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889B1 - 식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889B1
KR101208889B1 KR1020107008498A KR20107008498A KR101208889B1 KR 101208889 B1 KR101208889 B1 KR 101208889B1 KR 1020107008498 A KR1020107008498 A KR 1020107008498A KR 20107008498 A KR20107008498 A KR 20107008498A KR 101208889 B1 KR101208889 B1 KR 10120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drain
washing
wash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509A (ko
Inventor
미츠히로 오카자키
에이지 노자와
요시야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급수 호스 및 배수 호스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식기 세정기 본체 내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한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식기 세정기(100)는, 세정조(2)에 급수하는 급수 밸브(62)와 급수 밸브(62)를 갖는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입구체(63)에 일단이, 개폐 덮개(12)에 형성된 관통구멍부에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 출구체(64)로 구성된 급수 기구(60), 세정조(2)에 고착된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식기 세정기 본체(1)에 일단이 고착되고, 타단이 배수 연결 돌기구 (72)에 연결되는 배수 연결 받이구(73)로 구성된 배수 기구(70)를 구비하고 있고, 세정조(2)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 (73)가 연결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정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세정조 내에 수납된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정조를 식기 세정기 본체의 전방(정면)측으로 인출하는 구성의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시스템 키친 등에 조립되어 넣어진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정기는, 설겆이 대나 조리대의 하부, 또는 키친의 벽면에 수납되어 세정조가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식기 세정기에서는, 세정조 내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호스와,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호스가, 세정조와 세정기 본체 사이에 굴곡 자유롭게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 호스 및 배수 호스는, 세정조가 세정기 본체 내에 수납되었을 때에, 세정조와 세정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 「식기 세정기 본체와, 상방을 개구하여 식기를 수납하고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로부터 개략 수평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세정조와,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의 배면에 고정한 급수 밸브와, 상기 세정조에 고정한 배수 펌프와, 상기 급수 밸브에 접속하여 상기 세정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호스와, 상기 세정조 내의 세정액을 배수하는 배수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 또는 세정조의 배면에 호스 홀더를 회전 지지하고, 상기 급수 호스 또는 배수 호스 중, 적어도 배수 호스를 상기 호스 홀더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세정조의 인출 동작에 응하여 호스 홀더가 회전하고, 배수 호스를 견인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정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 312931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식기 세정기에서는, 인출 조작 및 압입 조작에 수반하여, 급수 호스 및 배수 호스가 굴곡을 반복하게 된다. 이것이, 급수 호스나 배수 호스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의 원인이 된다. 급수 호스나 배수 호스가 파손되면, 식기 세정기가 조립되어 넣어진 시스템 키친 등의 내부로 누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급수 호스 및 배수 호스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고, 그 스페이스 확보에 수반하여, 세정조의 소형화를 피할수가 없게 되거나, 세정조의 소정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세정기 본체의 대형화가 필요하게 되어, 설겆이대에 수납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등의 각종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급수 호스 및 배수 호스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식기 세정기 본체 내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한 식기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정기는, 앞면에 앞면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정기 본체와, 상부에 식기 수납구를 가지며,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에 수납되고, 상기 앞면 개구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상기 식기 수납구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개폐 덮개와, 상기 세정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기구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배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기구는, 상기 세정조에 급수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 밸브를 갖는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입구체에 일단이, 상기 개폐 덮개에 형성된 관통구멍부에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 출구체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 기구는, 상기 세정조에 고착된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에 일단이 고착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에 연결되는 배수 연결 받이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가 연결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정기는, 앞면에 앞면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정기 본체와, 상부에 식기 수납구를 가지며,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에 수납되고, 상기 앞면 개구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기구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배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기구는, 상기 세정조에 급수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 밸브를 갖는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입구체에 일단이 상기 세정조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부에,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 출구체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 기구는, 상기 세정조에 고착된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에 일단이 고착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에 연결되는 배수 연결 받이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출구체가,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가 각각 연결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정기에 의하면, 세정조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는 급수 출구체의 굴곡을 회피할 수 있어서, 급수 출구체의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급수 출구체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급수 출구체의 수리 등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긴 급수 호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정조와 식기 세정기 본체 사이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어, 세정조의 크기 및 식기 세정기 본체의 크기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정기에 의하면, 세정조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는 급수 출구체의 굴곡을 회피할 수 있어서, 급수 출구체의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급수 출구체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급수 출구체의 수리 등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세정조와 식기 세정기 본체 사이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어, 세정조의 크기 및 식기 세정기 본체의 크기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식기 세정기의 정면도.
도 2는 식기 세정기의 배면도.
도 3은 식기 세정기의 개략 종단면도.
도 4는 식기 세정기의 설치 상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키친의 사시도.
도 5는 세정조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의 시스템 키친의 사시도.
도 6은 급수 기구를 확대해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급수 기구의 다른 한 예를 확대해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급수 기구의 다른 한 예를 확대해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급수 기구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세정조 전체의 종단면도.
도 10은 세정조가 식기 세정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
도 11은 손잡이부분을 확대해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2는 급수 기구로부터의 누수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은 배수 기구로부터의 누수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는 제어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식기 세정기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식기 세정기(1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식기 세정기(100)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식기 세정기(100)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식기 세정기(1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을 포함하여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크기의 관계가 실제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이 식기 세정기(100)는, 가정 등의 시스템 키친(도 4 및 도 5 참조)에 설치되고, 세정조(2)를 식기 세정기 본체(1)의 전방측으로 인출하는(슬라이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세정조(2)가 식기 세정기 본체(1)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후단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급수 기구(60) 및 배수 기구(7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정기(100)의 앞면에는, 앞문(14)이 고착되어 있다. 이 앞문(14)의 상부에는, 배기구멍(17)과 손잡이(13)와 조작부(15)가 마련되어 있다. 배기구멍(17)은, 세정조(2) 내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13)는, 유저(일반 사용자나, 보수원, 작업원 등을 포함한다)가 세정조(2)를 전방측으로 인출하거나(도 5 참조), 인출한 세정조(2)를 후방측으로 밀어넣거나 할 때에 잡는 것이다. 조작부(15)는,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받아들이기 위한 것이다.
