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348B1 - 선박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348B1
KR101205348B1 KR20100081980A KR20100081980A KR101205348B1 KR 101205348 B1 KR101205348 B1 KR 101205348B1 KR 20100081980 A KR20100081980 A KR 20100081980A KR 20100081980 A KR20100081980 A KR 20100081980A KR 101205348 B1 KR101205348 B1 KR 10120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rope
support
guide
transfer device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8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955A (ko
Inventor
손영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8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3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34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서 제공하는 무어링 로프(mooring rope)를 안벽의 지지대까지 이송할 때 인력이나 포크레인을 사용하게 되면 작업효율이 낮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각각의 선박에 무어링 로프의 이송 장치를 설치할 경우 비효율적이고 파랑에 의한 선박의 요동으로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안벽에 고정된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기구를 이용하여 선박에 고정된 무어링 로프를 안벽에 설치된 지지대까지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선박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TRANSFERING SYSTEM OF MOORING ROPE FOR A SHIP}
본 발명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고정된 무어링 로프(mooring rope)를 안벽에 설치된 지지대까지 이송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객 및 화물 운송뿐만 아니라 건조 및 유지 보수를 위해서,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안벽에 계류할 때에는 선박을 안벽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무어링 로프(mooring rope, 계류삭[繫留索])가 이용된다.
소형 선박에 있어서는 선박에 고정된 무어링 로프를 안벽의 지지대까지 이송하는 작업이 인력(人力)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선박이 대형화되면서 무어링 로프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무어링 로프의 이송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력에 의해 무어링 로프를 이송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까지 생기게 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는 포크레인[excavator, 굴삭기(掘削機)]을 이용하여 무어링 로프를 이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포크레인을 이용한 무어링 로프의 이송방식을 도시한다. 안벽(2)에 계류할 선박(1)의 윈치(6)로부터 무어링 로프(4)가 풀려나와 안벽(2)의 상부면(9)에 접근하면, 포크레인(7)이 무어링 로프(4)를 파지하여 지지대(5)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무어링 로프(4)를 지지대까지 이송한다.
한편, 인력이나 포크레인을 대체하고자, 선박에 무어링 로프를 이송하기 위한 아암(arm)을 설치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상(1)에 신축(伸縮) 가능한 아암(8)을 설치하고, 선상(1)의 윈치에 감긴 무어링 로프(4)의 일측 단부를 아암(8)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한 상태에서, 아암(8)의 길이를 신장시켜 지지대(5)에 접근시킴으로써 아암(8)에 장착된 무어링 로프(4)를 지지대(5)에 인계한다.
그러나, 인력을 이용하여 무어링 로프를 이송하는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이송 가능한 무어링 로프의 중량에 한계가 있는데다가, 로프를 이송하는 작업자가 작업 중 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다. 또한,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무어링 로프를 이송하는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포크레인의 운전자가 무어링 로프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으며, 포크레인이 복수의 무어링 로프 및 지지대에 대하여 이송 작업을 순차로 반복할 경우 시간 소요가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선박에 설치된 아암을 이용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 방식에 있어서는, 아암을 포함한 장비를 선박에 추가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아암 등의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선박에 대해서는 여전히 인력이나 포크레인을 이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아암이 지지할 수 있는 무어링 로프의 중량에는 한계가 있고, 해상에 부유하는 선박이 파랑에 의하여 요동하는 경우에는 아암을 정밀하게 조작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선박의 요동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장비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기 위하여 무어링 로프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는 안벽에 고정되고, 무어링 로프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와, 경로로 이동 가능한 이송기구를 포함하되, 이송기구는, 무어링 로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와, 파지부와 결합되어 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와 결합되어 가이드부로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가이드부의 상단을 덮으며, 파지부 또는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이 돌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가이드부는 안벽에 매립될 수 있다.
