 상기 제2축(Y)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X)과 상기 제2축(Y)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X)과 상기 제2축(Y)은 교차되는 공통지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3)은 제1회전축(A)에 대하여 선회가능한(pivotable) 제1플로우 덕트(first flow duct, 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로우 덕트(5)는 제2회전축(B)에 대하여 선회가능한(pivot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A)과 상기 제2회전축(B)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이동할 수 없는 제2플로우 덕트(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로우 덕트(5)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플로우 덕트(8)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선회가능한(pivotable) 박막(lamella, 1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로우 덕트(5)에 제1 이동 전달장치(25) 또는 제2이동 전달 장치(27)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장치(20)는 상기 제1 및 제2가동구성요소(23, 24) 중 적어도 하나가 관절로(articulatedly) 연결된 프레임(2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동구성요소(23, 24)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이동 전달장치(25) 또는 제2이동 전달 장치(27)가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동구성요소(23, 24)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가이드 구성요소(38, 3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26)는 상기 가이드 구성요소 내에서 구동되는 구동핀(4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26)는 단면이 구형 디자인(spherical desig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19. 제1항에 기재된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를 위한 가동장치에 있어서,
    기하학적인 제1축(X)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제1가동구성요소(23);
    기하학적인 제2축(Y)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유출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2가동구성요소(24); 및
    상기 제1가동구성요소(23) 및 상기 제2가동구성요소(24)를 운영하기 위한 구동장치(26)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26)는 상기 구동장치(26)을 제1운영방향으로 운영시킴에 의하여 상기 제1가동구성요소(23)가 움직이고 상기 구동장치(26)를 제2운영방향으로 운영시킴에 의하여 상기 제2가동구성요소(24)가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가동구성요소(23) 및 상기 제2가동구성요소(2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장치.
  20. 제1항에 기재된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또는 제19항에 기재된 가동장치를 갖는 자동차(motor vehicle)용 환풍 시스템.
KR1020087003500A 2005-07-25 2006-07-25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KR101210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5248.0 2005-07-25
DE102005035248A DE102005035248A1 (de) 2005-07-25 2005-07-25 Vorrichtung zur Belüftung von Fahrzeu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984A KR20080033984A (ko) 2008-04-17
KR101210132B1 true KR101210132B1 (ko) 2012-12-07

Family

ID=3725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500A KR101210132B1 (ko) 2005-07-25 2006-07-25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71509A1 (ko)
EP (1) EP1910110B1 (ko)
JP (1) JP5067973B2 (ko)
KR (1) KR101210132B1 (ko)
AT (1) ATE443626T1 (ko)
DE (2) DE102005035248A1 (ko)
WO (1) WO2007012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00059U1 (de) * 2008-05-19 2008-12-2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düse
DE102008030828B4 (de) 2008-06-30 2010-04-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schiebevorrichtung für einen Röntgen-C-Bogen
DE102008033339A1 (de) * 2008-07-16 2010-01-21 Behr Gmbh & Co. Kg Luftausströmer mit Drallströmung und gerichteter Strömung
DE102010010399A1 (de) * 2010-03-05 2011-09-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Lüftungsdüse für den Fahrzeuginnenraum
US9341386B2 (en) * 2012-10-23 2016-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airflow outlet
JP6094366B2 (ja) * 2013-02-21 2017-03-15 豊田合成株式会社 ダンパ開閉装置
DE102014203511B3 (de) * 2014-02-26 2015-04-0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Luft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FR3088585B1 (fr) * 2018-11-16 2020-10-30 Faurecia Interieur Ind Aerateur de vehicule
JP7241617B2 (ja) * 2019-04-04 2023-03-17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DE102019119732B4 (de) * 2019-07-22 2023-11-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Personenanströmer und Kraftfahrzeug