이 조작부(15)에는,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받아들이기 위한 각종 스위치(예를 들면, 식기 세정기(100)의 운전을 스타트시키거나, 일시정지시키거나 하는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22)나, 식기 세정기(100)에의 전원 공급을 ON/OFF 하는 전원 스위치(35) 등)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5)에, 운전 상황이나 온도?시간의 설정 내용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LED(light-emitting diode : 발광 다이오드)나, 액정 디스플레이, 형광관,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16)(도 14 참조)를 아울러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정기(100)를 배면측에서 보면, 식기 세정기 본체(1) 내에, 세정조(2)와 배수 펌프(77)와 급수관(61)과 급수 밸브(62)와 덮개 달아내림체(31)와 개폐 덮개(12)와 씰재(30)와 송풍기(20)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하류측에 배수 트랩(78)이 형성된 배수관(7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배수 트랩(78)은, 배수관(71)의 일부로서,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하류측에 형성함에 의해, 이 배수 트랩(78)에 항상 적당량의 배수를 모아 둘 수가 있고, 하수 등으로부터의 이취나 해충 등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세정조(2) 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화살표(a))과 세정수의 흐름(화살표(b))이 도시되어 있다.
식기 세정기 본체(1)는, 앞면에 앞면 개구부(1a)를 가지며,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식기 세정기(100)의 외곽을 구성하는 것이다. 세정조(2)는, 식사 등에서 사용된 식기나 컵 등등의 피세정물(3)을 수용하고, 피세정물(3)의 세정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세정조(2)는, 식기 세정기 본체(1)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방에 개구부(식기 수납구(18))가 형성되어 있고, 식기 세정기 본체(1)의 앞면 개구부(1a)를 통과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세정조(2)에는, 피세정물(3)을 재치하는 식기바구니(4)가 마련되어 있다.
온수 히터(7)는, 세정조(2) 내에 마련되어 있고, 세정조(2)를 순환하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것이다. 세정 펌프(8)는, 세정조(2)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 노즐(9)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킴으로써 세정조(2) 내에서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것이다. 회전 노즐(9)은, 세정조(2)의 저면에 회전 자유롭게 배설되고, 세정 펌프(8)에 의해 세정조(2) 내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이다. 배수 펌프(77)는, 세정조(2)의 저부 외측에 마련되어 있고,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를 식기 세정기(100)의 외부로 배수하는 것이다. 배수 펌프(77)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는, 배수관(71) 내를 도통하고, 배수 연결 돌기구(72) 및 배수 연결 받이구(73)를 통하여 외부에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수 연결 돌기구(72) 및 배수 연결 받이구(73)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송풍기(20)는, 식기 세정기 본체(1)의 후방측에서 세정조(2)의 외측에 마련되고, 피세정물(3)을 건조시키기 위한 공기를 순환시키게 되어 있고, 건조에 의한 배기는 앞문(14)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멍(17)을 거쳐 옥외로 방출된다. 급수 밸브(62)는, 식기 세정기 본체(1)의 후방측에서 세정조(2)의 외측 상부의 급수 입구체(63)에 마련되어 있고, 세정수가 되는 수도물을 급수관(61), 급수 입구체(63) 및 급수 출구체(64)를 통하여 세정조(2) 내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급수 밸브(62)는, 급수 입구체(63) 및 급수 출구체(64)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급수 밸브(62)를 급수 입구체(63) 및 급수 출구체(64)의 상류측에 마련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조(2)의 인출에 수반하여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와의 연결이 해제되어도, 그 연결부의 상류측에서 세정수의 공급을 멈추는, 즉 지수(止水)할 수가 있고, 급수 입구체(63)로부터 세정조(2) 내 이외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 본체(1) 내로 세정수가 적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 덮개(12)는, 세정조(2)의 식기 수납구(18)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것이다. 이 개폐 덮개(12)는, 개폐 덮개(12)를 매달고 지지하는 덮개 달아내림체(31)에 의해 상하로 가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에 상세히 기술하지만, 개폐 덮개(12)에는, 급수 출구체(64)의 일단(이하, 세정조 연결부(64a)라고 칭한다)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이 연결 부분을 관통구멍부로 하고 있다. 즉, 급수 출구체(64)는, 개폐 덮개(12)를 통하여 세정조(2)와 연통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씰재(30)는, 개폐 덮개(12)와 식기 수납구(18)의 테두리를 씰(seal)하는 것이다. 또한, 세정조(2)의 저부에는, 잔류 찌꺼기 등을 포집하는 찌꺼기 필터(57)가 마련되어 있다.
식기 세정기 본체(1)의 전방측 상부에는, 세정조(2)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는, 세정조(2)의 이동을 검출한 시점에서 그 정보를 제어 장치(23)에 보내게 되어 있다. 또한, 식기 세정기 본체(1)의 전방측 하부에는, 세정조(2) 내의 세정수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 검지 장치(5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 검지 장치의 검출 정보는, 식기 세정기 본체(1)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어 장치(23)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23)는, 앞문(14)과 세정조(2)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조작부(15)로부터의 유저 지시나 각 검지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세정 펌프(8)나 배수 펌프(77), 온수 히터(7), 송풍기(20), 급수 밸브(62) 등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도 14 참조). 이 제어 장치(23)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하면 좋다.
도 4는, 식기 세정기(100)의 설치 상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키친(15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세정조(2)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의 시스템 키친(150)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세정조(2)의 인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식기 세정기(100)는, 도 4에 예시하는 시스템 키친(150)의 일부에 조립되어 넣어져 이용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키친(150)은, 식기 세정기(100) 외에, 서랍(153)이나 도어(152), 세면대(154), 설겆이대(15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2)는, 그 양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레일(5)이 식기 세정기 본체(1)의 양측으로 고착된 가이드체(6)를 슬라이드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이드체(6)는, 식기 세정기 본체(1)의 양측면에 부착되고, 세정조(2)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레일(5)을 활주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레일(5)은, 세정조(2)의 양측면에 부착되고, 가이드체(6)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체(6)에 회전 롤러(도시 생략)를 복수 마련함으로써, 레일(5)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세정조(2)에는, 식사 등에서 사용된 식기나 컵 등의 피세정물(3)이 수용되고 있다.