더욱이, 가이드부는 가이드부의 상단부가 안벽의 상부면보다 낮거나 안벽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매립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지지부는, 구동부에 고정된 연결부와, 파지부 및 연결부에 결합된 아암과, 수평축을 중심으로 아암 또는 파지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관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파지부는, 후크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파지부는 무어링 로프를 파지할 수 있는 집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롤러에 접촉하여 롤러를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구동부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와, 롤러에 접촉하여 롤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는 캐터필러를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캐터필러가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캐터필러를 유도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피니언을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피니언과 치합하는 래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어링 로프의 이송을 위한 인력이나 포크레인을 대체할 수 있어 인력과 장비의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체된 인력과 포크레인을 다른 작업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여객 및 화물운송, 건조 및 보수작업에 있어서 전체적인 작업 효율이 증가한다. 또한, 인력이나 포크레인에 비해 안전하게 로프를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안벽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본 발명의 이송기구는 선박의 요동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무어링 로프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무어링 로프의 이송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개개의 선박에 무어링 로프의 이송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포크레인을 이용한 무어링 로프의 이송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에 설치된 아암을 이용한 무어링 로프의 이송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 및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 및 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는 지지대(5)가 돌출된 안벽(2)의 상부면(9)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부(10)와 이송기구(20)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기구(20)는 구동부(210), 지지부(220), 파지부(230), 동력원(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0)는 안벽(2)의 상부면(9)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도 4의 파선과 같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11)를 형성한다. 상기 경로(11)는 지지대(5)의 근방으로부터 안벽(2)의 상부면(9)의 가장자리, 즉, 해수(3)와의 경계선의 근방까지 연장된다. 가이드부(10)는 이송기구(20)가 상기 경로(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부(10)의 상단을 덮되, 지지부 또는 파지부가 돌출될 수 있는 정도의 너비의 개구부(112)를 포함하는 덮개부(110)를 형성하여, 이송기구가 가이드부(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부(10) 위로 통행하는 작업자나 작업기구가 가이드부(10)에 의하여 형성된 홈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이드부(10)가 안벽(2)에 매립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0)의 상단부가 안벽(2)의 상부면(9)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즉, 가이드부(10)의 상단부가 안벽(2)의 상부면(9)보다 낮거나 안벽(2)의 상부면(9)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경우, 작업자나 작업기구가 가이드부(10) 위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10)는 가이드부(10)에 형성된 경로(11)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지부(220)를 탑재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10)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0)는 상기 롤러(211)에 접촉하여 롤러(211)가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롤러(211)를 유도하는 레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10)는 롤러(211)에 접촉하여 롤러(21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는 캐터필러(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10)는 캐터필러(212)가 가이드부(1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캐터필러(212)를 유도할 수 있다. 더 욱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10)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0)는 상기 피니언(213)과 치합하는 래크(13)를 포함하고, 상기 래크(13)를 따라 구동부(210)의 피니언(213)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210)가 가이드부(1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롤러(211), 캐터필러(212) 및 피니언(213)이 구동부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2열로 배치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롤러, 캐터필러 및 피니언은 이송기구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1열로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0)는 구동부(110)에 탑재되어 있으며, 파지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230)는 지지부(220)의 일측에 결합되고, 무어링 로프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11은 파지부 및 지지부를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0)는 아암(222)과, 아암(222)을 구동부(210)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221)를 포함하며, 아암(222)의 일측이 파지부(230)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아암(222)은 길이 방향(224)으로 신축(伸縮) 가능한 구조로 될 수 있어, 아암(222)의 신축에 의하여 파지부(230)의 수직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20)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아암(22)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관절부(223)를 포함할 수 있어, 관절부(223)를 지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아암(222)이 회전함으로써, 파지부(230)의 수직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관절부(223)는 연결부(2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9와 같이 아암(222)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0과 같이 아암(222)과 파지부(230)가 결합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파지부(230)는 지지부에 연결된 연결부(231)와, 상기 연결부(231)로부터 연장되고 아암(222)이 신축하는 방향(224)과 소정의 각도 X(단, 0 < X < 180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을 포함하는 후크(232)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아암(222)의 