US11724568B2 (en) * 2020-12-09 2023-08-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for vehicle interior surfa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7862A (ja) 2004-04-14 2005-10-27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9725A (en) * 1957-05-28 1961-01-31 Ford Motor Co Motor vehicle air register
JPS5115036U (ko) * 1974-07-19 1976-02-03
US6059652A (en) * 1997-12-16 2000-05-09 Summit Polymers, Inc. Register for a vehicle
US5947813A (en) * 1998-08-07 1999-09-07 Collins & Aikman Plastics, Inc. Double barrel air outlet assembly
US6159092A (en) * 1998-08-31 2000-12-12 Fickenscher America, L.L.C. Air vent having two coplanar vane sets
US6582293B1 (en) * 1999-11-01 2003-06-24 Andrew Siniarski Air vent damper apparatus
DE10057421B4 (de) * 2000-11-20 2006-01-1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Luftaustritt für Belüftungsanlagen
DE10111255A1 (de) * 2001-03-09 2002-09-12 Daimler Chrysler Ag Verstellbare Düse
JP4277172B2 (ja) * 2002-06-21 2009-06-10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DE20210038U1 (de) * 2002-06-28 2002-11-1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KG, 67677 Enkenbach-Alsenborn Luftaustritt
FR2844484B1 (fr) * 2002-09-13 2006-01-20 Bourbon Automobile Sa Aerateur, notamment pour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US6739968B1 (en) * 2002-11-08 2004-05-25 Collins & Aikman Products Co. Interchangeable air vent assembly and vehicles incorporating same
AU2003282717A1 (en) * 2002-11-08 2004-06-03 Collins And Aikman Products Co. Air duct outlets with remotely-located joystick louver controls
JP2004299461A (ja) * 2003-03-28 2004-10-28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レジスタおよび操作装置
DE10339339A1 (de) * 2003-08-25 2005-03-31 Behr Gmbh & Co. Kg Düs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6974377B2 (en) * 2004-02-05 2005-12-13 Collins & Aikman Products Co. Air duct outlets for inclined surfaces
US7455581B2 (en) * 2004-09-24 2008-11-25 Johnson Controls, Inc. Air duct outlets with remotely-located joystick louver controls
DE202005000794U1 (de) * 2005-01-18 2005-06-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Luftausströmer,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7862A (ja) 2004-04-14 2005-10-27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0110B1 (de) 2009-09-23
JP2009502609A (ja) 2009-01-29
US20080171509A1 (en) 2008-07-17
WO2007012454A1 (de) 2007-02-01
KR20080033984A (ko) 2008-04-17
EP1910110A1 (de) 2008-04-16
DE102005035248A1 (de) 2007-02-01
ATE443626T1 (de) 2009-10-15
JP5067973B2 (ja) 2012-11-07
DE502006004927D1 (de)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132B1 (ko) 차량을 환풍하기 위한 장치
JP3958030B2 (ja) 換気システム用エアベント
KR102598528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US8403734B2 (en) Vent control system
CN108215722B (zh) 用于调节机动车辆的细长型通风口的气流方向的装置
CN113306361B (zh) 用于车辆的通风装置
KR20210132040A (ko) 공기 분배 시스템의 에어 벤트 시스템의 복수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및 이러한 유형의 구동 유닛을 갖는 에어 벤트 시스템
US20160288614A1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two air distribution flaps of a heating and/or air-conditioning unit of a motor vehicle
KR20200043143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WO2013054594A1 (ja) 乗用車の空調装置
US20040171345A1 (en) Air-guiding appliance
CN113365861A (zh) 用于车辆的通风口
KR20200017069A (ko)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WO2023035813A1 (zh) 一种出风口装置和车内出风系统
US7217185B2 (en) Ventilating system
JP2009029186A (ja) 車両用空気吹出口装置
CN116945851A (zh) 一种仪表盘前除霜结构及车辆
KR20110037755A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294272B1 (ko)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JP3111992U (ja) 空調エア吹出口装置
KR100449833B1 (ko) 차량의 에어벤트
KR20010099847A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와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위한 작동 방법
JPH0641852Y2 (ja) 自動車の空気吹出部構造
JPH053015U (ja) 車両のサイドベンチレータ
CN217099615U (zh) 车用空调进风口结构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