우선, 유저는, 세정조(2)를 전방으로 인출한다. 그리고, 인출된 세정조(2)의 윗면에 형성된 식기 수납구(18)로부터, 더러워진 피세정물(3)을 세정조(2)에 착탈 자유롭게 삽입된 식기바구니(4)에 재치하고, 앞문(14)을 식기 세정기 본체(1) 내로 밀어넣어 세정조(2)를 식기 세정기 본체(1)에 수납한다. 이 때, 세정조(2)가 확실히 식기 세정기 본체(1)에 수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가 식기 세정기 본체(1)에 마련되어 있어서, 수납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는, 세정조(2)의 앞문(14)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는, 세정조(2)의 이동을 검출한 시점에서 그 정보를 제어 장치(23)에 보내, 제어 장치(23)에 급수 밸브(62)나 배수 펌프(77), 세정 펌프(8) 등의 각종 전기부품에의 전력 공급을 제어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6은, 급수 기구(6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에 의거하여, 이 실시의 형태의 특징 사항인 급수 기구(6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가 급수 기구(60)의 확대 단면도를, 도 6(b)가 급수 기구(60)의 분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기구(60)는, 급수 밸브(62)와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로 구성되어 있다. 급수 밸브(62)는, 급수관(61)과 급수 출구체(64)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급수 밸브(62)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입구체(63)와 연결하는 입구측 연결부(63b)와, 급수관(61)과 연결하는 급수관 연결부(63a)가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 입구체(63)에 마련되어 있다. 급수 출구체(64)는, 세정조 연결부(64a)가 개폐 덮개(12)에, 타단이 급수 입구체(63)에 부착되어 있다(이하, 출구측 연결부(64b)라고 칭한다).
급수 출구체(64)는, 개폐 덮개(12)의 상하이동에 수반하여 굴곡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연질재 등으로 구성하면 좋다. 즉, 급수 출구체(64)의 세정조 연결부(64a)를 개폐 덮개(12)에 부착하고, 세정조(2)에 직접 부착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 출구체(64)의 길이를 짧게 할 수가 있고, 세정조(2)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는 급수 출구체(64)의 굴곡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출구체(64)의 파괴 등의 수리 등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긴 급수 호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정조(2)와 식기 세정기 본체(1) 사이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좋다. 즉, 세정조(2)의 크기 및 식기 세정기 본체(1)의 크기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세정조(2)를 대형화하여도, 식기 세정기 본체(1)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세정조(2)에 수납된 더러워진 피세정물(3)을 세정 전에 적실 수가 있어서, 피세정물(3)에 부착한 잔반(殘飯)이나 찌꺼기 등을 위에서 아래로 씻어 흘리는 것이 가능해지고, 세정 효율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급수 출구체(64)를 연질재로 구성하여 두면, 개폐 덮개(12)를 원활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급수 기구(60)의 다른 한 예를 확대해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에 의거하여, 이 실시의 형태의 특징 사항인 급수 기구(60)의 다른 한 예(이하, 단지 급수 기구(60a)라고 칭한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급수 기구(60a)에서는, 개폐 덮개(12)의 하면측에 분산수 덮개(68)를 배치하고 있다. 이 분산수 덮개(68)에는, 다수의 세공이 형성되어 있고, 급수 출구체(64)로부터의 세정수를 세정조(2) 내의 전체에 살수 시킬 수가 있다. 또한, 분산수 덮개(68)는, 전방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하도록 개폐 덮개(12)의 하면측에 부착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 출구체(64)의 파괴 등의 수리 등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긴 급수 호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정조(2)와 식기 세정기 본체(1) 사이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좋다. 즉, 세정조(2)의 크기 및 식기 세정기 본체(1)의 크기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세정조(2)를 대형화하여도, 식기 세정기 본체(1)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세정조(2)에 수납된 더러워진 피세정물(3)을 세정 전에 적실 수가 있어서, 효율적으로 세정수를 세정조(2) 내의 전체에 공급할 수가 있고, 피세정물(3)에 부착한 잔반이나 찌꺼기 등을 위에서 아래로 씻어 흘리는 것이 가능해지고, 세정 효율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도 8은, 급수 기구(60)의 다른 한 예를 확대해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에 의거하여, 이 실시의 형태의 특징 사항인 급수 기구(60)의 다른 한 예(이하, 단지 급수 기구(60b)라고 칭한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급수 기구(60b)에서는, 급수 출구체(64)를 주름형상 모양의 호스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급수 출구체(64)로 급수 기구(60b)를 구성하여도, 세정조(2)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급수 출구체(64)의 굴곡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급수 기구(60a)의 특징 사항인 분산수 덮개(68)를 개폐 덮개(12)의 하면측에 배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급수 출구체(64)의 파괴 등의 수리 등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긴 급수 호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정조(2)와 식기 세정기 본체(1) 사이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좋다. 즉, 세정조(2)의 크기 및 식기 세정기 본체(1)의 크기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세정조(2)를 대형화하여도, 식기 세정기 본체(1)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세정조(2)에 수납된 더러워진 피세정물(3)을 세정 전에 적실 수가 있어서, 피세정물(3)에 부착한 잔반이나 찌꺼기 등을 위에서 아래로 씻어 흘리는 것이 가능해지고, 세정 효율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급수 출구체(64)를 주름형상 모양으로 구성하여 두면, 개폐 덮개(12)를 원활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급수 기구(60)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세정조(2) 전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세정조(2)가 식기 세정기 본체(1)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의거하여, 이 실시의 형태의 특징 사항인 급수 기구(60)의 한 예(이하, 단지 급수 기구(60c)라고 칭한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급수 기구(60c)에서는, 급수 출구체(64)의 세정조 연결부(64a)를 개폐 덮개(12)의 전방측에 부착하고, 급수 입구체(63)를 개폐 덮개(12)의 전방측까지 연장하여 마련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급수 입구체(63)의 입구측 연결부(63b)와 급수 출구체(64)의 출구측 연결부(64b)를 식기 세정기 본체(1) 내의 전방측에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급수 기구(60c)를 구성하여도, 세정조(2)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급수 입구체(63) 및 급수 출구체(64)의 굴곡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출구체(64)의 파괴 등의 수리 등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급수 입구체(63)를 식기 수납구(18)의 근방에 배치시키기 위해, 긴 급수 호스를 굴곡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과 함께, 세정조(2)와 식기 세정기 본체(1) 사이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좋다. 즉, 세정조(2)의 크기 및 식기 세정기 본체(1)의 크기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세정조(2)를 대형화하여도, 식기 세정기 본체(1)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세정조(2)에 수납된 더러워진 피세정물(3)을 세정 전에 적실 수가 있어서, 피세정물(3)에 부착한 잔반이나 찌꺼기 등을 위에서 아래로 씻어 흘리는 것이 가능해지고, 세정 효율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하면, 급수 출구체(64)의 세정조 연결부(64a)를 개폐 덮개(12)의 전방측에 부착하고, 세정조(2)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세정조 연결부(64a)를 세정조(2)의 후방측 상방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세정조(2)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급수 출구체(64)의 세정조 연결부(64a)로부터 적하하는 세정수를 세정조(2) 내로 낙하시킬 수가 있고, 세정조(2)의 내부로서 식기 세정기 본체(1)의 내부에 새는 일이 없다.