회전에 의하여 후크(232)의 개방부(233)의 방향이 변화함으로써 무어링 로프에 작용하는 중력(重力) 또는 인장력(張力)과 같은 외력에 의해 무어링 로프가 후크(232)에 파지되거나 후크(232)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력과 무관하게 무어링 로프가 파지부(230)에 파지되거나 파지부(23)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후크(232)의 개방부(233)를 개폐하는 개폐부(234)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지부(230)가 집게(235)를 포함하여, 집게(235)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의 힘에 의해 무어링 로프를 파지하거나 상기 간격을 넓히는 방향의 힘에 의해 무어링 로프가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파지부(230)는 지지대의 가로폭보다도 넓은 간격을 두고 연결부(231)로부터 연장된 2개 이상의 후크(232a, 232b)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2개의 후크(232a, 232b) 사이의 공간에 지지대를 위치시키면, 아암의 길이방향(224)이 지지대를 향하고 있더라도 파지부가 지지대와 충돌하지 않고 파지부에 파지된 무어링 로프를 지지대에 인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파지부가 상기 2개의 후크(232a, 232b) 대신에 2개의 집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240)은 이송기구(20)가 가이드부(10)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구동부(21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240)은 이송기구(20)에 탑재되지 않고 안벽(2)이나 선박(1)에 고정되어 구동부(210)에 연결된 케이블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15)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고, 또는, 동력원이 구동부에 탑재되어 구동부와 함께 가이드부에 의하여 형성된 경로를 이동할 수도 있다. 동력원을 안벽이나 선박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이송기구에 탑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송기구의 부피와 중량을 저감할 수 있는 반면, 동력원을 이송기구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동력전달부의 길이 또는 부피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상기 이송기구(20)의 구동부(210), 지지부(220), 파지부(230), 동력원(2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여, 구동부(210)가 가이드부(20)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 파지부(230)가 무어링 로프를 파지하는 동작, 파지부(230)가 무어링 로프를 지지대(5)에 인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250)는 조작자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에 따라 이송기구(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의 작용을 도 13 내지 도 16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이송기구(20)의 파지부가 무어링 로프에 닿을 수 있도록, 이송기구(20)와 무어링 로프(4)를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이때, 이송기구(20)를 가이드부(10)에 의하여 형성된 경로를 따라 무어링 로프(4)에 닿을 수 있는 곳, 가령, 경로 상에서 지지대로부터 가장 먼 지점까지 이동시키거나, 안벽에 접근한 선박(1)에서 무어링 로프(4)가 풀려나오도록 하여 무어링 로프(4)를 안벽(2)의 상부면(9) 근방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수행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구(20)의 파지부가 무어링 로프(4)에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되면, 이송기구(20)의 파지부가 무어링 로프를 파지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구(2)의 파지부가 무어링 로프를 파지하게 되면, 이송기구(20)는 가이드부(1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지지대(5)에 접근한다. 이때, 파지부에 의해 파지된 무어링 로프(4)는 이송기구(20)의 이동에 의한 인력(引力)을 받게 되어, 지지대(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구(20)가 지지대(5) 부근에 위치하게 되면, 이송기구가 정지하고, 파지부에 파지된 무어링 로프(4)를 지지대(5)에 건다. 이때, 파지부의 수직높이를 조절하여 무어링 로프(4)를 지지대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시켜, 인력(人力)에 의하여 무어링 로프를 파지부로부터 지지대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송기구의 이동에 의하여 파지부가 선박으로부터 지지대 보다 더 멀고 지지대의 상단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인력(人力)에 의하지 않고 파지된 무어링 로프를 이탈시키는 동작만으로 무어링 로프(4)를 지지대(5)에 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안벽에 고정된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기구를 이용하여 선박에 고정된 무어링 로프를 안벽에 설치된 지지대까지 이송함으로써, 무어링 로프의 이송을 위한 인력이나 포크레인을 대체할 수 있어 인력과 장비의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체된 인력과 포크레인을 다른 작업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여객 및 화물운송, 건조 및 보수작업에 있어서 전체적인 작업 효율이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인력이나 포크레인에 비해 안전하게 로프를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안벽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본 발명의 이송기구는 선박의 요동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무어링 로프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무어링 로프의 이송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개개의 선박에 무어링 로프의 이송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선박
4: 무어링 로프
10: 가이드부
11: 경로
20: 이송기구
210: 구동부
211: 롤러
220: 지지부
230: 파지부
240: 동력원
250: 제어부

Claims (12)

  1. 안벽에 고정되고, 무어링 로프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경로로 이동 가능한 이송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기구는,
    상기 무어링 로프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로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을 덮으며,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이 돌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안벽에 매립되는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가 상기 안벽의 상부면보다 낮거나 안벽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매립된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부에 고정된 연결부와,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아암과,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기 아암 또는 상기 파지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후크를 포함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후크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무어링 로프를 파지할 수 있는 집게를 포함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롤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는 캐터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터필러가 상기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캐터필러를 유도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는 래크를 포함하는
    무어링 로프 이송장치.