또한, 만일 급수 밸브(62)에 티끌 등이 부착하여, 급수 입구체(63)의 입구측 연결부(63b)로부터 극소량의 누수, 적하누수 등이 있어도, 확실히 세정조(2)에서 회수할 수가 있어서, 식기 세정기 본체(1) 내에의 적하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 기구(60a)의 특징 사항인 분산수 덮개(68)(후방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시킨 것)를 개폐 덮개(12)의 하면에 배치하여도 좋고, 급수 기구(60b)의 특징 사항인 주름형상 모양의 호스로 급수 출구체(64)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급수 출구체(64)를 연질재로 구성하거나 주름형상 모양으로 구성하거나 하여 두면, 개폐 덮개(12)를 원활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실시의 형태의 또 하나의 특징 사항인 배수 기구(70)에 관해 설명한다. 이 배수 기구(70)는, 세정조(2)에 고착된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식기 세정기 본체(1)에 고착된 배수 연결 받이구(73)로 구성되고, 세정조(2)의 인출에 수반하여,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세정조(2)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가 연결하고 있지만, 세정조(2)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수관(71)과 세정조(2)를 접속하는 배수 호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즉, 세정조(2)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굴곡하는 비교적 긴 배수 호스를 마련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호스의 파괴 등의 수리 등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배수 호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정조(2)와 식기 세정기 본체(1) 사이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세정조(2)의 크기 및 식기 세정기 본체(1)의 크기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세정조(2)를 대형화하여도, 식기 세정기 본체(1)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식기 세정기(100)는, 세정조(2)의 인출에 수반하여, 급수 밸브(62)에 의한 지수와, 배수 펌프(77)의 운전 정지와, 배수 연결 돌기구(72) 및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 해제를 연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세정조(2)를 식기 세정기 본체(1)로부터 인출할 때에, 배수 연결 돌기구(72) 및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이 해제됨과 함께, 급수 밸브(62)의 지수 및 배수 펌프(77)의 운전 정지가 실행되어, 세정조(2)의 외부에서 식기 세정기 본체(1) 내로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1은, 손잡이(13) 부분을 확대해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에 의거하여, 손잡이(13)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13)에는, 식기 세정기 본체(1)로부터 세정조(2)의 인출을 저지하는 출몰 자유로운 로크편(50)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편(50)은,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를 조작함과 함께, 세정조(2)의 인출을 로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로크편(50)은, 손잡이(13)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편(50)은, 손잡이(13)의 후방측의 단부에, 손잡이(13)에 대해 개략 직각을 형성하도록 세워져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크편(50)은, 손잡이(13)의 전방측의 단부가 올라감에 수반하여 내려가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13)를 부착하는 앞문(14)의 상방에는, 그 손잡이(13)를 부착하기 위한 오목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4a)의 윗면에는, 로크편(50)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부(14b)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기 세정기 본체(1)의 앞면 개구부(1a)의 윗면측에는, 로크편(50)의 일단을 계지하기 위한 돌기부(1b)가 마련되어 있다. 즉, 로크편(50)은, 구멍부(14b)를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고, 돌기부(1b)에 계지함으로서 세정조(2)의 인출을 로크함과 함께,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로 접촉하여 세정조(2)의 수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로크편(50)은, 손잡이(13)를 들어올림에 의해, 돌기부(1b)와의 계지 및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세정조(2)가 식기 세정기 본체(1)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편(50)의 선단부가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에 접촉하고, 세정조(2)가 식기 세정기 본체(1)에 수납되어 있다고 판단되도록 되어 있다(도 11(a)).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로크편(50)의 접촉 상태로 세정조(2)의 수납/인출을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저가 손잡이(13)를 잡으면, 손잡이(13)의 전방측의 단부가 들어올려지고, 로크편(50)의 선단부가 내려가,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로부터 떨어져, 세정조(2)가 식기 세정기 본체(1)로부터 인출되는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도록 되어 있다(도 11(b)). 그리고, 손잡이(13)의 로크가 해제되면, 세정조(2)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11(c)).
이와 같이, 세정조(2)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없게 하는, 즉 로크를 해제하고 나서 세정조(2)를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세정조(2)의 인출에 약간의 시간 확보가 가능해지고, 급수 밸브(62)와 배수 펌프(77)의 각각의 기능을 확실히 정지할 수가 있다. 특히, 배수 펌프(77)는, 전원 정지 후도 관성력이 작용하고 있어서, 회전의 완전 정지까지 약간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로크가 해제되고 나서 세정조(2)가 실제로 인출되기까지 소정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두면, 배수 펌프(77)의 기능을 확실히 정지하고 나서 세정조(2)가 인출되게 된다. 즉, 배수 기구(70)로부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2는, 급수 기구(60)로부터의 누수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에 의거하여, 급수 기구(60)로부터의 누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수단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도 12에서는,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의 연결 부분의 하방측에 급수 누수 받이체(65)를 마련한 경우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급수 출구체(64)의 세정조 연결부(64a)가,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12)의 관통구멍부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조(2)의 후방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부에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출구체(64)의 출구측 연결부(64b)의 내경은, 급수 입구체(63)의 입구측 연결부(63b)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이 출구측 연결부(64b)에 입구측 연결부(63b)가 삽입함으로써,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구측 연결부(63b)의 외연에는, 누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씰 패킹(67)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의 연결 부분의 하방측에는, 급수 누수 받이체(6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급수 누수 받이체(65)는, 전방측 단부가 세정조(2)의 후방 벽면에 부착되어 있고, 이 전방측 단부가 후방측 단부와 비교하여 하향으로 경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급수 누수 받이체(65)는, 후방측 단부가 출구측 연결부(64b)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급수 누수 받이체(65)의 전방측 단부가 부착되는 세정조(2)의 후방 벽면 부분에는, 급수 누수구(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급수 누수구(66)는, 세정조(2)의 후방 벽면을 관통하고, 급수 누수 받이체(65)와 세정조(2)를 연통하는 것이다. 즉,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의 연결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는, 그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급수 누수 받이체(65)에서 물이 받아져 급수 누수 받이체(65)의 전방측으로 흘러, 급수 누수구(66)를 통하여 세정조(2) 내로 유입한다(도 12에서 도시하는 화살표(C)).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급수 누수 받이체(65)는,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의 연결 부분의 하방에 위치하고, 이 연결 부분부터의 누수를 빠짐없이 받아들여 세정조(2)에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12(a)). 세정조(2)가 인출되기 시작하고,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의 연결이 해제되기 시작하는 상태에서는, 급수 누수 받이체(65)는, 후방측 단부가 출구측 연결부(64b)보다 후방측으로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입구 연결부(63b) 및 출구측 연결부(64b)로부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물을 받을 수가 있다(도 12(b)).
그리고, 세정조(2)가 완전히 인출되고, 급수 입구체(63)와 급수 출구체(64)의 연결이 완전히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급수 밸브(62)에 의한 지수가 종료하고 있기 때문에, 입구측 연결부(63b)로부터 누수되는 일이 없다(도 12(c)). 즉, 급수 누수 받이체(65)의 후방측 단부를 출구측 연결부(64b)보다 후방측에 위치시킴에 의해, 급수 밸브(62)에 의한 지수가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차를 마련하고, 지수가 종료할 때까지는 급수 누수 받이체(65)로 누수를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여 두어, 식기 세정기 본체(1)에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3행째의 일문(一文)을 삭제하였음.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출구체(64)를 경사 각도(θ1)로 전방측이 하향이 되도록 경사시켜 두면, 세정수를 확실히 세정조(2) 내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한 급수 출구체(64)는, 예를 들면 연질재로 구성하거나 주름형상 모양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급수 출구체(64)의 경사 각도(θ1)를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세정조(2)와 식기 세정기 본체(1)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의 크기나 급수 밸브(62)의 높이 위치에 응하여 결정하면 좋다.
도 13은, 배수 기구(70)로부터의 누수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에 의거하여, 배수 기구(70)로부터의 누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수단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도 13에서는,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 부분의 하방측에 배수 누수 받이체(75)를 마련한 경우를 예에 나타내고 있다. 배수 연결 돌기구(72)는, 일단이 세정조(2)에 고착되고(이하, 세정조측 단부(72a)라고 칭한다), 타단이 배수 연결 받이구(73)에 연결되어 있다(이하, 돌기구측 연결부(72b)라고 칭한다). 배수 연결 받이구(73)는, 일단이 식기 세정기 본체(1)에 고착되고(이하, 본체측 단부(73a)라고 칭한다), 타단이 배수 연결 돌기구(72)에 연결되어 있다(이하, 받이구측 연결부(73b)라고 칭한다). 또한, 배수 연결 돌기구(72) 및 배수 연결 받이구(73)는, 배수관(71)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받이구측 연결부(73b)의 내경은, 배수 연결 돌기구(72)의 돌기구측 연결부(72b)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이 받이구측 연결부(73b)에 돌기구측 연결부(72b)가 삽입함으로써,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돌기구측 연결부(72b)의 외연에는, 누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씰 패킹(7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 부분의 하방측에는, 배수 누수 받이체(7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수 누수 받이체(75)는, 전방측 단부가 세정조(2)의 후방 벽면에 부착되어 있고, 그 전방측 단부가 후방측 단부와 비교하여 하향으로 경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수 누수 받이체(75)는, 후방측 단부가 돌기구측 연결부(72b)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배수 누수 받이체(75)의 전방측 단부가 부착되는 세정조(2)의 후방 벽면 부분에는, 배수 누수구(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 누수구(76)는, 세정조(2)의 후방 벽면을 관통하고, 배수 누수 받이체(75)와 세정조(2)를 연통하는 것이다. 즉,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는, 그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배수 누수 받이체(75)에서 물받이가 되어 배수 누수 받이체(75)의 전방측으로 흘러, 배수 누수구(76)를 통하여 세정조(2) 내로 유입한다(도 13에서 도시하는 화살표(D)).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배수 누수 받이체(75)는,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 부분의 하방에 위치하고, 이 연결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를 빠짐없이 물을 받아들여 세정조(2)에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13(a)). 세정조(2)가 인출되기 시작하고,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이 해제되기 시작하는 상태에서는, 배수 누수 받이체(75)는, 후방측 단부가 돌기구측 연결부(72b)보다 후방측으로 길게 되어 있으므로, 돌기구측 연결부(72b) 및 받이구측 연결부(73b)로부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물을 받아들일 수가 있다(도 13(b)).
그리고, 세정조(2)가 완전히 인출되고,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이 완전히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배수 펌프(77)가 정지를 완료하고 있기 때문에, 배수 연결 돌기구(72)의 돌기구측 연결부(72b)로부터 누수하는 일이 없다(도 13(c)). 즉, 배수 누수 받이체(75)의 후방측 단부를 돌기구측 연결부(72b)보다 후방측에 위치시킴에 의해, 배수 펌프(77)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차를 마련하여, 배수 펌프(77)가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는 배수 누수 받이체(75)로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여 두어, 식기 세정기 본체(1)로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연결 돌기구(72)를 경사 각도(θ2)로 전방측이 하향이 되도록 경사시켜 두면, 세정수를 확실히 세정조(2) 내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수 연결 받이구(73)를 경사 각도(θ3)로 후방측이 하향이 되도록 경사시켜 두면, 배수 연결 받이구(73)에 도달한 세정수를 확실히 배수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배수 연결 돌기구(72)의 경사 각도(θ2) 및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경사 각도(θ3)를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세정조(2)와 식기 세정기 본체(1)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의 크기나 배수 기구(70)의 높이 위치에 응하여 결정하면 좋다.