KR20100081980A 2010-08-24 2010-08-24 선박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 KR10120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1980A KR101205348B1 (ko) 2010-08-24 2010-08-24 선박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1980A KR101205348B1 (ko) 2010-08-24 2010-08-24 선박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955A KR20120018955A (ko) 2012-03-06
KR101205348B1 true KR101205348B1 (ko) 2012-11-28

Family

ID=4612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1980A KR101205348B1 (ko) 2010-08-24 2010-08-24 선박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094B1 (ko) 2020-03-20 2020-04-29 전두배 복수개의 무어링 로프가닥을 연결하여 하나의 무어링 로프를 형성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215B1 (ko) * 2018-10-30 2022-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라인 고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590A (ja) * 1985-11-07 1987-05-21 Nippon Kokan Kk <Nkk> 係船索の繰出しおよび巻取り装置
JP2002317426A (ja) 2001-04-19 2002-10-31 Kojimagumi:Kk 船用係留索の係止装置
JP2004345614A (ja) 2003-05-19 2004-12-09 Kokusai Corporation Kk 船舶等の係留用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590A (ja) * 1985-11-07 1987-05-21 Nippon Kokan Kk <Nkk> 係船索の繰出しおよび巻取り装置
JP2002317426A (ja) 2001-04-19 2002-10-31 Kojimagumi:Kk 船用係留索の係止装置
JP2004345614A (ja) 2003-05-19 2004-12-09 Kokusai Corporation Kk 船舶等の係留用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094B1 (ko) 2020-03-20 2020-04-29 전두배 복수개의 무어링 로프가닥을 연결하여 하나의 무어링 로프를 형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955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2977B1 (en) Gantry crane for handling containers
CN103183112A (zh) 一种水下机器人回收用对接起吊装置
CN108502110B (zh) 落管抛石船
US9874096B2 (en) Subsea container transport system for deep-sea mining
KR101205348B1 (ko) 선박 무어링 로프 이송 시스템
RU2010125925A (ru) Система монтажа и эксплуатации спускной трубы
KR20160067305A (ko) 선체면 청소로봇 결속장치
KR20160033265A (ko) 수중 청소로봇 결속장치 및 이를 갖춘 수중 청소로봇의 진수 및 회수장치
CN104003212B (zh) 龙门移动料斗式过驳装船机
KR101310836B1 (ko) 선박용 접안장치
CN203865620U (zh) 龙门移动料斗式过驳装船机
JP2617276B2 (ja) 吊上げ装置における装着方法
CN101337575A (zh) 起抛锚装置
CN202924592U (zh) 抓取装置
KR101762829B1 (ko) 리프팅 지그
JP5639430B2 (ja) クレーンの給電システム
KR20190130320A (ko) 선박용 접안장치
GB2327930A (en) Transhipping hoist and guide apparatus
KR101516200B1 (ko) 클램핑용 샤클
KR102570695B1 (ko) 선박용 부두 완충장치
CN201598106U (zh) 造船龙门起重机新型上小车吊钩横移机构
JP2012076887A (ja) クレーン
CN108946464B (zh) 一种工业用抓取装置
KR20150050129A (ko)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CN103517868A (zh) 运送件货和/或散货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