여기서, 세정조(2) 내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위와 배수 기구(70)의 설치 위치의 관계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조(2) 내의 세정수의 수위는, 수위 검지 장치(56)에서 검지되고, 그 정보가 제어 장치(23)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 기구(70)(구체적으로는,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 부분)는, 세정조(2) 내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위보다 상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세정수의 수위는, 회전 노즐(9)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음에 대해, 배수 기구(70)는, 식기 세정기 본체(1) 내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9 및 도 10 참조).
배수 기구(70)를 세정조(2) 내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위보다 상방에 설치함에 의해, 세정조(2) 내의 세정수가, 그 수압에 의해 자연 배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세정수는, 배수 펌프(77)가 구동함으로써 배수되도록 되어 있고, 배수 펌프(77)가 구동하지 않는 한, 배수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배수 기구(70)를 세정조(2) 내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위보다 상방에 설치하여 두면, 배수 펌프(77)가 구동하지 않는 세정 동작중 등에서도, 세정수가 자연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제어 장치(23)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의거하여, 제어 장치(23)의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23)는, 식기 세정기(100)의 동작을 통괄 제어하는 CPU(중앙 처리장치)와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고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ROM(리드?온리?메모리)과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워크 메모리나 페이지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RAM(랜덤?액세스?메모리)을 주요부로 한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23)는, 조작부(15)(터치 패널 등에 의해 표시부(16)로 일체적으로 하고 있다면 표시부(16)도 포함한다)로부터의 유저 지시나 각 검지 장치(도어 개폐 검지 장치(55), 수위 검지 장치(56) 및 온도 검출 장치(58))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세정 펌프(8)나 배수 펌프(77), 온수 히터(7), 송풍기(20), 급수 밸브(62) 등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 장치(23)는, 유저로부터의 지시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각종 기기를 제어하면서 세정 운전을 실행한다.
여기서, 식기 세정기(1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세정조(2)가 식기 세정기 본체(1)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조작부(15)가 조작되면, 제어 장치(23)는, 수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급수 밸브(62)에 지령을 내려, 지수를 해제시켜, 세정조(2) 내에 세정수가 되는 수도물을 공급시킨다. 이 물은, 식기 세정기 본체(1) 내의 상방에 상하이동 자유롭게 덮개 달아내림체(31)에 의해 지지되어, 세정조(2)의 식기 수납구(18)를 씰재(30)를 통하여 개구하고 있은 개폐 덮개(12)에 부착되어 있는 급수 출구체(64)로부터 세정조(2) 내로 살수된다.
이 때, 도 7에서 도시한 분산수 덮개(68)를 마련하도록 하여 두면, 세정조(2)의 전체에 세정수를 살수할 수가 있다. 즉, 분산수 덮개(68)에는 다수의 세공이 형성되어 있고, 분산수 덮개(68)를 흐르는 세정수가 세정조(2)의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피세정물(3)의 세정 전에, 피세정물(3)에 부착한 찌꺼기 등에 적당한 습기를 줄 수가 있어서, 달라붙음이 완화되고, 피세정물(3)로부터 찌꺼기 등을 떨어지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출구체(64)를 개폐 덮개(12)의 전방측에 부착하고, 급수 입구체(63)를 개폐 덮개(12)의 전방측까지 연장하여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세정조(2)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급수 출구체(64)의 세정조 연결부(64a)를 세정조(2)의 식기 수납구(18)의 후방측 상부에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만일, 급수 밸브(62)의 내부에 티끌 등이 부착하여 누수가 발생하여도, 확실히 세정조(2) 내에서 티끌 등을 회수할 수 있고, 식기 세정기 본체(1)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급수 출구체(64)로부터 급수된 세정조(2) 내의 세정수는, 그 수위가 수위 검지 장치(56)에서 검지된다. 이 수위 검지 장치(56)는, 세정수가 소정량이 된 것을 검지하고, 이 정보가 제어 장치(23)에 보내진다. 이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23)는, 급수 밸브(62)에 지령을 내려, 수도물의 공급을 정지, 즉 지수 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23)는, 즉시 온수 히터(7)의 발열을 개시시켜, 세정조(2) 내의 세정수를 소정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3)는, 세정 펌프(8)의 운전을 시작시킨다. 세정 펌프(8)가 운전을 시작하는데 수반하여, 다수의 세정구를 갖는 회전 노즐(9)이 세정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정수를 피세정물(3)에 골고루 충돌시켜,피세정물(3)에 부착한 찌꺼기 등을 씻어 흘린다.
찌꺼기 등은, 찌꺼기 필터(57)에 의해 포집된다. 이 동작(세정 운전)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제어 장치(23)는, 세정 펌프(8)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배수 펌프(77)의 운전을 시작시킨다. 배수 펌프(77)가 운전을 시작하면, 세정수는, 배수관(71)을 도통하고, 배수 기구(70) 및 배수 트랩(78)을 경유한 후, 외부의 하수 등에 배수된다. 배수 기구(70)의 배수 연결 받이구(73)는, 하류측(후방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하고 있으므로, 세정수는, 확실히 하수측으로 흘러 떨어져, 물고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기구(70)(구체적으로는, 배수 연결 돌기구(72)와 배수 연결 받이구(73)의 연결 부분)는, 세정조(2) 내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위보다 상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정조(2) 내에 고여 있는 세정수가, 그 수압에 의해, 배수 기구(70)를 통과하여, 외부(하수)에 자연스럽게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후, 제어 장치(23)는, 세정된 피세정물(3) 등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송풍기(20)의 운전을 시작한다(건조 운전). 송풍기(20)가 운전을 시작하면, 세정조(2) 내가 건조하고, 이 공기는, 앞문(14)에 형성된 배기구멍(17)으로부터 배기로서 외부에 배출된다.
송풍기(20)의 운전은, 타이머 등에 의한 소정 시간, 또는, 온도 검출 장치(58) 등에 의한 검지 온도가 소정 온도가 되었을 때에 제어 장치(23)에 의해 자동 정지된다. 또한, 배수 기구(70)의 하류측에는, 배수 트랩(78)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 트랩(78)에는, 항상 적당량의 배수가 고여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하수 등으로부터의 해충의 침입, 악취가 세정조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어 장치(23)는, 세정 운전 및 건조 운전을 실행한다.
세정조(2)는, 로크편(50)에 의해 식기 세정기 본체(1)에 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 운전이 종료하여도, 용이하게 앞문(14)이 열리지 않도록, 즉 세정조(2)가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유저는, 손잡이(13)를 잡고, 이 손잡이(13)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로크가 해제되면, 로크편(50)로 도어 개폐 검지 장치(55)와의 접촉도 해제되고, 이 정보가 제어 장치(23)에 보내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23)는, 급수 밸브(62)나 배수 펌프(77), 세정 펌프(8) 등의 각종 전기부품에의 전기 공급을 정지시켜서 안전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종 전기부품이 동작중에 세정조(2)가 마음대로 인출되는 일은 없고, 또한 동작중에 세정조(2)가 인출되었다고 하여도, 각종 전기부품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나서 세정조(2)가 인출 가능하게 되므로, 예를 들면 배수 기구(70)로부터의 누수 등은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로크편(50)의 동작 전에, 보다 확실히 각종 전기부품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기 위해서는, 손잡이(13)에 접하거나, 잡거나 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검출 장치, 예를 들면 온도센서나 압력센서, 정전용량 센서 등을 손잡이(13)에 마련하고, 이들이 작용하도록 하여 두면 보다 효과적이 된다.
또한, 로크편(50)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고, 각종 전기부품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 후, 즉 몇 초 경과한 후,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확실히 각종 전기부품의 기능을 완전 정지할가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것이 된다. 그 후, 손잡이(13)를 통하여 세정조(2)를 인출하면, 세정조(2)는 식기 세정기 본체(1) 내를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제어 장치(23)는, 덮개 달아내림체(31)에 지령을 내려, 개폐 덮개(12)를 상방으로 매달아 올려, 세정조(2)의 식기 수납구(18)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또한, 세정조(2)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개폐 덮개(12)도 연동하여 상하이동시키는 기구, 예를 들면 상하이동용의 모터 등을 마련하면, 보다 확실히 접속 및 해제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인출된 세정조(2)로부터, 세정 및 건조된 청결한 피세정물(3)을 꺼낼 수가 있다.
도 15는, 식기 세정기(100)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에 의거하여, 식기 세정기(100)의 각종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접속되는 전원 공급체(80)에 관해 설명한다. 종래, 세정조(2)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어 있던 전원 코드가 세정조(2)의 이동에 수반하여 굴곡 하고, 이 전원 코드의 파괴 등의 고장의 원인이 되어 있었다. 즉, 전원 코드도 급수 호스나 배수 트랩과 같이 굴곡을 반복함에 의해 파손하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공급체(80)도, 급수 기구(60) 및 배수 기구(70)와 마찬가지로, 연결/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급수 기구(60) 및 배수 기구(70)와 마찬가지로, 세정조(2)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굴곡을 회피할 수 있다. 이 전원 공급체(80)는, 전원 공급구(81)와 전원 수급부(82)로 구성되어 있다. 세정조(2)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체(80)는, 전원 공급구(81)에 전원 수급부(82)가 삽입됨으로써 일체화하고 있다(도 15(a)). 세정조(2)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구(81)와 전원 수급부(82)가 분리하고, 각종 전기부품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한다. 즉, 안전성을 향상할 수도 있다.
1 : 식기 세정기 본체 1a : 앞면 개구부
1b : 돌기부 2 : 세정조
3 : 피세정물 4 : 식기바구니
5 : 레일 6 : 가이드체
7 : 온수 히터 8 : 세정 펌프
9 : 회전 노즐 12 : 개폐 덮개
13 : 손잡이 14 : 앞문
14a : 오목부 14b : 구멍부
15 : 조작부 16 : 표시부
17 : 배기구멍 18 : 식기 수납구
20 : 송풍기 22 :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
23 : 제어 장치 30 : 씰재
31 덮개 달아내림체 35 : 전원 스위치
50 : 로크편 55 : 도어 개폐 검지 장치
56 : 수위 검지 장치 57 : 찌꺼기 필터
58 : 온도 검출 장치 60 : 급수 기구
60a : 급수 기구 60b : 급수 기구
60c : 급수 기구 61 : 급수관
62 : 급수 밸브 63 : 급수 입구체
63a : 급수관 연결부 63b : 입구측 연결부
64 : 급수 출구체 64a : 세정조 연결부
64b : 출구측 연결부 65 : 급수 누수 받이체
66 : 급수 누수구 67 : 씰 패킹
68 : 분산수 덮개 70 : 배수 기구
71 : 배수관 72 : 배수 연결 돌기구
72a : 세정조측 단부 72b : 돌기구측 연결부
73 : 배수 연결 받이구 73a : 본체측 단부
73b : 받이구측 연결부 74 : 씰 패킹
75 : 배수 누수 받이체 76 : 배수 누수구
77 : 배수 펌프 78 : 배수 트랩
80 : 전원 공급체 81 : 전원 공급구
82 : 전원 수급부 100 : 식기 세정기
150 : 시스템 키친 151 : 설겆이대
152 : 도어 153 : 서랍
154 : 싱크

Claims (20)

  1. 앞면에 앞면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정기 본체와,
    상부에 식기 수납구를 가지며,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에 수납되고, 상기 앞면 개구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상기 식기 수납구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개폐 덮개와,
    상기 세정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기구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배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기구는,
    상기 세정조에 급수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 밸브를 갖는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입구체에 일단이, 상기 개폐 덮개에 형성된 관통구멍부에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 출구체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 기구는,
    상기 세정조의 배면측에 고착된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에 일단이 고착되고, 상기 세정조의 배면측에서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가 삽입됨에 의해 그 배수 연결 돌기구에 타단이 연결되는 배수 연결 받이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가 연결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의 전방측에서 상기 급수 출구체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가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의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도 상기 타단을 상기 세정조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매달아 내려 지지하는 덮개 달아내림체을 마련하고,
    상기 급수 출구체는,
    상기 개폐 덮개의 상하이동에 수반하여 굴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의 하면측에, 다수의 세공이 형성된 분산수 덮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수 덮개를 전방측 또는 후방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출구체의 연결 부분의 하방측에 이 연결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를 받아들이는 급수 누수 받이체를 마련하고.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의 연결 부분의 하방측에 이 연결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를 받아들이는 배수 누수 받이체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의 연결 부분을, 상기 세정조 내에 공급된 물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기구에 연통하는 배수관의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의 하류 측에 배수 트랩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를 상기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출구체의 연결 부분보다 상류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출구체를 연질재로 구성하고, 또는, 주름형상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1. 앞면에 앞면 개구부를 갖는 식기 세정기 본체와,
    상부에 식기 수납구를 가지며,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에 수납되고, 상기 앞면 개구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기구와,
    상기 세정조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배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기구는,
    상기 세정조에 급수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 밸브를 갖는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입구체에 일단이, 상기 세정조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부에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 출구체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 기구는,
    상기 세정조의 배면측에 고착된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에 일단이 고착되고, 상기 세정조의 배면측에서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가 삽입됨에 의해 그 배수 연결 돌기구에 타단이 연결되는 배수 연결 받이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정조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출구체가,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가 각각 연결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출구체의 연결 부분의 하방측에 이 연결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를 받아들이는 급수 누수 받이체를 마련하고.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의 연결 부분의 하방측에 이 연결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를 받아들이는 배수 누수 받이체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누수 받이체 및 상기 배수 누수 받이체는,
    전방측 단부가 상기 세정조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방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이 되도록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누수 받이체 및 상기 배수 누수 받이체와 연결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세정조의 측면을 관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 돌기구와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의 연결 부분을, 상기 세정조 내에 공급된 물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기구에 연통하는 배수관의 상기 배수 연결 받이구의 하류 측에 배수 트랩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를 상기 급수 입구체와 상기 급수 출구체의 연결 부분보다 상류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출구체를 연질재로 구성하고, 또는, 주름형상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9. 제 1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 내의 세정수를 배수하는 배수 펌프와,
    상기 세정조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연동하고, 세정조의 수납/인출을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 장치와,
    상기 도어 개폐 검지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수 펌프 및 상기 급수 밸브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도어 개폐 검지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손잡이가 조작되고, 상기 세정조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세정조가 상기 식기 세정기 본체의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기 전에, 상기 배수 펌프 및 상기 급수 밸브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 개폐 검지 장치를 조작하는 로크편을 상기 손잡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KR1020107008498A 2007-12-05 2007-12-05 식기 세정기 KR101208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73491 WO2009072198A1 (ja) 2007-12-05 2007-12-05 食器洗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509A KR20100075509A (ko) 2010-07-02
KR101208889B1 true KR101208889B1 (ko) 2012-12-05

Family

ID=4071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498A KR101208889B1 (ko) 2007-12-05 2007-12-05 식기 세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80430B2 (ko)
KR (1) KR101208889B1 (ko)
CN (1) CN101815460B (ko)
WO (1) WO20090721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545B1 (ko) 2015-06-19 2016-08-17 왕가연 바닥 분출형 세척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6188B2 (ja) * 2008-12-01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5656518B2 (ja) * 2010-09-01 2015-01-21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ITTO20110982A1 (it) * 2011-10-28 2013-04-29 Bitron Spa Dispositivo distributore di acqua atto a contenere eventuali perdite
JP5909646B2 (ja) * 2012-05-29 2016-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5732480B2 (ja) * 2013-01-11 2015-06-10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6010768B2 (ja) * 2013-07-25 2016-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6364608B2 (ja) * 2014-02-07 2018-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US10435835B2 (en) 2014-05-30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487095B1 (ko) * 2014-05-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9864680B (zh) * 2017-12-04 2021-09-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
CN107960965B (zh) * 2017-12-13 2020-11-2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抽屉式洗碗机
CN107981781B (zh) * 2017-12-22 2024-07-12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清洁工具
CN108634900B (zh) * 2018-05-29 2023-09-0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N108577737B (zh) * 2018-07-24 2023-09-0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JP7312988B2 (ja) * 2019-12-25 2023-07-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炊飯器および洗米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114A (ja) * 2002-03-29 2003-10-14 Toto Ltd 食器洗浄機
JP2004097261A (ja) * 2002-09-05 2004-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JP2006043123A (ja) * 2004-08-04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型食器洗浄乾燥機
US20070119482A1 (en) * 2005-11-29 2007-05-31 Maytag Corp. Lid seal for a drawer-type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1094U (zh) * 1991-12-18 1992-07-29 白壮 平移式餐具清洗机
CA2376640C (en) * 1991-12-20 2003-12-09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Dishwasher
JP3129311B1 (ja) * 1999-08-05 2001-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2001275918A (ja) * 2000-04-03 2001-10-09 Rinnai Corp 食器洗浄機
JP2005118378A (ja) * 2003-10-17 2005-05-1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114A (ja) * 2002-03-29 2003-10-14 Toto Ltd 食器洗浄機
JP2004097261A (ja) * 2002-09-05 2004-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JP2006043123A (ja) * 2004-08-04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型食器洗浄乾燥機
US20070119482A1 (en) * 2005-11-29 2007-05-31 Maytag Corp. Lid seal for a drawer-type dishwa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545B1 (ko) 2015-06-19 2016-08-17 왕가연 바닥 분출형 세척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72198A1 (ja) 2011-04-21
CN101815460A (zh) 2010-08-25
JP4980430B2 (ja) 2012-07-18
CN101815460B (zh) 2013-05-29
WO2009072198A1 (ja) 2009-06-11
KR20100075509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889B1 (ko) 식기 세정기
US10441076B2 (en) Sink
US826681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rinsing liquid device in a household appliance for cleaning pieces of laundry, and rinsing liquid device
CN107296577B (zh) 清洗机
CA2743100C (en) Dishwasher and a water tank adapted for a dishwasher
EP1860227A1 (en)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JP7190688B2 (ja) 超音波洗浄装置
CN107260097B (zh) 清洗机
WO2019012878A1 (ja) 食器処理機
KR20090057711A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EP3653101B1 (en) Dishwasher
US6718993B1 (en) Household dishwasher with viewable leak indication drain pan
WO2019012870A1 (ja) 食器処理機
JP4653349B2 (ja) 食器洗浄機
JP2004097261A (ja) 食器洗浄機
JP2019080603A (ja) 食器洗い機
JP2006326156A (ja) 食器洗い機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JP6172602B2 (ja) 洗浄槽付き流し台
JP5185031B2 (ja) 食器洗浄機
JP4615775B2 (ja) 食器洗浄機
CN213134380U (zh) 一种家用餐厨垃圾桶的智能清洗装置
JP2006230497A (ja) 食器洗い機
CN101778589A (zh) 洗碗机
JP3635958B2 (ja) 食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